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SURE 모형 기반의 스마트 기기 활용 중재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심폐지구력 운동에 미치는 효과

        남경욱 ( Kyoung Uck Nam ),김정수 ( Jung Soo Kim ),신현기 ( Hyun Ki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지적장애 학생들의 심폐지구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ASSURE모형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기기 활용 중재를 설계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A시의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3명의 중학생들로서, ASSURE모형에 근거하여 이들을 분석한 결과, 운동능력 및 감각에 이상은 없지만 모두 경도 이상의 비만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규칙적인 심폐지구력 운동이 권장되었다. 이에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중 체육 교과의 내용 체계에 따라 심폐지구력 운동에 효과적인 트레드밀 운동을 중재활동으로 선택했고, 참여자의 동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를 통한 시청각 자료를 학생들 스스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단일대상연구방법 중 ABAB 반전 설계를 적용했으며, 참여 학생들의 운동 수행율, 시청각 자료 집중율, 운동량을 측정해서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트레드밀 운동 수행율과 운동량은 기초선 구간보다 중재구간에서 크게 증가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반복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운동시간 중 참여자들의 시청각 자료 집중율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체육수업과 관련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utilizing smart device based on ASSURE instructional model on the cardiovascular exercis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3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 special school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of learner analysis based on ASSURE model showed they had no problem in ability and sense for exercise, but they all had obesity and recommended regular cardiovascular exercises. Therefore, to motivate the students to the exercise, the authors had chosen treadmill exercise and audio-visual media through smart device, and let them choose their activities in physical exercise class. Experiment data(performance rate, concentration rate, and amount of exercise) were gathered and analysed through ABAB reversal design in single cas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First, during the intervention, the performance rate and amount of exercise of all students were greatly improved compared with that in baseline session. The result were also repeated. Second, concentration rate of the students on audio-visual media was resulted to very high level. The authors discussed the results and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better physical exercise in special school.

      • KCI등재

        한국형 교우기대감 척도 개발 연구

        남경욱 ( Kyoung Uck Nam ),신현기 ( Hyun Ki Shi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1

        이 연구는 학교에서 친구를 사귈 때 중요시 여기는 심리적 속성들을 측정하는 한국형 교우기대감 척도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탐색을 통한 예비범주와 세부문항들을 확보하였다. 그런 후 초3, 초6, 중3 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교우기대감 진술문 2,679개를 수집하였다. 이 진술문들은 2단계 코딩과정을 포함한 일련의 문항제작 과정들을 거친 후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본 조사용 예비척도로 사용하였다. 본 조사용 예비척도를 사용해 1,027명의 일반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요인 21문항의 한국형 교우기대감 척도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척도에 대해서는 문항내적합치도, 각 문항 삭제 시 문항내적합치도, 문항변별도 자료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척도는 우리나라 일반아동의 교우관계에 관련된 심리적 속성을 측정한다는 학술적, 실제적 가치와 더불어 통합환경에서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수립 시 방향성 제공과 함께 사회적 통합을 평가하는 지표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끝으로, 기존척도들과 본 척도의 비교, 척도 제작과 활용 관련한 논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Korean Friendship Expectation Scale. The students participated for this scale development are 3rd, 6th students in primary school and 3rd students in middle school. Fo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was first done to develop preliminary categories and their items. Then, through open survey from 325 students, 2,679 statements were collected. These data were the main source for scale development. After 2 stage coding procedures and content validity test preliminary scale(64items) was developed. From 1,027 students, main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employ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final scale. Finally the Korean Friendship Expectation Scale consisted of 3 factors and 21 items was developed. The authors provided information about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This scale can be utilized for friendship related investigation of general students and has implication for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chool environment(for example, a part of evaluation index for social inclusion). Finally, the authors provided some discuss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통합학급 내 일반학생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Friendship Expectation) 연구

        남경욱 ( Kyoung Uck Nam ),신현기 ( Hyun Ki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통학학급 내 일반학생들이 지적장애학생을 친구로 사귈 때 중요시하는 심리적 속성의 수준과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학급에 통합된 지적장애학생을 잘 수용하는 학생들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 간에는 그러한 속성들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5개 초, 중학교의 일반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교우기대감 측정도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은 일반학생에 대한 그것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일반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의 발달적 경향은 선행연구와는 반대로 나타났다. 또한, 평정대상에 따라 중요시하는 교우기대감의 영역이 서로 달랐다. 셋째, 일반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은 하위영역 일부에서 성과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은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넷째, 지적장애학생을 잘 수용하는 학생들의 지적장애학생 대상 교우기대감 점수는 그렇지 못한 학생들의 것에 비해 친밀성 영역을 더 중요시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ose of students who accept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ll and those of the students who does not. For this purpose, the author collected data from 277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nine classrooms wh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clude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the level of friendship expectation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towar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towar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econd, friendship expectation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towar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similar to those of past research in gender level influence, but was opposed to the past foreign research in grade level influence. Third, there was no gender and grade level influence on the total score of friendship expectation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towar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ut was gender or grade level influence on each sub areas. However, there was no gender and grade level influence on the total and each area score of friendship expectation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towar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th, Comparing the friendship expectation score of the students who accept pe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ll with that of those who does not, there was no difference towar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ut the students who accept pe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ll considered intimacy area significantly more important towar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the authors provided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남경욱 ( Kyoung Uck Nam ),오순영 ( Soon Young Oh ),신현기 ( Hyun Ki Shi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본 중재의 효과검증을 위해 수집한 자료를 문제해결 단계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기능적인 기술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중재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대상 학생들의 평소 물건 구매하기 수행에 대한 사전 관찰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수행수준에 적절한 물건 구매하기 과제분석을 실시했으며, 분석된 일련의 과제들은 Polya의 문제해결단계를 참조해서 준비, 실행, 점검의 세 단계로 나누어 중재와 분석에 활용했다. 과제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과제 수행시 사용할 자기점검표를 구성했으며, 기초선 측정 후 교실과 지역사회의 슈퍼마켓과 편의점에서 자기점검법 중재를 주 3~4회 실시했다. 이때 각 학생의 서로 다른 미흡한 하위기술들에 대해서는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였다. 연구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했으며, 자료는 과제분석표 상의 물건 구매하기 하위기술들에 대한 평균 수행률을 측정해서 그래프로 제시했고, 본 연구와 관련된 신뢰도 및 타당도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은 대상학생들의 물건 구매하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 효과는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었으며, 일반화 측정 2주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물건 구매하기 수행률을 과제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학생에 따라 물건 구매하기 과제의 서로 다른 단계에서 과제수행의 어려움과 향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training with individualized supports on purchasing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o analyse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stages of problem solving. For this purpose, three mal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classes who had not been taught about explicit purchasing skill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In order to figure out how the participants purchase goods, pre-observation was implemented. After analyzing the task of their purchasing behaviors, the study developed the stages of purchasing goods for the students. The stages consisted of three subordinated stages; preparation, implementation, and review. Based on these stages, self-monitoring strategy was employed and analyzed.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the study measured changes in the rate of purchasing skill performance and checked whether the effects thereof were generalized in other places and wer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monitoring training with individualized support had positively affected the participants` purchasing performances. Second, the reason and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varied through the analysis of problem solving stag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implications.

      • KCI등재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 수행 실태,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최은원 ( Choi Eun Won ),남경욱 ( Nam Kyoung Uck ),신현기 ( Shin Hyun K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3

        본 연구는 중등 특수학급에서 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 수행 실태와 그에 따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서울·경기 지역 특수학급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연구문제와 관련된 3개의 주제와 11개의 범주 및 하위 코드가 도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태측면에서, 중등 특수학급 교사는 발달장애 학생 평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관찰을 바탕으로 한 대안적 평가를 주로 실시하였으며, 평가 과정에서 학생 수행에 대한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학생평가 결과는 교사의 교수방법을 점검하고, 다른 교과 수업과 연계되도록 하였으며, 학생의 IEP에 반영하였다. 대부분 특수학급에서 발달장애 학생의 교육평가가 개별 학생의 IEP 작성과 운영을 중심으로 실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 교육평가를 위한 협력은 발달장애 학생의 통합학급 평가를 위한 지원과 일반학급 교사, 관리자, 학부모와의 평가서 공유, 학생의 학교생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교사는 학생의 진보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다음 성취목표 설정의 기반이 된다는 점을 발달장애 학생의 교육평가에서 긍정적인 면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교사의 주관적, 재량적 평가라는 인식과 함께 교사의 평가관련 역량부족, IEP와의 효율적 연계의 어려움, 교수-학습을 위한 협력에 대한 인식과 수준이 각각 다르다는 점 등을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수행에서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 수행과 그에 따른 인식을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우선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자로서 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교육평가에 대한 인식이 교수를 위한 평가, 학생 성장을 위한 평가라는 인식으로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동시에 교사의 학생 교육평가 역량 강화를 위해 학부 양성과정에서부터 교육평가이론 및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적합한 교육 평가 방법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현장 교사를 위한 현직 연수 그리고 교실 평가 수행을 실질적으로 지원 할 수 있는 협력적 평가체계의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s and their perceptions on educational assessments for student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o provide improvement considerations. In this research, 8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transcrib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3 themes and 11 sub-themes are deri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have been conducting alternative assessments based on observation for data sources about student`s learning progress and providing feedbacks to their students. Second,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utilized the results of assessments to plan and to modify their instructional methods and align each subject with integrated students`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s. Mostly, processes of academic assessment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focused on IEP. They collaborated with families and other colleagues in the form of support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assessment programs and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results of assessment and student`s performance in class. Third, educational assessment can be helpful to teacher in identifying student`s achievement and developing their individualized goal and objects. On the other hand,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have negative percep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because it depends on teacher`s belief and competence. And, they have difficulty in integrating student`s IEPs and collaboration with families and other colleagues.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al assessment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that a new understanding is necessary regarding percep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And it is essential to enha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o develop collaborative system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 KCI등재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바우처를 활용한 치료지원 운영에 관한 조사연구

        최연호 ( Yeon Ho Choi ),한경근 ( Kyoung Gun Han ),남경욱 ( Kyoung Uck Na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바우처를 활용한 치료지원을 실시함에 있어서 치료지원 영역 결정 과정과 그 결과 활용 및 개선방안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의견을 조사,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정신지체 특수학교 10곳에 근무하는 40명의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지원 영역 결정 과정과 관련하여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주체는 부모이며, 학생의 장애특성, 치료기관까지의 이동거리 및 위치, 이동방법이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지원과 관련된 협의회는 년 1회 미만이 많았으며, 주로 서면이나 알림장을 이용했다. 학생에게 적합한 치료지원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현재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로는 관련전문가가 한자리에 참석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지원 결과 활용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은 치료지원 제공 기록지를 수령하고 있지만 기록지의 내용이 빈약해서 교육활동에 반영하기에는 충분치 않다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치료지원 운영 개선과 관련해서 치료지원 인력과의 의사소통 기회 확보, 부모의 치료지원 인력에 대한 상세한 치료지원 결과 요구, 치료지원 전담 코디네이터의 필요성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치료지원 개선방안을 제시했으며, 이는 치료지원 관련 정책을 수정·보완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es and opinions about voucher based therapeutic supports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For this purpose, 40 teachers who work in 10 special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d its main results were the following:First, in connection with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voucher based therapeutic support area, the most influential person was the parents of students, and influential factors were disability type, moving distance to service institution, the location of the institution, and moving method. Opinions of the teachers about meetings for therapeutic support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sed. Second, in connection with the results of voucher based therapeutic support, it is revealed that the teachers take the therapeutic support records from the institutions well, but their contents were not specific enough to use them for educational purposes in school. Third, for improvement of therapeutic support system, communication with therapists,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the needs of therapeutic support coordinator, etc. were explored. For better operations of the voucher based therapeutic supports, the authors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