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남가영(Nam, Ga-yeong) 형태론 2009 형태론 Vol.11 No.2

        ‘문법지식의 응용화’는 문법지식이 학습자의 언어생활 안에서 생산적이고 전략적인 힘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문법지식을 재기술하는 관점과 관련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르적’ 접근을 택하여 신문텍스트 안에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고찰하였다. 이는 ‘-(다)는 것이다’가 신문텍스트를 신문텍스트답게 만드는 주요한 언어형태 중 하나라는 점에 주목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이러한 언어형태의 의미기능을 밝히게 되면 해당 언어형태를 선택함으로써 필자가 어떠한 의도를 구현하고자 했는지 설명, 해석할 수 있으리라는 관점이 깔려 있다. 신문텍스트는 그 안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중첩되어 있는 텍스트라는 점에서, 이러한 ‘주관성’ 투영 장치들이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텍스트이다. 탐색 결과, ‘-(다)는 것이다’는 선행하는 문장에 대한 화자의 해석과 논평을 제시하는 일종의 ‘환언’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앞뒤 문장을 응집성 있게 연계하는 장치로서 기능하며, 특히 ‘-다는 것이다’는 그것에 응축된 인용표지 때문에 이러한 해석적 환언을 객관적으로 보이게 하는 미묘한 효과가 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The Application of Grammar Knowledge’ is meaningful in that grammar knowledge is redescribed so that learners can use it productively and strategically. This study, based on this perspective, takes ‘the genre approach’, and investigates the functions of ‘-(ta)nun kesita’ in newspaper texts. This form is one of the linguistic expressions which make newspaper texts as ‘newspaper-like texts’. Therefore, we can expect that if its functions are uncovered, we can interpret and explain writers' intentions, namely ‘subjectivity’ reflected in the choice of that form. The form ‘-(ta)nun kesita’ plays a role to add interpretative commentaries to its preceding sentence by putting it into other words. It thus serves as a coherence device that links the meanings of those two sentences closely. Especially, the form ‘-(ta)nun kesita’ contains the form ‘-tanun (the condensed form of ‘-tako hanun’ functioning as a citation device)’ in it, and hence it reveals more of a less involved and impersonal mood than the form ‘-nun kesita’

      • KCI등재

        통합형 문법 평가문항의 양상과 설계 방향

        남가영(Nam, Ga-yeong)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5 No.-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표방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을 앞두고, 문법 역량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을 설계,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역대 국가수준의 문법 평가문항(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국어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국어)영역)을 대상으로 하되, 통합형 문법 평가문항의 속성을 지닌 문항을 선정하여, 그 구체적인 유형과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5가지 유형의 통합형 평가문항을 확인하고 그 구체적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첫째, 텍스트 고쳐 쓰기나 접속표현에 주목한 텍스트 읽기를 넘어선 다양한 과제 맥락을 발굴하고, 둘째, 의미기능에 주목한 문법 재기술을 통해 문법 문항의 방향을 전환하고, 셋째, 언어지문과 연계된 문법과 읽기 평가를 통합을 시도하는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통합형 문법평가 문항의 두 가지 설계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purposed for examining various types of integrated grammar test items for assessing grammar competence appropriately. For this purpose, 122 integrated grammar test items of 1994~2017 KSAT Language(Korean) and 2009~2017 NAEP Korean(middle/high school) have been analysed. As a result, five types of integrated grammar items have been verified and also, some significant factors and issues about integrated grammar test items are verified as follows. Firstly, various tasks which grammar knowledge could be applied should be developed beyond rewriting tasks. Second, grammar test item considering grammar as meaning-creating repertoire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Third, with using materials(its contents is related to language), reading test and grammar test should be integrated. Based on these results, significant two directions for designing integrated grammar test items has been suggested. The one is focused into perspective which considering ‘grammar as meaning-creating repertoire’, the other is focused into ‘grammar exploring experience’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방향 -‘국어 교재 연구 및 지도법’ 강의의 실행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남가영 ( Nam Ga-yeong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3 No.-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의 수업 실행 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핵심 교과인 ‘국어 교재 연구 및 지도법’의 실행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예비 국어교사 수업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의 설계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원에서 개설된 ‘국어 교재 연구 및 지도법’ 강좌의 강의계획서를 50부 수집 분석하는 동시에 해당 강좌의 교수 경험이 있는 교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행 양상을 서면 인터뷰하였다. 그리고 이들 자료를 토대로 5명의 교수자 대상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추가 실시하여 예비 국어교사 수업 전문성 교육에 관한 교수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어 교재 연구 및 지도법’ 강의 실행은 크게 1) ‘국어 교재의 분석 및 재구성’ 강조형, 2) ‘국어 교수법 이해 및 적용’ 강조형, 3) ‘국어 수업 실행 및 비평’ 강조형, 4) ‘국어 교육과정-교재-수업의 연속성’ 강조형으로 유목화 되었으며 그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첫째, 국어 수업이 국어 교육과정의 상세화 산물이라는 유기적ㆍ거시적 관점을 체득하고, 둘째, 국어 수업에서 활용되는 국어 자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추고, 셋째, 수업 실행 과정에서 국어 교재와 학습자간의 거리를 좁혀 나갈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개발 방향을 ‘체계화’, ‘모듈화’, ‘과제화’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exploring implements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TMMK)’ in Universities, then to sugges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Korean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firstly, total 50 syllabuses of TMMK were collected and analysed, secondly, 20 instructors of TMMK were interviewed about TMML implements via e-mail, thirdly, focus group interview(FIG)(5 instructors) was implemented, then their narratives about pre-service Korean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were explored. As a results, 4 types of TMMK implements were presented; 1) ‘analysing and reconstructing teaching materials’ - focused type 2) ‘understanding and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 focused type, 3) ‘practicing and reviewing lessons’ - focused type, 4) ‘practicing curriculum-materials-lesson in sequence’ - focused typ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Korean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should be ‘systematized’, ‘module-based’, and ‘task(problem)-based’.

      • KCI등재

        학습자 오개념 형성 요인으로서의 교과서

        남가영(Nam, Ga-yeong)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이 연구는 교과서에서 두드러지는 오개념 형성 요인을 밝히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단어형성법’ 관련 내용을 다루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단어형성법과 관련하여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학습자의 오개념을 확인함으로써, 이러한 오개념을 형성하는 교과서 요인을 분석하는 데 참고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단어형성법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주로 가지고 있는 오개념이 일부 확인되었고, 교과서에서는 다루는 지식의 폭과 깊이, 지식 설명 방식, 언어 자료의 선택, 지식 구성 방식 등의 제 국면에서 이러한 학습자 오개념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purposed for examining main factors in Grammar textbook leading to learners" misconception. For this purpose, all the middle school textbooks published in 2007, 2009 National Standard Curriculum(totally 29 sets of textbooks), especially units of "word formation" are mainly analysed. Also, 10 middle school Korean teachers are interviewed for verifying learners" misconception on knowledge about "word formation". As a result, some main factors are verified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depth and scope of knowledge in textbooks learners could have misconceptions. Secondly, how to explain knowledge also influence on learners" misconceptions. Lastly, language sources(example sentences etc.) and unit designs could lead to learners" misconception otherwise it were carefully regarded. Therefore, when designing textbooks, i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not to lead learners" misconceptions. For making it possible, abroad survey on learners" misconceptions should preferentially be accomplished.

      • KCI우수등재

        미국 공통핵심기준(CCSS)의 ‘언어(Language)’ 영역의 내용 체계 분석

        남가영(Nam, Ga-yeong),김호정(Kim, Ho-jung),박재현(Park, Jae-hyun),김은성(Kim, Eun-sung)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5

        이 연구는 우리의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해당하는 미국의 교육과정인 공통핵심기준(CCSS: Common Core State Standards)의 영어 교과(ELA: English Language arts)의 하위 영역인 ‘언어(Language)’ 영역의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것이다. 그간 ‘언어’ 영역은 우리의 ‘문법’ 영역에 대응되어 언급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세밀하게 분석된 적은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짜는 근본적 틀이 내용 체계임에 주목하여, 해외의 주요 사례이면서도 우리와는 다소 다른 선택과 집중을 시도한 미국 CCSS의 내용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국어 문법교육의 교육과정 적정성 문제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내용 체계의 하위 범주 설정 양상, 내용 요소의 선정과 배열, 언어 기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그 결과 CCSS의 ELA 내 ‘언어’ 영역이 문식성의 기초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세부 내용 요소가 말하기와 쓰기 등과 직결되는 것들로 위계화되었으며, 그 근본적인 설계 논리 면에서 학문과 직무로 대별되는 성인기 문식성의 도달점으로부터 연역적으로 체계와 내용이 갖추어짐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상황에 견주어서 특히 유의미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CSS의 ‘언어’ 영역은 문식성 신장에 필요한 지식 기반으로서, 언어 사용의 정확성과 적절성과 함께 어휘의 전략적 사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둘째, 언어 영역은 쓰기, 읽기 등의 타 영역과 상호 참조점이 명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문식성의 통합 모형이 구체적으로 실현된 증거이기도 하다. 셋째, 내용 요소의 선정과 위계화의 명세성과 유기성이 매우 높아서, 단계별 교육 내용 요소의 선정 및 조직에 좋은 참조가 된다. 넷째, CCSS에서 전략적인 어휘 사용을 강조하는 맥락의 특수성을 유의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framework of the ‘Language’ domain, a sub-domain of the ‘English Language arts(ELA)’ of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a corresponding U.S. curriculum in our ‘Korean’ curriculum. Until now, the ‘language’ domain has been mentioned as corresponding to our ‘grammar’ domain, but it has not actually been analyzed in detail. Compared to the ‘Grammar’ domain of the ‘Korean’, the overall direction and detailed organization the ‘language’ of the ‘ELA’ are quite different. We expect these differences to provide a very good reference point for strengthening the adequacy of the grammar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fundamental framework for compiling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the content system, so we intensively analyzed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content system. The analysis was conducted around the subcategory setting aspects of the content scheme,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content elemen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language skill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language’ domain in the ELA of CCSS was the basis of literacy, and that the details were elaborated into closely related language skills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In addition, the fundamental design logic of this content system began with establishing a point of reach for adult literacy, which is distinguished by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Anchor Standards, and from this key element, the framework and contents of the system were revealed deductively. The main points of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of CCSS is a knowledge base necessary to develop literacy, and focuses on the strategic use of vocabulary along with the accuracy and appropriateness of language use. Second, cross-reference points with other domains such as writing and reading are specified in the ‘Language’ domain, which is also evidence that the integrated model of literacy has been concretely realized. Third, the specificity and organicity of the selection and hierarchy of content elements is very high, so it is a good reference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for each stage. Fourt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pecificity of the context that emphasizes the strategic use of vocabulary in CCSS.

      • KCI등재

        "귀국 학생을 위한 국어교육 정책", 현상과 방향

        남가영 ( Ga-yeong Nam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귀국 학생을 위한 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연구는 정책 연구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에 대한 구조적, 맥락적, 본질적 이해를 위해 정책의 맥락과 역사에 주목하는 신제도주의적 접근에 입각해 귀국 학생 국어교육 정책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귀국 학생 교육 정책을 통시적으로 살피고 세부 정책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귀국 학생 교육 정책의 구조를 도출하고, 귀국 학생 교육 정책의 구체적 맥락을 살펴서, 교육기회 균등에서 교육 격차 해소의 방향으로의 정책 목표 이동, 학업 부적응자에서 다문화교육 정책대상으로의 편입, 적응중심 교육 정책에 발달중심 교육 정책의 부가라는 세 가지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귀국 학생을 위한 국어교육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책문제와 관련하여 국어교육이 기여할 수 있는 좌표를 명확히 하고 정책의 속성상 유의미하고 효과적인 정책으로 입안, 시행될 수 있는지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국어 능력 부진으로 인한 교과학습 부진문제, 문화의 차이에 따른 문화 충격 및 정체성 혼란, 그 결과로서의 학교 부적응 문제, 교육과정 차이에 따른 교과학습 문제와 관련하여 국어교육 정책의 수립 문제를 검토한바, 명시적인 국어교육 정책의 형태로 입안, 추진 가능한 부분과, 정책 입안 과정에서 타 교과와 협력이 필요한 부분, 그리고 정책화되지는 못하나 연구 기반으로서 기여할 부분과 실천을 통해 기여할 부분 등을 나누어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purposed for analyz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es for returnee students based on neo-instituitional theory. First, it is diachronically examined education polices and their detailed contents for returnee students, then drawn the structure of education polices for returnee students. Second, it is explored specific contexts of education polices for returnee students as follows: toward relief of education differential,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toward adjustment-oriented education with a little developmental tre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es for returnee students, first of all, it would be clearly examined the point which coul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ribute for it. It is because that Korean language capacity of returnee students should be systematically surveyed and studied.

      • KCI등재

        국어과 교재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예비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 예비 국어교사들의 교재 평가기준 적용 양상 분석을 토대로 -

        남가영 ( Nam Ga-yeong ),김호정 ( Kim Ho-jung ),김은성 ( Kim Eun-sung ),박재현 ( Park Jae-hyu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국어교육 Vol.0 No.154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ing competence for Korean textbook evaluation in pre-service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mock textbook selection test to th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ttending College of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losely examined how they understand measurement scale and how they apply them.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elucidates three important things for pre-service education. : 1) clear knowledges on textbook selection, especially regarding to meaning of evaluation factor and evaluation attribute, that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2) an outline of textbook selection strategies that should be learned with its specific situation, 3) pre-service education process that should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with curriculum reorganization.

      • KCI등재

        국어 정책 통계 자료의 체계화 방안 연구

        박재현(Park, Jae-hyun),남가영(Nam, Ga-yeong),이관희(Lee, Kwan-hee),김은성(Kim, Eun-sung)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8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ai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policy statistics as a new type of Korean language data and suggest systematic methods of its collection and arrangement. Korean language policy statistics is a kind of Korean language data that, considering its contents, has a inter-connected features with Korean language policy and, considering its structure, has a quantitative and measured features. For the well-organized and scientific planning and execution of Krean language policy, Korean language policy statistics need to be subtlely established. The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policy statistics focusing on Korean Language Policy Statistics Survey (2011-2013) and proposes ways to develop the system at each level of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application.

      • KCI우수등재

        고등학교〈문법〉‘이야기’ 단원의 내용 구성 연구

        김은성(Kim Eun-Seong),남가영(Nam Ga-Yeong),박재현(Park Jae-Hyeon),김호정(Kim Ho-Jeong)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 No.151

        Grammar textbook is the most concrete material, where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that have long been discussed on theoretical level are realized. Especially the grammar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government endorsement, should be regarded as having the most standard contents of the time in its character. In this view, grammar textbook is not considered as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but as the one has the results of the systematization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In the present study, every part related to story in the textbook from the 4th to 7th grammar textbook endorsed by government has been analyzed. All the content structures are systematized on the basis of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grammar textbooks, centering on the core grammatical terms. This systematized structure is the knowledge structure represented in the grammar textbook related 'stories'. In order to understand all the content structure, every content structures of each curriculum period is schematized with mind-mapping methods, the aspects of the transition of the whole content structures related 'stories', then detailed content factors were analyzed. As results, insufficiency of the refinement and structuralization of its contents, the problem of low validity of loose contents related to 'story' are revealed as issues to be dealt with.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disjoints the story parts, and instead of it, emphasizes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and the text. Finally this study propose the content structuring scheme with a way of multi-level description of below sentence un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