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초기 천신 신앙과 산악 숭배

        나희라(Na, Hee-La)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2

        대부분의 고대인들과 마찬가지로 신라인들도 하늘과 산에 대해 특별한 종교적 감정을 가졌었다. 신라인들은 지상의 모든 것을 덮고 있는 하늘이 인간 사회를 움직이는 보편적이며 진정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여겼다. 또 지상으로부터 우뚝 솟아 하늘에 맞닿는 산은 일정 지역을 하늘과 연결시켜준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신라를 구성한 여러 집단들은 자신들의 시조가 하늘에서 산을 통해 내려왔다고 설명하였다. 보편적이며 추상적인 하늘에 비해 산은 개별적이며 구체적이다. 신라인들에게도 천신은 지고하며 보편적이며 추상적으로 인식되었다. 초기 신라사회에서 산신은 일정 지역의 수호자로서 지역집단과 연결되어 있었다. 여러 집단으로 구성된 왕국을 하나로 통합하고 지배해야 했던 왕실은 자신들과 천신이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중앙집권화가 진행되면서 왕경 주변의 주요 산(또는 산신)들은 3개의 ‘山’과 5개의 ‘嶽’으로 묶였다. 그럼으로써 지역집단의 독자성을 상징하던 산신은 왕실을 수호하는 역할에 머무르게 되었다. 신라인들에게 천신 신앙과 산악 숭배는 중요한 종교문화의 요소이었다. 또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초기 신라사회에서 사회 통합과 지배 체제의 정비를 위한 정치적 이념으로 작용하였다. Silla’s people had special religious feelings of the sky and the mountain like most of ancient people. They considered that the sky, covering all of the ground, has the universal and real power to move human society and the mountain, rising to a great height, connect the earth to the sky. So various groups formed early Silla society explained that their founders came down from the mountains in the sky. The sky is universal and abstract. In comparison, the mountain is individual and specific. Silla’s people also thought that the sky god is great and universal and abstract. In early Silla society, mountain gods was connected to the regional group as guardians of the region. The royal family argued that they were connected to the sky god to unify and govern the kingdom consisted of several groups. As the centralization went along, major mountains surrounding the royal capital were arranged into three ‘mountains(山)’ and five ‘large mountains(嶽)’. In doing so, mountain spirits who had symbolized the serpent of the regional groups were to stay in the role of a royal patron. The belief on the sky god and the mountain worship was important element of religious culture in Silla’s people, thereby acting as a political ideology for social integration and organization of governance system.

      • KCI등재

        射琴匣說話와 新羅의 王權儀禮

        나희라(Na, Hee-la)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신라시대에 시간적 기원을 두고 있는 ‘射琴匣’說話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삼국유사』의 사금갑설화는 왕의 목숨과 관련한 모종의 사건이 정월 여러 날에 삼가고 謹愼하다가 보름날에 쌀로 밥을 지어 까마귀를 제사하는 습속의 유래가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까마귀와 쥐, 돼지, 물속에서 나온 노인등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구성하는 그 모종의 사건은 합리적으로 이해하여 재구성하기가 무척 힘들다. 그리고 그 사건이 왜 정월의 근신과 밥을 지어 까마귀를 제사하는 습속과 연관이 되는지도 이해하기 힘들다. 그런데 『삼국유사』와는 또 다른 조선시대의 사금갑설화 전승에 의하면 왕의 목숨과 관련된 사건에서 까마귀의 역할이 강조되고 그로 인해 근신하고 까마귀에게 밥을 먹이는 정월 습속이 생겼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정월의 근신과 ‘까마귀밥 먹이기’ 습속은 新年에 행해졌던 생명력의 갱신과 풍요를 기원하는 종교적 의례의 전통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민간의 종교의례 전통을 바탕으로 해서 신라 왕실에서도 해마다 始祖王의 제사를 통해 왕의 생명력을 갱신하고 그럼으로써 국토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여 왕권의 정당성과 안정성을 종교신앙적으로 보장받으려는 여러 의례들을 거행하였다. 이러한 흔적이 『삼국유사』 사금갑설화에 나오는 까마귀와 쥐, 돼지의 싸움에 관한 이야기와 물속에서 나온 노인이 왕의 생명을 구해준다는 이야기가 합해져서 복잡한 구성을 가지는 설화로 전승되게 되었던 것이라 여겨진다. This study is to make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tale, ‘Shoot the Geomungo (a Korean musical instrument that is six-stringed) Case’, originated from the Silla dynasty. The tale written in 『Samgukyusa(Overlooked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deals with an assassination of a King, which has reportedly led to the custom of trying to behave themselves during New Year holidays and sacrificing rice to crows on January 15. Realisticall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tory made up of a crow, a rat, a pig and an old man who lives in the water, by extension, to understand why the above-mentioned custom has been originated from the story. Meanwhile, in the 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row took a more important role in connection with the King’s life ; the custom of trying to behave themselves and feeding crows has been passed down from it. The custom is presumed to be based on the religious rite to pray for the renewal and prosperity of life. Such a rite had been conducted even in the royal family during the Silla dynasty. They sacrificed to their founder every year and prayed for kings’ longevity, national peace and prosperity and stable and powerful royal authority. By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 the story about the crow, the rat and the fight among the pig might be mixed with the story about an old man who appeared from the water and saved the king. In result, such stories were supposed to be passed down and to give rise to the complex tale.

      • KCI등재

        문헌자료를 통해 본 고려시대의 추석

        나희라(Na, Hee-La) 고려사학회 2021 한국사학보 Vol.- No.84

        세시풍속은 한 사회의 문화전통이 어떻게 형성되고 전승되어 왔는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문제이다. 한국의 전통 세시풍속 중 추석은 신라시대 이래 꾸준히 전승되어 현재까지도 주요 명절로 지켜지고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고려시대 추석 관련 기록들을 검토하여 고려시대의 추석이 이전 시대와 이후 시대의 추석을 어떻게 잇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신라시대 추석 명칭인 ‘가배’가 고려에서도 계속해서 사용된 만큼 고려시대의 추석에서 이전 시대의 추석 의례와 놀이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도 보름날은 선조의 영혼과 소통할 수 있는 특별한 날로 생각되어 추석에 많은 사람들이 조상을 제사하고 무덤을 찾아 참배하였다. 또 특별한 시간인 보름을 기념하기 위해 사람들이 모여 잔치를 벌이고 서로 선물을 주고받았다. 한편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 편싸움과 성행위 요소를 포함하는 고대 이래의 보름 행사의 흔적을 고려시대 추석 행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주술적 편싸움과 성행위 놀이 요소는 근대 민속의 보름 행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고려시대의 추석은 고대 이래의 보름에 대한 인식과 그것을 기념하는 행위의 전통을 간직하고 이를 후대로 계승하는 위치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Seasonal customs are an important issue in understanding how a society’s cultural traditions have been formed and transmitted. Among the traditional Korean seasonal customs, Chuseok has been steadily observed since the Silla period and is still a significant holiday.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records related to the Chuseok of the Goryeo Dynasty. We examined how Chuseok of the Goryeo Dynasty connected the Chuseok of the previous and subsequent eras. As "Gabae(가배)", the name of Chuseok in the Silla period, was used continuously in Goryeo, traces of Chuseok rituals and plays of the previous era were found in Chuseok of the Goryeo period. Even in the Goryeo Dynasty, a full moon day was considered a special day to communicate with the spirits of ancestors, and many people sacrificed their ancestors and visited the tombs on Chuseok. In addition, to commemorate the particular time of the 15th day, people gathered together to hold a party and exchange gifts. On the other hand, traces of an entire moon event since ancient times, including magical fights and sex factors to pray for prosperity, can be found at the Chuseok event of the Goryeo Dynasty. These mimic fights and sexual play elements are common in modern folklore events.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the Chuseok of the Goryeo Dynasty was in a position to preserve the tradit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full moon since ancient times and the act of commemorating it and to inherit it to the subsequent eras.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 패수에서의 의례와 신화

        나희라(Na, Hee La)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8

        『수서』 고려전에 의하면 매년 초에 고구려에서는 왕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패수가에 모여 여러 가지 의례를 행하였다고 한다. 즉 이전 세계와 질서가 소멸하고 새로운 세계가 재탄생해야할 새로운 해의 시작에 왕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참석하는 패수의례를 거행한 것이다. 이 의례에서는 여러 가지 놀이가 행해지고 왕의 의복을 매개로 물과 접촉하며 또 모인 사람들이 양 편으로 나뉘어 싸움을 하는 등의 의례가 행해졌다. 이들 의례는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일정한 의미체계를 이루는 의례의 요소들이었다. 새로운 시간이 시작되는 때, 즉 재창조되어 생명력으로 충만된 세계를 다시 시작해야할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회의 안녕을 책임져야 할 왕의 생명력의 갱신이었다. 이를 위해 거행되었던 의례가 왕의 영혼을 대신하는 의복을 가지고 물과 접촉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부정을 씻어 버리고 신화에서 말한 물의 신성한 힘과 접촉하여 생명력을 갱신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하여 왕은 새로운 시간이 시작되는 새로운 세계를 통치할 힘을 획득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를 공동체적인 것으로 확대한 것이 편싸움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세계를 구성하는 상대되는 두 요소의 대립을 양 편으로 나누어 표현하고 그들의 싸움과 한 편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생명력을 갱신하고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여 풍요를 얻을 수 있다는 바람을 표현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고구려 패수의례는 새로운 시간의 세계가 시작하는 때에 왕의 생명력의 갱신으로부터 시작하여 공동체 전체가 새로운 힘을 획득함으로써 사회의 질서와 안녕을 보장받는다는 의미의 왕권의례이자 공공의례였다고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과 행위는 건국신화 속에서 해모수와 하백의 싸움 결과 시조왕이 탄생하고, 시조왕의 편과 부여군의 싸움의 결과 국가의 창립이 있고, 시조왕과 그 적과의 싸움을 통해 건국의 정당성을 알린다는 이야기로 표현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신화 속의 이야기를 물가에서의 공공의례에서 상징적으로 재현하는 것은 왕의 생명력을 갱신시킨다는 주술 종교적 의미 뿐 아니라 역사적 경험의 집단적 기억을 반복하여 재현함으로써 건국의 위대함과 그 정당성을 상기시키는 것이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biography of Goguryeo in 『Suseo(隋書)』, the Goguryeo people, including the king, celebrated several rites at Paesu(浿水) side at the beginning of every year. In this festival, the king contacted with water by the medium of the clothes and the congregator, dividing into both sides, did mimic battle. These rites was not the individual elements but the integrant elements that continued the whole ritual. When new times began, it was the most important that the vitality of the king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welfare was renewed. The king contacted with water by his clothes. This was the rite that purified from the impurity and got the sacred power of water. So the king obtained the power to govern the new world in new time. The expansion of these meaning was doing the mimic battle. Many people were divided into two opposing group and did battle. They thought that they got the vitality of their community renewed and the new order restored by doing this battle and driving out the bad. Therefore the festival at the Paesu was the ritual for royal authority and the public ritual. This ritual was reflected in their myth on the foundation of a state, such as mythical birth of the founder after the battle between the sun-god and the water-god and foundation of a state after the battle between the founder side and Buyeo army. Goguryeo people reenacted the events of their foundation myth in the public festival at the river. It not only renewed the vitality of the king and the community but also reminded the people of the greatness and legitimacy of foundation of the state.

      • KCI등재후보

        新羅의 卽位儀禮

        나희라(Na Hee-La) 한국사연구회 2002 한국사연구 Vol.116 No.-

        There were two kinds of ceremonies in enthronement in Silla dynasty. The first ceremony was performed when the preceding king died, therefore the new king got sovereign power of king. The second ceremony was performed after the first ceremony. Performing the second ceremony, the new king got justness of king s authority, sacredness derived from the origin of kingship. The former is an secularized enthronement ceremony in which the new king get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ower. The latter is a religious enthronement ceremony which assures king's power. We don't know well how the first ceremony was performed. But it is obvious that a ceremony in which the new king succeeded to the throne was performed soon after the preceding king's death. At this ceremony, the new king received regalia. And then, the new king appointed new officials, promulgated amnesty and tax cut, and gave the people official ranks. As state systems were improved, this ceremony was improved. and it was influenced by ceremonies of China. An enthronement ceremony was concluded with performing the rite in 'Sijomyo'(the shrine for the founder of a dynasty) or 'Sin-gung'(the divine palace). This rite assured the people of the new king s conduct of state affairs in the religious aspect. In theses rites, a state-founding myth was reproduced. The new king was covered with the thing symbolized a red egg descended from heaven, and he took off it, and then he was reborn as sacred king. An enthronement ceremony in Silla dynasty was a kind of passage rite. In social respect, the ceremony meant recovering king's power and social system which were collapsed by the preceding kina's death. As for a new king himself, the ceremony meant that he took off his secular state, then gained sacredness, then was reborn as a genuine sovereign. In enthronement ceremony in Silla dynasty, the new king got married to a woman who was a symbol of fertility. This performance reflected an ancient idea. Ancient man believed that a new king's enthronement and sacred marriage had relation with establishment of the new state order and the securing of fertility. We can interpret that enthronement ceremony in Silla dynasty is not only agricultural bur also ancestral. Because these ceremonies are just alike in representing an idea of death and rebirth.

      • KCI등재

        연구논문 :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사람들의 이상적 인간상

        나희라 ( Hee La Na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5 No.-

        묘지명은 개별 인간을 다룬 기록문학으로서 개인의 일생을 재구성하고 그의 행적을 평가하는 글이다. 여기에 당대인의 인간에 대한 가치관이 개입되게 되므로, 고려의 묘지명에는 고려시대 사람들이 생각했던 이상적인 인간의 품성이나 행위에 대한 평가기준이 나타나있다. 고려시대 묘지명에서는 흔히 높은 지위와 명성을 얻고 장수하며 자손들과 함께 부귀영화를 누리는 삶이 가치 있는 삶이라고 표현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세속적 삶의 가치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무나 가능한 것은 아니고 좋은 인간으로서의 도덕적 품성과 생활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여 지배계층으로서 자신들이 획득해야 할 것에 대한 계층적 불평등성을 합리화하였다. 남녀를 불문하고 좋은 인간으로서의 품성과 태도는 흔히 ‘겸손, 검소, 공손, 정직, 인자, 총명, 부지런함, 조용, 단정’과 같은 덕목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貴하나 겸손하고 富하나 검소한 품성과 태도가 강조되었다. 한편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엄격히 구분하여 남성과 여성의 덕목을 차별하여 각기 그 품성과 행적을 평가하였다. 남성은 집안일에 관여하지 않는 태도를, 여성은 가정 내에서의 역할에 충실한 태도를 칭송하였다. 묘지명은 사람의 일생 동안의 행적을 정리하고 그의 품성과 행위를 칭송하기 위해 지어진 글이다. 그리고 묘지명은 남겨진 사람들의 위신을 높이기 위해 읽혀지고 이를 통해 평판을 형성하는 매체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묘지명은 개인의 창조적인 창작물이기보다는 지배층들 사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어떤 모범적인 사고를 표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묘지명에서 칭송한 이상적인 인간의 품성과 가치있는 행위는 고려 지배층들에게 학습되고 전승됨으로써 그들의 공식적이며 이상적인 인간상을 구성해나갈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중국으로부터 주자성리학을 수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문인학자들이 주로 그 작성에 참여했던 14세기 후반의 묘지명에는 지위나 부귀와 같은 외적 가치보다 개인의 학문이나 행동거지를 중시하는 표현들이 많이 나온다. 개인의 생활태도에서 엄숙하고 단정함을 칭찬하며 侍墓를 효행의 중요한 판단 근거로 제시하였다. 주자성리학을 어떻게 인간 삶의 구체적인 부분에 적용시킬 것인가, 주자성리학의 입장에서 인간의 품성과 행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찬자들의 입장이 묘지명에 은연중에 드러난 것이다. Epitaph is the documentary literature in that individual life is reconstructed and evaluated. Reconstruction and evaluating of individual life is based on the values of the ideal human of the time. So in epitaphs of Goryeo dynasty, we can see Goryeo people`s valuation basis of the ideal personality and behavior. The writers of epitaphs of Goryeo expressed their thoughts that the valuable life was to get a high status, live a long life and in splendor and have many descendants. By the way they emphasized a person who wanted to get them had to have the moral personality and behavior. In this way they as the ruling class rationalized social inequality. Regardless of sex, they said that the ideal personality and behavior was ‘modesty, frugality, politeness, honesty, benevolent, intelligent, diligence, quiet attitude and neatness’. Especially they emphasized person in wealth and honor should have the attitude of modesty and frugality. And they strictly distinguished between social roles of men and women, evaluated the personality and behvior of men and women differently. They praised the men unconcerned in household affair and the women devoted to household. Epitaphs of Goryeo dynasty was not only the writings for praising the personality and behavior of man or woman but also the media for forming a good reputation by being read. Therefore epitaphs of Goryeo was the production in that Goryeo`s ruling circles expressed their model thought recognized formally. They praised the ideal personality and valuable behavior in their epitaphs, and learned and passed down them. So they had constructed the formal and ideal human character.

      • KCI등재

        고대 한국의 점복(占卜) 시행과 그 의미

        나희라 ( Na Hee La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6 No.-

        고대 한국의 많은 점복 관련 자료를 분석해보았을 때, 고대 한국인들은 非常한 일이 생겼을 때와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에 주로 점복을 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상한 일이 생겼을 때행한 점복은 그러한 현상의 원인을 설명하고 해결책을 얻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비상한 일의 발생은 平常을 깨뜨림으로써 불안을 자아내므로 비상한 일이 일어난 원인을 알아서 해결책을 찾아 다시 평상을 되돌려야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것은 미래에 대한 불안을 동반하므로 미래의 길흉을 따지고 나쁜 것을 방지하여 새로운 시작에 대한 확신을 가지기 위해 점복을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도 미래에 대한 불안을 해결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중요했던 것 같다. 비상한 일이 발생한 원인과 해결책을 찾으려는 점복도 결국은 비상이 가져올 지도 모를 미래의 위험을 해소하려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고대 한국인이 점복을 했던 궁극적인 이유는 미래를 예측하여 생존의 불안함을 달랠 수 있는 정보를 얻으려는 것이었다. The ancient Korean people practiced divination when they were confronted by extraordinariness and had to have new beginnings. On divination of extraordinariness, they tried to explain the reason why such extraordinary things happened and get the solution. Because the occurrence of extraordinary things causes anxiety by breaking the ordinary situation, they sought to find out the cause and a solution of the extraordinary events and to restore ordinariness again. Beginning a new job was accompanied by anxiety about the future, so they needed to practiced divination in order to have a sense of the future and to prevent the bad and have confidence in the new beginning. However, under any circumstances, it seems ultimately important to solve the anxiety about the future. The divination for trying to find the cause and solution when an extraordinariness happened was to end the future risks that may arise from such extraordinariness. In the end, the practicing divination was to try to get information that could predict the fu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mythna@gntech.ac.kr)

      • KCI등재

        서술성모와 고대 한국의 여신 관념

        나희라(Na, Hee-La) 역사문화학회 202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4 No.2

        이 글은 송에서 들어온 선도산 여선 이야기가 신라의 시조모 이야기로 자리잡게 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신화의 해석과 변개를 설명하고, 그것을 가능케 한 선사시대 이래의 여신 관념을 특히 신라와 관련한 자료를 통해 정리해본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사론에 선도산 여선 이야기가 소개되자, 선도산 여선은 선도성모 혹은 서술성모라는 신라의 시조모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선도산은 서쪽 방위에 위치한 서악이라는 점에서 신라시대 경주의 서악인 서술산에 비정되었다. 또 그 여선은 시조의 탄생 이야기 가운데 닭과 흰색의 요소에 대한 음양오행설적 해석을 통해 시조모의 위치를 획득하였다. 이렇게 해서 『삼국유사』에서 선도성모는 서술산의 산신이자 신라의 시조모로 기술되었는데, 그녀는 위대한 창조력으로 시조를 낳아 나라를 있게 하고 보호하였으며 동물을 부리며 직조를 하는 신성함을 보여 준 존재로 묘사되었다. 이러한 여신에 대한 관념은 고대 한반도 일대의 원초적인 ‘위대한 여신’ 관념의 흔적이다. 원초적 여신 관념은 역사시대 이후 신화적 관념이 부정되면서 점차 희석되고 왜곡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인간 정신의 기저에 뿌리를 내리고 오늘날까지도 계속해서 살아 움직이고 있다. This article explains how the story of a female immortal in Mt. Seondo, which came from Song[宋], became the story of the first king and queen’s mother of Silla[新羅] and summarizes the goddess concept that made it possible. When the story of the goddess of Mt. Seondo was introduced in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ingdoms[Samguk sagi 三國史記], Mt. Seondo was judged as Mt. Seosul, a western mountain of Gyeongju in the Silla period, in that it was located in the western direction. The goddess acquired the position of the founder’s divine mother through symbolic interpretation of the chicken and white colour in the myth of the birth of the founder. In this way,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Samguk yusa 三國遺事], the mother goddess of Mt. Seondo[仙桃聖母] was described as the goddess of Mt. Seosul and of the founder’s divine mother and a being who gave birth to the founder with her great creativity, established and protected the country, and shows the sacredness of dealing with animals and weaving. This notion of a goddess is a trace of the original idea of a ‘great goddess’ around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The notion of the founder’s divine mother based on the original conception of the goddess continued to be handed down during the Goryeo Dynasty, but the goddess idea was gradually diluted and distorted in th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mythological idea was more strongly denied. Nevertheless, the idea of the goddess took root in the human mind and continues to live on to this da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