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측 족관절에 발생한 만성 재발성 비골건 탈구의 수술적 치료: 증례 보고

        나화엽,송우석,이주영,Na, Hwa-Yeop,Song, Woo-Suk,Lee, Joo-You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4 No.4

        A peroneal dislocation is a rare disease that is often misdiagnosed as a simple sprain and can be treated inadequately in the acute phase.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have an appropriate diagnosis in the early stages because it can progress to chronic and recurrent conditions. Surgical treatment is considered mainly when progressing to chronic recurrent dislocation. Recently, patients with an acute peroneal dislocation tend to prefer surgical treatment, so accurate ini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chronic recurrent peroneal tendon dislocation in both ankle joints, which was treated by a superior peroneal retinaculum reconstruction and a groove deepening procedure.

      •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과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

        나화엽,조국희,정유훈,Na, Hwa-Yeop,Cho, Kook-Hee,Jung, Yu-Hu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 및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에서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수술한 족관절 골절 환자 108명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과 대조군 89명으로 나누어, Lauge-Hansen 분류, 수상 시 힘의 양,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방사선학적 지표를 비교하였다. 두 군의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25개월 및 23개월이었다. 전체 환자 중 수술 시 부하 검사에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 8명과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11명의 최종 추시 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 중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만 발견된 환자가 14명이었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에 비해 회내-외회전에 의한 손상, 고 에너지 손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대한 방사선학적 지표에 해당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와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모두 최종 추시 상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회내-외회전, 고 에너지 손상, 방사선학적 지표 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해당하는 족관절 골절 환자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유무를 알기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경우 골편을 직접 고정하는 것이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puterized tomography (CT) for the diagnosis and the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in ankle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108 patients with an ankle fracture who had been checked with plain radiographs and CT from July 2006 to July 2010.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19 patients) and without (89 patients) an avulsion fracture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with Lauge-Hansen classification, the energy of trauma, and the radiologic indices for syndesmotic injury, and were compared each other. Average follow up periods of two groups were 25 and 23 months each. Those who were unstable at stress test during surgery were divided into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group (8 patients) and transfixation one (11 patients)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t last follow up were also compared. Results: Fourteen avulsion fractures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were diagnosed by CT only. Incidences of pronation-external rotation injury, high energy trauma, positive radiologic indices for syndesmotic injur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n avulsion fracture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than those without it.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satisfactory in both groups at last follow up,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Conclusion: In patients who have an ankle fracture by pronation-external rotation injury, high energy trauma, or with positive radiologic indices for syndesmotic injury, CT is useful for diagnosis of an avulsion fracture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is a useful treatment option for syndesmotic injury.

      • 경추에서 발생한 골연골종 - 1예 보고 -

        나화엽,이영상,최준철,최준원,김우성,송우석,노현민,Na, Hwa-Yeop,Lee, Young-Sang,Choi, Joon-Cheol,Choi, Jun-Won,Kim, Woo-Sung,Song, Woo-Suk,Noh, Hyoun-M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1

        골연골종은 골종양중 가장 흔한 양성 골졸양으로, 양성 골종양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나, 척추에서의 병변은 적어 2%에 지나지 않아, 경추 제5, 6번간 극돌기에 발생한 골연골종 1예를 en bloc을 통한 절제 생검을 시행하고, 그 발생 부위의 희귀성에 비추어 보고하는 바이다. Osteochondroma is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in bone, consist of 40%, but, rare in spine area occupying only 2%. We report a case of osteochondroma that was in the 5th and 6th spinous process of cervical spine. We performed en bloc excisional biopsy of the bony mass. And the patient is doing well without evidence of local recurrence at 1 year after surgery. Further follow-up is necessary to observe local recurrence.

      • KCI등재

        요추부 화농성 척추염의 수술적 치료: 이환된 추체에 척추경 나사 고정이 타당한가?

        나화엽(Hwa-Yeop Na),정유훈(Yu-Hun Jung),이주영(Joo-Young Lee),김형도(Hyung-D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5

        목적: 화농성 요추부 추체 감염의 수술적 치료 시 이환된 추체에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는 수술법은 균막의 형성 및 감염 치료 실패의 위험성으로 기피되었다. 저자들은 이환된 추체에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 분절수를 최소화하면서도 감염 치료에 성공하였는바, 이를 분석하여 해당 술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본원 척추센터에서 제1저자에 의해 수술적으로 치료한 화농성 요추부 척추 감염환자 중, 이환된 추체에 직접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여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군을 그룹 A, 이환된 추체 척추경의 골파괴 소견으로 인접 정상 추체에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여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군을 그룹B로 분류하여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후방 접근법으로 수술하였으며, 이환된 추간판을 제거하고 부골화된 추체의 소파술 및 추체 간 자가 지주골 이식술후 척추경 나사 고정술을 시행한 48예(그룹A 28예, 그룹B 20예)를 대상으로 두 그룹 간의 입원 기간, 수술 시간, 출혈량 및 수술 후 1개월째 EQ-5D 지수, 주사 항생제 투여 기간, 혈액학적 결과, 임상적 결과, 방사선학적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A에서 고정 분절 수, 수술 시간, 출혈량 및 술 후 1개월째 EQ-5D 지수에서 그룹 B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항생제 사용 기간, 입원 기간, 방사선학적 골유합의 시기, 시상각의 교정률 및 재발률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후방 도달법을 통한 이환된 추체에 직접 척추경 나사를 삽입하는 최소 분절 고정술은 수술 시간 및 출혈량이 줄어들고, 고정분절을 최소화하여 요추부의 운동성을 보전하면서도, 감염의 확산이나 재발 없이 빠른 회복을 보였기에, 요추부 화농성 척추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 시 권장할 만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screw insertion at the affected vertebra has been avoided because of biofilm formation, and the risk of infection recurrence. The authors analyzed the success rate of infection treatment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instrumented segments by inserting pedicle screws into the affected vertebra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usefulness of this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June 2018, among patients with pyogenic lumbar spondylodiscitis treated surgically, group A consisted of patients with pedicle screws inserted directly at the affected vertebrae (28 cases), and group B underwent fusion by inserting screws at the adjacent normal vertebrae due to bone destruction of the affected vertebral pedicle (20 cases). The classified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were treated via the posterior-only approach, so the affected disc and sequestrum were removed. Posterior interbody fusion was performed with an autogenous strut bone graft, and the segments were then stabilized with pedicle screw systems. The hospitalization period, operation time, amount of blood loss, EQ-5D index, duration of intravenous antibiotics, a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In group A, the number of instrumented segments, operation time, blood loss, and EQ-5D index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group B.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antibiotic use, hospitalization, radiological bone union time, sagittal angle correction rate, and recurrence rate. Conclusion: Minimal segmental fixation, in which pedicle screws were inserted directly into the affected vertebrae through the posterior approach, reduced the surgery time and blood loss, preserved the lumbar motion by minimizing fixed segments and showed rapid recovery without spreading or recurrence of infection. Therefore, this procedure recommended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lumbar pyogenic spondyodiscitis.

      • KCI등재
      • KCI등재

        신경학적 증상에 동반되는 음경 발기 증상을 보이는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 환자

        나화엽(Hwa-Yeop Na),송우석(Woo-Suk Song),김형도(Hyung D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관 주위 구조물의 퇴행성 변화에 의하여 척추관의 기계적 압박, 허혈, 화학적 자극을 유발하여 신경인성 파행, 요천추부 동통, 하지 방사통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열거한 주된 증상 외에도 압박의 정도, 압박되는 위치에 따라 근력 악화, 감각의 변화, 배뇨 곤란 등의 증상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음경 발기 증상은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32예가 보고된 매우 드문 사례로, 국내에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저자들은 요천추부 동통 및 하지 방사통 증상과 동반되어 음경 발기 증상이 나타나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후방 감압술을 시행하여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Lumbar spinal stenosis is a disease that leads to neurological symptoms such as neurogenic claudication, lumbosacral pain, and lower extremity radiating pain and is caused by mechanical compression, ischemia, and chemical stimulation of the spinal canal due to degenerative changes in the structures around the spinal canal. In addition to the main symptoms listed above, additional symptoms, such as motor weakness, sensory changes, and difficult urination, may occur. Approximately 32 cases of penile erection accompanied by symptoms of spinal canal stenosi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so far, and none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is paper reports the case of a patient with spinal canal stenosis who had an erection accompanied by symptoms of lumbosacral pain and lower extremity radiating pain, which was treated by posterior decompression.

      • KCI등재
      • 배측 분쇄가 있는 원위부 요골 관절내 골절의 3가지 수술적 치료 결과 비교: 외고정 기구 단독, 외고정 기구와 동종골이식 및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

        최준철,나화엽,이영상,김우성,오경수,송우석,김세준,Choi, Joon-Cheol,Na, Hwa-Yeop,Lee, Young-Sang,Kim, Woo-Sung,Oh, Kyung-Soo,Song, Woo-Suk,Kim, Se-Ju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8 No.2

        목적: 배측 분쇄가 있는 원위부 요골 골절에서 세가지 수술법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9년 5월 사이의 60세 이상의 배측 분쇄가 있는 원위부 요골 골절이 있으면서 불안정성을 보인 환자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1년 후까지의 방사선학적 추시관찰을 통하여 골절 정복의 유지 여부 및 Mayo Wrist Score를 통한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하여 연관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세군 모두에서 수술 직후에는 만족스러운 정복을 얻을 수 있었으나, 추시 소견상 외고정장치 단독으로 고정시에는 외고 정장치에 동종골 이식을 추가한 군 및 수장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정복 소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Mayo Wrist Score는 세군 모두에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배측 분쇄가 심한 원위부 요골의 관절내 골절에서 외고정 장치만 사용한 치료시에는 해면골 결손으로 인한 정복유지의 어려움이 있어 불충분한 치료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ree different surgical approaches in treating a distal radius fracture with dorsal communi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6 to May, 2009, 49 patients over age of 60years old with unstable dorsal communition distal radius fracture were analyzed. We compared maintainability of reduction by radiological follow-up observations and clinical outcomes using Mayo wrist scores. One-Way ANOVA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methods. Results: All three approaches provided satisfactory post-op reduction results. However, follow-up observations showed significant loss of reduction in the external fixation only group compared to the added bone graft group and the volar anatomical locking plate group (P<0.05). Mayo wrist score was in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Conclusion: Treatment of a distal radius fracture with severe dorsal communition using an external fixation only appears to be insufficient in maintaining reduction of a cancellous bone defect.

      • KCI등재

        중족근 관절 탈구: 1예 보고

        최준원,최준철,나화엽,심동준,김영호,이상호,조형욱,Choi, Jun-Weon,Choi, Joon-Choil,Na, Hwa-Yeop,Shim, Dong-Joon,Kim, Young-Ho,Lee, Sang-Ho,Cho, Hyoung-Woo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5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9 No.1

        The midtarsal joint which consists of the talonavicular and calcaneocuboid joints lies transversely across the medial and lateral arches of the foot. Complete dislocation of this joint unassociated with fracture is extremely rare. A 36 year-old male who was injured by motor vehicle accident came to help for his left midfoot pain and deformity. We misdiagnosed as subtalar dislocation. Closed reduction was performed. We reviewed initial and post-reduction X-rays, and then we diagnosed as Chopart's dislocation. CT scan was taken; it showed fracture of the anterior process of the calcaneous.

      • KCI등재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의 후방 감압술에서 후방 인대의 보존 여부와 술 후 척추 불안정성과의 연관성: 포트홀(Port-Hole) 감압술과 후궁 아전절제술 간 비교 연구

        정유훈(Yu-Hun Jung),나화엽(Hwa-Yeop Na),최세헌(Saehun Choe),김진(Jin Kim),이준하(Joon-Ha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1

        목적: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에서의 후방 감압술 시 극간인대 및 극상인대의 보존이 술 후 척추 불안정성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밝히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에서 후방 감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관찰한 83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자들을 수술의 종류에 따라 포트홀 감압술을 시행한 56명의 환자는 그룹 A로, 후궁 아전절제술을 시행한 27명의 환자는 그룹 B로 분류하였다.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요통과 방사통에 대한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ue scale, VAS), 신경성 간헐적 파행(neurogenic intermittent claudication, NIC) 전 보행거리가 수술 전후로 측정되었다. 영상의학적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술 전 및 수술 후 매 6개월마다 직립상태에서 측면 및 굴곡-신전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해 전위 정도(slip percentage), 역동적 전위 정도(dynamic slip percentage), 각변위(angular displacement), 역동적 각변위(dynamic angular displacement)를 측정하였다. 결과: ODI (그룹 A에서 28.1에서 12.8로 호전; 그룹 B에서 27.3에서 12.3으로 호전), 요통에 대한 VAS (그룹 A에서 7.0에서 2.6로 호전; 그룹 B에서 7.7에서 3.2로 호전), 방사통에 대한 VAS (그룹 A에서 8.5에서 2.8로 호전; 그룹 B에서 8.7에서 2.9로 호전), 그리고 NIC 전 보행 거리(그룹 A에서 118.4 m에서 1,496.2 m로 증가; 그룹 B에서 127.6 m에서 1,481.6 m로 증가)는 두 그룹 모두에서 호전되었다. 다른 영상의학적 결과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역동적 각변위는 술 후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그룹 A에서 6.2°에서 6.7°로 증가; 그룹 B에서 6.5°에서 8.4°로 증가; p-value=0.019). 결론: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에서의 후방 감압술시 극간인대 및 극상인대를 포함한 후방 인대의 제거는 술 후 역동적 각변위의 증가를 초래하며 후방 인대를 보존하는 포트홀(port-hole) 감압술을 통해 이를 예방할 수 있다. Purpose: To determine if sparing the interspinous and supraspinous ligaments during posterior decompression for lumbar spinal stenosis is significant in preventing postoperative spinal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3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for lumbar spinal stenosis between March 2014 and March 2017 with a minimum one-year follow-up period,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surgery. Fifty-six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by the port-hole technique were grouped as A, while 27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by a subtotal laminectomy grouped as B.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both back pain (VAS-B) and radiating pain (VAS-R), and the walking distance of neurogenic intermittent claudication (NIC) were checked pre- and postoperatively, while simple radiographs of the lateral and flexion-extension view in the standing position were taken preoperatively and then every six months after to measure anteroposterior slippage (slip percentage), the difference in anteroposterior slippage between flexion and extension (dynamic slip percentage), angular displacement, and the difference in angular displacement between flexion and extension (dynamic angular displacement)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results. Results: The ODI (from 28.1 to 12.8 in group A, from 27.3 to 12.3 in group B), VAS-B (from 7.0 to 2.6 in group A, from 7.7 to 3.2 in group B), VAS-R (from 8.5 to 2.8 in group A, from 8.7 to 2.9 in group B), and walking distance of NIC (from 118.4 m to 1,496.2 m in group A, from 127.6 m to 1,481.6 m in group B) were improved i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while the other radiologic results showed no differences, the dynamic angular displacement between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ostoperatively (group A from 6.2º to 6.7º, group B from 6.5º to 8.4º, p-value=0.019). Conclusion: Removal of the posterior ligaments, including the interspinous and supraspinous ligaments, during posterior decompression of lumbar spinal stenosis can cause a postoperative increase in dynamic angular displacement, which can be prevented by the port-hole technique, which spares these posterior liga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