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초의 사상적 전개와 정훈의 시조

        나정순(Na Jung-Soon) 한국시조학회 2007 시조학논총 Vol.27 No.-

        정훈의 시가 문학은 조선 전기 사대부의 시가 문학과는 다른 특징적인 변모를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는 원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이 작품 해석에 치중함으로써 정훈의 직품 세계를 온전히 드러내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정훈의 시조 20수 중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월곡답가〉10수에 대한 해석은 그의 문학 세계 파악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 필자는 ‘월곡’이란 인물이 정훈과 동시대를 살았던 임란 의병장 월곡 우배선이었을 것이라는 사실을 유추하였고 그와 관련하여 〈월곡답가〉의 작품 성격을 규명하였다. 정훈의 〈월곡답가〉는 16세기 말 17세기 초의 시대 현실에 맞서 싸우고 백성들을 생각하며 충의지사로서 치열하게 살았던 당대 의병장 우배선의 삶의 궤적을 그리면서 그와 동질화되고자 하였던 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나머지 시조 작품들에서도 대부분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충의의 구현이나 인간 윤리의 기본적 도덕성에 대한 이념적 구현을 확인할 수 있다. 정훈의 작품 세계는 궁극적으로 16세기 말 17세기 초의 사상적 배경 하에서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호남 유학의 사상적 계보에 주목하여 남원의 재지사족으로서 예학의 중심에 있었던 최상중을 통하여 그의 아들 최온과 친분관계에 있었던 정훈의 사상적 기반을 추적해 봄으로써 17세기 초 예학의 실천적 전개를 구현하고자 하였던 정훈의 면모를 살펴 볼 수 있었다. 당대 예학의 실천성을 형상화하고자 하였던 정훈의 시조는 전대의 사대부 시조에서 나타났던 강호가도의 구현이나 도학적 자연관의 형상화와는 달리, 시대가 요구하는 실천적 이념의 제시라는 이질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이행기 시조사의 전개에서 주목된다. 이상에서 볼 때 재지사족의 신분적 성격과 정훈의 문학 세계를 결부하여 온 지금까지의 연구는 당대의 사상적 배경을 연관하여 논의할 때 좀 더 심도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higa(시가) literary world of Jung Hoon is noteworthy because of its distinction from the shiga literature of early Chosun dynasty's the nobilitys. However, preceding studies were aimed at the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text without precise understanding, failing to reveal Jung Hoon's literary world as a whole. The interpretation of 〈Wallgokdapga(월곡답가)〉's ten pieces, composing of more than half of his works, is the key to understand his literary world. Myself inferred that the character 'wallgok(월곡)' in 〈Wallgokdapga(월곡답가)〉 is Jung Hoon's contemporary actual person wallgok(월곡) Woo Bae Sun(우배선), and in relation to above inference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Wallgokdapga(월곡답가)〉. Jung Hoon's 〈Wallgokdapga(월곡답가)〉 depicts the life of and expresses his desire to identify with those days a commander of loyal troops Woo Bae Sun(우배선). The majority of Jung Hoon's other shijo ideologically embody fundamental morality of human ethics or fidelity based on the critical recognition of political scene. Jung Hoon's literary world thus arose from the ideology of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y. Noticing the ideological genealogy of the Honam district Confucianism. I tracked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Jung Hoon through Choi Sang Joong, the father of Jung Hoon's friend Choi On, who was at the center of the study regarding a custom as a noble family of Namwon. In this process, Jung Hoon's effort to realize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early 17th century's the study regarding a custom was confirmed. Jung Hoon's shijo in contrast to the embodiment of nature artistry or of the ethics view of nature, are distinctive because of its presentation of practical ideology demanded by the era. Thus Jung Hoon's shijo are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transference time's shijo. From the above observations studies so far which linked the social status of living a noble family to Jung Hoon's literary world will attain more profound result if the studies ar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 ideological foundations.

      • KCI등재

        『시용향악보』 소재 <성황반> <나례가>의 무불 습합적 성격과 연원

        나정순 ( Jung Soon N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7 No.-

        고려시대의 노래는 다양한 작품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적인 사랑이나 서정을노래하는 경우도 있지만 무속적인 성향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다.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이른바 무가계열의 노래는 지금까지 무가로 해석되거나 혹은 연희악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주술적 기능을 지닌 무가의 성격과 연희적인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한 근거는 <성황반>과 <나례가>를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성황반>이나 <나례가>는 제목에서 드러나듯 인상적으로 접근하면 무속적인 경향의 작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당대의 문화적 전통을 고려하여 작품을 분석해보면 고려시대의 불교가 작품의 기반에 내재해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성황반>이란 작품은 ‘불교의 사천왕신앙’, ‘성황에 대한 제의’, ‘나례 의식의 황금사목’이라는 세 가지 의미 층위가 복합적으로 반영된 것이다. <나례가>는 나례를묘사하고 있어 불교적인 성격과 무관한 듯 보인다. 하지만 나례 의식에서 처용과 관련한 춤이나 노래를 추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불교와의 관련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성황반>이나 <나례가>는 무속과 불교가 습합된 노래로 보아야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입장이다. 또한 <성황반>이나 <나례가>에는 나례의식의 두 가지 축이었던 주술적 기능과연행성도 그대로 남아 있다. 짧은 노래 가운데 호국의 염원을 담은 나례의식의 전통이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은 문학사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Songs of Goryeo age are composed of various genres. There are romantic and lyric songs while some are shamanistic. Songs in 『Siyonghyangakbo』 have been interpreted as shamanistic or theatrical songs. However, this paper reveals that they are both shamanistic and theatrical, as proven by <Sunghwangban> and <Nalaega>. Impressionistic approaches lead to their shamanistic nature as revealed by their titles. However, considering the cultural tradition of their era, Buddhism of Goryeo age is inherent in them. <Sunghwangban> complexly reflects the worship of the Four Devas, rites for Sunghwang, and the Four Golden Eyes of Nalae ceremony. <Nalaega> portrays Nalae, which seems to be unrelated to Buddhism. But its relationship to Buddhism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songs and dances about Cheoyong were performed in Nalae ceremony. Thus, <Sunghwangban> and <Nalaega> should be perceived as eclectic songs that are both shamanistic and Buddhistic. Therefore, the current consensus of academia that the Buddhist tradition was severed in the royal palace of early Goryeo age should be reconsidered. Furthermore, the two main pillars of Nalae ceremony, magical function and dramatism, remain in <Sunghwangban> and <Nalaega>. The fact that these short songs reflect the patriotic spirit of Nalae ceremony is noteworth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시용향악보』 소재 <내당>·<삼성대왕>의 불교적 성격과 연원

        나정순 ( Na Jung Soo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0 No.-

        이 연구는 『시용향악보』 소재 이른바 무가 계열의 작품이 불교문화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내당(內堂)>과 <삼성대왕(三城大王)>의 불교적 성격과 연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불교’와 관련되어 있다고 하거나 ‘불교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근거는 역사적 사실이나 불경에서 교학적으로 입증 가능한 상관성을 찾을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내당>의 노랫말은 음사(淫辭)로 규정되기도 했으나 문맥의 유기성을 고려해 볼때 고려부터 조선까지 이어지던 ‘내불당(內佛堂)’의 전통을 반영하고 있으며 미륵신앙을 숭앙했던 면모를 드러낸다. 또한 <삼성대왕>은 ‘대국’, ‘삼성’이란 제의와 연계하여 볼 때 고려 충렬왕조 ‘삼성(三聖)’신앙과 연관되어 있고 호국 불교경전을 토대로 한 ‘액막이’의 모습을 드러낸다. 두 작품은 모두 무속적인 것이 아니라 고려시대 부터 이어지던 불교문화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시용향악보』 소재 작품이 무속적이라고 규정되어 온 것은 고려를 거쳐 조선으로 이어졌던 불교적 제의성을 상세히 점검하지 않은 데에서 기인한 것이다. 『시용향악보』 소재 이른바 무가(巫歌) 계열의 시가는 국가적인 제의인 ‘여제(?祭)’ 등과 관련된 것으로 선초(鮮初) 이후의 여제나 수륙재(水陸齋)는 모두 고려의 불교문화를 근간으로 한 것이었다. 선초 이후에도 유교가 해결할 수 없었던 궁중벽사의 기능은 여전히 불교 쪽에서 담당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나아가 <삼성대왕>에 등장하는 ‘삼성(三城)’과 전승되고 있는 삼성(三聖)신앙의 관계를 정리함으로써 단군을 중심으로 한 삼성신앙이나 불교 사찰에서의 삼성신앙등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종교문화의 전통과 민속신앙을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Since the shamanistic works of Siyonghyangakbo are related to the Buddhist cult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nd its origin in <Naedang(內堂)>and <Samsungdaewang(三城大王)>. The relation to Buddhism or Buddhist characteristics mentioned in this paper ar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or provable correlations specified in Buddhist scriptures. The lyrics of <Naedang> was considered indecent, but it reflects the tradition of ‘Naebuldang(內佛堂)’, continued from Goryeo to Joseon, and the worship of Maitreya. Moreover, <Samsungdaewang>, in relation to the memorial ceremony for ‘Daekuk’ and ‘Samsung’, is associated with ‘Samsung(三聖)’religion in the dynasty of the Chungryeol King(忠烈王) of Goryeo and takes the form of ‘exorcise evil spirits’ based on patriotic Buddhism. Both works are not purely shamanistic, but rather related to the Buddhist culture and tradition dating from the Goryeo era. Until now, the works of Siyonghyangakbo have been seen as shamanistic due to the missing consideration of their Buddhist ceremonial nature. The shamanistic poetry of Siyonghyangakbo are related to the national ceremony ‘Yeoje(?祭)’and the like; Yeoje and Sooryukjae(水陸齋) after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ere all based on the Buddhist culture of Goreyo. Even aftrer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could not function as exorcise evil spirits in the Royal Court and Buddhism had to take the responsibility. Furthermore, by orga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삼성(三城)’ in <Samsung - daewang(三城大王)> and the Samsung(三聖) religion, Samsung(三聖) religion based on Dangun and Samsung(三聖) religion in Buddhist temples were comprehended. This will be the groundwork for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s of religious culture and folklore relig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을 통해 본 시조

        나정순(Na Jung-Soon)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4 No.-

        고전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재창조된 작품들은 현대시나 소설, 희곡이나 영화 장르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필자는 ‘고전 시가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에 주목하면서 그렇다면 시조 장르의 경우에는 ‘고전의 재창조’ 양상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궁금하였고 본 논의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관심사에서 출발한다. 이 과정에서 고전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재창조한 시조는 상당수의 분량을 차지하고 있고 지금도 현대시조로 재창조된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920년대 이광수의 시조를 비롯하여 1940년대 조운의 시조는 이 방면에서 선구적인 작품들이다. 이후 현대시조에서 고전을 재창조한 작품들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재창조된 현대시조는 과연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며 그리고 그것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점검해 보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현대시조 창작의 미래를 위한 단서를 제시해 줄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전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변용하는 일련의 작업들은 전통문화를 이어 가며 고전의 당대성과 현대성을 연결시킴으로써 인간의 삶의 문제를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집단의 정서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 있는 과제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이광수나 조운의 시조는 고전의 재창조 작업을 통해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맥을 이어받아 고전의 창조적 실험을 꾀하고 있는 현대시조에 있다. 많은 현대시조들이 시조의 구조적 원리와 형식 미학을 체득하지 못하고 내용의 기법에 치중한 상태에서 창작되고 있기 때문에 고전을 현대적으로 수용한 시조들은 창작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게다가 다시 쓰기의 내용도 원전의 내용을 그대로 담아 시조화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런 점에서 고전을 다시 쓰기 한 현대시조는 현재의 삶과 문화, 시대 현실을 반영하면서 시조의 형식 미학을 함께 겸비할 때 그 영역의 타당성을 확보해 낼 수 있다. Works recreated modernly succeeding classics often appear in novels, plays and movies. Observing 'modern succession and transfiguration of classics', I became curious about 'recreation of classics' in Sijo genre, and in that interest this thesis begins the argument. I identified that many Sijo are recreations of classics, and also classical literature are continually being transformed into modern Sijo, Especially Sijo of Lee Guang-Soo in 1920s and Sijo of Cho Un in 1940s are pioneering works. Thereafter modern Sijo have been continuously recreated from classics. This paper is about what are the meanings of modern Sijo in this category, and how should they advance. Also this argument will indicate how Sijo will be created in the future. Transforming classics into modern works is a valuable task, because it succeeds traditional culture and connects the classics' age to the modern age. For example, the Sijo of Lee Guang-Soo and Cho Un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literature history. The problem lies in modern Sijo that is creatively experimenting with classics succeeding those. Many modern Sip are created attaching too much importance to the technique of contents, not comprehending the structural principles and formal aesthetics of Sijo. Thus, Sijo that adopt classics modernly reveals the limit of creation. Furthermore, recreating Sijo with the original contents untouched has no meaning at all. From this standpoint, modem Sijo recreated from classics can be reasonable only when they reflect the life, culture, and reality of present and comprehend the formal aesthetics of Sijo.

      • KCI등재

        조선 전기 강호 시조의 전개 국면

        나정순(Na Jung-soon)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9 No.-

        본 연구는 조선 전기 강호시조의 흐름을 형성해 온 맹사성 이현보 이황 이이권호문의 작품 세계를 살펴보고, 그간 ‘강호가도’라고 총칭되어 온 작품들의 실체와 개별적 차이점 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강호가도’에 관한 논의는 시조라는 장르가 지니는 일상성과 생활 문화로서의 현실적 반영보다는 성리학적 도(道)의 추구라는 철학적 혹은 성정 미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것이었다. 이러한 해석은 당대 사대부의 현실과 이념을 관념적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다소 낭만성에 근거한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자연 속에서 성리학적 도를 추구해온 것’이라는 관념적 해석이 아니라 당대 사대부가 당면한 현실적 당위의 문제로 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입장이다. 이러한 시각을 제시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었던 ‘강호자연’과 ‘속세’라는 용어 대신 조선 전기 사대부들이 즐겨 사용하였던 ‘조월경운’과 ‘치군택민’이라는 당대의 개념을 바탕으로 시조의 지은이들이 자신의 상황 현실에 따라 어떻게 그것을 작품 속에서 구현했는지 살펴보았다. 강호시조에서 조선 전기 사대부는 ‘조월경운’과 ‘치군택민’의 선택적 갈등 문제로 고민하였던 것이 아니었다. 그들은 이상적인 ‘조월경운’의 세계 속에 거하면서도 ‘치군택민’이라는 의무적 당위를 해야 할 것인가 말아야 할 것인가로 끊임없이 갈등하였다. 사정이 그러하기에 자연 속에 은일하면서도 맹사성은 ‘치군택민’과의 조화를 노래했고 이현보는 ‘치군택민’에서 벗어남을 노래했고 권호문은 ‘치군택민’을 하지 못하는 자신의 번민을 노래했고 퇴계와 율곡은 ‘치군택민’의 또 다른 대안으로서 학문을 노래하였던 것이다. 말하자면 조선 전기 강호시조의 작자들에게 있어 화두는 ‘조월경운’과 ‘치군택민’이었다. ‘조월경운’의 삶 속에서도 그들이 끊임없이 ‘치군택민’에 관해 생각했다는 것은 조선조 유자의 이념적 실천에 관한 실질적 고민의 모습을 보여준다. 자연미의 추구라는 우아한 예술성 뒤에 감추어진 현실적 고민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 바로 강호시조였던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iterary works of Maeng Sa-sung. Lee Hyun-bo, Lee Hyuang, Lee Ee and Kyuen He-moon that formed the series of Gangho sijo of the early Chosun, and explores the ident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so-called 'Ganghogado' works. Previous discussions about' 'Ganghogado'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the pursuit of Confucian Tao, rather than the quotidian aspects of the sijo genre and real-life reflections. Such approaches were based on the romanticism in that they see the reality and ideology of confucianists of the time as philosophical notions. Thus, instead of conceptually interpreting Gangho sijo as the pursuit of cofucian tao in harmony with the nature, this paper views Gangho sijo as the tails about the actual problems the confucianists of the day faced. In this original perspective, in place of the previously studied terms such as 'Nature-a place of seclusion-' and 'The mundane world', this paper probes how the authors present the terms commonly used by the early Chosun's confucianists such as 'Jowalkyongwun' and 'Chiguntaekmin' according to the authors' own situations. Confucianists of the early Chosun were not contemplating about the problem of choice between 'Jowalkyongwun' and 'Chiguntaekmin' in Gangho sijo. They resided in the ideal world of 'Jowalkyongwun,' but continually mulled over whether they should perform the obligatory 'Chiguntaekmin'. Consequently, many authors sang about the similar themes: Maeng Sa-sung about the harmony of 'Chiguntaekmin' and his stay in the countryside; Lee Hyun-bo about escaping from 'Chiguntaskmin'; Kyuen He-moon about his anguish due to failing to carry out Chiguntaekmin' ; Lee Hyuang and Lee Ee about scholarship as the alternate to 'Chiguntaekmin.' In other words, the subject of the early Chosun's Gangho sijo writers were 'Jowalkyongwun' and 'Chiguntaekmin.' The fact that they endlessly pondered on 'Chiguntaekmin' while living lives of Jowalkyongwun' shows the inner conflicts of the Chosun's confucianists about acting according to their ideology. Gangho sijo depicts the real-life agony that lies behind the aesthetic aspect of pursuing the beauty of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