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 및 이화학적 성상

        황보종,홍의철,나승환,유동조,김학규,박미나,정기철,추효준,박희두,서옥석,HwangBo, Jong,Hong, Eui-Chul,Na, Seung-Hwan,Yu, Dong-Jo,Kim, Hak-Kyu,Park, Mi-Na,Jung, Kie-Chul,Choo, Hyo-Jun,Park, Hee-Du,Seo, Ok-Suk 한국가금학회 2009 韓國家禽學會誌 Vol.36 No.4

        산란계의 분뇨 발생량과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1일령 산란계 200수를 선별하여 공시하였으며, 200수 중 10수씩을 선별하여 분뇨의 채취에 이용하였다. 산란계의 일일수당 평균 분뇨 발생량은 $124.7{\pm}27.5\;g$/수/일이었으며, 계분의 수분함량은 $76.7{\pm}1.9%$, 건물 함량은 $29.1{\pm}3.9\;g$/수/일이었다. 산란계 계분(55주령)의 N, $P_2O_5$ 및 $K_2O$는 각각 $1.39{\pm}0.14$, $0.62{\pm}0.11$ 및 $0.68{\pm}0.09%$이었다. 계분뇨의 pH는 $8.19{\pm}0.71$이었으며, $BOD_5$ 농도는 $50,266{\pm}621\;mg/L$로 나타났다. $COD_{mn}$의 경우 $62,832{\pm}803\;mg/L$이었으며, SS는 $121,725{pm}16,165\;mg/L$를 나타냈다. 계분의 중금속 함량 중 Pb은 $0.008{\pm}0.0012\;ppm$으로 규제 농도인 150 ppm보다 크게 낮았고, Cd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며, As는 $0.008{\pm}0.0017\;ppm$으로 검출되었다. Hg은 $0.003{\pm}0.0013\;ppm$이었으나, 규제 농도인 2 ppm에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로 국내 산란계의 평균 분뇨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분뇨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함으로써 유기비료원로서 적절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work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nure excreta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layers. Two hundred 1-d-old ISA Brown layers were used in this work, and ten of 200 layers were selected for measurement of manure excreta with feeding phase. Means of the manure excreta per bird, the moisture content of poultry, and the dried manure were $124.7\;{\pm}\;27.5\;g$/bird/day, $76.9\;{\pm}\;1.9%$, and $29.1\;{\pm}\;3.9\;g$/bird/day, respectively. N, $P_2O_5$, and $K_2O$ of manure (55 weeks) were $1.39\;{\pm}\;0.139$, $0.62\;{\pm}\;0.11$ and $0.68\;{\pm}\;0.09%$, respectively. pH, $BOD_5$, $COD_{Mn}$, and suspended solids (SS) were $8.19\;{\pm}\;0.71$, $50,266\;{\pm}\;621\;mg/L$, $62,832\;{\pm}\;803\;mg/L$, and $121,725\;{\pm}\;16,165\;mg/L$, respectively. Heavy metal contents in the manure were $0.003\;{\pm}\;0.0013\;ppm$ for Hg and $0.008\;{\pm}\;0.0012\;ppm$ for Pb, the latter of which was highly low compared with the standard (150 ppm), but no Cd was detected. The results of this work show the average excretion amount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layer's manure, which is used as an organic fertilizer.

      • KCI등재

        교배 조합 토종닭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 특성

        박미나(Mi-Na Park),홍의철(Eui-Chul Hong),강보석(Bo-Seok Kang),김학규(Hak-Kyu Kim),김재홍(Jae-Hong Kim),나승환(Seung-Hwan Na),채현석(Hyun-Seok Chae),서옥석(Ok-Suk Seo),한재용(Jae-Yong Han),정재홍(Jae-Hong Jeong),황보종(Jong Hwangb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4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계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토종닭(적갈색, 흑색)과 육용계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4계통의 병아리 수컷을 A, B, C, D계통으로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각 계통에서 90수씩 선별하여 12주령까지 준육용계 사료를 이용하여 평사에서 사육하고, 일정 주령(5주, 10주)에 도달하였을 때 각 계통에서 27수씩 선별하여 개체별 생체중을 측정하고, di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도계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도계된 닭들은 부분육(가슴, 다리)의 무게를 측정하고, 비율을 산출한 후 이화학적 성상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계육의 물리적 성상은 5주령에는 모든 항목에서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는 B계통이 명도, 가열 감량 및 보수력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차이가 있었다(P<0.05). 화학적 성상에서는 5주령에 B계통이 다른 계통에 비해 pH, 수분 함량 및 콜라겐 함량이 낮았으며,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았다. 회분 함량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 10주령에는 A계통이 회분과 콜라겐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P<0.05), 그 외 항목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에서, 5주령에서 D계통이 다즙성에서 가장 높았고, 10주령에서 B계통이 연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토종닭의 교배 조합은 계육의 물리적 성상에는 크게 영향이 없지만, 5주령에서 화학적 성상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수분과 지방 함량은 다즙성과 연도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Ninety 1-d male chicks were used in this work and were divided into 4 groups as A: (KNC egg-meat type C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 × KNC meat type H strains (♂), B: (KNC egg-meat type C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 × KNC meat type S strains (♂), C: (KNC native R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 × KNC meat type H strains (♂), D: (KNC native L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 × Ross broiler (♂) strains. They were fed the broiler diets for 12 weeks at the flat house and twenty seven chickens were slaughtered at week 5 and 10. Chicken thigh and breast were weighed and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Physical compositions of meats have no difference among strains at 5 week, and B strains differed from other strains at 10 week (P<0.05). The pH, moisture, and collagen content of meat from B strains were lower than other strains at 5 week. Ash and collagen of A strains were the lowest at 10 week (P<0.05), but others have no difference among strains. In sensory test, juiciness of D strains was the highest at 5 week, and tenderness of B strains was the lowest at 10 week (P<0.05). In conclusion, the crossbreeding of KNC did not affect physical traits but affecte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hicken meat slaughtered at 5 week.

      • KCI등재

        토종 순종계를 이용한 토종닭 생산 및 생산성 연구

        박미나(Mi-Na Park),홍의철(Eui-Chul Hong),강보석(Bo-Seok Kang),김학규(Hak-Kyu Kim),서보영(Bo-Young Seo),추효준(Hyo-Jun Choo),나승환(Seung-Hwan Na),서옥석(Ok-Suk Seo),한재용(Jae-Yong Han),황보종(Jong Hwangb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4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생산성과 도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4개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3원 교잡종 초생추를 이용하였다. 시험 설계는 재래계와 육용계의 교배 조합에 의해 부화된 4계통을 각각 A(CS×H), B(CH×S), C(RS×H), D(LH×B)로 하고 암수를 구분하였으며, 계통과 성별에 따라 각각 10수씩 9반복으로 총 90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한국가금사양표준(2007)에서 제시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준육용계 사료를 육계 초기(CP 20.0%, ME 3,050 ㎉/㎏), 전기(CP 18.0%, ME 3,100 ㎉/㎏) 및 후기 사료(CP 16.0%, ME 3,150 ㎉/㎏)로 나누고, 자체 제작하여 공시하였다. 체중과 섭취량은 매주 측정하였고, 도체율은 각각, 5주령과 10주령에 조사하였다. 체중의 경우, 5주령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5주령 이후부터는 D계통에서 체중이 높게 나타났다(P<0.05).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은 체중과 함께 D계통이 5주령 이후로 가장 높았으며(P<0.05), 전 기간 동안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도 D계통이 다른 계통에 비해 높았고(P<0.05), 사료 요구율도 D계통에서 가장 낮았다.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D계통을 제외한 다른 계통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생체중, 도체중 및 도체율은 5주령에는 계통간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는 D계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런 결과들은 한국토종닭 교잡종의 생산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The current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on performance and carcass ratio. Seven hundred twenty 1-d-old chicks were divided into groups by strain (A, B, C and D) and sex (male and female). Strains were A) (KNC egg-meat type C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B) (KNC egg-meat type C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C) (KNC native R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and D) (KNC native L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 Ross broiler.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of 3 phases such as starter(0~5 weeks; CP 20.0%, ME 3,050 ㎉/㎏), earlier (5~8 weeks; CP 18.0%, ME 3,100 ㎉/㎏) and finisher (8~12 weeks; CP 16.0%, ME 3,150 ㎉/㎏). Body weight (BW) and feed intake (FI) was measured every week and carcass ratio(CR) was calculated at 5 and 10 week after starting experi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BW among strains until 5 weeks (P>0.05), however D strain resulted in a higher BW after 5 weeks (P<0.05). Body weight gain (BWG) and FI in D strain were also significant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strains for all periods. However, D strains showed the lowest (P<0.05) fee conversion ratio (FCR). The other strains except D showed a similar BW, BWG, FI and FCR among strains.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rcass weight (CW) and carcass ratio (CR) among strains at 5 weeks, however D strain showed higher CW and CR at 10 week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basic data that needed to develope the new strains.

      • KCI등재

        옥수수 DDGS의 색상과 Phytase의 첨가가 육계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홍의철,박희두,나승환,김학규,유동조,박미나,정기철,추효준,HwangBo, Jong,Hong, Eui-Chul,Park, Hee-Du,Na, Seung-Hwan,Kim, Hak-Kyu,Yu, Dong-Jo,Park, Mi-Na,Jung, Kie-Chul,Choo, Hyo-Jun 한국가금학회 2009 韓國家禽學會誌 Vol.36 No.4

        본 연구는 옥수수 DDGS의 색상과 phytase 첨가가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 재료는 세가지 색상의 DDGS(DDGS1, DDGS2, DDGS3)를 이용하였으며, 시험계는 유사한 체중의 5주령 Ross종(Ross 308) 육계 수컷 108수(평균 체중 $1.8{\pm}0.2\;kg$)를 공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세 가지 색상의 DDGS와 phytase 첨가 3처리구(0, 500, 1,000 FTU/kg)의 $3{\times}3$ 복합 요인으로 총 9처리구, 처리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 하여 7일 동안 소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DDGS의 색상은 각각 DDGS1이 $L^*=55.2$, $a^*=8.8$, $b^*=41.3$, DDGS2가 $L^*=39.8$, $a^*=7.5$, $b^*=27.1$, DDGS3이 $L^*=28.3$, $a^*=6.1$, $b^*=15.4$로 나타났다. DDGS의 색상에 따른 아미노산 소화율은 어두운 색이 밝은 색보다 모든 아미노산의 소화율이 낮게 나타났다. DDGS의 처리구에 phytase를 첨가하여 급여시에 소화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필수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각각 77.7, 80.0, 81.5, 76.0, 78.4, 80.1, 67.6, 69.6 및 71.0% 이었으며, 비필수 아미노산의 평균 소화율은 각각 73.6, 75.8, 77.3, 73.1, 75.3, 76.8, 67.4, 69.4 및70.7% 이었다. 이번 실험의 결과에서, DDGS 색상이 어두울수록 그리고 phytase 수준이 낮을수록 아미노산 이용률이 낮게 나타났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DDGS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colors and phytase levels on the amino acid digestibility of broilers for 7 days. One hundred eight Ross broilers were used in 9 treatment groups with a $3\;{\times}\;3$ factorial design as three colors of DDGSs (DDGS1, DDGS2, and DDGS3) in combination with phytase (0, 500, and 1,000 FTU/kg). The $L^*$ values of DDGS1, DDGS2, and DDGS3 were 55.2, 39.8, and 28.3; the $a^*$ values, 8.8, 7.5, and 6.1; and the $b^*$ values, 41.3, 27.1, and 15.4, respectively. The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was decreased as DDGS color was dark, and increased as additive phytase level was increased in the diet. Average digestibilitie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67.6~80.0%, and those of nonessential amino acids 67.4~77.3. Amino acid digestibility was low in the dark DDGS with no phytase in the diet.

      • KCI등재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 및 이화학적 성상

        황보종(Jong Hwangbo),홍의철(Eui Chul Hong),나승환(Seung Hwan Na),유동조(Dong Jo Yu),김학규(Hak Kyu Kim),박미나(Mi Na Park),정기철(Kie Chul Jung),추효준(Hyo Jun Choo),박희두(Hee Du Park),서옥석(Ok Suk Se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6 No.4

        산란계의 분뇨 발생량과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1일령 산란계 200수를 선별하여 공시하였으며, 200수 중 10수씩을 선별하여 분뇨의 채취에 이용하였다. 산란계의 일일 수당 평균 분뇨 발생량은 124.7±27.5 g/수/일이었으며, 계분의 수분함량은 76.7±1.9%, 건물 함량은 29.1±3.9 g/수/일이었다. 산란계 계분(55주령)의 N, P₂O? 및 K₂O는 각각 1.39±0.14, 0.62±0.11 및 0.68±0.09%이었다. 계분뇨의 pH는 8.19±0.71이었으며, BOD? 농도는 50,266±621 ㎎/L로 나타났다. COD<SUB>mn</SUB>의 경우 62,832±803 ㎎/L이었으며, SS는 121,725±16,165 ㎎/L를 나타냈다. 계분의 중금속 함량 중 Pb은 0.008±0.0012 ppm으로 규제 농도인 150 ppm보다 크게 낮았고, Cd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며, As는 0.008±0.0017 ppm으로 검출되었다. Hg은 0.003±0.0013 ppm이었으나, 규제 농도인 2 ppm에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로 국내 산란계의 평균 분뇨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분뇨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함으로써 유기비료원로서 적절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work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nure excreta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layers. Two hundred l-d-old ISA Brown layers were used in this work, and ten of 200 layers were selected for measurement of manure excreta with feeding phase. Means of the manure excreta per bird, the moisture content of poultry, and the dried manure were 124.7 ± 27.5 g/bird/day, 76.9 ± 1.9%, and 29.1 ± 3.9 g/bird/day, respectively. N, P₂O?, and K₂O of manure (55 weeks) were 1.39 ± 0.139, 0.62 ± 0.11 and 0.68 ± 0.09%, respectively. pH, BOD?, COD<SUB>Mn</SUB>, and suspended solids (SS) were 8.19 ± 0.71, 50,266 ± 621 ㎎/L, 62,832 ± 803 ㎎/L, and 121,725 ± 16,165 ㎎/L, respectively. Heavy metal contents in the manure were 0.003 ± 0.0013 ppm for Hg and 0.008 ± 0.0012 ppm for Pb, the latter of which was highly low compared with the standard (150 ppm), but no Cd was detected. The results of this work show the average excretion amount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layer's manure, which is used as an organic fertilizer.

      • KCI등재

        저단백질, 저에너지 사료를 이용한 유도환우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질에 미치는 영향

        홍의철(Eui-Chul Hong),박희두(Hee-Du Park),나승환(Seung-Hwan Na),김학규(Hak-Kyu Kim),유동조(Dong-Jo Yu),박미나(Mi-Na Park),정기철(Kie-Chul Jung),추효준(Hyo-Jun Choo),서옥석(Ok-Suk Seo),최양호(Yang-Ho Choi),황보종(Jong Hwangb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2

        본 연구는 저단백질, 저에너지 사료를 이용한 유도 환우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산란율이 80% 이상인 61주령 White Leghorn 산란계 80수(평균 체중 1.75±0.13 ㎏)를 이용하여 12주 동안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환우를 하지 않는 비환우 대조구(CO), 비급이 환우구(10일 동안의 절식구, FW), 급이 환우구1(3주 동안 저단백질-저에너지 환우용 사료 급이구, LO) 그리고 급이 환우구2(3주 동안 표준 환우용 사료 급이구, ST)의 총 4처리구로 나누었으며, 처리구당 2반복, 반복당 10수씩 총 80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FW구에서는 2주째 초기체중에서 26.5%의 체중 손실이 있었으며, LO구와 ST구에서는 3주째 각각 17.3과 14.2%의 체중 손실이 있었다(P<0.05). 환우구의 시험계들은 환우가 종료되고 산란 말기 사료를 급여한 1주 후에 체중이 회복되기 시작하여, 7주째는 처리구간에 환우 전 체중으로 회복되었다. 심장 무게 비율은 CO, FW, LO 및 ST구에서 각각 0.47, 0.43, 0.46 그리고 0.46%로 나타났으며, 간 무게 비율은 각각 2.56, 1.30, 1.47 및 1.52%로 비환우 대조구에 비해 환우 처리구에서 무게가 감소하였다(P<0.05). 난포수란관 무게 비율은 3.95, 1.17, 1.54 및 1.67%로 간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P<0.05). LO구와 ST구는 환우기간 중에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5주째 이후부터는 사료 섭취량이 대조구와 유사하게 증가하였다. 산란율은 1주령에 환우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며, FW구에서는 2주째, LO구에서는 3주째, ST구에서는 4주째에 산란이 정지되었다. 산란 회복 기간을 보면 FW구는 4주째, LO구와 ST구는 5주째 산란이 재개되었으며, FW구는 6주째에 50.6%로 산란율이 50% 정도가 회복되었고, LO구와 ST구는 8주째에 각각 66.1과 71.6%로 산란율이 50%가 넘게 회복되었다. 난중은 약 67.5 g 정도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난각 두께는 CO, FW, LO 및 ST구에서 각각 0.41, 0.47, 0.46, 0.46 ㎜로 환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난각 강도는 FW구와 LO구는 각각 3.83과 3.81 ㎏/㎠로 CO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CO구와 ST구는 각각 3.54와 3.78 ㎏/㎠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호우유니트는 4처리구에서 각각 75.6, 81.1, 80.6 및 79.9로 환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료의 에너지와 단백질 함량을 낮추어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환우를 유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duced molting with low-protein and energy diet on the postmolt performance of layers. Eighty White Leghorn layers (61-old-wk) with over 80% egg production were used for 12 weeks in this work. Treatments were non-molt control (CO), fasting treatment for 10 days (FW), molt treatment with low-protein and low-energy molting diet for 3 weeks (LO), and molt treatment with standard molting diet for 3 weeks (ST) as 4 treatments (2 replications/treatment and 10 birds/replication). Body weight (BW) loss was 26.5% of initial BW at 2 week in FW treatment, and was 17.3% and 14.2% in both LO and ST treatments (P<0.05). Layers in molting treatments were fed with commercial layer diet after completion of molting since BW of layers was recovered for 7 weeks. Heart weight ratio was shown as 0.47, 0.43, 0.46 and 0.46% at CO, FW, LO and ST treatments, respectively, and liver weight ration of body weight was shown as 2.56, 1.30, 1.47 and 1.52%, respectively. Thus, those of molting treatments decreased compared to non-molt control (P<0.05). Oviduct weight ratio were shown as 3.95, 1.17, 1.54 and 1.67%, respectively, and similar with the results of liver (P<0.05). Feed intake decreased at LO and ST treatments during molting period and increased from the 5th week compared to control. Egg production decreased at 1 week in molt treatment and stopped at 2 week in FW, 3 week in LO, and 4 week in ST treatments. The birds started to lay egg at 4 week in FW and at 5 week in LO and ST treatments. Egg production was recovered until 50% at 6 week in FW and was recovered as 66.1 and 71.6% at 8 week in LO and ST treatment, respectively. Egg weights were similar among all treatments. Eggshell thicknesses were 0.41, 0.47, 0.46 and 0.46 mm at CO, FW, LO and ST treatment, respectively, but the higher in molt treatments than control (P<0.05). Eggshell breaking strength was 3.83 and 3.81 ㎏/㎠ in FW and LO treatment, respectively, and high compared to control. However, eggshell breaking strengths were 3.54 and 3.78 ㎏/㎠ and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Haugh units were 75.6, 81.1, 80.6 and 79.9 in 4 treatments and high in molt treatment. Finally, dietary low-protein and low-energy may induce molt as few effect on performance of 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