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와 평재의 인지양식 비교 연구

        나귀옥(Nah, Kwi Ok) 한국영재학회 1995 영재교육연구 Vol.5 No.2

        A group of 84 young children were administered the 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PEFT). A thre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utilizing giftedness (gifted, normal), gender, and year(4 year-old class, 5 year-old clas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giftedness main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ifted children were more effect not year main effec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iftedness and gender, between giftedness and year, between gender and year were not significant either.

      • KCI등재

        핵심역량의 관점에서 본 누리과정의 방향

        나귀옥 ( Kwi Ok Na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문헌연구를 통하여 누리과정의 방향을 핵심역량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OECD에서 발표한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고, 이들이 다른 나라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반영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미국, 영국, 핀란드의 유아 교육·보육과정의 구성, 강조점 및 핵심역량이 반영에 대하여 분석하고, 우리나라 누리과정을 분석하였다. 누리과정에서는 유아가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기본 능력과 소양으로서 첫째, 타인에 대한 배려, 존중 및 공감, 질서와 협력 등의 인성과 기본생활습관 교육을 강조하였고, 둘째, 이질적이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공존하며, 세계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의사소통 능력의 습득을 강조하였으며, 셋째, 자신에 대한 이해, 자율성 및 주도성 신장 등 자아에 관련된 발달을 중요하게 여기며, 넷째, 근대 이후의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창의성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다섯째, 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녹색성장교육의 내용을 추가하였다. 유아가 이러한 핵심역량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실제 맥락에서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두는 통합적 접근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irection of the Nun curriculum was analysed in terms of key competencies via document analysis. The following documents were analysed: Documents about key competencies released from the OECD and their reflections on the school curricula of other countries, curricul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three countries(USA, UK, Finland), and the Nun curriculum in Korea. In the Nun curriculum, the five following key competencies and basic grounding needed for young children to be citizens in a future society were emphasized: personality and daily behavioral habits such as consideration of, respect for, and empathy for others, and order and cooperation, communication skill in the heterogeneous and multi-cultural society, creativity, and green eco education, and self related development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self, autonomy, and initiative? Integrated approach through problem solving in the real context would be effective way for young children to acquire these key competencies.

      • KCI등재

        누리과정 실행에 따른 유아평가의 방향 탐색

        나귀옥 ( Kwi Ok Nah ),김경희 ( Kyoung Hee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5세 누리과정」을 실시함에 있어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를 위한 유아평가를 어떻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관하여 학계 및 현장의 관리직과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평가체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객관식 평정과 언어적 기술을 하나의 양식에 기록하는 총괄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관찰, 활동 및 작업 결과물, 유아와의 대화와 면담 등에 근거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며, 자유선택활동, 일상생활 및 자유놀이 맥락에서 관찰하고, 담임교사 이외에 가족, 다른 교사 등 다양한 관련자들이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유아평가 결과는 교수학습에 대한 피드백과 교육과정 계획에 활용하고, 상급학교에 보고하여 교육의 연계성을 확보하며, 정부는 유아평가에 관한 연수와 교사협의회를 구축하여 교사들의 유아평가활동을 지원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inions of academics, directors/vice-directors, an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on the child assessment in relation with Nuri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a new child assessment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a summative assessment which includes rating scales and verbal descriptions is preferred. Children need to be assessed based on the observations in a various contexts such as free choice activities, daily routines, and free play, children`s activities and work samples, and dialogue and interviews with children. Family members and other teachers or staff members in addition to the key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the child assessment processes. The results of child assessment required to be used as feedback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r curriculum planning, and need to be reported to the teacher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government and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support teachers` child assessment procedures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eacher training and organizing teachers` meeting.

      • KCI등재
      • KCI등재

        자연적 공간의 자유놀이에 나타난 창조와 변형

        나귀옥 ( Kwi Ok Nah ),곽정인 ( Jung In Kwa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자연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자유놀이를 창조와 변형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매일 숲, 공원, 호수 등 자연적 공간에서 활동하는 숲 유아교육기관을 선정하여 그들의 놀이활동을 9개월 동안 관찰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자유놀이에서 줄거리나 등장인물, 규칙, 놀이방법과 형태를 창조하고 변형하였으며, 자연환경과 사물, 신체, 교사와 또래가 놀이를 지원하는 자원이 되었고, 이러한 창조와 변형은 놀이 그 자체의 재미와 유아의 수준 및 요구에 부응한 것으로 집중과 몰입, 창의력과 상상력, 협력과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재미있고 창조적인 놀이를 촉진하기 위하여 변화가능성이 높고 개방적인 놀이환경과 놀잇감을 제공하고, 유아들이 놀이에 몰입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하며, 교사는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놀이를 확장하고 지지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free play implemented in natural outdoor spaces focusing on creation and transformation. The researchers selected one forest preschool where children spent most of time in natural outdoor spaces such as forest, lake, and parks, and observed their free play for 9 months. As a result, children created and transformed plot, characters, rules, play methods and types with their teachers. The resources which supported creation and transformation in their play were natural environment and natural object, their bodies, and teachers and peers. Children and teachers created and transformed their play to have fun, to adjust to the level of children, and to respond to children`s needs. This kind of free play appears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absorption, and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children, and to foste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children and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In order to foster fun and creative free play, teachers should allow children to play in changeable play environment and enough time to concentrated on their play, provide open-ended materials, and support and enlarge children`s play through participating as players.

      • KCI등재

        영국 및 핀란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나귀옥(Nah, Kwi-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영국과 핀란드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질 높은 실외놀이가 이루어 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국가에서 실외놀이가 우수하다고 인정받는 4개 기관을 추천받아 2016년 8월부터 2017년 9월 사이에 2차례씩 방문하여 실외 환경구성 및 제공되는 자원과 재료, 운영, 및 영유아들의 실외놀이를 관찰하고, 실외놀이의 가치에 대하여 교원을 면담하였다. 그 결과, 이들 기관에서는 모든 환경 구성과 활동이 자연을 지향하였고, 실외놀이는 건강과 웰빙을 위해 실행되었다. 또한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실외놀이를 실시하며, 위험성이 있는 놀이에 도전하도록 허용하면서도 안전점검을 통하여 도전과 안전이 공존하는 양상이었다. 그들은 단순한 실외놀이를 넘어서서, 실내 영역과의 통합을 추구하였으며, 유아들의 흥미와 선택권을 존중하여 유아들끼리 주도적으로 활동하도록 함으로써 자율성과 독립심을 성취하도록 격려하는 모습이었다.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웰빙과 건강, 실내외활동의 연계와 확장, 유아의 주도성, 상상력,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는 실외 놀이의 실현을 위하여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quality outdoor play is implemented in preschools in England and Finland. The four preschools in each country which were known as high quality in terms of outdoor play were selected as samples. The researcher visited these institutions twice, once in warm season and once in cold season as the outdoor play is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eather and seasons. She observed children’s outdoor play, the environment of outdoor areas, resources and materials provided, the management of outdoor areas in terms of time and space. She also interviewed with the educators in order to find out their perspectives on the importance and values of outdoor pl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door areas of these preschools were characterized as ‘towards nature’, and the outdoor play was implemented for ‘wellbeing and health’. The outdoor areas were opened in all weathers and risky play was allowed. However, challenges and safety were co-existed by achieving balance between proper safety check and challenging and risky play. They pursuit the integration of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beyond just simple outdoor play, through constitution of a variety of areas and various resources and materials in outdoor environment. They encouraged children’s autonomy and independence through child-initiative play and activities among children by regarding children’s interests and choices. In preschools in our country, we need to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 in England and Finland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wellbeing and health, connection and extension of indoor and outdoor play and activities, children’s initiatives, imaginati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capacity.

      • KCI등재

        현장 교원과 연구촉진자의 상호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실외놀이 개선

        나귀옥(Nah kwi ok),김경희(Kim kyoung hee),Jin Hu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충남의 한 공립 유치원에서 실외놀이의 활성화를 위하여 2015년 9월부터 1년 동안 진행된 실행연구이다. 유아들의 실외놀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연구촉진자, 참여기관의 교원들이 양방향적인 상호협력을 통해 현장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 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의 관심과 요구에 따라 세미나의 주제와 진행 방법 등의 측면에서 융통적으로 운영하였고, 실외놀이 개선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원과 연구촉진자가 상호 노력하였으며, 질 높은 실외놀이를 위해 교원들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자주적 노력을 하였다. 실행연구를 진행하면서 실외놀이가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즉, 연구 참여기관은 주변의 다양한 경관이 있는 자연 공간을 활용하고, 여러 가지 개방적 자원 및 재료를 활용함으로써 유아들의 실외놀이가 다양하고 풍부해졌다. 또한 실외놀이가 실내 활동과 연결되면서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되었고, 교사들은 유아에게 주도권을 주어 실외놀이가 좀 더 질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실행연구 기간 동안 교사들은 실외놀이에서 유아의 주도적 참여로 인해 야기되는 안전사고에 관한 문제로 갈등하였다. This study reports an action research which was implemented in a public kindergarte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outdoor play for a year. Research facilitators and teachers cooperated for quality outdoor play in flexible and bi-directional ways. That is, the themes and management of seminars directed by research facilitators were decided according to the needs and interests of teachers. Teachers and research facilitators collaborated to solve problems which they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the action research and teachers also tried to improve their outdoor environment independently. There was improvement in children’s outdoor play in many aspects but teachers experienced conflicts during this action research. Specifically, They utilizednnatural spaces with various landscapes nearby and open-ended resources and materials, thereby leading to a variety of affluent play. The outdoor play was connected with indoor activities and the curriculum. Further, children were allowed more initiatives outdoors, as a result the play became more qualitative. However, teachers experience conflicts about the degree of independence given to children due to an accident.

      • KCI등재

        영국 유아원 실외놀이의 모습과 가치 탐색

        나귀옥 ( Nah Kwi-ok ),곽정인 ( Kwak Jung-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실외 영역을 실내 교실처럼 중요한 교수·학습의 장소로 보고, 다양한 실외놀이를 실행하는 영국의 한 공립 유아원을 1년 동안 관찰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의 관찰일지, 사진 및 동영상, 교사 및 원장과의 형식적, 비형식적 면담, 교육계획안 등이다. 자료 분석 결과, 실외 영역에서는 신체활동, 구성 및 문제해결활동, 과학활동, 상상 및 역할놀이, 미술 및 감각놀이, 수 및 언어활동 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의 가치로서 유아가 놀이의 지휘자가 되어 주도성과 통제권을 발휘하였으며, 또래들끼리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였고, 유아의 흥미에 따른 재미있는 놀이를 즐기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질 높은 실외놀이의 실현에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신체운동 발달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여러 측면을 실행하고, 문제해결력, 주도성, 창의성과 상상력, 사회적 상호작용, 및 유아의 흥미와 재미를 촉진하는 실외놀이 실현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ata collected over a year from a nursery school in England, which views outdoor areas as important as indoor classrooms, and implements various outdoor play activities. The researcher’s journal, photos and videos,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head teacher and teachers, and half-term plans were analys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outdoor areas, children experienced physical activities, construction and problem solving, science activities, imaginative and role play, sensory play and art, and mathematics and language. They became agencies of play who initiate and control the play, interacted with peers, and enjoyed the play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This study can g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outdoor play in Korean preschools.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help Korean teachers develop an efficient plan for outdoor play which facilitates various aspects of curriculum, problem solving, initiative, creativity and imagination, social interaction and interests of children and enjoyment of play.

      • KCI등재

        자연친화적 환경의 실외놀이에서 유아가 보이는 웰빙 모습 및 관련 요인 탐색

        나귀옥 ( Nah Kwi Ok ),고영미 ( Ko Young Mi ),유영의 ( Yoo Yung Eui ),김경희 ( Kim Kyoung 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5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환경의 실외놀이에 참여한 유아들이 보이는 웰빙 모습은 어떠하며, 웰빙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를 질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충남의 외곽지역에 위치하고, 실외놀이 및 숲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기관의 실외놀이터 또한 자연친화적인 사립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1명과 담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8년 9월 27일부터 12월 5일까지 총 11회의 실외놀이를 관찰하고, 교사 및 유아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관찰일지, 면담자료, 기타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연친화적 환경의 실외놀이에서 유아들이 보이는 웰빙 모습은 넘치는 즐거움과 생동감 표출하기, 도전적인 과제로 성취감과 자신감 보이기, 놀이를 자발적으로 시작하고 끝내기, 놀이에 진정으로 참여하고 몰입하기이었으며, 이 중 가장 두드러진 모습은 즐거움과 생동감이었다. 둘째, 유아 웰빙 관련 요인은 자연의 풍부한 자원, 동물과 함께하는 일상, 친구와 주체적으로 의미있는 놀이하기, 자발적인 규칙 지키기 및 최소한의 안전 제한, 재미있고 발전된 놀이를 위한 교사의 지원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결과는 유아의 웰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자연친화적인 실외놀이 환경 특히, 유아들의 탐색과 발견을 촉진하는 자연물, 동물과 곤충, 식물 등의 풍부한 자원이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러한 자원들과 자유롭게 교감하고 놀이하도록 자율성을 허용하며, 놀이 활성화와 확장을 위하여 교사가 적절히 개입하고 지원함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expressions of children’s wellbeing while they are playing in nature-friendly outdoor spaces and the related factors. The participants were 21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 from a private child care centre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This child care centre was known to appreciate outdoor play and forest activities, providing nature-friendly gardens, and visits to a nearby forest once a week. The researchers observed children’s outdoor and forest play for 11 days,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children. The observation journals, interview data and documents such as curriculum plans were qualitatively analys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showed enjoyment, vitality, a sense of achievement, self-confidence, autonomy and involvement as characteristic expressions of wellbeing during time spent in nature-friendly outdoor areas/spaces.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expressions of children’s wellbeing in outdoor play in the nature-friendly environment were enjoyment and vitality. Second, affluent resources in nature, rearing pet animals, initiative and meaningful play with peers, keeping regulations on their own and minimum safety restriction, and support from teacher were found to be key factors affecting children’s wellbeing while playing outdoors. These findings imply that for children’s wellbeing, teachers need to provide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that includes a variety of natural materials and resources, pets, insects, and plants which facilitate children’s exploration. It is also important for teachers to allow children sufficient autonomy to play and sympathize with these resources on their own. Teachers should support children to activate or expand their play accordingly.

      • KCI등재

        구성주의 유아교육에서 테크놀로지의 역할

        나귀옥(Nah, Kwi-Ok),하재(Ha, Jai-Ok)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0 No.-

        As young children are increasingly exposed to computer technology both at home and kindergartens, arguments on its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have been existed. However considering the actual state of utilizing technology, we'd better seek how to apply this technology to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ffectively rather than get absorbed in arguing it pro and con. This study examined theoretical discussions on and the meaning of the role of technology i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technology on young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While in earlier studies on the role of technology, arguments against the technology were dominant, later more studies on its positive effect were conducted. That is, recent studies revealed that the use of computer technology by young childhoo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cognitive, linguistic,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In most cases, in studies with experiments, young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s with computer utilization activities rather than in control groups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above aspects. Computer softwares and web contents mostly used in those studies were open softwares and web contents proper for the developmental period, and they are 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promote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also make them engage in learning activities positively by stimulating their interes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iscuss whether computer softwares and web contents have high quality proper for young children rather than to focus on the use or disuse of computer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