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좋은 수업의 수행필요성과 수행역량 분석

        나경은 ( Kyong Eun Na ),서유진 ( You Jin Se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149명의 중·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이 인식하는 통합교육 환경 속 장애학생들을 위한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수행필요성과 실제 수행역량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요구도 분석을 통해서 수행노력이 요구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 교사변인에 따라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장애학생들을 위한 좋은 수업 특징의 수행필요성에 비해 실제 수행역량에 대한 중·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인식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교사변인에 따라 고등학교 교사들, 교사연수와 수업이수의 경험이 없는 교사들에 비해 중학교 교사들, 교사연수와 수업이수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수행역량 인식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좋은 수업의 수행필요성과 실제 수행역량의 평균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도 분석결과, 중·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은 관계관점, 기능교육과정과 기초학습과정 관련 수업내용 제공, 다양한 교육방법과 수업자료의 활용, 물리적 환경 고려, 전이, 일반화에 기초한 평가제공 등은 실제 수행역량이 수행필요성에 비해 가장 낮아 수행을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변인에 따른 요구도 분석결과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논의점과 차후 연구의 방향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surveyed 149 second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their require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of the features of goo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dentified the features of good instruction that needed more efforts to be performed by the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of needs assessment.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any differences in those results based on the teachers`` main background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achers`` present performance levels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eir require performance levels for all features of goo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middle-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teacher-training and classes related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relatively higher present performance levels so that the differences of their require performance levels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were quite low. Based on the analysis of neeeds assessment, several features of good instruction, such as having closed relationship, providing instructions for functional skills and basic academic learning, providing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and materials, managing environments with appropriate facilities, and evaluating student`s adaptation abilities, needed more efforts to be performed by the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and direction for feature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나경은 ( Kyong Eun Na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3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의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유형을 제안하기 위해 특수교육과 4학년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특수교사들의 경험에 대하여 107개의 개념과 31개의 하위범주와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로는 ‘교직관의 재정립을 통한 자아실현 구체화하기’를 찾아내었으며,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에 대한 과정분석의 결과는 탐색의 단계, 수용의 단계, 조절의 단계, 정립의 단계로 정리되었다. 또한 ‘예비특수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으로는 ‘소통형’, ‘반성형’, ‘갈등형’, ‘갈망형’ 등 4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과정분석의 결과 근거자료에서 도출한 내용을 근거로 예비특수교사의 교육실습을 위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udent teaching experience type based through investigation on changes in process of 14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udent teaching practice using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107 concepts, 31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were showed. The core category was ‘taking concrete shape of self-realization through reestablishment of perspectives on teaching profession’. As a result of process analysis o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exploring stage’, ‘accepting stage’, ‘accommodating stage’, and ‘establishing stage’ were drawn. In addition, as a grounded theory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udent teaching practice experiences’, 4 types such as, ‘communication type’, ‘reflection type’, ‘conflict type’, and ‘desire type’ were analyz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with discussion based on results.

      • KCI등재

        중등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교직수업 이수를 통한 통합교육 수행역량과 수행필요성 변화분석

        나경은 ( Kyong Eun Na ),서유진 ( You Jin Se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본 연구는 총 104명의 중등예비교사들이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이수한 후 통합교육 관련 지식과 이해, 통합교사로서의 수행역량과 수행필요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수업 이수 후 수행필요성에 비해 수행역량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향상이 요구되는 수행역량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학개론 수업 이수 전, 후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관련 지식과 이해는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 관련 지식과 이해는 수업 이수 후에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수행역량과 수행필요성은 수업계획 및 준비, 수업진행, 수업평가, 학교생활지도와 관련된 대부분의 문항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수업 이수 후에 예비교사들의 수행역량과 수행필요성 인식이 이전보다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의 역량과 필요성 차이에 관한 요구도와 우선순위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의 역량은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해서 향상되기는 했으나 여전히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교사역량관련 문항에서 통합교육 수행역량은 수행필요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한 차후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의 구성과 운영방안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skills and understandings for inclusion of a total of 104 pre-service teachers at secondary level and their perceptions on implementation competency and necessity for inclusion. In addition, based on the comparison of teachers’ perceptions on implementation competency and necessity for inclusion, this study found out the specific categories of teacher-competency which should be impro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kills and understandings for inclusion of pre- service teache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lso, mostly, their perceptions on implementation competency and necessity for inclus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the teacher-competency level related to advanced knowledge and skills for inclusion were still relatively low. Based on these results, directions for plans and provisions of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아동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실험연구의 질적 지표에 의거한 분석

        김보람 ( Bo Ram Kim ),나경은 ( Kyong Eun Na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는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실행된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1997년 개정된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법적으로 규정된 시점부터 2010년 3월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논문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의 일반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12가지의 분석변인, 즉 연구 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중재방법, 목표행동, 실험절차, 측정 도구 및 방법, 관찰자간 신뢰도, 사회적 타당도, 중재 충실도, 결과, 유지및 일반화를 사용했다. 또한 연구들이 질적 기준을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가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와 환경에 대한 정보, 독립변인, 기초선, 종속변인, 실험통제/내적 타당도, 외적 타당도, 사회적 타당도 등 7가지의 질적 지표를 사용했다. 선정된 9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한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연구는 가정차원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질적 지표에 의거하여 중재환경,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실험통제에 대한 정보가 반복 연구가 가능할 정도로 상세히 제시되어야 함을 고려해보면 관련된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과 함께 본 연구는 향후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한 실험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가 고려해야할 요소를 제공하여 연구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mental studies for children with autism based on quality indicators published between 1997 and March of 2010. Nine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were published in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 used 12 analytic variables such a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 research design, intervention, target behavior, research procedure, measurement method, interrater reliability, social validity, treatment fidelity, result, and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We also used 7 quality indicators for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such as description of participants and settings,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baseline, experimental control/internal validity, external validity, and social validity to evaluate evidence base of the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children with autism have been conducted home setting as well as school setting. Also intervention setting,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experimental control were not described in detail.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의 요구 분석

        김기룡 ( Ki Ryong Kim ),나경은 ( Kyong Eun N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4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성별, 연령, 장애유형 및 장애등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부모 30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교 졸업 이후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영역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직업생활과 독립생활의 비율이 전체의 71.3%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후 개설할 필요가 있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직업능력향상교육 및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 및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 부모만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rents’ need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parents that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18 years old.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needs of job-living and independent living were 71.3% of lifelong education sectors needed to take a transition into community. Second, types of improvement vocational education and basic literacy education were the highest for the parents ha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needs of humanities liberal education, culture-arts education, civi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academic ability of supplementation education were low. It was meaningful that this study was provided basic data needed to implement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을 중심으로

        서유진 ( You Jin Seo ),나경은 ( Kyong Eun Na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요 교과영역 중재연구에서 제공된 중재의 특성과 효과크기를 살펴보고, Gersten 외(2005)와 Horner 외(2005)의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각 중재연구의 질을 평가하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영역별 증거기반 중재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총 27편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 중재연구의 특성과 효과크기 분석결과, 국어교과는 읽기와 유창성 영역에서, 수학교과는 연산과 문장제 문제풀이 영역에서 인지과정 전략에 관련된 중재를 제공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1편을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중재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단일대상연구의 경우, 기초선 기간에서 자료점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낮은 효과크기를 보인 연구가 많았다. 둘째, 질적지표 충족도 평가결과,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지적장애 학생의 주요 교과영역별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증거기반 중재를 선정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기술, 실험효과와 결과 제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는 많은 편으로 나타나, 앞으로 중재제공자와 측정도구 정보제시, 중재 충실도 측정, 중재의 사회적 타당도와 일반화 측정의 질적지표를 고려한 중재연구가 좀 더 활발히 수행된다면, 지적장애 학생에게 일반교육과정에 기초한 교과교육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증거기반 중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studies in main subject area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valuated the quality of the stud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provided by Gestern et al.(2005) and Horner et al.(2005)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main subject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a total of 27 intervention studies, intervention studies for reading and fluency skills in the area of Korean literature, and intervention studies for arithmetic and word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area of mathematics were frequently provided focusing on cognitive processing strategies. All intervention studies, except for one, demonstrated the positive findings, but many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showed low-level effect sizes due to the inconsistent data points during the baseline periods. Secon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intervention studies, no study was met with the criteria of evidence-based practice. Therefore,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main subject areas were not able to be identified. However, several quality indicators, for example, description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demonstration of intervention effects and results were sufficiently provided in the many studies, so that if the studies carefully consider the quality indicators, such as provision of information on intervention provider, measure of intervention fidelity, provision of information on measure, and measure of social validity and generalization,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main subject areas are successfully identified.

      • KCI등재

        봉사학습을 통한 예비교사의 교육현장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분석

        손승현(Son, Seunghyun),나경은(Na, Kyong-Eun),문주영(Moon, Juyeong),서유진(Seo, You-Ji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3

        예비교사 교육에서 교육현장 경험이 강조되면서 교육봉사가 필수이수과목으로 지정된 가운데, 본 연구는 봉사학습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교육현장 참여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재 K대학교에 재학 중인 125명의 사범대 또는 교직이수 학생들이 교직수업과 연계하여 진행된 봉사학습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의 봉사학습 보고서에 나타난 봉사학습 경험을 지속적 비교법에 기초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5개의 개념, 34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도출된 개념과 범주를 그 내용을 기초로 하여 봉사학습 활동 참여의 시작, 봉사학습 활동 참여의 중심경험, 봉사학습 활동 참여의 맥락조건, 봉사학습 활동의 외부적 영향 조건, 봉사학습 활동 전략, 봉사학습활동 참여 경험의 결과로 분류한 후 제시하였다. 예비교사의 실천적 역량강화를 위한 교과목과 연계한 봉사학습의 적극적 운영 제안과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추후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It has been emphasized to integrate field-based experiences into the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qualitatively. The participants were the 125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classes of the researchers, in which service learning was required to perform.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reports completed by the 125 pre-service teachers by asking their service learning experiences and processe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the results,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were analyzed into 125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The implication for the educational service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장애학생 접근성 확보를 위한 편의시설 기준 적합도 조사 분석

        서유진(Seo,You-Jin),나경은(Na,Kyong-E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4년제 40개 대학교를 선정하고, 각 대학의 편의시설을 외부공간, 매개공간, 내부공간, 부속공간, 기타공간으로 나누고, 각 공간이 편의증진법의 세부적 기준에 적합한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국공립/사립, 장애인 대학교 특례입학제도 실시여부, 장애학생 관련학과 설치여부와 같은 대학교의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대학간 편의시설의 실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의 편의시설은 전반적으로 편의증진법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으며 편의증진법 기준에 맞는 시설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이용의 불편함과 관리부족 등으로 인해 장애학생들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에 비해, 장애인 대학교 특례입학제도 실시대학이 비실시 대학에 비해 대부분의 편의시설 기준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의 적합도를 보였다. 장애학생 관련학과 설치여부 따른 대학간 기준 적합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대학내 보편적 설계에 기초한 편의시설의 기준 적합도를 높이며, 수요자 중심의 고등교육환경 발전을 위한 편의시설 개선과 확충을 위한 논의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idelity of guidelines on accommodations to accessibil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4-year universities in Seoul. First we selected 40 universities in Seoul, categorized their accommodations into exterior space, intermediate space, interior space, attached space, and other space, and evaluated their fidelity of guidelines on accommodations under the convenience enhancement ac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actual condition of accommodations among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ies such as whether they are national/public or private, whether they adopted special admission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hether they have department related to disabilities. Results indicated that physical environment of universities did not fit the guidelines of the convenience enhancement act generally and provide appropriate environment for students because of the inconvenient utilization and lack of management even though equipped.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make a greater effort to improve and expand the accommodations to establish consumer-centered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xpanding accommodations by universal design and enhancing the fidelity for advanced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as well as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장애인 자산형성지원사업모형 개발을 위한 국제 비교 연구

        김기룡(Ki-Ryong Kim),이경준(Kyong-Jun Lee),나경은(Kyong-Eun Na),김치훈(Chi-Hun Kim),김삼섭(Sam-Sup Kim)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2

        이 연구는 장애인 자산형성지원사업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리나라의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법적 근거, 지원 대상, 기여 방식, 기여액, 지원액, 가입기간, 수령액, 사용처, 금융 서비스, 재원 조달 등을 공통 분석 범주로 선정하여, 국내외 자산형성지원사업 운영 사례를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저축 방식의 자산형성사업을 보건복지부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었고, 미국, 영국, 캐나다는 저축 방식으로 일본은 보험 방식으로 자산형성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은 ABLE 계좌, 캐나다는 등록장애저축계획(RDSP)와 같은 장애인에게 직접 초점이 맞추어진 자산형성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자산형성 방법에 따라 비교한 결과, 매칭형, 근로연계형, 연금보험형, 전반적 자산관리형으로 분류되었고, 자산기여방식에 따라 비교한 결과, 비기여, 공동기여, 완전기여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을 위한 자산형성지원사업 모델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supporting the asset building of the people with severely disabilities, comparing and analyzing cases of the USA, UK, Canada, and Japan including Korea. In order to compare these, we compared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asset building support projects by selecting common criteria such as legal basis, support object, contribution method, contribution amount, subscription period, receipt amount, use place, financial service and financing. In Korea,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nducted savings-type asset-building projects targeting low-income households, whil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conducted savings-type assistance schemes in Japan. appear. In addition, the United States operated an ABLE account, and Canada had an asset-building support business that was directly focused on people with disabilities, such as the Registered Disability Savings Plan (RDSP). As a result of comparisons according to asset building methods, they were classified as matching type, labor - linked type, pension insurance type, and overall asset management type. app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t building support business model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suggested.

      • KCI등재

        직무연수에 대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인식과 요구조사

        송승민(Seung-Min Song),정승미(Seung-Mi Jung),나경은(Kyong-Eun Na)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특수교육 보조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연수의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인식하는 직무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그리고 직무연수 방향에 대해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도교육청 소속 특수교육 보조인력 1,094명이 응답한 결과를 토대로 먼저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연수 경험과 운영방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욕구 지원, 학습 지원, 문제행동 지원, 학교활동 지원, 협력 및 의사소통의 5개 영역, 26개 직무에 대한 중요도, 실행도,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하는 IPA분석을 통해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goals of education and on-the-job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and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execution, and then suggest the direction of on-the-job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in order to configure the curriculum.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94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belonging to the G-o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1,094 respondents, the perception of the job training experience and operation method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as first analyzed. Next, through IPA analysis, which analyzes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execution for 26 jobs, 5 areas of individual needs support, learning support, problem behavior support, school activity support,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of the work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