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소장 전통 목가구의 연륜연대 및 수종 분석

        이현채(Hyun-Chae Lee),이광희(Kwang-Hee Lee),황근연(Geun-Yeoun Hwang),이해주(Hae-joo Lee),김희채(Hee-Chae Kim),김성식(Sung-Sik Kim),손병화(Byung-Hwa Son),남태광(Tea-Gwang Nam),김요정(Yojung Kim),박원규(Won-Kyu Park) 한국가구학회 2012 한국가구학회지 Vol.23 No.1

        We present the species and the dendrochronological dates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in Forest Museum Collection of Korea National Arboretum. Seven of thirteen were successfully dated. Chest with a flap door (84-55-1) was dated A. D. 1623. Others dated were cabinet (83-41-1: A. D. 1759), Chest with a turnover door (83-39-1; A. D. 1801),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8-39; A. D. 1843), Rice chest (82-27-3; A. D. 1849),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3-40-2; A. D. 1877), Chest with a flap door (84-50; A. D. 1918). Most of existing cabinets were made in 1800s. The 84-55-1 chest was one of the earliest pieces of furniture in the collections of Korea museums. The furniture is usually composed one species. The major species was Pinus densiflora. Bedside cabinet (83-41-1) and Cabinet with two horizontal section (88-39) were made from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Becasue they were dated by the tree-ring chronology of Mt. Bekdu, the timber of their boards could be from the area of Mt. Bekdu.

      • KCI등재

        경상도지역 동천(洞天)의 위치 조사 연구

        강기래 ( Kang Kee-rae ),이해주 ( Lee Hae-ju ),배준규 ( Bae Jun-gyu ),김희채 ( Kim Hee-chae ),김창준 ( Kim Chang-jun ),이현채 ( Lee Hyun-chae ),김동필 ( Kim Dong-phil ),김차권 ( Kim Cha-kw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도교의 경전에 최초로 기록된 ‘동천’의 의미는 유교의 근본 목적인 본래 심성을 되찾아 안심과 평안을 얻은 자들이 누리는 현실세계의 상징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을 탈피한 이상적인 세계로서의 동경이 ‘동천’이라는 장소성, 그리고 선경(仙境)이 재현된 장소로서의 이상적인 경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동천은 주변 경관에 대한 애착과 장소성을 통한 동질감과 우월의식, 정주 공간의 미화화 등의 목적으로 유학자들이 ‘동천’이라는 용어를 주로 차용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경상도 지역을 대상으로 ‘동천’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구전되어 오거나, 멸실되었거나, 현장이 잘 보존되고 있는 ‘동천’ 각자에 대한 확인조사를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 확인된 ‘동천’이라는 언어가 포함된 암각문 또는 현판 등에 새긴 음각문은 경상도 지역에 111개소가 분포하고 있다. 경상북도 지역에는 확인된 ‘동천’ 암각문이 79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영주시가 20개소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봉화군이 16개소, 안동시가 11개소, 영양군과 울진군이 7개소의 순서로 분포되어 있었다. 이 중 나무현판 형태로 된 것이 2개소이며, 마을회에서 마을의 표지석으로 세운 것이 6개소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된 14개소는 멸실, 또는 미상의 상태이다. 또한 봉화군에서는 16개소 중 9개소가 초서체로 암각 되어 있었다. 경상남도 지역에는 26개소의 동천 암각문이 분포하고 있었다. 함양군과 산청군, 하동군에서 각 3개소의 암각문이 있었고, 마을의 표지석 형태로 제작된 곳이 7개소가 있었으며, 『지봉유설』과 『택지리』에서 등장한 ‘화개동천’과 ‘금산동천’은 둘 다 최치원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현재까지 암각문을 확인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향후 전통 경관관련 연구나 금석문에 대한 연구, 지역의 문화 답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itially from the Taoist scriptures, ‘Dongcheon’ is a term that can be regarded as a symbolic place in the real world for the enlightened ones who received relief and peace by restoring the human nature taught in the Confucian school. The long for an ideal world apart from the reality embodied as the labeling some places ‘Dongcheon,’ and the term was used to refer to a scenery where the ideal fairyland is reproduced. Besides, ‘Dongcheon’ was a term often used by Confucian scholars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the attachment to the nearby landscapes, expressing homogeneity and superiority through placeness and the beautification of settlement spaces.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field study on ‘Dongcheon’ in the Gyeongsang-Do.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ugust 2018, and we carried out firsthand location surveys on Dongcheons, of which some were lost, others were fairly preserved, and still others could not be located as only their existences were passed down orally.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there were total 111 inscriptions or engravings on the plates in Gyeongsang-Do that include the term ‘Dongcheon.’ There were 79 ‘Dongcheon’ inscriptions confirmed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wenty in Yeongju-City, sixteen in Bonghwa-Gun, eleven in Andong-City and seven in Yeongyang-Gun and Ulgin-Gun. Among them, two were in the form of a wooden sign, and six were erected as rock signposts. Fourteen stops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re lost or unidentified. Also, among the sixteen signs in Bonghwa-Gun, nine were cursive engravings. Meanwhile, there were 26 Dongcheon inscriptions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Hamyang-Gun and Sancheong-Gun anf Hadong-Gun each housed three inscriptions, and seven places were in the form of rock signposts. ‘Hwagaedongcheon’ and ‘Geumsandongcheon’ could not be identified in inscriptions although they appear in Jibong Yuseol and Taengniji with stories of Choi Chiw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es in traditional scenery, epigraphs, or as primary data that helps cultural exploration in the region.

      • KCI등재

        서울시·경기도·강원도지역 구곡·동천 위치연구

        강기래,이해주,김희채,이현채,김동필,Kang, Kee-Rae,Lee, Hae-Ju,Kim, Hee-Chae,Lee, Hyun-Chae,Kim, Dong-Phil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3

        유교의 사상적 완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곡(九曲)과 동천(洞天)의 문화는 조선시대에 널리 성행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학주자(學朱子), 존주자(尊朱子)의 기치 아래 자연 속에서의 심신수양을 통한 주자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다는 의지의 표현이며, 진리의 체득을 위한 과정에 있다는 자기 위안의 행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의지의 표출로서 각 지역의 경치가 좋은 곳에 주자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모방한 '구곡'과 이상향을 나타내는 '동천'을 설정하고 경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구곡 동천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학계에 보고된 우리나라 전체 구곡은 약 60여 개소에 이르며, 동천은 이보다 더 많지만 정확한 위치나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경기, 강원도에 산재하고 있는 구곡 동천에 대한 위치확인을 위해 수행되었다. 구곡과 동천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선행연구와 보고서, 인터넷 검색과 각 지역 문화원의 발간 서적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 지역에 실재하는지에 대한 답사를 진행하였고, 위치정보를 획득하였다. 이 외에 상상 속의 구곡 동천이나 멸실된 곳, 출입이 불가능한 지역 등을 정리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강원도의 구곡은 8개소로 파악되었다. 이 중 그 위치나 기록 등이 비교적 명확한 곳이 곡운구곡과 옥계구곡이다. 벽계구곡과 수회구곡은 서로 위치나 명칭이 서로 겹치기도 하고, 설정한 시기나 경영자가 명확하지 않다. 서울의 우이구곡은 홍양호가 설정하였으나 그 위치가 일부는 확인되고 일부는 위치의 논란이 있으며, 일부는 훼손되어 있다. 서울 경기도와 강원도의 동천은 모두 38개소로 파악되었다. 서울지역에 위치한 동천은 16개소이다. 이 중 실제 존재하지만 출입이 금지된 곳은 도화동천과 양산동천, 쌍류동천 등이다. 경기도 지역의 동천은 13개소이며 온수동천은 개발로 인해 그 위치를 알 수 없으며, 귀래동천은 기록만 있고 실제로 확인은 불가한 곳이다. 강원도 지역의 동천은 9개소이다. 화음동천은 곡운구곡의 상류에 위치한 화음동정사지(華陰洞精舍址)를 잘못 표기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culture of Gugok (九曲) and Dongcheon (洞天), which tries to reach the ideological culmination in Confucianism, was widesprea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is was an extension of the spirit of studying and honoring Zhu Xi (學朱子, 尊朱子); thereby,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expressed the will to follow the teachings of Zhu Xi (朱子) and comforted themselves that they were in the course of attaining the truth. As a realization of this expression of will, scholars designated and operated various scenic sites as Gugoks, following the example of Zhu Xi's Mui Gugok (武夷九曲), and Dongcheons, as a representation of the utopia. These designations are widespread nationwide, with around sixty Gugok locations that have now been reported in academia.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Gugoks exceeds this number, and many of them are currently not identified concerning the exact loc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cations of Gugoks and Dongcheons scattered around Seoul,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For the coordinates of Gugoks and Dongcheons, this study referred to the literature, web search and the books published by local cultural institutes.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researchers conducted field trip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cord exists as a real location and, if so, acquired their coordinates. This study also provides the tables of Gugok or Dongcheon that only exists in the imagination, existed before but now are lost, or are inaccessible. Eight location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are understood as Gugok. Among them, Gogun Gugok and Okgye Gugok have relatively clear locations and records. Byeokgye Gugok and Suhoe Gugok, on the other hand, has many locations and titles overlapped, and their established time and managers are unclear. As for Ui Gugok in Seoul, it is known to be set by Hong Yangho, but some parts of its locations are confirmed, others are in dispute, and many locations are damaged. Thirty-eight location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are understood as Dongcheon. There are sixteen Dongcheons in Seoul area. Among them, those including Dohwa Dongcheon, Yangsan Dongcheon, and Ssangnyu Dongcheon actually exist but are forbidden to be accessed. There are thirteen Dongcheons in Gyeonggi area. The exact location of Onsu Dongcheon cannot be confirmed because of the development; Gwirae Dongcheon has historical records, but the actual existence cannot be confirmed. There are nine Dongcheons in Gangwon area. The researcher judged that Hwaeum Dongcheon is the misspelled record of Hwaeumdong Jeongsaji (華陰洞精舍址), which is located at the upstream of Gogun Gugok.

      • KCI등재

        EMS 처리에 의한 좀비비추[Hosta minor (Baker) Nakai]의 엽색 변이 품종 ‘황나래’ 육성

        김진호(Jin-Ho Kim),이종석(Jong Suk Lee),오혜진(Hye Jin Oh),김상용(Sang Yong Kim),김희채(Hee Chae Kim)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4 No.2

        The Hosta ‘Hwangnarae’ was bred at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hich was induced using ethyl-methanesulfonate (EMS) to obtain mutants. Among the leaf variegated Hosta plants, some with yellowish-green color pattern on the edge of the leaves was selected. They were cultivated through vegetative production. Assessment of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was executed for six years from 2013 to 2018. Major characteristics such as yellowish-green color pattern on the edge of leaves appeared uniformly and was finally selected in 2019. The Hosta ‘Hwangnarae’ that have been bred in this way can prove to be useful as material for a ground cover plant or pot plant.

      • KCI등재

        성재 유중교의 가평 옥계구곡 위치추정 연구

        강기래,이해주,이현채,김희채,김동필,하성근,Kang, Kee-Rae,Lee, Hae-Ju,Lee, Hyun-Chae,Kim, Hee-Chae,Kim, Dong-Phil,Ha, Seung Kun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3

        조선건국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성리학의 도입과 그 모태가 되었던 유학은 우리의 생활과 학문, 사상의 근원이 되었다. 또한 이들 학문의 주창자인 공자(孔子), 맹자(孟子), 자사(子思), 주자(朱子) 등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최고의 선이라 여기었다. 그들 중 자기 수행의 길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이는 주자이며, 이(理)와 기(氣)의 발현과 그 관찰을 통한 심성(心性)의 체득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진리의 체득을 위한 수신의 장소와 도구로서 산과 물이 있는 자연을 택하였고, 이러한 존주자(尊朱子), 학주자(學朱子)의 신념이 조선유학자들의 기본적 사상과 실천 철학이 되었고, 위정척사파의 유중교도 옥계구곡을 명명하고 경영하였다. 이러한 사상적 바탕으로 조선후기 유학자인 유중교가 설정한 옥계구곡의 위치를 비정하기 위한 본 연구는 옥계구곡의 위치 비정을 위한 기본적인 텍스트인 성재 유중교의 "가릉군옥계산수기(嘉陵郡玉溪山水記)"를 기본으로 하여 그 장소 추정을 위한 기본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옥계구곡 현장을 10회 답사하여 그 위치를 추정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옥계구곡에서 태어나고 자란 원주민 3인에게각각 그 위치를 탐문 하여 추정하였다. 연구로 비정된 각 곡의 위치는 공간정보자료로서 좌표와 사진을 취득하였으며, 이러한 자료는 향후 옥계구곡의 스토리텔링이나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경우 기초적이고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는 옥계구곡의 곡(曲)을 지정하는데 기초적 자료가 되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Joseon, and its root Confucianism have become the origin of the life, scholarship and ideology of the Korean people. Additionally, it was considered the best to follow the teachings of the discipline's advocates including Confucius (孔子), Mencius (孟子), Zisi (子思), ZhuXi (朱子). Among these teachers, ZhuXi was the one who overtly presented the way of self-discipline, of which goal lies in attaining the character by the manifestation of vitality (氣 ki) and rationality (理 i) and contemplating on them. As he regarded natural places with mountains and waters as stages and tools for practicing toward the enlightenment,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also followed his example in the spirit of honoring and studying ZhuXi (尊朱子, 學朱子), which became the basic thoughts and practical philosophy among them. Ryu, Junggyo, the neo-Confucian dogmatist, was no exception to applaud the nature, as he designated and ruled Okgye Gugok. On the basis of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geographic places of Okgye Gugok, which was set by Ryu, Junggyo, a Confucian scholar in late-Joseon perio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basic data, starting from Gareung-gun Okgye Sansugi(嘉陵郡玉溪山水記) which is the primary text authored by Seongjae Ryu, Junggyo. The literature study is followed by ten field trips to the estimated locations of Okgye Gugok, and verification of the estimations by three locals who were born and raised in Okgye Gugok. Coordinates and photographs were obtained as spatial data for each location of nine Gok(曲) estimated through this study. They will serve as a primary and critical data for story-telling and tourism resource in Okgye Gugo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the primary data for designating the locations of Gok(曲) in Okgyeo Gugok.

      • KCI등재

        자치단체별 환경용량 비교를 위한 경상북도지역 생태발자국 추정연구1a

        강기래 ( Kee Rae Kang ),김희채 ( Hee Chae Kim ),김동필 ( Dong Pil Kim ),오현경 ( Hyun Kyung Oh ),조광진 ( Kwang Jin Cho ),신영호 ( Young Ho Shi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산업화로 인한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도시의 확장을 초래하였으며 이는 자연성의 감소로 이어져 생태계 선순환의 가장 큰 위협요소로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의 위기는 인류의 위기를 동반할 것이라는 공통된 인식의 확장으로 세계 각국은 ESI, EPI, SDI 등 범 국가적인 환경지표 이외에 한 국가 단위나 지방자치단체 단위, 또는 개인단위의 환경소비량을 측정하여 각 지역 간의 비교, 또는 개인의 적정한 소비수준을 지표로서 나타내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경상북도지역 23개 지방자치단체별로 환경용량을 추정하고자 수행 되었다. EF지수의 추정 결과 경상북도지역민 1인당 생활에 필요한 EF지수값은 0.9534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생태수용력을 고려한 생태적자 분석에서 25.3%의 적자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경상북도지역 지방자치단체별 EF지수 분석에서 EF지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영덕군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울릉군이었다. 하지만 각 지역의 생태수용력을 고려한 생태적자분석에서 생태적자가 가장 심한 지역은 구미시이며 생태수용력이 가장 큰 지역은 영양군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 추정된 환경용량은 각 경상북도 지방자치단체별 생태수용력과 생태적자 규모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추정된 각 지방자치단체별 적정 환경용량은 환경의 보존과 적절한 개발의 규모를 제시해 주고 더 나아가서는 개발시설, 또는 보존지역의 위치를 선정할 경우 각 지방자치 단체 소속 구성원들을 설득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crease in population due to industrialization have led to the extension of cities and the reduction in naturality as a necessity. Now, it is the biggest threat to virtuous circle of ecosystem. With the expansion of common recognition that this ecological crisis would be accompanied by the crisis of mankind, many countries all around the world are conducting researches to indicate the optimum consumption level of individual as an index in addition to cross-national environmental indicators such as ESI, EPI and SDI, by measuring environmental consumption of state, local government or individual, and comparing each region.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23 local government in Gyeongsangbuk-do. The result of EF estimation showed that EF value necessary for life per head in Gyeongsangbuk-do was 0.9534, and it showed an ecological deficit of 25.3 percent when analyzing it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apacity. Also, among the local governments in Gyeongsangbuk-do, Youngduk-gun displayed the highest EF, and Ulleung-gun displayed the lowest EF. But when analyzing the ecological deficit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apacity of each region, Gumi-city showed the greatest ecological deficit, and Youngyang-gun showed the biggest ecological capacity. The environmental capacity estimated in this study is to digitize the ecological capacity and ecological deficit of each local government in Gyeongsangbuk-do. The estimated optimum environmental capacity of each local government suggests the scal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oper development and furthermore, could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persuading members of each local government when selecting a location of development facility or preservatio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