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별 과학 선호도와 인과 요인 분석

        김희백 ( Heui Baik Kim ),김미영 ( Mi Young Kim ),임성민 ( Sung Min 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PS) and its causal factors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 and to suggest the way to improve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ts causal factors was specially designed by researchers. It was administered to 429 boys and 449 girls in eight high schools. The average score of the PS was 3.16 of 5.00 which was not high, but the PS scores of students who had wanted to be engaged in jobs related to science or medical field, were higher than the students who would be in other field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oys` PS scores and girls`, but the average scores of causal factors were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Path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indicated that the pathways showing how causal factors made effects on each category of the boys` PS were simpler than those of girls. Particularly, while educational factors made indirect effects on three categories of the boys` PS, they did direct effects as well as indirect effect on the girls` PS. This means that the girls` PS is possible to be improved by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s specially developed for girls.

      • 최근 과학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쟁점 및 향후 과제: 2007 년, 2009 년 개정을 중심으로

        김희백(Kim, Heui-Baik)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1 교육연구와 실천 Vol.77 No.-

        이 연구는 2009년에 개정된 과학교육과정의 방향을 그 배경과 아울러 조사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개발과 설계, 단위 학교의 적용 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을 반영하지만, 과학기술계의 전문가에 의해 개정이 주도되어 융합형 10학년 과학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은 특성으로는 학생의 인성과 창의성 추구, 최소 과학 이수 단위 수의 확보, 교육과정의 분권화와 자율화를 통한 수준 높고 의미있는 학습 경험의 제공 등을 들 수 있다.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은 학교 과학교육 개혁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공하고 있으나, 촉박한 교육과정 개정 일정으로 인해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가 미흡한 결과로 내용 범위와 수준의 적절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단위 학교와 교육청 수준의 새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은 학교 과학교육의 실행을 어렵게 한다. 교육과정 개정에서 나타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거쳐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기간과 절차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 개발에 교사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 구성원이 각자의 권한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lleng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nd designing curriculum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production of the 2009 science curriculum as well as its background. The science curriculum revision conducted in 2009 reflects the spirit of the 2007 science curriculum;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integrated science for the 10th grade was developed by scientis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09 revision are as follows: It highlights the converging competencies of creativity and integrity as key competencies; it increases the minimum number of science courses high school students have to complete; and it allows some local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which provides students with more relevant and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ies. The 2009 science curriculum reflects a desirable direction for school science education reform. Nevertheless, the tight schedule for the curriculum revision left not only the curriculum content overextended and too difficult for students owing to the lack of reviewing processes, but also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is not guaranteed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owing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new curriculum at loc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It is suggested that the system of curriculum revision, including the standard procedures and the time frame, should be reformed. It is further recommended that participants from various backgrounds, particularly teachers, should be authorized to provide a voice in developing curricula.

      • KCI등재
      • KCI등재

        '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역할 인식과 인식적 권위

        강은희,김희백,Kang, Eunhee,Kim, Heui-Baik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과학 교실에서 학생들이 학습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수업에서 학생들이 목소리를 표현하고 권위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애완동물 안내문 만들기' 수업을 개발하였고, 이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수업의 주체로서 자신들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권위를 드러내는지 탐색하였다. 서울시 G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은 모두 녹음 녹화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애완동물 안내문을 만드는 소집단 활동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발표하고 질의응답하는 전체 발표에서 다른 양상으로 인식적 권위를 드러내는 모습을 보였다. 우선 소집단 활동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져온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고 선별하였으며, 공적인 공간에 적합하도록 자원으로 변형시키는 것과 같이 '애완동물 전문가'로서 권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전체 발표에서는 발표자와 청중이라는 입장으로 구분되어 발표자는 '애완동물 전문가'로 인정을 받고, 청중은 '검증하는 사람'으로 발표자를 평가하면서, 적극적으로 권위를 검증받고 평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전체 발표의 진행을 주도함으로써 활동의 완전한 주도권을 잡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생 중심으로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과학 교육의 전략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If we, as educators, want to put students at the center of learning in science classroom, we must let students express their voices and exercise authority. To do this, we developed a classroom activity about 'Making a pet poster', and then we explored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ir roles and expressed their authority during this activity. Fourth grade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Seoul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which was videotaped and recorded. We found that students expressed their epistemic authority differently in small group activities and in whole group discussions. In small group activities, they desired to show their authority as "pet experts" by using and selecting various resources from their everyday lives and transforming those resources into suitable forms in public spaces. Meanwhile, in whole group discussion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either presenters or audience members to verify their authority in regard to the pet poster activity; presenters desired to achieve recognition as "pet experts," and audience members assessed the presenters as "testers." In addition, they expressed authority as teachers by leading the whole group discu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new educational strategies to foster a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드러나는 학생의 행위주체성: 교수 학습 맥락을 중심으로

        김현애 ( Hyunae Kim ),강은희 ( Eunhee Kang ),김희백 ( Heui Baik Kim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5 생물교육 Vol.43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tudents expressed their agency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the feat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that stimulate such agency. We developed several biology lessons for two fifth-grade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lesson topics covered on diseases - caused by mold, viruses, germs, and dust mites - and its prevention. During lessons one and two, the students actively discussed the topics based on their funds of knowledge, grounded in their experiences outside of school. In lessons three and four, students made video clips, slogans, posters, and newspapers and then campaigned to inform the public.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s, individual interviews, and students’ artifac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expressed agency in four ways: 1) They created an objective for their disease topic; 2) they purposefully selected and utilized available resources; 3) they planned and launched a campaign to educate others around them; and 4) they used their scientific knowledge to carefully take preventative measures in their everyday lives. The most salient featur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that stimulated students’ agency was the lesson contents which were directly connected to their lives. Furthermore, as the teacher shared her authority with the students, encouraging them to utilize their funds of knowledge and available resources, the students could enhance their authority to realize their obje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students’ agency by taking a closer look at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that could position students as autonomous agents.

      • KCI등재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김선아 ( Suna Kim ),이신영 ( Shinyoung Lee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6

        이 연구는 논변활동을 지도하는 교사의 수업실행 변화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논변특이적 PCK의 요소를 확인하고 이것이 수업 실행에미친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과학교육 박사학위 소지자로 연구 당시 교육경력이 19년이었으며 연구에 참여하기이전에 논변수업을 지도해 본 경험은 없었다. 논변활동 수업은 중학교1학년 광합성 단원에 대한 9차시로 구성되었고 수업 이후 주 1회 약30여분 총 5회에 걸쳐 연구자와 교사 간 협력적 성찰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협력적 성찰은 녹화, 녹음되었으며, 교사의 사전사후 논변검사지, 수업전사본, 관찰일지, 협력적 성찰 전사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교사의 발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업 실행은 1~3차시에해당하는 초반부에는 학생들에게 말하기, 논변 정의하기, 정당화하기등을 촉진하는 발화가 주로 나타났으나 4차시 이후부터는 교사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상대방 이야기를 들어주기, 대안주장하기, 논변과정 반성해보기 등을 촉진시키는 발화도 함께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성찰과 논변 수업 실행으로부터 교사의 논변특이적PCK 발달이 나타났으며, 논변특이적 PCK는 학생에 대한 이해, 논변의 본성에 대한 이해, 논변 과제전략에 대한 이해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참여 교사의 논변 특이적 PCK에 대한 이해는 협력적 성찰과 수업실행이 반복되면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교사는 논변수업에서 학생이 갖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으며, 논변에 대한이해를 개인적 측면으로부터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 것으로 발달시켰다. 또한 논변과제를 자발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과제전략에 대한 깊은 이해를 드러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identified argumentation-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he influence of the argumentation-specific PCK on teaching practice in an argumentation classroom. The teacher has a Ph.D degree in science education, a 19-year teaching career, and no experience in instructing in an argumentation classroom.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nine lessons regarding photosynthesis for 7th graders. The teacher participated in a collaborative reflection with researchers after each lesson once a week and five times in total, which lasted for thirty minutes. All of the lessons were video- and audio-recorded and the transcript of lessons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pre- and post-survey related to argumentation, and researchers` journals were analyzed.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teacher emphasized group interaction showing utterances of listening, evaluating arguments, counter-arguing/debating, and reflecting on argument process after the fourth lesson although the teacher focused on individual argumentation showing utterances of talking, knowing meaning of argument, and justifying with evidence in the first three lessons. Also, the argumentation-specific PCK, which was identified with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nature of argumentation and argumentation task strategy, also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ractice. The teacher comprehended the students` challenges in argumentation, developed h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argumentation from an individual plane to social plane, and demonstrat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task strategy by voluntarily joining in modifying the argumentation tasks.

      • KCI등재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과학교사 행위주체성 탐색 -COVID-19에 따른 원격 수업 2년 차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경 ( Hyekeoung Lee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5

        COVID-19로 인하여 도입된 원격 과학 수업은 이제 교사들에게 새로운 일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가 지난해의 실행을 습관적으로 되풀이하기보다는 변화하는 맥락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맥락에 적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하여 시행된 원격 수업 2년 차 상황에서 교사가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는 실행에서 드러나는 교사 행위주체성과 이때의 맥락을 분석하였다. 특히, 2020년 4월에서부터 2021년 7월까지 16개월 동안 교사의 원격 과학 수업 실행을 추적하여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 과학교사 3인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연구 참여자가 사용한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지속해서 검토하며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원격 과학 수업 실행에서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행위주체성을 발현하거나 외부로부터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기 위하여 행위주체성을 발현하거나 자신이 추구하는 과학 교육을 원격 수업 상황에서도 구현하기 위하여 행위주체성을 발현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지난해 원격 과학 수업을 실행한 경험 및 이로부터 축적된 실천적 지식, 자신의 실행에 대한 성찰, 원격 과학 수업에 대한 장·단기적 목표가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가 속한 맥락에서 원격 수업의 질 제고를 추구하는 학교 공동체의 분위기나 교사 사이의 활발한 소통과 협력 역시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을 촉진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격 과학 수업 상황에서 어떠한 과학교사 행위주체성이 발현되었는지 탐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맥락을 분석하였다. 또한, 같은 교사가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행위주체성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의 개인적인 요인 및 맥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everything, even education. Last year when distance learning was introduced, science teachers faced many challenges to overcome. However, teachers adapted quickly, and in this year, it became the ‘new normal’. In this situation, teachers are likely to habitually repeat past practices, but the context of the second year of distance learning is changing constantly, and teachers are asked to interpret the problem occurring in a situation and to adjust their practice for solving the problem with their teacher agency.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mergence of science teacher agency and factors shaping teacher agency in the second year of distance learning and we focus on teachers’ agentic practice that did not follow their past practice without reflection. For this purpose, we mainly analyze the semi-constructed interview of three science teachers. In the first year of distance learning, two teachers maintained their practice, not much different to face-to-face learning. However, one teacher reflected upon herself and started to recognize and solve her problems. Reflection for her practice can support this process. Another teacher changed her practice due to external suggestions, but it evolved her practice to fit the situation better, and her experience of last year helped her to adapt to the change. The other teacher who modified her practice to persist her professional purpose last year was consistently practicing in the second year and collaboration and autonomy can support her. This study shows the teachers’ dynamic change of agency and the emergence for the relation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ontext.

      • KCI등재

        과학 수업의 혼성공간에서 드러나는 중학생의 지식자본 및 교수학습 특성: 7학년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이민주 ( Min Joo Lee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8

        학습자가 가진 문화와 자원을 수업의 중심 자원으로 이끌어내고자하는 노력은, 학습자에게 보다 호응할 수 있는 교수학습을 모색하는연구자들에게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의 혼성적 공간에서 학습자들이 드러내는 지식자본으로는 어떤 것이있는지 살펴보고, 이같은 지식자본이 자발적 과정을 통해 수업 상황으로 유입되고, 수업의 핵심적 자원으로 작용하려면 어떠한 교수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7학년 ‘주변의 생물’, ‘식물과 영양’ 단원에서의 실제 수업 상황에서 5개월에 걸친참여관찰을 수행하였고, 학습자의 지식자본이 가장 활발하게 부상하는 수업을 추출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의 지식자본은가정, 지역공동체, 또래문화, 대중문화 등의 4가지 기반에서 근거한것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으며, 특히 또래문화와 관련된 지식자본이학습자의 보다 활발한 발화 및 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이와 같은 지식자본이 수업 상황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혼성적 수업 환경의 제공과 더불어 유입된 지식자본의 보편성,지식자본의 공유와 확장, 그리고 지식의 공동 구성 및 공유라고 하는실행공동체의 지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교수학습적 특성에 기반하여, 학습자가 가진 ‘잠재적 수업자원’으로서의 지식자본을 어떻게 ‘실질적인 수업의 자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것인지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지식자본을 기반으로 한 수업은 전통적인 수업에서 점점 소외되고 있는 다양한 비참여자들을 포함하여 학습자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업으로 초대할 수 있는 발판이 되어준다. 또한 학습자의 삶에서 비롯된 경험과 과학 지식의혼성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식의 공동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보다유의미한 학습 경험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Extracting students’ own culture and resources as main sources in science class, we begin a researchto explore teaching and learning settings that are more responsive to adolescents. This study has beendesigned to explore the funds of knowledge that students bring into middle school science class. It alsofocused on the feat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settings that stimulated the autonomous inflow of students``funds of knowledge as resources of science learning.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interviews with 7th grade studen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We foundthat students’ funds of knowledge were formed from their family life, neighbor communities, peer group,and pop culture. The funds of knowledge based on peer culture emerged as the most salient factor ofstudents’ enhanced participation and utterance. Common features of classes that stimulated the inflowof funds of knowledge were analyzed to be: (1) hybrid spaces for learning designed in advance: (2)sharing and enlargement of the funds of knowledge that has been brought into the class: and (3) commonorientation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for knowledge co-construction and shared outcomes. From thesefindings, this paper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students’ potential resourcesto actual sources of science class. It also discussed students``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specificallyamong the generally marginalized students.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funds of knowledge of studentsoffer an increased possibility of knowledge co-construction through the hybridized interactions of student``severyday lives and science knowledge and lead to mor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 KCI등재

        연구 참여 경험을 통한 과학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탐색

        백인영 ( In Young Baik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5

        본 연구는 첨단과학 교사연수센터에서 실시한 교사 연구경험(Research Experience for Teachers, RET) 프로그램에 참여한 세 명의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이다. 교사들은 RET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6개월 동안 과학자의 연구실에서 실험 수행 경험을 하였으며, 이 경험을 토대로 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 자료를 개발하였다. 교수법적 내용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을 교사가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가져야 할 지식으로 규정하고, RET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에 나타난 교사들의 전문성의 변화와 그들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3명의 참여 교사들은 RET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과학 교수 지향, 과학 지식, 학생 지식, 교수 지식, 그리고 자원 지식과 같은 PCK 요소들의 통합된 발달을 보였다. RET 프로그램을 통해서 발달한 PCK 요소들은 학교에서의 교수 실행에 반영되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교사들이 자신의 PCK 발달을 더욱 명확히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참여 교사들이 RET 프로그램을 통해서 진정한 맥락인 과학자의 연구실에서‘합법적인 주변 참여’를 통해서 학습했기 때문에 실제 과학의 과정을 알 수 있었으며, 교수 자료를 개발하는 동안에 새롭게 발달한 PCK 요소들과 교사가 이미 가지고 있던 PCK의 통합으로 그들의 PCK가 학교 현장의 실행으로 이어지도록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참여 교사들에 따라서 전문성 발달 요소와 양상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RET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 교사들이 가진 목적이나 그들이 가지고 이미 가지고 있던 PCK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 경험 제공을 통한 과학 교사들의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case study focused on three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xperience for Teachers (RET) program conducted by the Center for Bridging Advanced Science and Education (CBASE). The RET program provides opportunities for participants to experience experimentations in a science laboratory for six months, enabling teachers develop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ir experience from the RET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teachers had developed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which factors promote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 this research, we defin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s the required knowledge for teachers to develop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RET program, all three participants showed integration of PCK elements: orientation to teaching science, knowledge of science, knowledge of students, knowledge of teaching, and knowledge of sources. The PCK elements which had been developed by the RET program were applied in school context and the teachers`` belief became clear and strong. The teacher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authentic science as they learned it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authentic research context. They also showed dynamic integration between newly established elements of PCK by reflecting on the school context while developing the teaching material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ch teacher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PCK, which participants had already possess.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science teachers based on research experience.

      • KCI등재

        변화의 주체로서 과학 교사의 행위주체성 탐색 -COVID-19에 따른 원격 수업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경 ( Hyekeoung Lee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3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구성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교사 행위주체성을 바탕으로 맥락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맥락에 적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으로 인하여 실시된 원격 수업의 실행에서 어떠한 교사 행위주체성이 발현되었는지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인의 중등학교 과학교사가 2020학년도에 수행한 원격 수업 실행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연구 참여자가 실제 사용한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행위주체성을 교사가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 것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목표를 바탕으로 개인과 그가 속한 사회를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일련의 행위를 통하여 드러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이는 교사가 위치한 맥락과의 관계적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는 상황을 인식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적극적으로 변화를 만들거나, 자신의 실행을 일관적으로 유지하였다. 교사 행위주체성의 발현은 원격 수업의 상황에서도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가치 및 교육적 목표를 실천하기 위하여 적절한 교수·학습 접근을 취하거나 필요한 기술을 학습할 때 촉진되었다. 또한, COVID-19 상황에서 차질없이 수업을 제공하려는 단기적인 목표 혹은 교사가 미래의 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장기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교사 행위주체성의 발현은 추진력을 얻었다. 또한, 현재 교사가 위치한 맥락의 협력적이고 유연한 학교 문화, 교사들 사이의 활발한 협력, 수업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물질적인 지원은 교사 행위주체성의 발현을 지원하는 요소들이었다. 반면에, 대입을 위하여 학생의 성취를 강조하는 담론, 구체적인 실행과 관련한 지원의 부재, 지식 전달자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강조, 실행에 대한 성찰의 부재는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에 제약이 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떠한 교사 행위주체성이 발현되며, 그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사 행위주체성의 발현을 통한 교사들의 주체적이고 전문적인 실행을 지원하는 데 유용한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Teachers play a key role in designing a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Teachers are asked to interpret the context in which they are located and to adjust their practice to fit circumstantial needs based on their teacher agency.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in distance learning caused by COVID-19 and we analyze factors shaping the teacher agency. For this purpose, we interviewed six secondary science teachers who practiced distance learning in 2020. Semi-constructed interviews and their artifac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is study shows that teacher agency is captured when they respond to circumstantial change and modify their practice to achieve their professional purpose or adjust their practice in space for maneuvering or keep their practice consistent.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in two dimensions. One is individual and the other is contextual. In the individual dimension, educational values shaped by his/her experiences and short/long-term goals for the future support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In the contextual dimension, there are collaborative and flexible culture shared by the community, co-operation within the teacher community, and mater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in the individual dimension, the teachers’ sense of their role, and no reflection for own practice constrain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and in the contextual dimension, performativity discourse and strong requirement without guidance constrain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We suggest an effective lens for establishing a strategy that support teachers’ professional practice and the emergence of teacher ag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