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nsenoside 전환이 가능한 인삼 발효 미생물의 선별

        김희규,김기연,차창준,Kim, Hee-Gyu,Kim, Ki-Yeon,Cha, Chang-Jun 한국미생물학회 2007 미생물학회지 Vol.43 No.2

        오래전부터 약재로서 이용되어온 인삼(Panax ginseng)은 그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면서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서양삼에 비해 점차 뒤처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인삼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인삼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발효인삼은 유용한 미생물을 probiotic으로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생물에 의해 인삼의 ginsenoside 성분이 특이적으로 전환되어 기능적으로 우수한 제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분말만을 영양분으로 한 액체 배지에서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균주와 유산균의 생장능 및 인삼의 주요 ginsenoside의 전환능력을 알아보았다. 인삼 2.5% (w/v), 1% (w/v)의 인삼분말만을 영양분으로 한 액체배지에서 생장능과 발효 후 ginsenoside의 전환 여부를 확인하였다. 사용한 Bacillus 균주와 유산균 모두 인삼배지에서 $10^{7}\;CFU/ml$을 초과하는 생장능을 보였고, Bacillmus의 경우 ginsenoside $Rg_{1},\;Rb_{1},\;Rb_{2},\;Rc,\;Rd$간에 각 균주마다 특이적인 ginsenoside 전환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이 균주들은 발효인삼의 제조를 위한 접종균주로서 이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Panax ginseng has been drawing world-wide attention since it was used for medicinal purposes and its effects was discovered in scientific manner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e new ginseng products as functional foods to compete with western ginseng. Fermented ginseng could be an excellent solution, where useful probiotics are provided and ginsenosides are specifically transformed to functional for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rowth and ginsenoside biotransformation by 21 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Chongkukjang and 12 lactic acid bacteria. 2.5% (w/v) and 1% (w/v) of ginseng were used in culture media containing only ginseng powder as a sole nutrient source, and their biotransformation abilities were tested after the growths were checked. All used Bacillus strains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able to grow well in ginseng powder media at higher levels than $10^{7}\;CFU/ml$. Most of Bacillus strains displayed ginsenoside transformation in a strain-specific manner.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trains tes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potential starters for the ginseng fermentation.

      • KCI등재

        난백 유래 라이소자임의 마우스 살모넬라증에 대한 항균 및 치료 효과

        김희규,황재승,제우영,손송이,이후장,Kim, Hee-Gyu,Hwang, Jae-Seung,Jae, Woo-Young,Son, Song-Ee,Lee, Hu-Jang 대한수의학회 2016 大韓獸醫學會誌 Vol.56 No.2

        Salmonellosis is a major bacterial zoonosis that causes self-limited enteritis in animals and foodborne disease and typhoid fever in humans. Recently, multi-drug-resistant strains of Salmonella spp. have increased and caused more serious problems in public health.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egg-white lysozyme (EWL) against Salmonella (S.) Typhimurium and the therapeutic effects of EWL for murine salmonellosis. Evaluation of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EWL against S. Typhimurium revealed 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of EWL of 6.25 and $300{\mu}g/mL$, respectively. In the bacterial growth inhibition test, EWL at 300 (p < 0.05) and $600{\mu}g/mL$ (p < 0.01)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S. Typhimurium at 4 h post-incubation. EWL administration at MIC (LYS-1), MBC (LYS-2) and $2{\times}MBC$ (LYS-3) for 14 days resulted in mortality of mice infected with S. Typhimurium of 70, 40 and 10%, respectively, while that of control mice (CON) was 90%. Counts of S. Typhimurium in murine splee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LYS-2 and LYS-3 than CON (p <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WL has the potential for treatment of ICR mice infected with S. Typhimurium.

      • KCI등재후보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기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김희규 ( Hee Gyu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장애학생의 통합학급 적응행동기술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학생들이 통합학급 적응에 필요한 적응행동기술을 파악하여 장애학생 환경전환교육의 장애학생 관련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적응행동기술을 조사하고,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와 고학년 교사,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교사 간에 중요하게 인식하는 적응행동기술중요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적응행동기술 6개 하위영역 학급적응행동기술, 학교적응행동기술, 개인기술, 대인관계기술, 적절한 반응기술, 의사소통기술 총 74개 항목 중 24개 항목을 중요한 적응행동기술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수교사에 비해 일반교사가,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중학교 교사가,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에 비해 고학년 교사가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필요한 적응행동 기술에 대한 요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f adaptive behavior skills of the handicapped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The regular and special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ompleted a 74-item questionnaire that asked them to rate their perception as to whether or not a specific skill would be critical for success in the inclusive setting.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1) Regular teachers judged 30-items as critical skills for success in the inclusive setting, while special teachers judged 27-items as critical. Both regular and special teachers agreed upon the critical importance of 24-items. ; to follow directions, to demonstrate adequate attention, to obey rules, to tell the truth etc. 2) While there was considerable agreement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several differences did emerge with elementary teachers rating basic skill as more importance than secondary teachers and secondary teachers rating communication skill and academic skill. 3) While there was considerable agreement between low and high grade teachers, several differences did emerge with low grade teachers rating basic skill as more importance than high grade teachers and high grade teachers rating academic skill as more important. The competencies may vary from school to school or classroom to classroom, so placement team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of the unique feature of each school and classroom in determining specific inclusive criteria.

      • KCI등재
      • KCI등재

        장애학생 교과교육에 대한 수업실연 과정이 예비특수교사의 좋은 수업에 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희규(Hee Gyu Kim)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장애학생 교과교육에 대한 수업실연 과정이 예비특수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수교육 전공 예비특수교사 중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수업실연 강좌에 참여한 42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문항은 좋은 수업의 4개 주요 영역과 24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5점 척도로 사전 사후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사전 사후 검사 결과 모두 좋은 수업의 요소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낮은 실행도를 나타내었으며,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교육 방법은 우선적으로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 할 영역, 교육 환경은 좋은 성과를 나타내어 유지해야 할 영역, 교육 내용과 평가는 우선순위를 낮게 두어야 할 영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수업실연 과정은 예비특수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was analyze effects of simulated instruction activity on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ajor factors that constitute good instruction of pre-service prim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ttempted to find ways to improve pre-service prim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42 pre-service prim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main areas of good instruction. And major factors for each area,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factor were answered on a 5-point scale. A inventory had been administrated to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ir simulated instruction activity. The conclusion of present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simulated instruction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instruction. Second,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good instruc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educational methods to be concentrated for the improvement, educational environments to be kept up because of their good work,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assessments to have low priority.

      • KCI등재

        특수교사의 소속 및 학교과정 간 원격수업 운영 실태와 요구 비교 분석

        김희규(Kim Hee-gyu),김주혜(Kim Joo-hy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소속과 학교과정 간 원격수업 운영 실태와 요구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속별로는 특수학급 교사 55명, 특수학교 교사 46명, 학교과정별로는 초등학교 74명, 중등학교 27명으로 총 101명이 참여하였다. 특수교사들은 수업 계획 시,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원격수업을 위한 학습 자료 제작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답하였고, 원격수업을 위한 플랫폼으로는 ZOOM과 YOUTUBE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어려움은 장애 학생들마다 다른 학습 환경과 적합한 교육자료 제공으로 보고하였으며, 장애학생 수행 결과는 주로 학생의 출석과 내용 이해 정도에 대한 확인 정도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원격수업의 긍정적인 영향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으로 나타났고, 원격수업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특수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행정, 특수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소속별로는 원격수업 운영 유형과 선택 경로, 주로 활용하는 컨텐츠에서, 학교과정별로는 원격수업을 위해 활용하는 컨텐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원격교육 운영을 위한 특수교육 환경 및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ctual state and requirements of remote learning between affiliation of special teachers and school courses. 55 teachers of special class and 46 teachers of special school in terms of affiliation and 74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 and 27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 in terms of school cours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ecial teachers said that they used content-focused classes the most when planning classes and had the greatest difficulties in making teaching materials for remote classes. It was also found that ZOOM and YouTube were used a lot as platforms of remote classes. They reported that it was hard to have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of disabled students and to provide suitable teaching materials, and they just checked students attendance and level of understanding for the performance results of disabled students. The positive effect of the remote classes were found to be increase of class professionality of teachers and required improvements that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were administration that didn t consider speciality of special education and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contents for special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peration type and choice path and contents frequently used for each affiliation and contents to be used for the remote classes in terms of school cours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rovements of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and curriculum to operate remote classes.

      • KCI등재

        장애학생 스마트교육 실행을 위한 특수교사의 스마트러닝 교수효능감 비교 연구

        김희규(Hee-gyu Kim)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mart learning teaching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practicing sm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affiliation and school courses.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101 participants, consisting of 55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pecial classes and 46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pecial schools, and 74 elementary school and 27 middle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ir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wer general teaching efficacy than their personal smart learning teaching efficacy. In terms of affili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pecial schools showed slightly higher smart learning teaching efficacy than those from special classes. In terms of school curriculum,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lightly higher smart learning teaching efficacy than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to develop smart education support measur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ffiliation and school courses to practice sm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to improve the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and educational process for practicing smart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장애학생의 요구

        김희규 ( Hee Gyu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교육과정 보충 및 특기적성, 여가 활동을 위한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교사와 학부모, 장애 학생의 요구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장애학생을 위한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설문 조사와 면접 결과 교사와 학부모 모두 언어치료 등의 장애 보상 활동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예체능 활동 등 특기·적성지도와 지역사회 중심 교육 및 체험 활동 순으로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요구하였다. 또한 장애학생은 예체능활동 중심의 활동과 자연체험 활동 등 체험활동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와 같은 현장교사와 학부모, 장애학생의 요구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sis the needs of after school programs and to propose improvements for the chi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We gathered opinions of 24 teachers, 26 parents and 26 students from questionnaire, and had interviews with 8 teachers about after school programs for the handicapped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parents and teachers have answered that the students need after school programs and the most significant reason for that is their children`s educational,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Second, the needs of parents for the program focused on therapeutic education, academic base, and physical education in after school programs. Third, Teachers wanted that their children are given the activity based courses in after school programs. Finally, I suggested improvements of after school programs based on the parents and teachers` recommend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일반아동의 특수교육요구 아동에 대한 태도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김희규 ( Kim Hee Gyu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의 특수교육 요구아동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태도개선 프로그램을 이해중심 프로그램과 활동중심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적용하며 두 프로그램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결과 두가지 태도개선 프로그램 모두 일반아동의 태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활동중심 프로그램이 이해중심 프로그램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attitude change programs on nonhandicapp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peers. Two attitude change programs are activity-based program(e.g., disability simulation and reverse mainstreaming) and cognition-based prograni(e.g., film and books about the disabled, hypothetical examples). The resea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Nonhandicapp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peers were improved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programs. 2.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showing more improvement in the activity-based program group. 3.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boys and girls. 4.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on 2 parts of children’s attitude, but not on 1 part with positive tend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