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池北偶談≫ 卷1 <談故1>의 번역과 주해(6)

        金熙敬 ( Kim¸ Heekyoung ),金淑香 ( Kim¸ Sookhyang ),權夽映 ( Kwon¸ Eunyoung ) 중국어문연구회 2021 中國語文論叢 Vol.- No.107

        This paper is a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Chibeioutan(池北偶談) by Wang Shizhen(王士禛), an official, scholar and literary man in the early Qing Dynasty. Chibeioutan(池北偶談)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Biji(筆記)’ in Qing Period, and its contents cover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scholarship, history, institutions, and customs. The entire volume of Chibeioutan consists of 26 books and 1,292 articles, which are composed of “Tangu(談故)”, “Tanxian(談獻)”, “Tanyi(談藝)”, and “Tanyi(談異)”. This paper is the sixth of a series of papers. In this part, a total of 11 works, ranging from 57 to 67 pieces of “Tangu(談故) 1”, the last pieces of “Tangu 1”, were targeted for translation. In addition, the entire contents were briefly summarized while finishing “Tangu 1”, and the results and academic meaning of this study were examined. The main contents of “Tangu 1” consisting of 67 items can be divided into various topics such as personnel affairs, imperial examination systems, government posts, emperor-related cases, social systems, diplomacy, rituals among others. In particular, “Tangu 1” recorded many social systems as well as special and exceptional cases that show changes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In the future, we intend to continue this study to share the necessary research achievements with relevant researcher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고등학교 성적표 자동 산출 프로그램 TELL(Track Educational Location and Learning direction) 개발

        김희경(Heekyoung Kim),김건섭(Keonseob Kim),곽현석(Hyunseok Kwak),김경성(Kyung-su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4

        앞으로 미래사회에서는 지식 전달 위주의 수동적인 교육 방법과 달리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하여 즐겁게 공부하고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개개인 에게 맞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평가 측면에서는 중간·기말고사 후 학생들에게 단순한 점수와 등급, 등수만을 제시하는 전통적인 성적표에서 벗어나야 한다. 현행의 성적표에는 과목별 총점만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신의 강약점을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학생의 학습상의 특성에 대해 교사의 서술식 피드백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중간·기말고사 후 과목별 구체적인 학습요소별 성취도를 제시하여 학생 맞춤형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고등학교 성적표를 자동적으로 산출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재 학교현장에서 성적 관리는 나이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네트워크 없이 나이스 출력 자료와 프로그램만 가지고 성적표를 산출하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성취기준-학습요소 맵핑 구조를 개발하여 학생의 평가결과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 성취기준 또는 학습요소에 기반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명칭은 ‘고등학교 성적표 산출 프로그램’으로서 영문으로는 Track Educational Location & Learning direction이고 약자로 TELL이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ntroduce a practical high school report card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rating information to students, the ways in which it provide achievement levels in each specific academic elements after each term exams at Korean high school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new report card management system is designed to use the students’ academic data and two-specification tables directly from the NEIS system, which aimed to ease teachers’ workload. The purposes of developing this program is (1) to provide report cards of term exams that indicate each individual student’s achievement level on specific learning elements and the units they learned, (2) and to provide each students’ achievement level on the specific learning elements in a graphic form, which aids to increase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and its usage. This program reads the answer sheet and two-specification table files that are downloaded from the NEIS system, combine these information to analy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detail, and create report car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 KCI등재

        ≪어선당송문순(御選唐宋文醇)≫의 편찬과 간행에 관한 고찰

        김희경 ( Kim Heekyoung ) 중국어문연구회 2018 中國語文論叢 Vol.0 No.86

        Yuxuan Tang Song wenchun is an anthology of classical proses which was selected, commented and published by Emperor Qianlong and his ministers of Qing Dynasty. In addition to the legendary eight masters in Tang and Song Dynasty, it added to Li Ao and Sun Qiao of Tang Dynasty, and selected, compiled and criticized the proses of ten writers of Tang and Song Dyanasty. It is composed of 58volumes and was first published in the third year of Qianlong’s reign. It was later published several times,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iterary community until the end of the Qing Dynasty. This paper first analyzed its motives and purpose, and also the aspects of its compilation system, text choices, and criticism. Through this, I have searched for the standard and the direction of Qianlong’s essay writing and criticism in it. In addition, I examined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ang Song wenchun and the effects it would have. In its preface, Qianlong revealed a thought of the classical prose based on the literary thoughts of the Confucian. He inherited the achievements of Emperor Kangxi and Yongzheng, and shaped Confucian classics and Neo-Confucianism as the ideological basis. Tangsognwenchun increased the selection of sentences written by Tang Dynasty writers, this show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past anthologies published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Also, the criticism of this book focuses more on the social and political utility contained in the contents of the sentence than on the formal elements of the sentence. Therefore, Tang Song wenchun shows that the ruler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criticism activities and uses literary criticism for political purposes to protect and integrate the rule of the Dynasty.

      • KCI등재

        ≪지북우담(池北偶談)≫ 권(卷)1 <담고(談故) 1>의 번역과 주해(1)

        김희경 ( Kim Heekyoung ),김숙향 ( Kim Sookhyang ),권운영 ( Kwon Eunyoung ) 중국어문연구회 2018 中國語文論叢 Vol.0 No.87

        Chibeioutan (池北偶談) is the ‘biji (筆記)’ of Wang Shizhen (王士禛), who was a scholar and literary man of early Qing Period. I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biji in Qing Period, and its contents cover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scholarship, history, institution, and customs. The entire volume of Chibeioutan consists of 26 books and 1,292 articles, which are composed of “Tangu (談故)”, “Tanxian (談獻)”, “Tanyi (談藝)”, and “Tanyi (談異)”. Chibeioutan has not yet been translated and properly annotated into Korean and modern Chinese. So we ultimately aim to translate entire volumes of the Chibeioutan into Korean with detailed annotations on the basis of the 2006 edition published by Zhonghua Book Company.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of the project, which includ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book and a translation and annotation about the preface of Chibeioutan written by Wang Shizhen and ten articles on “Tanggu 1”. Through this work we can provide the background information relevant to the book, such as author’s purpose of writing, outline of the book, process of publication, and so on. In addition, through the 10 articles contained in “Tanggu 1”, we are able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office system, the examination system, diplomacy, and so on. This book describes a lot of articles that were not covered in history and meaningful criticism in literary history. So, it contains important data in studying of early Qing period. Therefore,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research by providing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Chibeioutan as important reference materials for related research.

      • KCI등재

        The Effect of IRT Scaling Methods on Group-Level Assessment of Year-to-Year Change

        HeeKyoung Kim(김희경),Seonghoon Kim(김성훈)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2

        학교 또는 집단 수준에서 학업 성취의 연도별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연구는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문항반응이론(IRT)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자 할 때, 척도변환 방법이나 동등화 방법을 바꾸면 연도별 성장률이 다르게 계산되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특정 조건에서 연도별 변화 추이를 산출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측정학적 방법을 모색하고자 비동등집단 공통문항 설계의 상황 하에서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두 가지 IRT 척도화(scaling) 방법을 비교하였다. 첫째 IRT 척도변환 방법은 동형검사들의 문항모수를 개별적으로 추정(separate estimation) 한 후 Stocking-Lord 방법을 사용하여 능력척도를 변경시키는 절차를 포함하고, 둘째 방법은 이전 검사에서 사용된 공통문항의 모수를 고정시키고, 나머지 문항의 모수를 추정함으로써(fixed estimation) 공통척도로 변환을 이루는 절차를 포함하였다. 두 가지 IRT 척도화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더욱 정확한 성장률을 산출하는지 실제 데이터에 기초한 학교 수준의 데이터를 모의 생성하였다. 연도별 성장률을 파악하기 위해 ‘기초수준 미달 비율의 변화’와 ‘연도 간 점수 차이’를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두 가지 척도화 방법은 기초수준 미달 비율과 연도 간 점수 차이 중 어떤 기준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There has been a great concern in measuring year-to-year performance changes for schools or school districts. Use of different IRT scaling and equating options might produce different or conflicting results in regard to school's yearly progress. This study aims to provide measurement practitioners with guidance in selecting a psychometric method that is most suitable to their particular situations. Assuming the common-item nonequivalent groups equating design, this study used computer simulation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wo IRT calibration/scaling procedures (fixed item parameter calibration vs. separate calibration by form followed by the Stocking-Lord linking method) for assessing group-level progress in a contrived linking and equating situation. The relative performance of the two IRT scaling procedure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computing two growth indices: the percentage of students below standards and gain scores between two time points. The results showed that two growth indices did not show consistent patterns.

      • KCI등재

        중학교 학생의 국어·수학 학업성취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비인지적 특성 탐색

        김희경(HeeKyoung Kim),한정아(Jung-A Ha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1

        학생의 교과에 대한 비인지적 특성 신장은 해당 교과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인이라 것이 많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졌다. 반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비인지적 특성에서의 성취는 국제적 기준에 비추어 볼 때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비인지적 특성 신장은 주요한 교육적 현안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교 3학년 국어, 수학과 자료를 대상으로 학생의 교과별 인지적 학업성취를 설명할 수 있는 비인지적 특성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특히 종속변수인 교과별 학업성취를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국어과는 7개, 수학과는 5개의 세부 학습영역에서의 학업성취 프로파일로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교과 특수적 비인지적 특성(교과 흥미, 교과 가치, 효능감)을 신장하기 위한 가정환경, 학교생활 적응 및 관계, 수업 태도 등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어, 수학교과에서 일관적으로 교과특수적 비인지적 특성은 해당 교과의 학업성취 프로파일에 정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또한 국어, 수학교과에서 일관적으로 가정환경이나 학교생활 적응 및 관계는 수업 태도의 매개를 거쳐야 교과특수적 비인지적 특성에 대한 예측력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수업 태도로의 경로계수는 가정환경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 및 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variables affecting student achievement profiles or attribute mastery levels were explor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pproach.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profiles estimated using cognitive diagnostic model.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non-cognitive variables and the mastery of learning elements for Korean Languages and Mathematic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amily background, the level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 school climate positively and indirectly affected the mastery the mastery of learning elements for Korean Languages and Mathematics through the medium of the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for subjects. The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for subjects positively and directly affected the mastery of learning elements for Korean Languages and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dicate that a gap in academic achievements can be caused by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Also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are affected by the family background, the level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 school climate.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 분석 사례

        김희경(Kim, HeeKyoung),정혜경(Jung, Hye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각 교과 내의 어떤 구체적인 세부 학습영역에서의 학업성취에서 강점과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향후 학생의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좀 더 유용하고 상세한 교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첫째,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교과 내 세부 학습영역 단위에서 산출하고 제공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교과 검사 문항을 예시로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세부 학습영역을 도출한 후,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 문항과 세부 학습영역의 연결 관계를 제시하는 Q행렬을 개발하였다. 세부 학습영역을 도출하기 위해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출제 근거인 교육과정상의 성취기준에 기반을 두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 함양 및 역량 평가를 강조하는 점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교과 8개 학습영역에서의 학업성취도를 산출함으로써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교과에서의 세부적인 특성(강약점)을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more useful and detailed educational information by providing analytic assessment results in which sub-content areas of each subject the students efforts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first, the way to re-analyze the results of the NAEA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ub-content areas of each subject was explored, and piloting with the science test items of the 2017 NAEA was conducted by extracting sub-content areas from science data of thi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and at the same time developing a Q matrix indic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test items based on its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sub-content areas of science as an example. Second, by measur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8 sub-content areas in science of thi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using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students’ detailed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weaknesses) were analyzed.

      • KCI등재

        노년의 장소와 장소상실

        김희경(Kim, Heekyou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AIP(Aging in Place)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민간단체, NPO 법인, 고령자 및 이웃 등 다양한 행위주체들이 갖고 있는 상이한 장소개념 및 장소감각(sense of place)이 서로 충돌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당사자인 노인들이 소외되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음을 일본 농산촌 지역 사례를 통해 규명한다. 이를 위해, 첫째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노인들의 장소 및 장소상실(placelessness)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노인들의 장소감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둘째,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에서 제시하는 장소가 노인들의 장소감각과 얼마나 상이한 지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셋째, 고령자 생활협동조합 및 민간 자원봉사단체에서 제3의 장소를 제시하려는 시도와 한계에 대해서 논한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AIP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장소상실이 어떠한 정치경제적 맥락 속에서 발생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아울러 노인들의 변화하는 장소감각에 상응하는 실질적인 대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 how the concept of AIP (Aging in Place) has been applied in super-aging Japa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elder people dwelling in rural community. In the academic and governmental discourses, place has been described as static and constant, and the elder"s attachment to their place has been generally overemphasized. However, the elderly’s sense of place has been changed through their interaction with various agents including neighbor,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dynamics of place experience to realize the philosophy of AIP.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감과 수면 상태가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

        김희경(Kim, Heekyoung),김성훈(Kim, Sungho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의 자살 관련 행위에 대하여 행위 이면의 정서 상태를 이해하고 자살 예방에 보다 직접적이고 실천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자살 행위의 시작은 자살사고로부터 시작되므로 자살 사고를 낮추는 것은 자살 예방에 있어서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한다. 자살 사고에 대한 이해는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청소년기의 특성과 그들이 경험하는 환경과의 상호작용 결과인 여러 현상들을 통해 가능해진다. 이에, 청소년의 배경 특성, 자기감(sense of the self)과 폭력 경험, 수면 상태(수면에 대한 만족감, 수면 시간)의 독립변인들을 위계적으로 설정하여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 간 비교를 통해 자살 사고를 낮출 수 있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종 57,58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자살 사고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슬픔과 절망감의 경험이 자살 사고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슬픔과 절망감의 경험은 경험하지 않은 것에 비해 20.4% 높게 나타났으며, 폭력 경험 역시 경험하지 않은 것에 비해 8.7%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수면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이 1단위 증가할수록 자살 사고 승산은 3.6% 줄어드는 부적효과를 나타냈으며, 6시간에서 9시간 이내의 수면 유지는 자살 사고에 유의하지 않았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자살 사고를 낮추기 위해서는 왜곡되지 않은 자기 인식과 자기에 대한 긍정성, 타인과의 소통, 그리고 건강한 수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환경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ith an aim to find ways to alleviate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subjective self-awareness, and sleep states on suicidal ideation.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the data of the ‘12th (2016)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t was found that girls rather than boys, middle schoolers rather than high schoolers, those who having experience of sadness and/or hopelessness rather than those who did not, those who sleep too much, and those dissatisfied with sleep rather than those satisfied were more likely to ideate suicide. The experience of sadness and/or hopelessness had the greatest effect, that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having such experience was 21%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It was discussed that, in order to lower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they need to be educated about how to outwardly express negative emotions such as sadness and/or hopelessness instead of suppressing such negative emotions, and how to sleep properly and well. It is acknowledged also that changes in suicidal ideation needs to be further studied.

      • KCI등재

        재검 여부와 재검 횟수에 따른 검사 동등화 차이 연구

        김희경(HeeKyou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4

          검사 동등화는 피험자가 어떤 유형의 동형검사를 치렀는지에 관계없이 검사 점수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해준다. 검사 동등화가 적절히 수행되기 위해서 지켜져야 할 집단불변성(population invariance) 원칙에 따르면 동등화 결과는 어떤 집단을 사용하는지에 상관없이 항상 유일해야한다. 전체 피험자 집단을 재검 여부에 따라 구분하면 초검자 집단과 재검자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재검자는 이전에 똑같은 검사상황을 접한 경험이 있으므로 초검자에 비해 유리할 수 있다. 재검자의 비율이 높은 검사 도구의 경우 재검자가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고 따라서 재검자를 제거한 동등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재검자가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 집단을 이용한 동등화와 초검자 집단을 이용한 동등화를 비교하여 집단불변성 원칙을 평가하는 접근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IRT 진점수 동등화와 동백분위 동등화가 이용되었으며, 또한 재검 횟수에 따라 재검자가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 확인하기 위하여 재검자 집단을 두 번째 재검자와 두 번 이상 다수 재검자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 쓰인 검사 도구의 경우, 전체 집단과 초검자 집단 간에 동등화 결과 차이는 크지 않았으므로 전체 집단을 이용한 동등화가 정당화 되었다. 하지만 재검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재검자의 영향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재검자의 비율이 높은 검사 도구의 경우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재검자가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Population invariance property should be satisfied in order to say that the equating relationship is appropriate. Under the population invariance property, the equating relationship for a test should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group used to conduct the equating. Repeaters are examinees who have taken the test previously so that they might benefit from experience. Especially when a test contains high proportion of repeaters, test equating might be affected by inclusion of repea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repeaters on equating using a population invariance approach, and to provide guidance for considering weather or not to eliminate repeaters in equating. This study used IRT true score and equipercentile equating methods. Also, repeaters were classified into second-timers and examinees who are repeating more than twice(multiple repeaters) to evaluate weather or not to ignore the number of repetitions. As an overall evaluation, equating difference between total group and non-repeater group was not large enough to be serious concern. Therefore, the total group equating appears to be justified for a test used in this study. However, when the proportion of repeaters is greater, the comparison between total group and non-repeaters group might show greater difference. For the test that contains high proportion of repeaters, the repeaters" effect on equating should be examined as was done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