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소르지멘토와 19세기 이탈리아 소설: 리소르지멘토 초기 민족의식 - 포스콜로의 『야코포 오르티스의 마지막 편지』와 펠리코의 『나의 옥중기』를 중심으로 -

        김효정 ( Kim¸ Hyojung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6 No.-

        리소르지멘토는 일반적으로 1815년에서 1871년까지의 역사적 시기를 말한다. “리소르지멘토”란 말은 이탈리아 국가의 정치적 통일의 시작과 발전 및 완성을 특징짓는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혁신 과정을 의미한다. 19세기 초반 이탈리아는 여러 소국으로 분열돼 있었고, 독립과 통일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이 부재했다. 1817년 최종판이 나온 우고 포스콜로의 『야코포 오르티스의 마지막 편지』에서는 이탈리아의 탄생을 말하고 있으며, 이탈리아가 수백 년간 외세의 지배로 인해 역사의 주체가 되지 못한 이유를 분열과 민족의식의 부재로 파악한다. 카르보나리 당원이라는 의심 때문에 오스트리아 경찰에 체포된 실비오 펠리코는 10년 간의 감옥생할 경험을 담은 『나의 옥중기』를 출판했다. 이 작품은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그리스도교와 소박한 사람들의 인간성이 주는 위로를 말하고 있다. Resorgimento generally refers to the historical period from 1815 to 1871. The term “risorgimento” means the process of cultural, political and social innovation that characterizes the birth, development and achievement of the political unity of the Italian state. In the early 19th century, Italy was divided into several small countries, and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of independence and unification was absent. Ugo Foscolo’s Ultime lettere di Jacopo Ortis, published in the final version in 1817, speaks of the birth of Italy, and the reason why Italy has been ruled by foreign powers for hundreds of years is understood as division and lack of national consciousness. Silvio Pellico, who was arrested by the Austrian police for suspicion of being a member of the Carboneria, published Le mie prigioni which tells the story of 10 years of imprisonment. This work speaks of the comfort of Christianity and the humanity of simple people in a painful situation.

      • KCI등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중등 인성 교육의 세부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김효정,Kim, Hyojung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7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2

        The advancements in scientific technology and information network in the 21st century allow us to easily acquire a desired knowledge. In the midst of today's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and cultural diversification, adolescents experience emotional confusion while accommodating diverse cultures and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ree aspects of character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are ethics, sociality, and emotion, and the actual sub-factors required for character education.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dolescents who were at a character-building age,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on the sub-factors. The statistics program SPS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aits of the subjects and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variables. The 2-mode data that were finally selected were converted to 2-mode data using NetMinder 4, which is a network analysis tool. Furthermore, a data network was established based on a quasi-network that repres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ethics, sociality, and emo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s considered honesty and justice to be the sub-domains of the ethics domain. In addition, they identified sympathy, communication,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cooperation as the sub-domains of the sociality domain. Finally, they believed that self-understanding and self-control were the sub-domains of the emotion domain.

      • KCI등재

        SW산업 종사자들의 개인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보상과 외재적 보상 조절효과 -

        김효정,Kim, Hyojung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8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W industry workers and investigated how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we examined how satisfaction with these jobs varies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internal control and external compensation. This study surveyed the employees of SW industry in Seoul and Daegu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15,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extroversion, openness, friendliness and integr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Park and Song, 2005), which suggests that people with extroversion are more likely to feel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open empathy has a tendency to share with others in work, and positive emotions in work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because they show high achievement in work. A friendly person places great importance on a comfortable and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others, so he builds and maintains good relationships with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by trusting others in the organization. Third, nervousnes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Yoo, 1987) in which the more nervousness is, the more unpleasant emotions work and the more negative emotions and negative experiences occur. Fourth,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i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rinsic compensation and external compens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due to intrinsic compensation and external compensation.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공공후견서비스 활동 경험과 과제 -권익옹호의 관점에서

        김효정,박인환,최윤영,Kim, Hyojung,Park, Inhwan,Choi, Yunyoung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공공후견서비스 사업이 당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권익옹호를 하는 제도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경험과 과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공공 후견법인 후견업무 실무자 11명을 대상으로 전문가인터뷰를 실시하고, 과정분석과, 유형분석 등을 통해 실천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정신장애인의 공공후견서비스를 통해, 후견의 권리옹호의 가능성과 시설의 긍정적인 태도변화 및 정신장애인의 권리회복을 위한 방향성 확립 등이 도출되었다. 공공후견법인 종사자들은 후견인에 대한 과도한 권한 부여나 업무 과정에서의 여러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정신장애인들의 권리를 옹호하고 자기결정권을 지원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후견서비스의 필요성과 확대의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challenges of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project for the mental disabled as a system of supporting the decision-making and the rights advocacy.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ith 11 social workers who act as public guardians were conducted and a model of practice was suggested through analysis using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s, the possibility of rights advocacy through public guardian services for the mentally disabled, the positive change of attitude of the fac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 for the restoration of rights for the mentally disabled were derived. Public guardians experienced excessive empowerment of their guardians or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heir duties, but were also able to defend the rights of the mental disabled and support self-determination right. Through this study, expansion of budgets and expansion of beneficiaries for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integration in the community, set-up a support organization for public guardian services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mental disabled and public guardian services were suggested.

      •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효정(Kim, Hyojung) 한국후견·신탁연구센터 2019 후견과 신탁 Vol.2 No.1

        본 연구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인식하는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정도를 살펴보고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서울시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에 근무하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 중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독거노인생활관리사가 인식하는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은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실행지원’과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이해’의 두 하위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각 하위 요인을 기술통계 분석한 결과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실행지원’은 2.41,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이해’는 2.66으로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은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해서는 이해가 높은 편이나 그에 비해 실천현장에서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이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되는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각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이해’에 대해서는 경력기간과 거소결정에 대한 노인의 의사반영 중요성 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독거노인 자기결정권 실행지원’은 지역과 거소결정에 대한 노인의 의사반영 중요성 인식이 유의미했다. 이에 따라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노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이해는 높으나 실천현장에서 실행되기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의 교육내용에서 자기결정권에 대해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개념만 가르치기보다 실천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통한 교육이 필요하며 경력기간에 따라 차별화된 자기결정권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he perception of Self Determin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f Life Manager an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at perception. For this study, this study took sampling of 150 life managers for Older Persons Living Alone (solitary elderly care managers) working at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Ling alone in Seoul-si,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wo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1. Understanding of self-determination, 2.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execution. (2) Life managers for Older Persons Living Alone understand self-determin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ell but it has not been shown to work well in social welfare field. (3) Affecting factors on ‘Understanding of self-determination’are the length of career and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decision of older people on where to be and Affecting factors on ‘Support for self-determination execution’are the region of the respondents and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decision of older people on where to b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raining program for Life managers for Older Persons Living Alone should be provided practical examples of self-determination that are applicable in the field and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areers.

      • KCI등재

        활용(Exploitation)과 탐험(Exploration)에 대한 실증연구 결과가 제기하는 개념적 이슈와 향후 연구과제

        김효정(Hyojung Kim),박남규(Namgyoo K. Park) 한국전략경영학회 2010 전략경영연구 Vol.13 No.3

        March(1991)가 제시했던 활용(Exploitation)과 탐험(Exploration)은 조직학습 분야에서 실증연구에 기여한 중요한 논문들 중 하나이다. March 이후 많은 연구들이 활용과 탐험의 개념적 중요성을 강조하며 조직 이론, 기술 혁신, 경쟁우위 창출 과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실증연구는 다소 혼재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활용과 탐험을 다룬 실증연구에서 혼재된 결과에 대한 원인은 다양한 이유에서 찾을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혼재된 원인에 대한 시작이 서로 다르게 쓰이고 있는 정의 문제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따라서 활용과 탐험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에서 제시한 개념적 정의를 리뷰하고, 혼재된 연구결과에 대한 원인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활용과 탐험을 투입의 개념으로 정의하느냐 아니면 결과물의 관점에서 규정하느냐 하는 경우, 2) 활용과 탐험은 해당 기업에 따라 그 정도(degree)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반면, 활용과 탐험을 구분하는 기준점이 연구자들마다 서로 다른 경우, 3) 실증연구를 수행하는 맥락(context)에 따라 활용과 탐험에 대한 정의를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 4) March(1991)의 개념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정의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기존 정의를 기반으로 하는 연구 결과와는 상당한 차이가 생기기 마련이라는 원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을 통해 밝혀낸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활용과 탐험 실증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이 고려해야 할 구성요소들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활용과 탐험에 대한 미래 연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ince the publication of March (1991) seminal work, the terms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have increasingly come to dominate organizational analys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ganization design, organizational learn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organizational survival. Despite growing use of those constructs,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o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remain in inconsistency. Although the reason of inconsistency may come from diverse reas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ason of inconsistency starts with the conceptual definition issues. Therefore, we review 72 literatures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o identify the reasons for the inconsistency and suggest 4 reasons. 1) Whether researcher define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as input or output concept, 2) While the degree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from focal firm may vary, criteria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may not be consistent with the actual degree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orientation, 3) the definition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may vary based on the context of specific empirical studies, 4) the studies following March which brings concept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deviating greatly from original definitions might be the reasons for the inconsistency i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studies. Basing on those reasons of the inconsistency,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t issues o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studies and the guidelines for future empirical studies.

      • KCI등재

        국제 전염성 질병에 대한 보건 협력 유형 연구: 에이즈, 사스, 에볼라, 코로나19를 중심으로

        김효정 ( Hyojung Kim ),김영완 ( Youngwan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21 담론 201 Vol.24 No.3

        전염병은 인류의 역사와 늘 함께하였지만, 21세기에 대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는 우리의 일상을 완전히 바꾸었다. 이에 국제 보건 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인류가 겪었던 전염성 질병 중 에이즈, 사스, 에볼라, 코로나19를 대표적 사례로 선정하여, 국제 보건 협력을 유형화하고 각 사례별 결정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염성 질병에 대응하는 국제 사회의 보건 협력은 강대국의 주도적 역할, 질병 발생국의 적극적 협력태도, 인도주의적 원칙에 기반한 국제사회의 지원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즈의 경우 질병 발생국의 적극적 협력 태도와 인도주의적 원칙에 기반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결합한 양상이었으며, 사스는 질병 발생국의 협력 태세가 전환됨에 따라 국제 보건 협력의 양상이 변화하였다. 에볼라와 코로나19는 강대국이 전염성 질병에 어떻게 대응하며 국제 보건 협력과 관련하여 어떠한 태도로 참여하는지에 따라 국제 보건 협력의 양상이 전혀 다르게 나타난 것을 입증하는 사례이다. 인류의 위협이 되는 전염성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제 보건협력을 개선 및 증진할 수 있는 방향을 찾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을 명확히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always a global concern in history. COVID-19 has completely changed our daily lives and increased the need for international health cooper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spect of international health cooperation, analyzing cases of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HIV/AIDS, SARS, Ebola, and COVID-19 that have occurred in recent years with a high mortality rate. HIV/AIDS and Ebora can be considered as successful cases of international health cooperation while SARS stays in the middle. COVID-19 is analyzed as a failure case. The success of international health cooperation might depend on the leading role of major powers, assistance based on humanitarian principles, and the attitude of countries with an epidemic. In this study, we also attempt to find a way to improve international health cooper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미래계획 수립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김효정(Kim, Hyojung) 한국사례관리학회 2021 사례관리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당사자들이 미래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미래계획 수립을 위한 개입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주변으로부터 도움 정도, 발달장애인의 참여 보장 정도, 자조모임 참여의향, 필요한 정보 제공의 충분성과 사회적 어려움 및 일상생활 어려움, 종속변인으로는 미래계획 수립 필요성 인식으로 하여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여자일수록, 장애등급이 중증일수록, 생활보장 유형이 비수급자일수록 미래계획 수립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발달장애인 인식요인 중에서는 필요한 정보 제공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낄수록, 발달장애인의 참여가 잘 보장되고 있다고 느낄수록, 자조 모임에 참여 의향이 있을수록, 사회심리적 어려움이 없다고 느낄수록 미래계획 수립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들에게 지역사회 및 정부차원의 서비스 및 제도 등 포괄적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를 갖출 것과 발달장애인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다양한 지원의 활성화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ervention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future plan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future plans.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factors relating to demosocial factors, recognition facto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in daily life o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future plans were examin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es: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future plans of women was higher than men and the higher of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higher the need to establish a future plan. The Social Assistance Recipients are higher likely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future plans. Among the cognitive facto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ore they felt that the necessary information was not provided,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to establish future pla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system that provi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such as services and systems at the local community and government level to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to activate various supports that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파트너십 확대 방안 연구

        김효정(Hyojung Kim)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5

        코로나19라는 전 지구적 위기 발생 이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관련 논의에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었다. 특히 재원 발굴, 정책 효과성 문제 해결을 위한 개발 파트너십 확대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인적·물적 자원,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주요 행위자로 대두되었지만 SDGs 이행 과정에서 기업의 역할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개발 파트너십의 개념과 등장 배경, 기업이 주목받는 원인을 소개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국제개발협력 관점에서 분석하여 개발파트너십 확대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주 중심론, 이해관계자 중심론, 기업시민론적 관점을 통합한 이론적 분석틀을 토대로 기업의 ESG와 SDGs의 연계를 제안하여 개발파트너십 확대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기업이 개발 파트너십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SDGs 이행참여를 통한 ESG 성과 향상이 ESG 투자 확대를 유발한다는 주주 중심론,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를 창출한다는 이해관계자 중심론, 기업의 ESG 목표와 SDGs의 연계가 국제규범과의 정합도를 향상시킨다는 기업시민론적 논의를 통합하여 기업에게 제공할 유인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After the COVID-19 pandemic, discussions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have stalled, the SDGs are still considered as a global consensus and comprehensive agenda for us. Private sector, especially companies have come to be indispensable actors in the context of comprehensive partnership for the delivery of the SDGs. Academic analysis on the role of business in the SDGs implementation, however, have not been doing enough.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development partnerships, and tries to find out why corporations can be the most significant potential partners. In order to analyze, this research examin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article suggests an integrated approach for CSR, which may provide theoretical evidence for links between the SDGs and ESG of companies. Now is the time to redefine the concept of the development partnership and establish an environment where companies could play an active role in development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