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Agmatine Iminohydrolase의 정제 및 특성(I)

        김효섭,김희정,조영동,Kim, Hyo-Sup,Kim, Hee-Jung,Cho, Young-Dong 고려인삼학회 1995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19 No.3

        Agmatine iminohydrolase (EC 3.5.3.12) catalyzes the hydrolysis of agmatine into putrescine. The enzyme seems to be one of the critical enzymes in putrescine biosynthesis. The enzym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Panax ginseng C.A. Meyer by combined method of ammonium sulfate 1 fractionation, DEAR anion exchange column, hydroxyapatite column and agmatine carboxyhexyl Sepharose 4B affinity column. The molecular weight estimated by native pore gadient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71, 000 Dalton, while that estimated by SDS-PAGE was 70, 000 Dalton, indicating a monomeric enzyme.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were 9.0 and 37$^{\circ}C$, respectively. The Km and 1 Vmax for agmatine were 8.3 mM and 14.4 nmole/hr, respectively. Heat stability of this enzyme was high. The enzyme was observed to be inhibited by polyamines such as putrescine, cadaverine, spermidine and spermine. Especially, putrescine was a potent inhibitor of the purified enzy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yamines could be important in growth regulation of Panax ginseng C.A. Meyer.

      • KCI등재

        “정직(Redlichkeit)”에 관한 니체의 윤리학적 고찰

        김효섭(Kim, Hyo-sup)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9 No.-

        본 논문의 주목적은, 니체가 “가장 젊은 덕”이라 칭송하며 주요한 성격적 탁월성들(excellences of character) 중 하나로서 제시하는 “정직(Redlichkeit)” 이라는 인격적 특성을 철저히 조명하는 것이다. 니체가 염두에 두고 있는 이 개별적인 기질 혹은 성향은, 기성도덕이 지고의 덕목으로 간주하는 ‘정직’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것으로서,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지니는 ‘욕구’(affect)와 관련된 경향성이다. 필자는 우선, 니체적인(니체가 제시하는) 탁월성으로서의 정직이 어떤 본질을 지니는지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후 필자는, ‘지녀야 하는 것’ 혹은 ‘추구해야 하는 것’으로서의 ‘규범성(normativity)’으로 구성되는, 니체의 ‘가치(value)’ 이론상에서, 정직이 어떤 위상을 지니는지, 특히 이 경향성이 과연 ‘내재적인 가치(intrinsic value)’로서 다루어지는지의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니체가 어떤 이유에서 정직에 전술한 ‘규범적 의미(normative import)’를 부여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노력한다. The main aim of this article is to thoroughly illuminat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honesty (Redlichkeit)” that Nietzsche presents as one of the major ‘virtues’ in the sense of ‘excellences of character’, calling it “the Youngest Virtu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honesty’ that conventional morality regards as the highest virtue, this particular trait or inclination Nietzsche has in mind is an affective disposition with a highly complicated structur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ruth’ and ‘knowledge’. In this paper, I first analyze what “honesty” (as a Nietzschean excellence of character) consists of. Afterwards, I seek to answer what the evaluative status of the quality in Nietzsche’s theory of ‘value’ understood as what ought to be possessed or pursued, especially,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disposition is treated as an ‘intrinsic’ value. Finally and most importantly, I explore the reasons why Nietzsche confers the aforementioned normative significance upon the excellence at issue.

      • KCI등재

        니체의 도덕 '부정'의 논리적 구조

        김효섭(Kim, Hyo-sup)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8 No.-

        니체는 서구 기성도덕의 신랄한 비판가로 유명한 동시에 악명 높다. 니체의 도덕 비판은 그의 윤리학, 더 나아가 그의 철학 전체 내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고, 그 자체로서 상당히 복잡하며 방대한 하나의 '체계'로 간주될 수 있다. 그 체계는 도덕의 상이한 측면들을 (공격의) 대상으로 삼는 몇 가지 부분들로 이루어진다. 짧게 말해, 도덕의 기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라 할 수 있는 '계보학적 비판', 도덕의 인식론적 지위와 객관타당성을 문제시하는 '인식론적 비판', 도덕의 윤리적 의미나 가치를 묻는 '실천적 비판', 그리고 도덕의 진리성(truth)을 반성하는, 도덕의 '내용 비판'이, 니체의 도덕 비판 전체를 구성하는 차원들이라 하겠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필자가 '도덕의 내용 비판'이라 칭한 도덕 비판의 일부에 대한 조명을 시도한다. 한마디로 이 비판의 주요 논지는 (대체적으로 보아) 도덕은 거짓이라는 명제이다. 즉, 니체는 도덕이 객관타당성을 결여하기에 '지식'의 지위를 지닐 수 없는 신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 것('인식론적 비판'의 논지)을 넘어서, 도덕을 문자 그대로 '부정'하는 것이다. 도덕의 내용 비판은 또한 '가치의 재평가'라는, 니체 자신이 특히 강조하는 프로젝트로 구성되는데, 이는 니체의 도덕 부정에 있어 직접적인 논거로서 기능한다. 가치의 재평가 작업에서 니체는 기성도덕이 상정하는 다양한 '가치들', 즉 일반 대중이 '가치'라고 상식적으로 믿고 있는 항목들이 실제 어떤 윤리적 지위를 지니는가를 묻고, 결과적으로 그것들에 새로운 윤리적 의미를 부과한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재평가에 기초하여, 니체는(그 항목들을 가치로서 제시하는) 도덕의 신념들을 부정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 도덕의 재평가, 즉 도덕상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의미 부여는 자의적이지 않고, 그 반대로 니체 나름의 대안적 규범 윤리학적 틀,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그의 내재적(본래적) 가치에 대한 관점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도덕의 내용 비판의 구조, 즉 도덕 부정의 논리적 구조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필자는 그래서, 니체가 어떤 도덕의 가치 판단/신념들을 거짓이라 판단하는지, 그리고 그런 판단의 직접적인 논리적인 근거인 니체의 (가치) '재평가'은 어떤 구조를 지니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필자는 이 재평가의 근거요 도덕 부정의 궁극적 토대는 무엇인지, 특히 니체 나름의 가치 기준은 무엇인지를 묻는다. Indeed, Nietzsche is famous (and notorious) for his severe critique of conventional morality. His critique of conventional morality forms the core of his philosophical ethics, and arguably, of his entire philosophy. It can be seen as involving some mutually related parts, each of which engages with a different aspect of morality and is far-reaching and hugely complicated. That is to say, the entire critique is composed of (1) the well-known 'genealogical critique', which criticises the origin of morality, (2) 'epistemological critique', which problematises the epistemological status and objective validity of morality, (3) 'practical critique', which assesses the (ethical) value of morality itself, and finally, (4) the critique of the contents of morality, which reflects on the truth of its constitutive judgements/beliefs. In this writing, I attempt to illuminate the fourth dimension of morality, which I term 'the critique of the contents of morality'. In short, the main point of this critique is that for the most part, conventional morality is 'false'. Thus, going further from arguing that morality lacks objective validity, and hence, is a mere faith unable to possess the status of 'knowledge', Nietzsche here literally 'denies' or 'negate' morality. Moreover, the critique of the contents of morality also consists of the task of the "revaluation of values" the importance of which Nietzsche so often emphasizes, and this task functions as the direct logical ground of the denial of morality. The revaluation of values lies in the ethical re-assessment of items morality views as values and in the conferment of new evaluative-normative meanings on them. And it is on the basis of this form of revaluation that Nietzsche negates the related moral beliefs. Furthermore, the revaluation of values construed as such is not arbitrary but reflective of Nietzsche's own, alternative normative ethical framework, more precisely, his perspective on intrinsic value. The present work focuses its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of morality, that is,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denial of morality. It thus explores what value-judgements constitutive of morality Nietzsche regards as false, what Nietzschean revaluation of values consists in, and finally, on what basis Nietzsche revalues the 'values' presented by morality.

      • KCI등재

        사회화 전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효섭(Kim, Hyo Sup),노명화(Roh, Myunghwa)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사회화 전략과 조직적응간의 관계를 지식공유가 매개역할 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사회화 전략은 조직사회화 전략과 개인사회화 전략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조직사회화 전략과 개인사회화 전략은 사람들과의 관계적인 측면과 관련된 사회적 및 대인사회화 전략, 관계적인 측면보다는 조직의 매뉴얼과 같은 비대인 측 면을 통한 내용 및 비대인 사회화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람들과의 관계적인 측면과 관련된 사회적 및 대인 사회화 전략은 암묵지 공유를, 반면에 내용 및 비대인 사회화 전략은 형식지 공유를 통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 조직적응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목적 하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각 사회화 전략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사회화 전략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각 사회화 전략에 따른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형식지와 암묵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형식지가 승무원 집단에서 비대인 사회화 전략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으며, 암묵지의 경우에는 사람들과의 관계적인 측면과 관련 있는 사회적 사회화 전략과 대인사회화 전략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사회화 전략의 경우에는 특전사 집단에서 직무만족에 대해 암묵지가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나머지는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bureaucratic organizations. An empi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144 NCOs(Non-Commissioned Officers) in ROKA(Republic of Korea Army), which is one type of bureaucratic organization.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ar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wo importa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First, knowledge sharing, which has not been used so far in previous studies, has proved to be an important mediation between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socialization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re complementary for knowledge sharing. The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 KCI등재후보

        신입 구성원에 대한 리더의 인식 전환 : 사회화는 지식공유가 핵심

        김효섭(Kim, Hyo Sup),노명화(Roh, Myunghwa)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사회화 과정에서 지식공유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연구이다. 즉, 사회화 전략과 조직적응간의 관계를 지식공유가 매개역할 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사회화 전략은 조직사회화 전략과 개인사회화 전략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조직사회화 전략과 개인사회화 전략은 사람들과의 관계적인 측면과 관련된 사회적 및 대인사회화 전략, 관계적인 측면보다는 조직의 매뉴얼과 같은 비대인 측면을 통한 내용 및 비대인 사회화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람들과의 관계적인 측면과 관련된 사회적 및 대인 사회화 전략은 암묵지 공유를, 반면에 내용 및 비대인 사회화 전략은 형식지 공유를 통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 조직적응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목적 하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각 사회화 전략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사회화 전략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각 사회화 전략에 따른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형식지와 암묵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형식지는 비대인 사회화 전략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으나 암묵지의 경우에는 사람들과의 관계적인 측면과 관련 있는 사회적 사회화 전략과 대인 사회화 전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 수많은 조직에서 신입구성원들의 사회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이유가 바로 관계적 적응에만 관심을 두고 지식공유과정을 소홀히 여긴 것이라는 점을 확인한 연구이다. 따라서 조직의 리더들은 구성원들의 사회화에 지식공유가 핵심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bureaucratic organizations. Socialization is viewed from two sides; one is the side of people, the other is side of organization itself. This study is focused on strategy of newcomers’adaptation in organization. Also this study concerns about newcomers’ strategies they catch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even though many previous research papers have been interested on relational adaptation. After reviewing some literatures, we understand that the people interested in relation prefer tacit knowledge such like know-how, culture etc. And newcomer who does not concern on relations prefers explicit knowledge such as documents, manuals, and regulations of his/her organization. An empi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144 NCOs(Non-Commissioned Officers) in ROKA(Republic of Korea Army), which is typical bureaucratic organization. The Data is collected from the SCC(Special Combat Command) in ROKA. SCC is mainly consists of NCOs and Officers. They are very professionals in military, operating as a team. After joining ROKA, The members of SCC are thoroughly trained in military school and OJT in fields for a long time almost for 1~1.5 year, before conducting mission. That is the reason why 1~3 year members of SCC were selected.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ar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First, knowledge sharing, which has not been used so far in previous studies, has proved to be an important mediation between social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socialization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re complementary for knowledge sharing. Third is the importance of sharing tacit knowledge. The result of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means that we have to focus on knowledge sharing as core process of socialization. Fourth, newcomers are very eager to get tacit Knowledge;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task know-how, relations between departments etc, therefore every leader and members support newcomers to get organizational knowledge which can be used in useful socialization tool. Because some organization focused on not knowledge sharing but relation itself as a socialization approach, a lot of socialization have been failed. they neglects the process of knowledge sharing and transfer. Successful adaptation of Newcomers result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ir involvement. Therefore every leader has to focus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recommends newcomers’characteristic and needs in knowledge sharing, using socialization strategies. Although this study adopts new approach, we have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and we do not consider several points. we recommend further researchers to handle another group and concern on personal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