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분광 기술을 이용한 다수의 유묘 내 안토시아닌 함량 측정

        김효석,정영철,Kim, Hyo-suk,Chung, Youngchul 한국광학회 2021 한국광학회지 Vol.32 No.5

        최근 농작물의 상황을 실시간이면서도 비파괴적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이 스마트팜 등의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분광 영상 기술을 통해 많은 개체 수의 청경채 유묘 내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비파괴적으로 동시에 측정하였다. 많은 유묘의 동시 측정을 위해서, 기존의 초분광 영상 시스템의 실험 구성을 수정하였다. 품종당 24개씩 총 96개의 유묘를 측정하였고, 한번의 초분광 데이터 획득시 12개의 유묘가 동시에 분석 가능했으며, 총 3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초분광 영상 기술은 파괴적 화학 분석 방법과 비교 가능한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많은 수의 식물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초분광 영상 기술이 초고속 피노타이핑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ecently a system for nondestructive measurement of seedling plants in real time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essential element in fields such as the "smart farm". This study reports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anthocyanin accumulations in leaf tissues in a large number of bok choy, using a hyperspectral imaging system. To measure many seedlings simultaneously, an existing hyperspectral imaging system is modified. In this paper, a total of 96 seedlings are measured: 24 each of 4 cultivars. Using the hyperspectral data-acquisition system, 12 seedlings can be analyzed simultaneously within 3 minutes. The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proposed in this paper is shown to provide an analytic system comparable to destructive chemical analysis. This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a high-throughput plant-phenotyping system, owing to its capability of measuring a large number of specimen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주교회의의 입법권과 『한국 지역 교회법전 I』 고찰

        김효석(Hyo-Suk Kim)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1 가톨릭신학 Vol.- No.38

        보편교회법은 주교회의에 제한적인 입법권을 부여하였다. 주교회의는 보편교회법이 명시하거나 사도좌가 특별 위임한 안건에 한해서만 일반 교령을 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은 개별 교회 교구장의 자율성과 권한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주교들의 사목적 협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주교회의는 법률인 일반 교령뿐만 아니라, 법률의 집행을 위한 방식을 정하는 일반 집행 교령도 제정할 수 있다. 일반 교령은 법률의 본성을 갖기에, 원칙적으로 일반 교령의 제정자는 입법권자로 한정되지만, 명시적 위임이 있는 경우 집행권자도 같은 권한을 행사한다. 반면 일반 집행 교령은 행정 행위이기에, 그 제정자는 집행권자로 확대된다. 주교회의가 유효하게 일반 교령을 제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총회의 승인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의결투표권을 가진 정회원의 3분 2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또한 주교회의가 승인한 일반 교령은 사도좌의 인준을 받고, 합법적으로 공포되어야 한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2005년에 『한국 지역 교회법전 I』을 발간하였다. 이 책에는 다양한 명칭을 지닌 문서들이 담겨 있는데, 일반 교령과 일반 집행 교령이 혼재한다. 이 중에 본 논문은, 법적 성격에 의문이 생길 수 있는 두 문서, 즉 ‘한국 교회의 교회법 보완 규정’과 ‘한국 천주교 사목지침서’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첫 번째 문서는, 보편교회법이 주교회의에 입법을 맡긴 사안들 중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가 제정한 일반 교령으로서 2002년 사도좌의 인준을 받았다. 두 번째 문서는, 복합적인 내용으로 구성된다. 우선 한국 사목자들이 사목 활동을 위해 상기해야 할 보편교회법 조문을 발췌하였고, 200주년 기념 사목회의 의안에서 채택한 사안을 수록하였으며, 한국의 국법 중 참고할 조항들을 나열하였다. 이 문서는 엄밀한 의미에서 입법적 성격의 일반 교령이나 일반 집행 교령으로 볼 수 없으며, 한국 사제들의 사목 활동에 도움이 되는 ‘사목 안내서’로 분류될 수 있다. 종합하여 보면, 주교회의가 제정한 입법적 성격의 일반 교령은 ‘한국 교회의 교회법 보완 규정’뿐이다. Universal laws allow a conference of bishops to have limited legislative power. The conference can issue general decrees but only within what is prescribed in universal laws or specially mandated by the Apostolic See. These restrictions are imposed with the intention to strengthen pastoral cooperation of bishops while they do not undermine autonomy and power of each diocesan bishop. The bishops’ conference can issue not only general decrees which are laws but also general executory decrees that provide methods to enforce laws. In principle, issuers of general decrees are limited to those who are legislators because the general decree have the nature of law. But if there is an explicit delegation, persons possessing executive power can also exercise the same authority. On the other hand, general executory decrees are administrative acts and their issuers are expanded to persons possessing executive power. For a conference of bishops to enact general decrees validly, it is essential to receive approval from a plenary session with at least two thirds of the votes of regular members entitled to deliberative votes. Then the approved general decrees should be reviewed by the Apostolic See before they are promulgated legally. In 2005, th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published 『The Code of Korean Local Church I』 that contains documents of various titles comprising both general decrees and general executory decrees. This paper is to look into two documents of the Code as questions might be raised pertaining to their legal character; 「Legislation of Bishops’ Conference Complementary to the Code」 and 「Pastoral Directory of the Church in Korea」. The first document, 「Legislation of Bishops’ Conference Complementary to the Code」 reviewed by the Apostolic See in 2002, contains general decrees issued by th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among what is entrusted to the Conference by general laws. The second one, 「Pastoral Directory of the Church in Korea」, is comprised of complex content such as excerpts of canons from universal laws which Korean pastors should remember for their pastoral acts, the content adopted in the bills of pastoral council for bicentennial celebration, and articles from civil laws for reference. Technically speaking, this document cannot be seen as general decrees or general executory decrees with the legislative nature. Rather it can be categorized as ‘a pastoral vademecum’ that should help Korean pastors in their pastoral acts. In conclusion, the 「Legislation of Bishops’ Conference Complementary to the Code」 is the only general decrees with the legislative character issued by th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 KCI등재

        개별 교령의 법적 본성과 교구 직권자의 행정 절차

        김효석(Kim Hyo-Suk)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철학 Vol.- No.39

        현행 법전 제50조는 집행권자에게 개별 교령을 발령하기 전에 당사자의 방어권을 보장하기 위한 엄격한 준비 과정을 밟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교구 직권자는 교회의 통치권 중집행권을 행사하면서 올바른 행정 행위를 발령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자신의 행위로 불합리한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책임이 있다. 현행 법전은 이러한주의를 당부하면서도 자세한 행정 절차를 규정하지는 않는다. 본 논문은 다양한 개별 행정 행위들 중 개별 교구의 교구 직권자가 발령하는 개별 교령에 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개별 교령은 개별 행정 행위 중에 교구 직권자가 가장 폭넓게 활용하는 행정 행위로, 어떤 분쟁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판정이나 조치를 담고 있다. 교구 직권자가 개별 교령의 발령 절차를 시작하는 시점은, 자신의 개입이 필요한 사건이나 사안에 관해 인지하게될 때이다. 사건의 구체적 조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서면, 교구 직권자는 직접 혹은 다른 이를 통해서 증거와 정보를 수집하고, 권리를 침해당할 수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교구 직권자는 사건의 실체적 진실에 접근할 수 있고, 개별 교령 발령의 적합성이나 필요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당사자에 대한 올바른 존중과 배려를 할 수 있다. Canon 50 of the current code insists that precise preparation procedures must be taken to ensure the right of defenses of parties before issuing the singular decrees to persons possessing executive power. The local ordinary has an obligation to issue proper administrative acts while exercising the executive power of the ecclesiastical power of governance and has responsibility for taking special care not to cause any unreasonable victims of his conduct. The current code does not stipulate detailed administrative procedures, even though advised to take these precautions. This paper focuses on the singular decrees issued by the local ordinary of individual dioceses among various singular administrative acts. The singular decree is the most vastly utilized singular administrative act by the local ordinary that contains decisions or measures to resolve certain conflicts or problems. The local ordinary initiates the procedure for issuing a singular decree when he recognizes an event or issue that requires his intervention. When a decision is made upon the necessity of detailed examination, the local ordinary should directly or indirectly collect proof and information and consult those whose rights could be harmed. Throughout this, the local ordinary could access the substantial truth of the case, accurately determine the compatibility or necessity for publication of singular decrees and provide sufficient respect and solicitude for the parties.

      • KCI등재

        교회법에서 본 교계제도 설정의 의의

        김효석(Kim, Hyo Suk) 한국교회사연구소 2012 敎會史硏究 Vol.0 No.40

        The year 2012 is the fiftieth anniversary of its hierarchical constitut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Korea. On March 10th, 1962, Pope John XXIII established three Provinces with as many Metropolitan Sees(Archdiocese) and eleven Dioceses(eight Suffragan Sees) in territory of Korea by his pastoral letter “Fertile Evangelii semen”. Through this act,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could make her own appearance of particular churche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Historically, it took 131 years, since the Chosun apostolic vicariate had been established in 183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juridical meaning of the ordinary hierarchical constitution in Korea and to study the various changes caused by this significant act. To accomplish these objects, it is necessary to concretely analyze juridical terms of the pastoral letter from Pope John XXIII, “Fertile Evangelii semen”, line by line. From the canonical prospective, the ordinary hierarchical constitution brought various changes to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First of all, every apostolic vicariates in Korea were elevated to become dioceses, which indicated that they were recognized as intact particular churche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ree ecclesiastical provinces were established as well, which has a certain territorial boundary drawn by apostolic authority. The ecclesiastical province is community of numerous particular churches, in order to promote the common pastoral activities in neighboring diocese. Moreover, proper pastors to govern each particular church are no longer apostolic vicars, who govern their apostolic vicariates in the name of the Supreme Pontiff. Each apostolic vicars, who had been titular bishops, were elevated to diocesan bishops, and cathedra and cathedral churches of each Dioceses were appointed consequentially. Therefore, diocesan bishops, who possess all the ordinary, proper and immediate authority to exercise his pastoral office, govern each particular church with their own authorities. The hierarchical constitution of 1962, however, was not the perfect step to accomplish the complete shape of particular church. Thus to serve the faithful in better way, it was required for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to introduce more practical institutions; such as conferences of bishops, diocesan synod, episcopal council, presbyteral council, etc.

      • KCI등재

        ‘전국 공용 교구 사제 특별 권한’에 관한 고찰

        김효석(Kim, Hyo- Su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5

        본고는 ‘전국 공용 교구 사제 특별 권한’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 문서는, 한국천주교주교회의가 합의하여 만든 것으로, 그 내용은 한국 교회의 모든 교구장 주교가 자신의 소속 탁덕과 교구 내에서 활동하는 수도회나 선교회 탁덕에게 수여하는 상시적 특별 권한이다. 이 특별 권한을 받은 탁덕은 교구장 주교나 교구 직권자에게 유보된 행위를 합법적이고 유효하게 행사할 수 있다. 보편 교회는 1637년 2월 10일부터 ‘교황 특별 권한’을 선교 지역 교구장에게 교부하였다. 한국 교회도 1971년 ‘10년부 특별 권한집’을 교황으로부터 교부받았는데, 한국 주교회의는 여기에 포함된 특별 권한들 중 일부를 탁덕에게 재위임하기 위해 ‘전국 공용 10년 기한부 권한’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이후 현행 법전이 반포되고, ‘교황 특별 권한’의 대부분은 현행 법전에 수록되어 법 자체로 교구장 주교나 교구 직권자에게 수여되었다. 한국 주교회의는 1986년 ‘전국 공용 교구 사제 특별 권한’을 승인하여 한국에서 사목하는 탁덕에게 수여하였다. 그런데 이 중 어떤 사안은 상시적 특별 권한에 해당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고는 이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보편 교회법이 제시하는 상시적 특별 권한의 본성과 특성을 고찰한다. 또한 상시적 특별 권한이 수여된 역사적 변천을 추적하여, 2021년 현재 사용 중인 ‘전국 공용 교구 사제 특별 권한’의 형성 과정을 재구성한다. 마지막으로 ‘전국 공용 교구 사제 특별 권한’ 각 항목을 이미 제시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한다. 교구장 주교가 수여하는 상시적 특별 권한은, 본래 보편 교회법이 교구장 주교나 교구 직권자에게 유보시킨 사안이다. 한국 주교회의는 이 권한들 중 일부를 탁덕에게 상시적으로 수여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는 탁덕과 신자들에게 행정적 편의를 제공하고 원활한 사목 활동을 돕기 위함이다. 이런 의미에서 상시적 특별 권한의 수여는 명료하고 정확해야 하며, 엄격하게 적용되어야 할 예외 규정이다. 본고가 상시적 특별 권한의 내용과 형식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subject matter of this study is the ‘Common Faculties of Diocesan Priests in Korea’. This document is agreed upon by th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and the contents of which are the habitual faculties granted by all diocesan bishops of the Korean Church to their subordinate priests and priest members of religious institutes or missionary work in their dioceses. The priest, who has received this faculty, is able to execute the acts reserved to the diocesan bishops or local ordinaries legitimately and validly. From February 10, 1637, the universal Church has been granting the ‘Apostolic Faculties’ to the diocesan bishops of missionary jurisdictions. In 1971, the Korean Church also received the ‘Decennial Faculties’ from the Roman Pontiff, and the Korean Bishops’ Conference publicized and distributed ‘The National Common decennial faculties’ to subdelegate sections of faculties included in this to priests. Henceforth, the current code has been promulgated, and most of ‘Apostolic Faculties’ were included in the new code and granted to the diocesan bishops or local ordinaries by the law. In 1986, the Korean Bishops’ Conference approved the ‘Common Faculties of Diocesan Priests in Korea’ and granted them to the priests who are pastoring in Korea. Nonetheless, some of these do not appear to be the subject of habitual facult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these faculties, this study concerns the nature and features of the habitual faculty offered by the universal ecclesiastical law. This study, moreover, traces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conferment of habitual faculties and reconstitute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ommon Faculties of Diocesan Priests in Korea’ in use as of 2021. Lastly, this study endeavors to discern each article of the ‘Common Faculties of Diocesan Priests in Korea’ with the presented criteria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The habitual faculties conferred by the diocesan bishop are subjects reserved to the diocesan bishop or the local ordinary by the universal ecclesiastical law. The Korean Bishops’ Conference decided to confer some of these faculties habitually. This measure is to provide administrative convenience to priests and faithful and to help smooth pastoral acts. In this sense, the conferment of habitual faculty is an exceptive stipulation, which must be clear and precise, and enforced strict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contents and formalities of the habitual faculties.

      • KCI등재후보

        총담관 결찰시 간세포의 초미형태학적 변화

        김효석(Hyo Suk Kim),박재용(Jae Young Park),김은영(Eun Young Kim),곽규식(Kyu Sik Kwak),최용환(Young Hwan Choi),정준모(Joon Mo Chung) 대한내과학회 1989 대한내과학회지 Vol.36 No.4

        N/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 changes of hepatocytes after lig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we doubly ligated and cut the common bile duct of male Sprague-Dawley rats and observed the changes of the liver by light microscope,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t 2,4,6 and 8 week after lig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Under the light microscope, we noted marked ductular proliferation anc1 fibrosis with chronic inflammatory infiltration in the widened portal area at 2 weeks after ligation, which later became more prominent and invaded the periphery of the lobule and centrilobular area, until 6 weeks, when early cirrhosis was established. On examination under the election microscope, we noted and increment in the amount of smooth endopalsmic reticulum, hyperplasia and distension of the Golgi apparatus, an increment of lysosomes, widening of the pericanalicular ectoplasm, a slight swelling of mitochondria and decrement of cristae at 2 weeks after ligation. The bile canaliculi were dilated remarkably and their micromilli were decreased in number or absent at 2 weeks after ligiation. Also, a phenomenon referred to as canalicular varicositv was noted which later became more severe but the tight junction was rather well preser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cognizable early cirrhotic change of the liver is established at 6 weeks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and that canalicular varicosity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ultrastructural changes of hepatocytes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The mechanism of cholestasis must also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other possible routes, including the passway from bile canaliculus to sinusoid.

      • KCI등재후보
      • Zigbee 시스템과 PLC 모뎀간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김효석(Hyo-Suk Kim),조성관(Sung-Kwan Cho),손수국(Su-Goog Shon),이재조(Jae-Jo Lee),오휘명(Hui-Myoung Oh),최성수(Sung-Soo Choi)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Zigbee Alliance에서 표준화 진행 중인 Zigbee Stack을 가진 Zigbee 시스템은 통신매체로 RF(Radio Frequency)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RF를 사용하는 기존의 Zigbee 시스템이 신호감쇄 문제나 주파수 공유로 인한 간섭문제 등에 약한 점을 고려하여 유선통신 매체로서 Power Line을 사용하는 PLC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Zigbee 시스템과 PLC 시스템간에 UART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Zigbee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Zigbee 시스템의 적용 범위 및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위성기준점 법제도화 개선을 위한 연구

        김혁길(Kim, Hyuk Gil),황진상(Hwang, Jin Sang),윤홍식(Yun, Hong Sik),김효석(Kim, Hyo Suk) 한국측량학회 2015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5 No.4

        본 연구에서는 위성기준점 데이터 통합센터의 지속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하여 위성기준점 법제도화 개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수용 가능한 국내 위성기준점 법제도화 관련 항목을 연구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carry out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legislation for CORS for continuous operation and invigoration of CORS data integration center. For this purpose, we have studied clauses related to the CORS legislation that can be acceptable through foreign cases analy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