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실시에 따른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 분석

        김홍정(Kim, Hong-Jeong),홍옥수(Hong, Oksu),조향숙(Cho, Hyang-sook),임성민(IM, S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우리나라 과학기술교육의 문제점을 배경으로 출발한 융합인재교육(STEAM)은 2011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 아래 학교교육에 적용되었다. 정책적으로 시작된 이래 2년간 적용된 융합인재교육은 과학에서 인식과 흥미 등을 포함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생의 인식 개선, 주도적 학습능력 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 기간에 따라 과학에 대한 흥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를 알기 위해 각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고, 전국의 899명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 2011년부터 받은 집단, 2012년부터 받은 집단 등 3개로 구분하여 응답결과의 분포와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횡단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융합인재교육 이후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향상되었다. 학교급별로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초등학생들은 주로 1년차에서부터, 중학생들은 2년차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난 반면, 고등학생들에게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융합인재교육이 학교급별로 차별성있게 접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STEAM education from background of Korean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has been propagating to schools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and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KOFAC) since 2011. STEAM education policy have come under various discussions and implemented for 2 years. Also, this emphasized improvement of students’ recognition in affective domain and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paper to identify a learners’ these changes by STEAM education, we developed the test of Interest about science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al period. Also, we analyzed statistically responses of three kinds group of ‘no STEAM education’, ‘STEAM education 1st year’, ‘STEAM education 2nd year’ using SPSS. As a result, students’ interest about sc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overall were enhanced by STEAM education. Specifically, it was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tudents’ response increased from STEAM education 1st year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creased from STEAM education 2nd year. However, high school students did not move. Although STEAM education have diverse argumentation of its meaning, concept and differences of management by school, STEAM education showing the positive changes is encouraging. These results give us an implication of approach having the differences by grade when administrator, teacher and researcher implement STEAM Education.

      • KCI등재

        비형식 과학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분석

        김홍정 ( Hong Jeong Kim ),임성민 ( Sung Min Im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2 초등과학교육 Vol.31 No.1

        Interest has been studied as one of the construct to understand and improve learning in science. While informal science education is getting increasing attention as science education has been extended from formal school science to informal science learning including after-school program or science museum activity, however, little has been studied in comparing to the needs.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students` interest about learning science in the context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For this the survey tool in the article of Im and Pak (2000) was utilized through modification, and 155 elementary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and basic statistics.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about learning science in the context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has multi dimensions like subject, motivation, and activity dimension.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interest decreased as their grade is higher, and that the interest of intrinsic motivation, empirical activity, and descriptive subject were relatively high while the interest of extrinsic motivation, cognitive activity, and specific subjects were low. From this study the authors could infer the necessity of instructional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interest for more effective science learning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학생의 흥미 분석

        김홍정 ( Hong Jeong Kim ),이진우 ( Jin Woo Lee ),임성민 ( Sungmin 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1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은 민주주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우주 탄생에서 생명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과학자들의 탐구과정을 탐색하고 첨단 과학기술이 현대 사회에 어떻게 적용되고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함으로서, 과학적 탐구방법과 과정을 이해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한편, 흥미는 학습 성취도와 진로에도 영향을 주는 심리적 구인으로서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흥미를 선행연구에 따라 다차원적 속성을 지닌 흥미로 규정하여 흥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2011년에 고등학교 ``과학``을 이수한 10개교 고등학생 997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조사하였다. 응답자료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 결과, 고등학생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는 동기 차원, 활동 차원, 주제 차원 등을 지닌 다차원적 속성으로 나뉘어지며 각 차원 별로 여러 개의 하위 차원으로 구성됨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응답 학생들의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일반적인 흥미는 중간 점수보다 약간 높게 나왔으며, 차원별로 보면 동기, 활동, 주제 순으로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성별과 진로 희망 계열에 따라서 일부 하위 차원과 범주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흥미 분포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을 지도함에 있어서 학생들이 보이는 흥미의 차원별 분포 및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High school ``science``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Korea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needed for citizenship in a democratic society. For this analysis ``science`` includes a variety of scientific topics from the origin of the universe to the birth of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modern society. It aim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nd foster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science. On the other hand interest has been studied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selection of students.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students`` interest in high school ``science`` in view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o carry this out a survey tool was developed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with 997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in high school ``science`` in view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an be interpreted into three dimensions such as motivation activity and topic which has several sub-dimensions. Students` interest in motivation dimension was higher than in activity or topic dimension while the average value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value. They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 of interest by gender and job orientation especially in activity and topic dimensions. From this study the authors can infer the multi-dimensional property of students` interest in high school ``Science`` and the different distribution of interest by dimensions.

      • KCI등재

        과학기술 전시에 대한 참여자의 이미지와 흥미 분석

        김홍정(Kim, Hong Jeong),탁현수(Tahk, Hyun Soo),정석훈(Jeong, Seok Hoon),배유라(Bae, Yu R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과학기술 전시는 과학문화를 창달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을 보급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과학관은 과학기술을 전시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해방 전후부터 설치해 온 한국의 과학관은 현재에 이르러 미래창조과학부 국립중앙과학관을 필두로 국립과학관 시대(과천·대구·광주·부산 등)가 열렸다. 최근에는 과학기술에 대한 체험 기회 제공을 위해 보다 다양한 전시와 교육 및 문화행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과학기술 전시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이고 이론적인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대전 소재의 국립과학관 참여자 488명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전시에 대한 다차원적 흥미와 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응답결과를 분석하여 과학기술의 전시기획, 제작 및 설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흥미는 Kim & Im(2012)의 다차원적 흥미평가도구를, 이미지는 Cho & Choi(2009)의 이미지 평가도구를 바탕으로 안면타당도를 거쳐 구인과 문항을 재구성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동기차원, 활동차원, 주제차원의 흥미와 공간·지각과 시간·인지의 이미지 검사도구를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기술 전시에 대한 참여자들의 흥미와 이미지는 긍정적이었으며, 동일차원 내에서 내적동기, 경험적 활동, 융합생활기술의 흥미와 시간·인지의 이미지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성별 및 방문횟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과학기술 전시에 있어서 청소년은 성인보다 높은 외적 동기를, 초등학생은 고등학생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이미지를 보였다. 과학기술 전시에 대한 참여자들의 흥미와 이미지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과학기술 전시에 대해 참여자들의 평가도구로서 의미를 가지는 한편, 참여유형 또는 학령에 따른 흥미와 이미지를 고려할 때 효과적인 과학기술 전시 방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n exhib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main purpose to create scientific culture and to disseminate information about STEM. Science centers and museums are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to exhibit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beginning of science museum with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the science museums and centers have expanded by five institutes like Jungang, Gwacheon, Daegu, Gwangju and Busan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for an experi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Although many people have more chances than before, there have been lacking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efforts to academically improve exhibi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participants’ interest and image of science museum about exhib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survey tool of the interest by Kim & Im(2012) and the image by Cho & Choe(2009) were utilized through modification, 488 participants’ responses about the ICT exhibits of national science museum in city of Daejeon were analyzed with factor, basic statistics, and correlational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est and the image have multi dimensions. For example, the interest had motivation, activity and subject dimension, and the image had space perception and time·cognition dimension. As a result, all of the interest and the image about exhibition of science & technology were positive responses. The interest of intrinsic motivation, empirical activity and convergence-life-technology subject, and the image of time·cognition we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in the same dimension. The interest and the imag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 by sex and visits while youths" interest of intrinsic motivation was higher than adults" and the image of elementary students were higher than high school students". Also, all of the interest and the image were highly positive correlated, which means that a participant who have good interests about the exhibits might consider images as more important. This study can infer that such strategies using the interest and the image by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can be more effective in exhib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관 연구 동향 분석

        탁현수(Tahk, Hyun Soo),김홍정(Kim, Hong Je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2 No.-

        한국의 과학관은 서양에서의 과학박물관 개념과 과학센터 개념을 모두 가지고 있어, 국내의 과학관 연구는 크게 과학사물을 수집하여 발굴하고 연구하는 분야와 과학기술을 전시하고 교육하는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과학관 연구는 과학관 현장의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 과학관 건립, 정책연구, 순수과학기술, 전시, 교육, 과학기술사, 자연사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왔으나, 학술적 논의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관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한국 과학관 연구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과학관 발전을 위한 연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5년 9월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과학관’을 주제어로 검색 가능한 KCI등재지, KCI등재후보지로 선별하였다. 분석방법은 연도별, 학술지별, 학술분야별 논문 게재 수에 대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논문의 주제어를 기반으로 주요단어 및 공출현단어의 빈도를 지도화하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2005년부터 2015년 9월까지 게재된 과학관 연구논문은 26종 학술지에서 59편이 게재되었으며, 4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한 한국과학예술포럼,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한국지구과학학회지,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등 이들 5개 학술지에서 전체 대비 50%가 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학술분야로 살펴보면, 과학관 연구는 사회과학과 복합학으로 분류된 학술지에서 발표되었으며, 각각 교육학과학제간 연구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또한, 과학관 연구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는 ‘과학관’, ‘전시’, ‘교육’, ‘학습’, ‘과학교육’, ‘비형식’ 등이었으며, [‘과학관’-‘전시’-‘학습’], [‘과학관’-‘전시’-‘패널’], [‘과학관’-‘전시’-‘비형식’] 등이 공출현하는 소규모 언어네트워크를 가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과학관 연구가 학술적으로 양적인 증가를 나타내면서 전시 또는 교육에 초점을 두어왔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과학관 현장에서는 과학기술콘텐츠연구, 표본과 같은 소장품의 보존처리연구를 바탕으로 한 전시기획 및 전시운영 등과 같은 연구결과들을 요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과학관 연구는 학술적으로 보다 다양한 주제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Science museums in Korea display two divergent roles: as science museums and science centers. Therefore, research into Korean science museums often focuses on either collecting, discovering and studying scientific objects, or exhibition of and education about scientific technologies.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museums, there has been numerous research undertaken into science museums in Korea regarding policy, pure scientific technology, exhibition, education,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natural history and the foundation of a new science museum. However, these topics have yet to be discussed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journals related to science museums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to science museums, and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museums in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level of Korean Citation Index (KCI-listed, KCI listing candidates), that can be searched by the key phrase, "science museum" in Korean language through the RISS service.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s utilized to discover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classifying them by year, type and field of research. Also,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map the frequency of key words and co-occurrence words throughout a variety of research articles. The results show that 59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26 journals from 2005 to September 2015. Specifically, the five major journals published more than 50% of the total papers. In relation to research fields, the study of science museums is mostly dealt with in the journals of social science and interdisciplinary science. In addition, key phrases, such as "science museum", "exhibition", "education", "learning", "science education" and "informal"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the research studies. Finally, there are small language networks that appear concurrently as below: [science museum-exhibit-learning], [science-exhibit-panel], [science museum-exhibit-informal]. These results show that studies into science museums have focused on exhibition and education, by enhancing their quantity of research. However, a broader scope of research into science museums appears to be necessary, due to the fact that more research into exhibition planning and operation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conservation are so crucial in the practical field.

      • KCI등재

        지체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과학탐구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실태 인식 및 요구 비교

        박상용 ( Sang Yong Park ),김홍정 ( Hong Jeong Kim ),박승재 ( Sung Jae Pak ),임성민 ( Sung Min 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1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생 및 일반학생,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과학탐구활동에 대한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한 조사도구를 통해 얻은 지체장애 특수학교 8개교와 일반학교 10개교의 학생과 교사의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탐구활동에 대한 실태와 요구를 기술적 통계분석 후 비교하였다. 조사 결과,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는 일반학교에 비해 학생의 요구와 특성을 고려하여 과학탐구활동 및 실험이 운영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지체장애 중학생은 또래 일반학생에 비해 과학수업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소극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과학탐구활동의 장소와 시설에 대해서도 일반학생에 비해 만족하지 않았다. 과학탐구활동을 위한 요구사항으로 일반학교 과학교사는 과학탐구활동 담당 전문가의 양성과 수업시간 변경을 주로 요구한 반면, 지체장애 특수학교 과학교사는 과학탐구활동을 위한 실험 도구 및 기자재의 개발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이 지체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과학탐구활동에 대한 실태와 요구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서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실천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Recently, there are som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bout science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studies and action plans for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al conditions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in formal science class and needs of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regular students, and som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regular teachers. After doing a survey, we analyzed practical science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and needs based on the survey from teachers and students in 8 special schools for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and 10 regular schools.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less science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in the special school for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than in the regular schools. Also, activities usually take place at the laboratories in the regular schools, but, in the special schools, most of activities perform in the regular classrooms. When compared in the regular schools, there are less proper science tools and educational materials prepared in the special schools. Also survey showed that, the science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does not take place considering of student’s needs and characteristic. Physically challenged middle school students answered that they relatively do not participate actively and they are not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places and facilities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han regular students did. While teachers in the regular schools answered fostering experts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and changing class schedules as needs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s for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said experimental equipment for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diagnose the real conditions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hat physically challenged students are relatively alienated than regular students. Also, this will be a basic material for development of meaningful science study plans and material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