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

        신봉자 ( Shin Bong Ja ),김혜순 ( Kim Hye Soon ),이명희 ( Lee Myung H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만성 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 중인 환자에게 비디오를 이용한 유머중재가 우울과 스트레스 반응인 상태불안과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비디오 유머중재 선행 연구(Kim & Suh, 1996; Suh & Kim, 1994)에 의하면 입원환자들은 유머의 내용으로 TV 코미디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아침보다는 점심 때를 더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10-20분, 20-30분의 순이었고,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유머를 즐기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인 혈액투석 환자는 외래환 자로서 혈액투석이 주 3일, 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특성상 개별적으로 침상TV를 이용하여 혈액투석 중간인 오전에 30분간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하였다.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Beck의 도구로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19,34점에서 12,73점으로 6.60점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21.42점에서 19.04점으로 2.38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비디오 유머중재 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중재가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켰다는 Lee 등(2006)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또한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정도는 Lee 등(2006)의 연구에서 21.9점, Yun, Yang과 Hahn(1999)의 연구에서 22.9점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Lee 등(1995)이 우울 점수 9점 이하는 정상(normal), 10-15점은 경한(mild) 우울상태, 16-23 점은 보통 (moderate) 우울상태, 24-63점은 심한(severe)우울상태로 구분한 것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는 보통의 우울상 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Zung의 도구로 검증한 Kim 과 Suh(1996)의 연구에서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결과와 Suh와 Kim(1994)의 유머중재가 항암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선행연구와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타난 것은 우울과 관련되는 복합적인 변인들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즉 Suh와 Kim(1994)의 연구대상인 암환자의 경우중개기간이 항암제 치료기 간으로 항암제 부작용을 경험하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할 때 유머중재에 관심을 적게 갖지 않았나 하는 점도 고려할 수 있다. Kim과 Suh (1996)의 연구대상인 석고붕대나 견인장치로 기동 성장애를 경험하는 환자들은 기동성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Suh와 Kim (1994)의 암환자의 우울점수 39,9점보 다 많은 42점으로 나타나 대상자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uh와 Kim (1994)은 우울은 상황적인 요소라기보다는 특성적인-요소로 여겨지며 단기간의 간호중재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머중재 연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중간에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혈액투석이 끝나는 1 시간 3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였으나 Kim과 Suh (1996) 의 연구에서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1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여 유머중재 전에 우울도구와 우울점수에 따른 유머중재의 횟수와 시간, 내용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디오 유머중재 이후 대상자들은 혈액투석시간 이외에도 대상자들 간에 서로 바라보며 웃기도 하고 큰소리로 이야기도 나누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치료를 평생 받으며 살아야 한다는 심리 · 정서적 압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혈액투석환자들만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투석을 받는 시간만이라도 의료인들이 대상자의 심리 · 정서적 지지방법으로 비디오 유머중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투석시간외 일상생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유머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디오 유머중재 전 · 후 상태불안, 혈청 코티졸을 검증 한 결과, 상태불안은 차이가 있었으나 혈청 코티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은 실험군은 43.86점에서 35.08 점으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은 47.85점에서 49.71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유머중재가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 시켰다는 Suh와 Kim (1994)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들의 불안 감소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Kim과 Suh (1996)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상태불안 점수 43점은 기동성 장애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3점(Kim & Suh, 1996), 척추손상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Song, 2003), 암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Kam, 2003)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동성장애 환자의 경우 생명에 위급함을 느끼기 않는 만성적인 질환인 반해 일상생활에서 생명의 위급함을 느끼고 있는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에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통하여 불안이 더욱 더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불안은 주관적 근심과 걱정에서 오는 막연한 것으로 두려움, 근심, 죽음이나 재앙이 당장 일어날 것만 같은 느낌을 갖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Jo & Sung, 2000). 혈액투석환자의 불안은‘투석기계에 생명을 의존하고 살아가는 것’,‘ 가족에 대해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 투석 치료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Lee, 2007).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을 치료하기 보다는 주기적으로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대부분의 환자들은 병의 예후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치료계획에 따라 기계에 의존해 치료를 받아야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환자들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머중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혈청 코티졸 검정결과에서 실험군은 8.64㎍/dL에서 13.12mg/dL으로 4.47㎍/dL 증가, 대조군은 8.85㎍/dL에서 16.29㎍/dL으로 7.43㎍/dL으로 모두 증가하였다.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혈청 코티졸 수치가 2.96㎍/dL 더 높게 상승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을 혈액투석환자에게 실시한 Heo (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오전에 검사한 혈청 코티졸의 정상범위가 6-28 ㎍/dL임을 감안할 때 정상범위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환자의 혈중 코티졸 농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한다고 보고한 Daugirdas, Peter와 Todd (2001)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그러나 Heo (2007)의 연구에서 실험군은 0.30 ㎍/dL, 대조군은 1.57㎍/dL 증가하여 본 연구에서 코티졸 상승범위가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는 투석중에 개인별로 유머비디오를 적용하였으나 Heo (2007)의 연구에서는 투석이외의 시간에 집단별로 웃음요법을 시행한 결과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CRH-ACTH계의 활성증가를 통해 CNS에 의해 매개되는 코티졸 분비의 현저한 증가는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적인 상황에서 발생한다(Galla & Luke, 1996). 혈장 코티졸 농도의 증가폭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자극 세기에 비례하며, 스트레스는 질병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질병 과정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질병과 치유과정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혈액투석환자들은 Glucocorticoid의 활동으로 조직의 저항에 의하여 혈중 코티졸 수치가 올라가고 반감기가 증가된다(Daugirdas et al., 2001). 또한 코티졸 수치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액투석과정에서 혈청 코티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혈액투석환자들의 투석 전, 중, 후에 따른 비디오 유머의 효과에 대한 반복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상태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로 가정과 임상에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umorous video on the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Methods: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n=23) and a control group (n=21). Treatment was watching humorous video tapes 30 min each time, three times a week. The depression level and state anxiety level were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Cortisol was measured by a blood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V-test, and t-test. Results: Depression and anxie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 Conclusions: Humorous video tape could be a usefull tool at home and clinical sett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the patients on hemodialysis.

      • KCI등재

        임신시 모유 수유 계획의 실천에 대한 추적 관찰

        김혜순,서정완,김용주,이기형,김재영,고재성,배선환,박혜숙,Kim, Hae Soon,Seo, Jeong Wan,Kim, Yong Joo,Lee, Kee Hyoung,Kim, Jae Young,Ko, Jae Sung,Bae, Sun Hwan,Park, Hye S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7

        목 적 :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한 수유모의 모유 수유 실천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했던 1,128명 중에서 지역과 병원급을 층화하여 무작위 추출한 152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2001년 1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연구 대상자의 출산 후 4개월에 전화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한 수유모 중에서 출산 4개월 후의 모유 수유율은 37.5%였고, 실패 이유는 66.3%가 모유가 나오지 않거나 양이 적어서라고 대답하였고 그 외 수유모의 직장 또는 일 13.7%, 수유모의 질환 7.4%, 변이 묽어서 5.3%, 아기의 질병 4.2% 등이었다. 2) 수유모의 연령, 자녀의 유무, 모유 수유를 결정한 사람, 가족의 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임신 시 모유 수유를 4개월 이상으로 계획했던 경우 모유 수유율이 2.3(95% 신뢰구간 1.15-4.62)배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전문대졸 이상의 수유모의 모유 수유율이 고졸 수유모보다 0.43(95% 신뢰구간 0.21-0.86)배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취업 수유모의 모유 수유율이 0.37(95% 신뢰구간 0.17-0.83)배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4) 모유 수유 장점과 수유의 방법에 대한 인식항목 20개에 대한 점수의 중앙값 12점을 기준으로 할 때 12점 이상인 사람의 모유 수유율은 41.5%였던 반면, 12점 미만인 경우 34.5%의 모유 수유율을 보여 인식이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1.35(95% 신뢰구간 0.70-2.62)배의 모유 수유율을 보였다(P>0.05). 5) 출산 장소가 산부인과 의원인 경우 종합병원 보다 모유 수유율이 3.97(95% 신뢰구간 11-14.23)배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출산아 성별, 병원내 모유 수유, 모자동실 및 분만 형태에 따른 모유 수유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모유 수유율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인 산전 교육과 출산 후 병의원에서 모유 수유를 할 수 있도록 모자동실, 모유 수유 상담 및 교육이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취업 수유모의 모유 수유를 위한 공간과 시설 및 휴가 문제 등이 사회 정책이나 국가 정책으로 제도화 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success rate and factors that influence breast-feeding among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Methods :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n success in breast-feeding, reasons for failure and perinatal factors. It was done by telephone calls to 152 randomly selected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at 4 months after deliver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bivariate ${\chi}^2$-analysis. Results : The breast-feeding rate for the first four months among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was 37.5%. The major reason for breast-feeding failure was insufficient amount of breast milk(66.3%). The breast-feeding rate was 2.3(95% CI 1.15-4.62) times higher in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for longer than 4 months(P<0.05), but maternal age, breast-feeding for previous baby, person advocating breast-feeding, and family size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of success in breast-feeding. The breast-feeding rate of graduates of college was 0.43(95% CI 0.21-0.86) times lower than that of graduates of high school. The breast-feeding rate of employed mothers was 0.37(95% CI 0.17-0.83) times lower than that of housewives(P<0.05). Maternal disease,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were not significant determinant factors of success in breast-feeding. Breast-feeding rate of infant born at local obstetric clinics was 3.97(95% CI 11-14.23) times higher than that of infant at general hospital(P<0.05). Conclusion : To increase the breast-feeding, medical personnel should educate mothers on problems during breast-feeding. Hospital polices that facilitate breast-feeding such as rooming-in must be promoted. For employed mothers, strategies for breast-feeding within companies must be encouraged.

      •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배려적사고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 ( Kim Mi Kyung ),김혜순 ( Kim Hye So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배려적사고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경북 G시에 소재해 있는 국·공립, 법인, 직장 및 가정 어린이집 교사 228명이었다.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송지혜(2013)의 척도, 배려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해 김수동, 안재진, 이정연(2014)의 척도 그리고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명란(2016)의 척도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문화가 높게 지각되었고, 배려적 사고는 보통 수준을 조금 상회하였고,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일반적 교사효능감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사의 배려적사고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는 모두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배려적사고가 높고,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설립 기간이 짧은 기관의 보육교사가 배려적사고가 높았다. 또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중에서는 관계문화와 합리문화가 보육교사의 배려적사고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혼, 보육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이 관계적이고 합리적인 조직문화가 잘 구축되어 있을수록 교사의 배려적사고와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effects of the organization culture of daycare centers on the caring thinking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Specific research issue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Research 1. The trend and general background of child care organization culture, child care teacher consideration, teacher efficiency awareness (age, academic background, type of work organization, experience, age of infant, degree of progress, marriage status) Research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daycare center organization culture, child care teacher consideration, and teacher efficiency? Research 3. How does the organization culture of daycare centers affect the consideration and effectiveness of child care teachers ?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done through a survey. The survey included 79 teachers from state, public, corporate, working and children's homes in G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149 teachers from private and private schools. Total 228 teachers participated. The researcher used research scale from organization culture by Song-Jihye(2013), child care teacher consideration by Kim-Sudong, An-Jaejin, Lee-jeongyoen(2014) and teacher efficacy by Kim-Myeongran(2016)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t's calculated Cronbach’ α by using SPSS/WIN 20.0 program, which shows the internal consistency.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variable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ain variables were calculated ,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major variants was high in the culture of relationships, considera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and personal teacher efficiency was slightly higher than general teacher efficacy. Consider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length of institution establishment, and marital status, and teacher efficacy varied depending on age, experience, and marital statu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and the caring thinking of child care 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organization culture and teacher efficacy, and the caring thinking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teacher's sense of efficiency showed significant static. Third, among background changes of child car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ideration of children, and the period of institution establishment i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value of care, s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ld teachers is more important.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s of daycare centers, it was found that the culture of relationship and rationa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sideration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at the culture of rationality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consideration of child care teachers. Among the background changes of child care teachers, the more important the difference in experience and marital status is in the sense of teacher efficiency, the more likely it is for a child teacher to be a single teacher, and the more likely it is for a teacher to be married. Among the organizational cultures of daycare centers, it was found that the culture of relationship and ration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at the culture of relation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relative effect of the teacher's ability. Therefore, the more relevant and reasonable organizational culture in daycare centers is well established, the more positive the effect is on the consideration and effectiveness of child care teachers.

      • 중년여성의 웃음지수, 우울, 불안과의 관계

        김혜순,이은자,Kim, Hye-Soon,Lee, Eun-Ja 한국재활간호학회 2006 재활간호학회지 Vol.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aughter Index,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aged wome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22 middle-aged women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y SPSS version 10. Results: The measuring of respondents' laughter index revealed they scored an average of 94.75 (${\pm}16.13$) of the full score 150. The measuring of respondents' depression showed they marked an average of 42.69 (${\pm}7.72$) of the full score 80. The measuring of respondents' anxiety showed they marked an average of 42.03 (${\pm}9.48$) of the full score 80. Respondents statistically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laughter index depending on age(t=.917, p=.000), and economic status(F=21.710, p=.000). Respondents statistically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depending on religion(F=3.396, p=.018), economic status(F=13.660, p=.000). Respondents statistically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depending on religion(F=5.557, p=.001), economic status(F=16.79, p=.000). The laughter index related to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aged wome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laughter index in middle-aged women was correlated negatively depression and anxiety. Further research is regarded as necessary to evaluate and to compare effects of laughter with physical health status.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의 애착실행모델, 정서표현성, 유아기 자녀의 정서조절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김혜순(Kim Hye-So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9

        본 연구목적은 어머니의 애착실행모델과 정서표현성 그리고 유아의 정서조절과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상북도 중소도시의 5곳의 유아교육기관 어머니들 215명이었으며 질문지조사로 이루어졌다. 어머니의 애착실행모델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에서 어머니의 애착실행모델 중 거절의 두려움은 유아의 불안부정에,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정서조절에 주된 영향을 나타내었다. 어머니의 거절의 두려움과 의존성에 대한 편안함순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상대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어머니의 애착실행모델과 정서표현성 그리고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에서는 어머니의 거절에 대한 두려움과 유아의 불안부정, 어머니의 의존성에 대한 편안함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thers' attachment, emotional expressive,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behavior problem.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15 mothers whose children were enrolled in 5 kindergartens in Seoul-si and Gyoungsang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ttachment, emotional expressive,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behavior problem respectively. The anxiety which was a subscale of mothers' attachment working model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nd behavior problem.

      • KCI등재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김혜순(Kim, Hye-So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6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4곳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어머니 17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변수 간의 상관성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어머니 성인애착의 구성요인들이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안정적인 애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과도한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대처 방안이 가정은 물론 사회제도적인 측면에서도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dult attachment and infant"s attachment to his/her mother. The subjects were 174 mothers of kindergarten in Seoul.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adult attachmen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infant"s attachment to mother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sub-scales of mother"s adult attachment and infant"s attachment to his/her mother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 reduction mother"s parenting stress in order to her infant"s attachment to mother more stable at home and society.

      • KCI등재

        어머니의 집착과 양육 효능감 및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김혜순 ( Hye Soon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제반 심리적 특성과 유아의 심리· 정서적 발달영역 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건강성이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관점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목적은 어머니의 집착과 양육효능감 그리고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연구대상은 경상북도와 충청도 중소도시의 유아교육기관 어머니들 234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집착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의 차이는 전체 정서지능과 정서지능 하위영역 중 자기정서 이용,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영역과 교사와의 관계영역에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 양육효능감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의 차이는 전체 정서지능과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집착수준과 양육효능감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의 차이는 양육효능감에서 주효과, 집착수준과 양육효능감수준 간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집착수준은 양육효능감 수준처럼 유아의 정서지능에 주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수준에 따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linging, parenting efficacy and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34 mothers whose children were enrolled in six kindergartens in Gyoungsang and Chungchung provi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sub-scales of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ir mothers` level of clinging.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ir mothers` level of parenting efficacy. There was a direct impact on the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also there was an interaction and impact between clinging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in the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ir mothers` level of clinging and parenting efficacy. In conclusion, the mothers` higher level of excess clinging and lower level of self-efficacy may combine or interact as risk factors in the impaired development of preschoolers in areas such as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 KCI등재

        원전지역주민 참여형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혜순(Kim, Hye soon),조준오(Jo, Jun oh),김세곤(Kim, Se G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를 둘러싼 여러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전지역주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그들의 요구를 반영한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전지역주민 1033명과 에너지 교육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첫째, ‘원전 지역의 에너지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해결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이라는 목적 아래 세부 목표가 설정되었다. 둘째, 교육 과정의 체계는 에너지 지식, 에너지 문제해결기능, 에너지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 등 3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교수학습방법은 크게 절차, 방법, 매체로 정리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절차는 ‘도입 → 원전지역 에너지 문제 상황과 관련한 강의 → 원전 지역 에너지 문제 상황 탐색 → 문제의 해결방안 마련 → 실천 → 반성 및 정리’의 순서로 총 8차시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활동 방법은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 중 액션러닝을 중심으로 한 실천, 참여, 사례, 놀이, 게임 등이 고루 사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매체는 생활 속의 사례를 중심으로 시각물, 비디오물, 각종교,보재 등을 사용하였다. 넸째, 프로그램 평가는 학습자 평가로 자기평가, 과정중심 수시평가, 최종결과물 평가 중심으로 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n energy education program that local residents participated together to solve various problems surrounding energy. For this purpose, 1033 residents and 20 energy educato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l program aims to foster talented talent who can actively participate in recognizing and solving various problems related to energy in the nuclear region. Second, the curriculum consists of three areas: energy knowledge, energ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nergy problem solving attitude. Third, education and learning methods are divided into procedures, methods and media. The procedure of this program is related to the nuclear power problem of nuclear power plants → in order of lecture → exploration of energy problem of nuclear power plant → problem solving → practice → reflections and theorems. In particular, activities such as practice, participation, case, play, and games centered on behavioral learning were used i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Fourth, the media used video, video, and various materials. Fifth, the program evaluation was evaluated by learner self - assessment, process - oriented assessment, and final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