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역산소 센서를 이용한 실린더별 공연비 제어

        김혜순(Hyesoon Kim),박진일(Jinil Park),고상근(S.Ken Kauh) 한국자동차공학회 199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8 No.5_1

        There are about ±3% A/F ratio differences among cylinders for a normal gasoline engine. These differences vary with engine operating conditions and are maximized at idle state. To reduce this difference it is necessary to feedback-control the individual cylinder A/F ra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ducing cylinder variation by cylinder A/F control using wide band oxygen sensor.<br/> Wide band oxygen sensor outputs have informations for the individual cylinder A/F ratio. Based on Wide band oxygen sensor's information, cylinder A/F ratio is controlled within ±1% at 1500 rpm and 3000 rpm.<br/>

      • KCI등재
      • KCI등재

        메이커활동과 연계한 유아 과학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지영 ( Kim Jiyoung ),김혜순 ( Kim Hyeso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메이커활동과 연계한 과학놀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구성체계 초안을 세웠다. 이후 3차에 걸친 전문가집단 델파이조사 검증과 프로그램의 현장 예비 적용 단계를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G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5세 2개 학급,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한 바, 유의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측정도구로는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김다래, 2018)와 과학적 문제해결력 검사(강경희, 2018), 놀이성 검사(주현정, 2019)가 사용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놀이를 통한 과학적 지식 형성, 또래와의 협력, 자발적 문제해결력 등 유아의 과학적 소양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내용 타당성을 갖추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향후 교육 현장에서 좀 더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ience-play program connected to maker-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o do this, an initial plan for the program structure was built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a review of prior studies. Afterwards, a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three times of Delphi survey verification by a group of experts and a stage of its preliminary application to the field. Next,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verified for 56 early children in two 5-year-old classes in the D kindergarten in G city, and its result was significant. Kim Da-rae’s (2018) young childhood scientific inquiry ability test, Kang Kyung-hee’s (2018)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test, and Joo Hyun-jung’s (2019) playability test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conclusion,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program has content validity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literacy of children, such as the form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play, collaboration with peer learners, and voluntary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wide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여자 교수가 당면하는 성차별적 대학일상에 대한 문제제기 : 남녀공학대학을 중심으로

        김혜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 No.-

        최근 우리 사회에서 상위권한층의 여성비율을 증가시키는 데 전략적 근거로 삼고 있는 유엔 여성권한지수의 기본 전제를 배경으로 여자교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여자교수가 경험하는 성차별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기존연구가 없었던 이유를 생각해보고, 결국 여자교수 스스로가 자신을 주체이자 대상으로 연구에 우선적으로 동원할 수밖에 없음을 논의하였다. 본론으로, 여자교수가 대학교수로서의 일상적 직무수행상 경험했거나 경험할 수 입는 성차별적 사례들을 유형화하면서 기술했다. 필자가 지난 20년 가까이 대학교수로 재직하면서 직접 경험하고 관찰한 것, 동료남녀교수나 연구원을 통한 간접경험에 근거했다. 방법론상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해석수준을 넘지 못한다는 평가도 가능하지만, 관련 문헌이나 실제 경험으로 보아 이런 주제를 처음으로 제기하는 단계에서는 이것이 불가피하다고 판단된다. 여기서 언급되었던 문제들의 특성과 유형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어 이를 근거로 후속연구에서는 좀더 체계화된 자료수집이 가능해지기를 기대해본다. 마지막으로 양성평등적 관점은 대학사회의 학문적 적실성을 고양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인력양성에도 필요하다는 논거를 통해 여교수의 세력화와 여자교수에 대한 학술담론화가 필요함을 결론으로 제시했다. This paper argues for studies on women professors based on the strategical premise of the Gender Empowerment Indices(GEM) of the Human Development Report, released annually by the UNDP. This paper firstly explores on the possible reasons on the dearth of the literature which deals with gender-discriminating experiences of women professors in their academic, teaching and social experiences. It then proceeds to classify patterns of discriminatory practices and presented cases for each pattern, based on direct and indirect participant observation by the author of the cases of herself and those of colleagues. Critics upholding to a methodological rigor might make a case of subjective hermeneutics out of this study, but the importance of raising the issue for encouraging academic discourse about and empowering women professors are seen to surpass the methodological concern at this incipient stage of its academic endeavor. Still,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enhance inter-subjectivity of the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provided here with a more women professors willing to study and be studied about lived everyday lives of their profession. This paper closes with the argument on why that universities have to employ gender-sensitive perspectives in not only curriculums and numbers but the definition, organization, and evaluation of routine perform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