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사례 분석

        김혜숙(Kim, Hyesoo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1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사회 수업의 특징을 파악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사회과 교육에서 갖는 의미를 이해하여 향후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추진 방향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로 지정된 초등학교의 사회 수업을 관찰하여 분석하고, 면담 조사를 실시했다. 추가로 다른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수업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은 도입과 마무리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디지털 기능이나 TPC의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적 변환이 나타났다. 수업에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도입하고 다양한 원천의 자료를 활용하는데 용이하며, 교사가 학습관리 기능을 활용해 학생들의 활동이나 과제 결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렇지만 디지털 기기의 오작동 문제와 교사, 학생들의 디지털 기능의 미숙함 등은 수업의 질을 떨어뜨리고 교실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2014년에 초중고 사회과에 디지털교과서가 적용되는 것에 앞서 디지털교과서가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교사 및 교사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사용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필요성, 정형화된 사회 수업 방식 재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디지털교과서의 기능적인 미비함을 보완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앞서 충분한 교사 교육을 실시하며, 디지털교과서를 적용한 사회과 교수-학습방법 및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digital textbook policy and the meaning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rough the class analysis of the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digital textbook research elementary class observation, class analysis, teacher interview was conducted. As a result, introduction and finish of the class used digital textbook was relatively much time-consuming. And the class showed the various didactic transpositions that utilize digital functions and TPC features. The use of digital textbook easily has a merit to utilize multimedia elements and to use some variety data. Learning management system has an advantage to check immediately students’ activity and tasks. But digital devices malfunction problems, insufficiency of digital literacy of students were the main factors to degrade the quality of instruction and to make difficult for classroom management. We have to overcome this situation prior to apply the digital textbooks for the whole country in 2014. So, in this study I emphasized th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teacher and teacher education, the needs of user’s digital literacy, reconsideration of the formalized teaching style. And I argue the need to complement the digital devices malfunction and to fulfill a sufficient teacher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lass model.

      • KCI등재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를 위한 소고

        김혜숙(Hyesook K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9 창의력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소외계층 영재들을 위한 영재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정한 집단의 일원이기 때문에 영재학생으로서 판별되거나 영재교육 현장에 배치되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가 제한되는 소외영재들의 특징과 국내ㆍ외 소외계층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보고, 소외계층영재들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갖추어야할 주요 특징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소외집단별 영재들의 특성을 분류하였고 이들의 특성에 적합한 효과적인 영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용하는 데 적합한 지침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have been a topic of considerable interest in gifted education domain. The gifted edcation and gifted educatinon programs have to reflect the rich diversity of countr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by virtue of being members of certain groups in our society, are markedly less likely to be identified as gifted and placed in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The education system aims to nurture every student and help all students discover their talents, realize their full potential, and develop a passion for their life. Therefore,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must be stretched to realize their potential, and equally importantly, to be nurtured so that they will take their place in society later on as morally upright and responsible individuals. This process helps to develop the programmes in gifted children overall.

      • KCI등재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내 유아특수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전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혜숙 ( Kim Hyesook ),이병인 ( Lee Byoungin ),서규원 ( Seo Gyuwon ),주찬미 ( Joo Chanmi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국내 연구의 키워드 의미연결망을 분석함으로써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총 21년간 학술지에 등재된 99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에서 추출된 2,536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정제 과정을 거쳐 연결중심성을 확인하고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다. 정제 및 수정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KrKwi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출현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키워드로 의미연결망 분석과 중심성 수치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TEXTOM을 통해 매트릭스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연결망 분석 소프트웨어인 UCINET6, NetDraw를 활용하여 의미연결망을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기간 내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기간 내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 중심성이 모두 높은 키워드는 ‘통합교육’, ‘장애유아’, ‘유아특수교사’, ‘발달지체’, ‘연구동향’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 시기별 키워드 동향에서는 공통으로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는 키워드와 각 시기별 새롭게 등장한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모두 높은 연결중심성을 보이는 키워드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키워드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의미연결 구조망을 확인하였고, 추후 유아특수교육 연구를 위한 다각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mantic network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this end, 999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or a total of 21 years from 2002 to 2022 were collected. Based on the 2,536 keywords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papers, the connection centrality was confirmed through a refinement process and the semantic network was analyze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analyzed using the KrKwic program for the refined and modified keyword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entrality values were calculated for the main keywords. Then, a matrix file was created through TEXTOM, and based on this, the semantic network was visualized using UCINET6 and NetDraw, which are social network analysis software.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during the entire period were ‘inclusive educati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nd ‘developmental delays’. Second, keywords with high connectivity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within the entire period were ‘inclusive educati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velopmental delays’, and ‘research trends’. Third, keyword trends by analysis period were able to identify keywords that showed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in common by period and keywords that newly appeared in each period. Finally, the keywords showing high connection centrality by period wer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identified various semantic connection networks by examin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ith a focus on keywords, and discussed variou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영아 연령 통합과 영아교사 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혜숙(Kim HyeSook),김주후(Kim Juhu),곽승주(Kwak Seung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논의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치원에서의 영아 연령 통합과 영아교사 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교사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공 . 사립 유치원 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교사들은 유치원에서의 영아통합에 대 해 찬성보다 반대 인식을 더욱 많이 보였고, 그 이유는 영아-유아 교사의 역할수행 차이와 유치원과 어린이집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살릴 필요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영아교사 역할로 가장 요구되는 자질을 영아 발달특성 이해라고 인식하였고, 영아교사의 가장 중요한 능력은 영아의 감정 및 정서에 대해 공감하는 능력이며 영아 개별요구에 민감하고 반응적인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고 보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영아교사의 자질이 영아 인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영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자격기준의 강화와 전문적 훈련, 전문지식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보통합의 맥락에서 연령통합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현장실태를 탐색하게 하고, 영아기 교사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 주는 결과 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eachers' understanding of infant teachers' role and professionalism and integration of infant care with education of kindergarten. To this end, 217 public .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more dissenting views than assenting views about the integration of infant care with kindergarten. And it was shown that this was because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ant teachers-kindergarten teachers' playing a role an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own respective functions needed to be utilized.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most required quality for infant teachers' role was an understanding of infant'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it was presumed that infant teachers should have a sensitive and responsive attitude to infant's individual needs and infant teachers' most important skill was ability to empathize with infant's emotion and affect. Third,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ood that infant teacher's quality had a very important effect on shaping infant's development. And it was shown that tightening qualification standards, professional training and professional knowledge was required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in infant teachers' expertise.

      • KCI등재
      • KCI등재

        교과교실제 도입으로 인한 사회과 교실환경과 수업의 변화

        김혜숙(HyeSook Kim),박선미(Sunmee Par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본 연구는 선진형 교과교실제가 실시되고 있는 중ㆍ고등학교 9개교에 대한 방문조사와 수업관찰, 교사 면담 등을 통해 교과교실제의 도입이 사회과 교실환경과 수업에 가져온 변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과교실제의 도입으로 인한 환경의 변화는 학교환경의 변화와 사회과 교실환경의 변화로 구분하여 접근하였고, 사회과 수업의 변화는 기자재 활용, 학생 중심 활동,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교과교실제가 실시되고 있는 학교의 사회과 교실환경은 기존의 학급제 교실에 비해 다양한 멀티미디어와 교구 등을 갖추고 있었다. 다양한 자료를 폭넓게 활용해야 하는 사회과의 입장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교실환경 개선으로 보였다. 수업 관찰 결과 사회과의 수업은 공통적으로 일반교실제 수업에서보다 기자재의 활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고, 학생 중심 활동이 많아졌으며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도 활발하였다. 교과교실제라는 사회과 교실환경의 변화는 교사들에게 수업 변화의 압력으로 작용하며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들은 교과교실제 자체가 변화를 가져오기 보다는 이를 대하는 교사의 인식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교과과실제는 짧은 시기에 급격히 도입되는 만큼 여러 제도적인 보완과 학교 구성원의 적응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on classroom environment and overall class patterns based on school visits, classroom observations, and personal interviews with teachers in the 9 middle and high schools where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is already set up and operated. The impact on classroom environment includes changes in overall school environment and specific changes in Social Studies classroom. The impact on class patterns in Social Studies includes the utilization of multimedia system, class activities focused on students rather than teachers, and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general, Social Studies classrooms with Subject Classroom System are better equipped with multimedia system and other logistical materials than Social Studies classrooms without Subject Classroom System. This is a significant improvement especially in Social Studies where various types of class materials should be utilized effectively. Accordingly, teachers and students in Subject Classroom System utilized these materials more than those in normal classes, and their classroom activities are more students-centere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increased. Although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could be a pressure to teachers, overall it plays a positive role in Social Studies classrooms in improving class quality and class environment. However, teachers point out that teachers’ overall attitude and awareness on Subject Classroom System is more important than the system itself. Moreover, due to the relatively rapid introduction of the system, all the major participants in school education should endeavor to make themselves adaptive to the new system and some institutional weaknesses should be addressed.

      • KCI등재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혜숙(Kim Hyesook),허준수(Junsoo Hur)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Health Promoting Behavior : HPB)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Ecological Perspective)에서 Pender (1996)의 건강증진모델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2009년 1월 18일부터 2월 28일 까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하였으며 총 49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평균값은 3.11(SD=0.41)로 나타났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모델Ⅰ의 설명력은 5%이었으나 행위관련인지요인을 투입한 모델Ⅱ에서 48.3%로 증가하였고, 환경요인을 투입한 모델Ⅲ에서는 56.1%로 증가하였다. 모든 변수를 투입한 모델Ⅳ의 총설명력은 55.7%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지각된 유익성(β=.475)이 가장 높았으며, 그리고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지역사회환경, 주관적 건강상태, 교육 및 연령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적이고 지지적이며, 다양한 수준의 프로그램 개발, 둘째, 노인복지기관의 접근성 증진을 위한 환경의 조성, 셋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조그룹의 조직, 넷째, 노인 친화적인 환경의 구축과 건강증진관련 시설 및 서비스들의 통합과 조정을 위한 지역단위 해결방안의 모색과 끝으로 노인복지 담당 사회복지사의 건강관련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ajor determinant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HPB) of the elderly living in Seoul.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was Pender's health promoting model and the ecological perspectiv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495 elderly persons whom 60 years old. For the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mean score of the HPB was 3.11(SD=0.41). 2)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ModelⅣ accounted for 55.7% of the variance in HPB. 3) The Major determinants on HPB among the elderly persons were prior related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social support, perceived self-efficacy, community environment, perceived health status, education, and age. In conclusions, first, we should develop to various levels of educational and supportive programs for the HPB among the elderly persons. Second, we should examine more with environment, the accessibility to senior welfare agencies. Third, we should be organized the self-help groups for the elderly persons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ed more secure environment for the HPB, and find better solutions that are provided by various social welfare agencies connected with the coordination of the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ies. Finally, we should develop professional education training programs of the HPB for the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 KCI등재

        e-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 정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김혜숙(Kim, Hyesook),차조일(Cha, Joil)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e-book, 디지털교과서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교과서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학교의 교육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e-교과서를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하였으며 디지털교과서 또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어떤 의미와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초•중학교 교사 53명 대상) 및 면담조사(초•중학교 교사 53명 대상)를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여 e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e-교과서는 활용도나 만족도가 낮은 편이라 정책 수립 당시 실정한 목표를 충실히 달성했다고 평가하기 어려웠고, e-교과서의 발전적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의 필요성이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현장의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책의 추진에 앞서, 교사들이 새로운 형태의 교과서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야 한다. 학교에서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교육 환경의 구축과 더불어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능력 제고를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for e-textbooks (e-book) and digital textbooks (DT). This study used online-base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to identify teachers' thoug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e-book are low, Second, teachers' overall needs for DT are low, too.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environment for using DT as well as teachers' abilities to use DT, Therefore, we have to create a foundation for introducing a new type of textbook before rapid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 policy.

      • KCI등재

        성별에 따른 기능별 영어 부가의문문 사용에 대한 코퍼스 기반 연구

        김혜숙(Kim Hyesook) 한국사회언어학회 2014 사회언어학 Vol.22 No.3

        This study examines gender differences,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English tag questions using three social variables: age, education, and private/public situations. This research is a corpus-based study which used 753 tag questions extracted from the British component of International Corpus of English (ICE-GB). This paper is the sequel to Kim Hye-Sook(2010), which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ag usage. In this present study attention was turned to functions of tag questions to examine whether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tag usage were related to different tag functions. The four functions considered in the study were informational, facilitating, softening and challenging(cf., Holmes 1995; Tottie & Hoffmann 2006). The 753 tags were categorized into those four functions by a native speaker of British English. The tags used by the British men and women in the ICE-GB corpus ha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functions of tag questions. The tags were used consistently in the order of informational, facilitating, challenging, and softening by both men and women regardless of age, education and private/public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