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및 상호작용 체험 : 디지로그 북 응용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김혜선(Haesun Kim),우운택(Woontack Woo)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2

        'Digilog Book' dealing with the combination of each advantage of analog sensibility on texts and digital sensation on virtual reality is one of the noble applications of U-book. Based on contents from books, enhancing 3D immersive display enable readers to enjoy various experiences with multisensory feedback provided. Also, 'Digilog Book' provides digitally created stories that would project different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interacting users' choices on the interface of the book.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users friendly implementation tools providing more interaction between digitally generated stories and digitally generated interface so that interaction between virtual reality and actual realty is expanded through simulating contexts and extents. From the application scenario 'Digilog Book' would perform as a storytelling tool with developing subordinated elements such as context structure, screen structure, definition of writing function, writing interface, writing system structure, etc.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come a significance to direct and indicate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chniques on virtual reality back to life through digitally augmented reality. '디지로그 북 (Digilog Book)' 은 아날로그 책과 디지털 콘텐츠의 장점을 통합함으로써, 아날로그적 감성과 디지털 오감을 함께 느끼도록 개발하고자 하는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전자책이다. 기존의 책이라는 콘텐츠 위에 디지털적인 내용을 삽입하여 책을 보는 독자가 시각, 청각, 촉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경험을 입체적으로 즐기게 한다. 또한 책에 있는 내용을 디지털 스토리화하여 독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다른 내용을 경험할 수 있으며 책이라는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개념 연구과정에서 디지로그 북 응용시나리오를 중심으로 디지털스토리텔링 및 상호작용체험의 내용을 만들어 구체화시키고 시각화해 봄으로써 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스토리텔링 및 상호작용의 내용과 범주를 확인할 것이다. 이처럼 응용시나리오에서 확인된 내용은 디지로그 북 저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저작도구개발을 위한 내용구성, 화면구성, 저작기능 정의, 저작인터페이스, 저작시스템 구성 등 저작기술개발의 방향과 지침을 만드는 지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새로운 개념의 미디어 디지로그북

        김혜선(Haesun Kim),우운택(Woontack Woo)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디지털시대가 도래하면서 사회문화적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기술중심의 가치에서 감성과 문화로의 가치변화가 이루어져 가고 이로 인해 감성과 지식, 테크놀로지 간의 새로운 융합을 연구하는 분야가 생기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인터랙티브 디지털 멀티미디어 환경의 일상성 확대로까지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야 중 오랜 인류의 소통미디어였던 책 또한 새로운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전자책 시대를 넘어 기존의 종이책으로 대변되는 올드미디어와 디지털미디어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융합미디어 디지로그북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로그북을 새로운 개념의 미디어로 규정하며 디지로그북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를 정의하며 현재 연구 되고 있는 디지로그북 시스템과 제작한 디지로그북을 살펴보며 디지로그북을 만드는 직관적인 저작도구 아틀렛을 소개한다. The recent advent of the digital age changes socio-cultural environments. Since the value of technology is moving to the value of culture, new research areas which are the convergence of emotion, knowledge, and technology. These trends enlarge interactive digital multimedia in daily human life. One of them, book, also envolves new concept. Over electronic book, we present digilog book which is fusion of old-media and digital media. In this paper, we define digilog book as a new conceptual media and discuss it in details. Several digilog books are showed as an example and its authoring tool, ARtalet is introduced.

      • KCI등재

        음악 산업에 있어서 배타적발행권에 관한 연구

        김혜선(Haesun Kim),이규호(Gyooho Lee) 한국정보법학회 2015 정보법학 Vol.19 No.2

        기술의 발달로 인해 비트, 밀크뮤직 등 스트리밍 서비스 중심으로 음악 산업이 변화하고 있다. 점차 저작물의 이용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전자출판 등의 새로운 이용방법에 있어서도 배타적발행권자가 저작권산업을 안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하 기 위해 2011년 배타적발행권이 도입되었다. 미국의 ‘배타적이용허락제도(exclusive license)’와 유사한 제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배타적발행권제도에 대해 ‘발행권’이라는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발행의 대상인 저작물에 대한 배타적 이용권을 배타적 이용권자에게만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배타적발행권자가 저작재산권자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배타적발행권을 이용허락받은 자를 의미하는지와 관련하여 혼동이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제한된 의미에서의 배타적이용권’이란 표현을 용하는것이 타당하다. 현재 배타적발행권은 음악 산업에 있어 실질적으로 계약을 통해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없다. 우리나라 음악 산업 구조는 저작권자가 스스로 음악저작물을 유통⋅판매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온라인 음악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음저협(또는 함저협), 음실연, 음산협과 각각 이용허락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특히 각 단체의 신탁계약 규정에 의하면 배타적발행권자도 신탁을 할 수 있으나 효율성 면에서 잘 활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기체결된 신탁계약 해지 관련 규정은 존재하지만 해지가 용이하지 않아 음악 산업에서 배타적발행권이 활용되기 어렵다. 일본은 개정 저작권법에서 전자서적에 있어서 출판권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음악저작물은 전자서적에 해당하지 않아 보호대상이 아니다. 즉, 일본 저작권법은 음악 산업에 있어 우리 저작권법상 배타적발행권자에 대해 준물권적인 권리를 부여 하는 것과는 상이하다. 한편 미국의 배타적이용허락제도는 모든 저작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배타적발행권 제도와 그 대상이 동일하며, 배타적이용허락의 법적 성격을 ‘저작권의 이전’으로 보고 있다. 배타적발행권은 준물권적 성격을 가진 권리로서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권리를 행사하는 등의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배타적발행권의 법적 성격은 저작권양도로 보아야 하며, 그 기간 동안 이용허락이 가능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usic industry has been changed while focusing more on streaming service. In 2011, exclusive license was introduced in Korea to protect exclusive licensees from copyright use as usages of copyrighted works also became various. In this regard, exclusive license is expected to promote the exploitation of copyrighted works. In Korea, there were no actual cases where exclusive license agreements were used in music industry. The holders of copyright and neighboring right usually entrust their right to collective management organizations such as KOMCA(or KSCAP), FKMP, and RIAK. Especially, each organization’s rules can be interpreted to allow trust of exclusively licensed rights. However, it is doubtful that the exclusive license can be actively exploited in music industry as rescission of the license is not easy.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ists, publication right is also applicable to e-book under the revised Japanese copyright law. However, the publication right is not extended to musical works, so that quasi real property right can not be applied to them. Meanwhile, exclusive license system in the U.S.A. is similar to that of Korea as the scope of exclusive license covers all forms of copyrighted works. Under the US Copyright Act, the exclusive license is considered as assignment of copyright. Hence, the exclusive license should be characterized as ‘transfer of copyright’ in Korea.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exclusive license, and then it suggests how to improve exclusive license system in music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