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敎育自治의 制度化 方案에 관한 硏究

        김향자 대구보건대학 1996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1991년도 부터 실시된 교육자치제도의 변천과 현행제도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패션 스타일 표준화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학습모형 - VR/AR 콘텐츠를 중심으로 -

        김향자 ( Hyang-ja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1

        연구배경 패션 디자인 창작 교육 시, 창작 기초가 되는 패션 스타일의 교육 프레임 워크와 교육 환경변화 특성을 고려한 글로벌 K-Contents의 교육 프로세스 패러다임 전환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형 패션 디지털 콘텐츠 전문가 양성 등의 필요성에 의해 디지털 패션 VR/AR 교육 콘텐츠를 구현하고 교육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패션 스타일을 12유형별 표준화 검증을 마친 패션 스타일 표준화 학습 모듈(Kim, H. J. 2019; Kim, H. J. 2018)에 근거하여 디자인 사례를 분석 추출하였다. 패션 디자인을 3차원의 가상공간에서 자유롭게 저작하는 과정과 결과물을 시각적, 입체적으로 프레젠테이션 하기 위하여 AR(Augmented reality) 앱으로 개발하고 이를 패션 아이템에 구현하는 프로세스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3차원공간에서의 디자인 툴 킷은 구글의 Steam VR의 Tilt brush와 HTC 의 VIVE 장비를 사용하였다. 둘째, 가상현실 패션 콘텐츠를 증강현실 앱 구동용은 3차원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이 우수한 Unity 2019.2.7.f이상 버전으로 제작하였으며, 앱 파일은 Android Vuforia 엔진 SDK를 빌드하여 앱으로 구현하였다. 셋째, 패션 디자인 교육용 콘텐츠를 학습하기 위하여 패션 티셔츠에 구현하여 실제 디자인 사례를 보면서 창의적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시제품을 DTP & PRESS처리하였다. 결론 디지털 가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교육프로세스로 표준화된 학습 모듈을 제시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새로운 관점과 방법으로서의 창의적 발상을 표현능력을 확대하고, 디지털 패션 문화 콘텐츠 전문 인력 양성 교과 개발 및 패션 유관 분야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및 패션 디자인 산업계의 생태계 발전과 활성화에 일조하고자 한다. Background This study implements digital fashion VR / AR educational contents by necessity of fostering convergent fashion digital contents experts. In order to present the process of freely authoring fashion design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and presenting the result visually and three-dimensionally, we developed an AR (Augmented reality) app and empirically presente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t in a fashion item. Methods The ecosystem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the fashion design industry. To develop fashion design in a systematic way by type, the design cases were analyzed and extracted based on the fashion style standardization learning module (Kim, H.J. 2019; Kim, H.J. 2018). Result First, the toolkit for designing in three-dimensional space was implemented using the 3D sketch program, Google's open source library, Steam VR's Tilt brush and HTC's VIVE equipment. Second, in order to run VR content as an augmented reality app, Unity was created with Unity 2019.2.7.f or higher version with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3D program, and the app file was implemented as an app by building Android Vuforia engine SDK. Third, in order to learn fashion design educational contents, DTP & PRESS were processed to enable creative design while realizing design examples by implementing them on T-shirts among fashion items. Conclusion By presenting a standardized learning module as a fashion design education process using digital virtual programs, expressing creative ideas as new perspectives and methods to instructors and learners, developing digital fashion culture contents specialists, developing curriculum, and establishing fashion-related business models.

      • KCI등재후보

        PBL(Problem-Based Learning)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김향자 ( Hyangja Kim ),김선희 ( Sunny Kim ),김희성 ( Heesung Kim ),송수민 ( Sumin S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21세기 세계화, 전문화 시대에 능동적으로 적응·대처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회복지과(지역사회복지론), 유아교육과(교육심리학), 청소년교육복지과(여성교육개론)의 교과목에 PBL을 적용하여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협력학습능력 등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 전문가자문, 설문조사, 성찰일지 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능력에서 PBL 학습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소 중 ‘자신감 및 자기통제능력’에서 증진효과가 있었고, 학습자의 성찰일지 분석 결과 과제를 수행하면서 과제수행에 대한 동기, 과제수행방법 등 전반적인 이해가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 결과, 설문조사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찰일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은 PBL 수업을 통해 스스로 교육 내용을 고민하고, 탐구하거나 자료 수집 범위를 확대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성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협력학습에서 PBL 학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별과제능력의 하위요소인 과제관련과 협력관련 능력 모두에서 증진효과가 있었고,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과정에서 팀별로 함께 활동함으로써 협동심, 배려, 믿음, 친밀감, 성취감, 의사소통 증진 등 긍정적 태도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PBL 수업방식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방식의 한계를 보완하는 수업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 다른 학과에서도 PBL 수업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 및 그 외의 교수전략, 요인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ducational effects and enhance students` learning abilities of problem 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by applying PBL(Probelm-Based Learning) model·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classes of Department of Social Works(Introduction to Community Welfar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Educational Psychology),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Development(Women`s Studies)· Research methods was used literature review of PLB, a survey to identify students` achievement, and analysis of journal writings that learners had done· Results were follows· First, PBL model showed learning outcomes on problem-solving, especially in ‘confidence and self-control management,’ ‘the motivation of performance,’and ‘perception of assignments·’ Second, abilities of self-directed learning were improved in learners` oriented attitude· Third, PBL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also were showed positive attitudes in team work, communication skills, and intimacy· In conclusion, PBL model could be applied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enhance educational effects·

      • KCI등재후보

        실습지도교사 지원 여부에 따른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육 실습생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차이

        김향자 ( Hang Ja Kim ),김태인 ( Tae In K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육실습생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해 실습지도교사 지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소재 대학들의 실습생 100명으로 Kuehl(1984)의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신현주(1998)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평균, t검정, F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해 교육실습생들이 가지는 기대는 평가, 실습 안내, 상담자, 교수활동지도, 성장기회 제공, 연구자, 실무지도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실습지도교사의 지원 여부에 따른 교육실습생들의 기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담자 역할의 경우 1년 미만 경력 지도교사보다 10년 이상 경력 지도교사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F=2.90, p<.05). 둘째, 실습지도교사가 실습기간동안 수행한 역할에 대해 교육실습생들은 성장기회 제공, 평가, 연구자, 교수활동지도, 상담자, 실습 안내, 실습지도역할의 순으로 인식하였다. 실습지도교사의 지원 여부에 따른 교사의 역할 수행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습지도교사의 학력에 따라 실습 안내의 역할 수행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2.96, p<.05). 반면에 실습기관의 유형에 따라 역할수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t=-5.56, p<.001) 국공립 실습지도 교사들의 역할수행 점수가 높았다. 셋째, 교육실습생이 기대하는 실습지도교사의 역할과 실습지도교사가 수행한 역할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습지도교사 지원 유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보였다 (유, t=6.16, p<.001 / 무, t=7.43, p<.001).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실습지도교사 지원이 약간의 효과가 있으나 교육실습 실제에서 좀 더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멘토, 슈퍼바이저와 같은 방안도 함께 활용하여 그 효과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He purpose or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teachers`` role-expectation and role-performance by support for cooperating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expectation of cooperating teachers? (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The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expectation of cooperating teachers except between novice teachers and expert.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except education levels of cooperating teachers. On the other han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between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hird, there were a fe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by support for cooperating teachers.

      • KCI등재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변화

        김향자(Kim Hyang-Ja),김태인(Kim Tae I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실습 운영 및 프로그램의 개선방 안을 모색하고자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변화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적 배경에 대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고,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역량중요도 수준과 현재 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t-test를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실습 전, 실습 후, 실습 전․후에 대한 역량변화의 대한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 검증을 위해서 Scheffé사후검 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실습환경의 구체적 경험요소들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 역량을 얼마나 예측 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실습 전과 후 모두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역량중요도와 현재역량수준은 모든 영역에 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고, 교육실습 전․후의 핵심역량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역량’과 ‘학급 운영역량’은 교육실습을 통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와 지도교사의 일반 적 배경에 따라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역량 중요도와 역량수준의 차이를 교육실습 전․후로 살펴본 결과, 교육실습 시 담당학급 연령이 만 4세인 경우와 실습지도교사 학력이 전문대졸인 경우, 교육실습 전 보다 후에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신의 핵심역량 수준을 높게 인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역량중요도와 교 육실습 환경 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에서는 역량중요도와 실습지도교사의 태도는 정적 상관, 역 량 수준과 실습지도교사의 태도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rceived levels of significance of and the perceived current levels of core competencie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respectively.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practicum-related variables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core competencies p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assigned in a 4-year-old class and whose supervising teachers graduated from community college showed an increase in thei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after student teaching.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significance of core competencies perceived by student teachers and supervising teachers’ attitudes, whi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current competencies and supervising teachers’ attitudes. These results provided implications to refine curriculum to foster core competencies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suggestions to improve teaching practicum programs.

      • KCI등재

        젠더 정체성과 페르소나로 수행된 패션 디자인 특성 연구 - Judith Butler의 수행성 이론과 Jung의 Archetype 을 중심으로-

        김향자 ( Kim Hyangja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패션스타일은 젠더 전환 과정을 표현하는 시각적 장치이자, 페르소나를 표현하는 명시적 텍스트이다. 연구대상은 세계적인 작품성을 인정받은 원작 영화 < The Danish Girl, 2015 >이며, 문헌 연구와 작품 연구로 진행하였다. 젠더 전환 과정의 연구 분석틀은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을, 내적 의미는 융의 원형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패러디적 실천인 Cross-dresser는 퍼포먼스적 반복행위로서 유희적 자아와 타자를 전복시키고 젠더의 재배치를 유도하는 장치이다. 둘째, 아니마 전환 매개장치로서 Trans-gender는 의식적 반복적 복장 전환으로 남성 페르소나가 아니마인 여성으로 심리적 동일시되어 젠더 변환의 계기를 마련한다. 셋째, 완전한 페르소나로 전환된 Trans-sexual은 성 전환 수술을 통해 새로운 젠더로 재생산된 이들이 정상적 심리와 자아실현을 완성하고 자신의 정신세계에 적합한 외적 인격을 갖춘 사회인으로 성장한다. 패션 스타일은 양식화된 젠더의 반복적 수행 표현이며, 영화 캐릭터의 젠더 정체성을 수행하는 매개물이며 문화적 장치가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영화미장센인 패션스타일의 중요성과 영상 전문 인력들의 패션 교과목 참여도를 높여 문화 감수성의 질적 향상과 시각화 향상 등 교육적 측면에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Fashion is a communicator who expresses the identity of the self and is a clear text about the socio-cultural era. This study analyzed the expressions and symbolism of sexual transformation in detail to discuss aspects of sexual performance expressed through fashion styles. We analyzed the fashion represented in transsexual transsexual process by applying the inherent symbolism of identity transition through Judith Butler 's sexual identity theory and C.G. Jung' s prototype theory (Anima / Animus). Sexual identity expressed through fashion style is expressed as imitation (parody identity), action repetition (performance identity) and cohesiveness (depression identity). Implicit symbolism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definition prototype theory to the internal values of sexual identity through sex change

      • 보건교과서의 다문화적 내용 분석

        김향자(Kim, Hyang Ja)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다문화교육 Vol.3 No.2

        이 논문은 다문화적 관점에서 현행 고등학교 보건 교과서를 분석하여 다문화시대에 부합하는 보건교육과정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양성과 보편성을 통한 문화의 이해', '편견과 고정관념의 제거', '협력과 관계성' 의 3가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다문화적 관점의 보건교과서 분석틀을 만들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틀에 따라 고등학교 보건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보건교과서에 제시된 건강과 질병의 개념, 건강증진과 건강문제 해결에 대한 내용이 서양의학 중심의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었으며, 다문화교육의 내용을 보건교육과정에 통합시키는 수준은 기여적 접근법과 부가적 접근법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다문화 사회에서 다양한 집단과 소통하고 협력하며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교과로서 보건교과가 자리 잡기 위해서는 변혁적 접근법을 통해 보건교육에 다양한 문화적 관점아 반영되어 건강과 질병에 대한 주류적 관점인 서양의학적 관점의 문제점을 알고, 사회 문화적으로 형성되는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인식과 편견, 오해와 낙인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기존의 개인 중심의 건강관리 접근법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집단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공존하는 삶을 만들어 내는 데 필요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다양한 집단 간 소통과 협력, 건강 실천 방법을 학습하는 교육으로서 보건교육의 방향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components of the 'health; textbooks. After the core educational principles of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invested, the components of health education related to each area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identified to make an analysis framework for health textbooks.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the diversity and university, removal of the prejudice and stereotype,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re the components of the framework.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allows : Health textbooks mainly takes western medical perspectives. And the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integration into health education remains at contribution approach and additive approach. Bu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with various groups, collaboration competence and practical competence are crucial elements for health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health education must take transformation approach, and teach students multicultural citizenship.

      • KCI등재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뷰티스타일의 알레고리적 표현과 미적 특성 연구

        김향자 ( Hyang Ja Kim ),권미정 ( Mi Jeong Kwon ) 한국미용학회 2011 한국미용학회지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rious expression of hair and make-up style in music video on the basis of Craig Owens`s Allegory theory. I analyzed four application elements of borrow, specificity, arrange and accumulate, hybridization in music video of the domestic idol st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as; First, Borrow present the feature of deformation through the distortion and the exaggeration of beauty style of expanding the meaning of ``borrow``. This cause to happen deformation form, playful kitch style and mixed gender. Second, Specificity present through potential shape and incongruity of beauty style. This result from resistance to the old generation and aim to pleasure which is done by destroy the rule and a turn of expression on a typical beauty style. Third, Arrange and Accumulate present a notion of accumulation and simply line-up. This is shown the countercultural tendency through the random repetition of simple and same beauty items. And it makes a new beauty style through. Finally, Hybridization present through blend different cultures. The Young distinguishes adult generation from multicultural ident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