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RA 유전자 다형성과 기분 및 행동의 계절성 변동의 연관성

        김해인,소수정,양희정,송현미,문정호,윤호경,강승걸,박영민,이승환,김린,이헌정,Kim, Hae-In,So, Soo-Jung,Yang, Hee Jung,Song, Hyun Mi,Moon, Joung Ho,Yoon, Ho-Kyoung,Kang, Seung-Gul,Park, Young-Min,Lee, Seung-Hwan,Kim, Leen,Lee, Heon-Jeon 대한수면의학회 2013 수면·정신생리 Vol.20 No.2

        목 적 : 일주기 유전자 다형성이 계절성 기분 장애의 발병 기전과 연관이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RORA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유전자의 다형성과 계절성 변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신문 광고를 통해 모집한 507명의 지역사회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은 Seasonality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SPAQ)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RORA rs11071547 SNP는 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하였다. 여름형은 교란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어, 29명의 여름형은 제외한 총 478명의 대상자를 분석하였다. 계절성군과 비계절성군의 유전자형 분포의 비교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전반적 계절성 점수(Global seasonality score, GSS)와 RORA rs11071547의 연관성은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 참여자 507명 중 12.1%(겨울형 9.3%, 여름형 2.8%)가 SAD에 해당하였다. 계절성군과 비계절성군간의 RORA rs11071547의 유전자형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반적 계절성 점수(GSS)와 세부 항목인 수면시간, 사회활동, 기분, 에너지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세부 항목 중 체중과 식욕에서는 C 대립유전자 동형접함체군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26, p=0.034). 결 론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에서 RORA 유전자 다형성이 체중과 식욕의 계절성 변화에 주요한 역할을 하며, 계절성 기분 장애의 감수성과도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Several evidence has been suggested that the circadian gene variants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olymorphism in RORA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 gene in relation to seasonal variations among healthy young adults in Seoul, Korea. Methods: A total of 507 young healthy adult subjects were recruited by advertisement. Seasonal variations were assessed by the Seasonality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RORA rs11071547 gene was genotyped by PCR in 507 individuals. Considering summer type as confounding factor, we conducted analysis 478 subjects except 29 subjects of summer type.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seasonals and non-seasonals. Association between genotypes and Global Seasonality Score (GSS) were tested using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In this sample, the prevalence of SAD was 12.1% (winter type 9.3%, summer type 2.8%).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otyping distribution of RORA rs11071547 between groups of seasonals and non-seasonals. Global seasonality score (GSS) and scores of all subscales except body weight and appeti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with C allele homozygote and the group with T allele homozygote and heterozygote (p-value 0.138). Scores of body weight and appeti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with C allele homozygot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RA gene polymorphism play a role in seasonal variations in appetite and body weight and i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seasonal affective disorder in some degree in the population studied.

      • KCI등재

        수집소비의 동기와 의의

        김해인 ( Kim Hae In ),이준영 ( Lee June 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현대 소비사회에서 다양하게 등장하는 소비자 유형 중에서 수집소비를 하는 소비자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현재 수집을 하고 있는 20~30대 소비자들 13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 전 행동, 수집 과정, 수집 후 행동으로 구분하였고, 수집소비의 의미를 분석, 도출하여 연구 결과를 범주화하여 정리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로서 첫째, 수집 전 행동에 있어서 수집품 정보 탐색이 내·외적으로 이루어지며 수집행위 시 비의도적 동기로 시작했으나 점차 의도적 구매로 전환되고, 수집품 구매 시 적절하게 구매예산의 상한선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집과정에서는 수집을 하는 소비자들이 과거, 현재, 미래에 모두 수집을 했거나 또는 할 것이라는 수집의 관성적인 특성을 보였고, 수집품 구매 시 긍정적인 감정과 태도를 표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집 이후 행동에서는 보유효과 등의 심리 때문에 수집품을 버리는 등의 처분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수집에 의미에 있어서 수집물들은 기억과 추억을 기록하는 대상물인 동시에 나를 위한 가치소비로서 여겨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집소비는 다양한 소비욕구가 다층적으로 나타나는 행위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소비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취미와 취향이 보다 세분화되어 가고 있는 소비문화의 변화 속에서 수집소비자에 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ehavior of consumers who purchase items specifically for personal collections among the various types of consumers emerging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consumers in their 20s or 30s who were carrying out collection activities. Based on the output of the interviews, consumer behavior was divided into pre-collection behavior, the process of collection, and post-collection behavior. The meanings of collection-oriented consumption were analyzed and obtained,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outlined through categoriz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re-collection behavior, the subjects unintentionally started collection activities along with their internal and external searches for information on items for collection, but they gradually moved towards intentional purchases and set appropriate upper limits for their consumption budgets. Second, in the process of collection, the consumers who were collecting showed the inertial characteristic of collection that they had collected in the past and were collecting currently and would continue to collect in the future, and they also expressed positive emotions and attitudes during the purchase of items. Third, in terms of the post-collection behavior, they did not dispose of their collections due to psychological reasons, such as the endowment effect. Fourth, regarding the meaning of collection, the consumers perceived their collections as objects recording their memories and reminiscences, as well as valuable consumption for themselves. Moreover, collection-oriented consumption was found to be a multilayered act that reflected various consumption need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both the universal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oriented consumption and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collection-oriented consumers, amid changes in consumption culture in the form of further segmentation in consumer hobbies and tastes.

      • 과일 종류에 따른 돼지고기 연육효과

        김해인 ( Hae In Kim ),심예선 ( Ye Seon Shim ),이산하 ( San Ha Lee ),임소현 ( So Hyeon Lim ),최혜진 ( Hye Jin Choi ),김문주 ( Moon Ju Kim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teolytic enzymes contained in fruits, ginger, pear, and kiwi were used to measure Warner Bratzler shear force, tensile strength and collagen content of the pork hind legs in a refrigerator at 4 ℃ for 45 hours. Pork had large differences in fat content in each region. Especially, pork hind legs have been classified as non-preferred meat because it is a low fat region and it is hard to make tender texture after cooking. Meat quality depends on texture, especially tendernes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soften meat and methods have been used to soften meat using proteolytic enzymes. Warner bratzler shear force values of all treatments were analyzed to be very tender and the shear force value of the control was also very low at 2.33 kg/0.5 inch2. The total collage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but insoluble collagen was the lowest at 0.1318g/100g in the kiwi samples. The highest of soluble collagen was also 0.2378g / 100g in the kiwi sampl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group containing the control group. The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Kiwi juice had the best tenderization effect on port meat.

      • 기후변화와 식물 병 발생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딥러닝 모델 연구 동향

        김해인 ( Hae-in Kim ),윤주연 ( Ju-yeon Yoon ),이귀재 ( Kui-jae Lee ),주호종 ( Ho-jong Ju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2

        This review paper explores the intersection of plant disease, climate change,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The changing climate significantly impacts plant health, leading to the emergence and spread of various diseases that pose significant challenges to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food security. Deep learning, a subfield of machine learning, has shown great promise in addressing these challenges by providing powerful tools for disease detection, diagnosis, and prediction. In this review, we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plant disease management,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plant health, and th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methods in mitigating and understanding plant diseases under changing climatic conditions. We present an overview of the critical deep learning approaches used in plant disease research and highlight their advantages, limitations, and potential future directions. Additionally, we discuss the availability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data collection, preprocessing, and model deployment in the context of plant disease and climate change research. By embracing the synergy between climate change, plant diseases, and deep learning, we aim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and foster further research in plant disease management.

      • KCI등재

        초등교사의 그림책 추천 기준에 대한 연구

        김해인 ( Hae I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6 No.-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그림책을 어떠한 기준으로 추천하는지를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1) 그림책을 읽은 뒤 초등교사가 각 그림책을 얼마나 추천하는지, 2) 초등교사가 그림책을 추천하는 기준은 무엇인지로, 이를 초점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83명의 초등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교사들은 주어진 그림책을 읽은 뒤 읽은 그림책을 초등학교 1-2학년에게 추천할 것인지, 그 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 응답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도서 추천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들을 골고루 고려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그림책의 내용과 특징에 따라 유연하게 추천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독자 요인, 교육적 활용 등을 모두 고려하여 그림책을 추천하였다. 특히, 교사들은 독자를 강하게 염두에 두고 그림책을 추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그림책의 독자 연구와 그림책 추천 기준에 대한 더 복합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criteria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ir recommendation of picture book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 how much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 to recommend the picture book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after reading it, b) what are their criteria in their recommending the book. Survey based on these research questions were provided to 83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d provided picture books and answered the questions whether they would recommend the picture book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and the reason(s) on their recommendation. The result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various factors in their recommendation of picture books. They had flexible criteria in recommending pictured books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picture book, reader respons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ed on readers when they recommended picture book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studies on readers of picture books and criteria of recommendation on picture books are needed.

      • KCI등재

        Inferential Characteristics of Poor Comprehen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Using the Think-Aloud Method

        김해인(Hae In Kim),최소영(So Young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4

        배경 및 목적: 읽기이해부진아동이 어려움을 보이는 영역 중 하나로 추론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생각 말하기(Think-Aloud) 방법을 이용하여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이 이야기 글 이해 과정 동안 산출하는 추론의 양상을 일반아동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6학년에 재학 중인 읽기이해부진아동 12명과 일반아동 12명이 참여하였으며, 시각적으로 제시된 이야기를 한 문장씩 읽고 떠오르는 생각을 자유롭게 산출하도록 하는 생각 말하기 방법을 이용하여 발화를 유도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아동은 산출한 총 절의 수는 일반아동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추론절 자체의 산출 빈도는 적어 추론절의 산출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읽기이해부진 아동이 산출하는 추론절의 정확도 면에서는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주목할 점은 추론의 하위유형 중 선행문장을 기반으로 이야기의 발생 원인을 추적하고 정보를 회상하게 함으로써 응집성 있는 표상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설명적 추론의 비율에서 읽기이해부진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특히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는 것이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아동은 추론절 산출 과제에서 양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일반아동과 다른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본 연구 결과는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추론과정을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읽기 평가 및 중재 접근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oor comprehenders have inadequate inferencing skill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hey produce inferences in comprehension processing when reading text. This study analyzed the inference aspect produced when poor comprehenders read text using a Think-Aloud procedure, and compared the results to those produced by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Methods: Think-Aloud is a procedure that encourages the expression of thoughts that freely come to mind after reading visually presented stories aloud sentence by sentence. Twenty-fou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three to six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12 were poor comprehenders and 12 were TD children. Results: First, poor comprehenders produced inferential clauses with lower frequency than TD children. However, the numbers of total clauses produced by the two groups were similar, which indicates that poor comprehenders produce inferential clauses at a lower rat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 the accuracy of inferential clauses produced by poor comprehenders was similar to that of TD children. Third, poor comprehenders generated significantly less explanatory inferences than TD children. Explanatory infer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comprehension; it helps children to determine the cause of an event in a story and to recall information based on preceding sentences.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inferenc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inference aspect produced during the reading of a story by poor comprehenders with that of TD children, and provides experimental data for reading intervention by identifying subtypes of inference.

      • KCI등재

        기획논문 : 국어교육, 어떤 텍스트로 가르칠 것인가 ; 텍스트 난도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해인 ( Hae I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6 한국어문교육 Vol.19 No.-

        학습자에게 적정 난도의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의 난도를 평가하는 연구는 읽기 교육의 주요 연구 주제로 수십년간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이독성 지수나 수준별 교재의 유용성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으며, 텍스트의 난도는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이 독성공식에서부터 텍스트 복잡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진 해외의 연구 동향과 비교했을 때 국내 연구는 그 역사가 짧은 편이며,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그간의 유의미한 연구 성과들이 취사선택되어 적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기존의 연구물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텍스트 난도연구와 관련하여 이 분야의 현재까지의 국내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총 37개의 논문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텍스트와 독자의 측면,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의 측면으로 나누어 유목화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는 텍스트를 양적으로 평가하는 이독성 공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 왔으며 지금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비교적 독자 요인과 난도의 질적 평가에 대한 관심은 매우 적었으나 최근 텍스트와 독자를 함께 고려하였거나,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함께 수행한 난도 연구도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accomplishments of domestic researches on text difficulty and explored prospects of this research area using a systematic review method. Researcher selected 37 studies by using a systematic review method and classified the studies by text and reader factor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readability formula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a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Although there have been less studies considering text and reader factors and conducted by a qualitative assessment method, recent researches considering text and reader factors or conducted b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have begun to germinate in the field of literacy education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에티닐-N-노나노일피리디늄 클로라이드를 치환기로 갖는 폴리아세틸렌의 합성과 특성 연구

        김해인 ( Hae-in Kim ),진성호 ( Sung-ho Jin ),박종욱 ( Jongwook Park ),임권택 ( Kwon Taek Lim ),제갈영순 ( Yeong-soon Gal ) 한국화상학회 2021 한국화상학회지 Vol.27 No.4

        2-에티닐-N-노나노일피리디늄 클로라이드를 치환기로 갖는 새로운 폴리아세틸렌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반응초기에 2-에티닐피리딘과 노나노일 클로아이드의 4차염화반응으로 생성된 단량체 종인 2-에티닐-N-노나노일피리디늄 클로라이드는 별도의 촉매 없이도 중합반응이 잘 진행되었으며, 그결과 89%의 수율로 폴리아세틸렌계 이온성 공액구조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었다. 여러 가지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고분자 구조를 분석한 결과 설계한 치환기를 갖는 폴리아세틸렌 유도체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고분자는 메탄올, DMF, DMAc, DMSO, NMP 와 같은 극성 용매에 완전히 용해하였으며, 이온성 측쇄 부분을 갖는 특성으로 다루는 과정에서 공기중 수분을 흡수하는 경향이 강했다. 고분자의 광흡수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고분자는 산화-환원 피크 사이에 비가역적 전기화학적 거동을 보였으며 다른 이온성 공액구조 고분자의 경우와 유사하게 전기화학적 스캔수를 증가한 실험에서 50회까지도 안정된 산화-환원 거동을 보였다. A new polyacetylene polyelectrolyte with 2-ethynyl-N-nonanoylpyridinium chloride as substituent was easily synthesized via the catalyst-free polymerization of 2-ethynylpyridine by nonanoyl chloride. The polymerization of produced monomeric salt, 2-ethynyl-N-nonanoylpyridinium chloride, firstly formed by the quaternization of 2-ethynylpyridine using nonanoyl chloride, proceeded well to give the corresponding polyacetylene derivative in high yield (89 %). Various instrumental analysis results on polymer structure revealed that the polymer have the polyacetylene backbone system with the designed substituents. This polymer was completely soluble in such organic solvent as methanol, DMF, DMAc, DMSO, NMP etc. This polymer exhibited more hygroscopic property because of its ionic character. The opt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olymer were measured and discussed. This polymer showed the irreversible electrochemical behaviors between the oxidation and reduction peaks. It also showed stable redox system up to 50 cycles as similiar with those of other ionic polyacetylene deriv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