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서 재생간조직의 낙산탈수소효소 A-유전자 발현의 전사활성

        김해영,이승기,Kim, Hae-Young,Lee, Seung-Ki 대한약학회 1988 약학회지 Vol.32 No.4

        Transcriptional rate of lactate dehydrogenase A-gene(LDH-A) during the prereplicative phase of regenerating rat liver was determined by in vitro run-off transcription assay.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nscription rate of LDH A-gene increases between 12 hours and 15 hours peaking at 13 hours after partial hepatectomy of rat liver. The increased rate of LDH A-gene transcription was interfered after DL-propranolol treatment intraperitoneally injected twice at 1 hour and 8 hours after partial hepatectomy indicating that the transcriptional control of LDH A-gene expression may be mediated by beta adrenergic receptor and cAMP as a second messenger. And also was it shown that the temporally increased rate of LDH A-gene transcription was maximum one hour after the second cAMP-surge which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initiation of DNA replication during regeneration of rat liver. And the transcriptional rate of LDH A-gene was decreased to the basal level at the time period when the hepatocytes proliferate rapidly suggesting that the induced LDH Aisozyme may be required for the initiation of DNA replication during regeneration of rat liver. These data may be supporting for the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induced LDH A-isozyme during the pre-replicative phase of regenerating rat liver may play bifunctional roles as a glycolytic enzyme and a helix destablizing protein as well.

      • KCI등재

        기획논문 -대소헌 조종도의 행적과 사상 : “촉석루중삼장사(矗石樓中三壯士)” 시(詩)의 사적(事蹟)에 관하여

        김해영 ( Hae Young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8 No.-

        이 글은 임진년(1592) 오월 진주성 촉석루에서 김성일, 조종도, 이로(혹은 곽재우)가 남강에 투신하여 죽음을 결행하려 했던 사건과 관련되어 지어진 시에 관해 언급한 여러 기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삼장사에 관한 사적을 기록한 글로는 「從遊諸賢錄」(성여신 찬), 「鶴擧言行錄」(최현 찬), 「矗石樓詩懸板」(오숙 찬), 「大笑軒事蹟略閭表碑」(찬자 미상), 「矗石詩樓註」(김응조 찬), 「大笑軒行狀」(한몽삼 찬), 「讀祠祀三壯士疏」(하세웅 찬), 「鶴擧年譜」(이재 찬), 「松巖李先生行狀」(조선적 찬) 정도가 『용사일기』가 印刊되기 이전의 기록으로 살펴진다. 이들 자료에는 대부분 삼장사시의 지은이를 김성일로 기록하고 있으나, 시의 작자를 다른 사람인 것으로 기술한 경우도 있고, 남강에 투신하여 죽음을 결행하려 했던 사실을 언급하면서도 시를 지었다는 사실에 대한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 것도 있다. 1762년 간행된 이로의『용사일기』는 동일 저자가 지은「문수지」와는 달리 삼장사시의 작자가 김성일이고, 그와 함께 당시 현장에 있었던 인물을 조종도와 이로로 기술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로 사후 백수십 년이 지난 뒤 이 책이 출간된 배경에는 삼장사 사당의 건립과 관련해서 현실적인 이해 관계가 문중 간에 얽혀 있었다. 인간된『용사일기』는 이로가 찬한 원래의 초본에 적지않은 첨삭이 가해졌기에 출간 당시부터 문제가 되었으나, 『용사일기』의 출간에 뒤이어 한몽삼의 글이 수록된『대소헌문집』이 간행되어 이-삼장사설을 뒷받침하였고, 비슷한 시기에 현풍 곽문에서는 『망우집』을 중간하여 곽-삼장사설을 주장하게 되면서 이후 양측의 주장이 심각히 대립하였다. 『망우집』의 발간으로 점화된 삼장사 시비에 관여하여 가장 정밀한 수준에서 이-삼장사설이 옳음을 논증적으로 밝힌 이는 대산 이상정이었다. 아상정이 찬한『촉석루시사적』은 학봉이 초유사로 함양에 도임한 때로부터 이후 진주성에서 촉석루시를 짓까지『용사일기』의 기록을 위주로 김성일, 조종도, 이로, 곽재우 4인의 행적을 발췌해서 정리하고, 이에 대해 이상정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여 이-삼장사설이 옳음을 논증한 내용이다. 이상정은 무엇 보다도 촉석루시의 작성 시점이 조종도가 의령에서 돌아온 직후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조종도가 의령에서 돌아왔을 때 곽재우는 이미 진주를 떠나 의령으로 돌아와 있었으며, 대신에 이로가 진주에 있었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촉석루시사적』의 간행 이후 촉석루 삼장사에 관해서는 이-삼장사설이 통설의 지위를 차지한 듯이 보인다. 이후에도 삼장사 사적에 관한 이견(異見)이 간간히 표출되었으나 마침내 근년에 진주성에 삼장사 비를 세우면서 이-삼장사설의 내용이 ‘촉석루중삼장사기실비’의 비면에 새겨지게 되었다. 이로써 촉석루 삼장사시는 김성일이 지었고, 당시 시를 짓는 현장에는 조종도와 이로가 함께 있었다는 것이 실효적 사실로 자리잡아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Historical records have showed different stories about the poem which described the incident that three brave scholars decided to die or their country and threw themselves into the Nam River from Chokseongnu Pavilion in May in the year of Imjin, 1592.Most of the historical documents indicated that Kim Seongil made the poem, but a few documents argued a scholar other than Kim Seongil (김성일) did it, or others just wrote about the incident without mentioning the poem. Many documents disagreed over who were with Kim Seongil on the scene: whether they were Jo Jongdo (조종도) and Lee Ro (이로) or Jo Jongdo and Gwak Jaewoo (곽재우). 『1592-93 Diary』, published in 1762 by Lee Ro, caused a great sensation because it was recorded that Jo Jongdo and Lee Ro were with Kim Seongil on the scene. This book was published one hundred and decades after Lee Ro had died and the purpose of its public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hrine for the three brave scholars. The publication of 『1592-93 Diary』 stirred controversy because it had included many corrections on Lee Ro′s original version. But 『The Collection of Jo Jongdo』. Which supported the fact that Lee Ro was actually on the scene, was published following 『1592-93 Diary』. In the meantime, Gwak′s family in Hyeongpung province argued that Gwak Jaewoo was one of the three brave scholars through 『The Collection of Gwak Jaewoo′s Works』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Choi Hyun (최현) and Kim Eongjo (김응조), which led to the serious conflict between the two families of Lee and Gwak. It was Lee Sangjeong (이상정) who scrutinized argument in 『The Collection of Gwak Jaewoo′s Works』and critically analyzed the book based on the clear evidences. He firstly foucused on the fact that it was when Jo Jongdo just returned to Jinju from Uryeong that ‘Chokseongnu Pavilion Poem’ was made. He also demonstrated that Gwak Jaewoo was in Uryeong, not in Jinju when Jo Jongdo was back to Jinju. Instead, Lee Sangjeong claimed Lee-Ro was in Jinju. Since 『Story about Choseongnu Pavilion Poem』by Lee Sangjeong was published, it has come to be the commonly-held opinion that three brave scholars on Choseongnu Pavilion were Kim Seongil, Jo Jongdo, and Lee Ro. Though a few other scholars have voiced different opinions about who belonged to ‘Three Brave Scholars’, the record that Kim Seongil, Jo Jongdo, and Lee Ro were the ‘Three Brave Scholars’ was finally inscribed on the monument erected in Jinjuseong Casle a few years ago.

      • KCI등재

        일반논문 : 『망우집(忘憂集)』, 년보(年譜)의 자료적 성격

        김해영 ( Hae Young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이 글은 임란 의병장 郭再祐(1552-1617)의 문집 중에 수록된 ``年譜``의 자료적 성격을 살핀 글이다. 곽재우의 문집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초간본이 아닌 간행 시기가 불분명한 간본과 영조 때 간행된 중간본의 두 간본이 전하고 있다. 두 책에 수록된 연보는 인조 15년(16317)을 전후해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이 두 연보에 나타나는 곽재우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갖는다. 임란전 행적에 관한 연보의 기록은 곽재우의 성품이나 자질, 그의 학구적 자세나 장래의 촉망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대체로 곽재우는 인물됨이 비범하였으며, 學文에 힘쓰고 儒行을 닦고 실천했던 인물로서 기록하였다. 六褻를 익히거나 兵書를 읽는 등 다방면에 관심을 가지긴 했으나 이는 학문하는 여가에 이루어진 것이고, 武人이나 將帥로서 보다는 儒生 혹은 文士의 길을 충실히 닦았던 인물임을 드러내려 하였다. 임란 이후 곽재우의 행적에 관한 연보의 기록은 경상감사 김수의 처단을 주장한 격서 사건의 전말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였다. 격서 사건의 전말에 대해서는 초기 간본과 중간본 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중간본에서 이를 보다 자세히 기록하여 격서 사건의 전말을 밝히는 일에 신중을 기했다. 연보의 기록은 격서 사건이 곽재우의 충성심과 의분의 발로로 말미암은 것이며, 그의 의병 활동에 대한 조정의 격려와 포상, 관직의 제수는 이러한 사실을 공적으로 인정한 것임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격서 사건 이후 망우당의 행적에 대한 연보의 기록은 목사, 조방, 방어사 등의 관직을 거치면서 주로 산성의 수축과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등의 공적 활동에 충실하였다는 것과 계모상을 당한 이후 벼슬을 버리고 상제를 엄수하는 데 오로지 정성을 쏟았던 사실을 중점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동안 수차례의 관직 제수와 소명에 응하지 않은 것은 그가 효성이 지극한 인물임을 드러내어 유교 윤리에 철저한 인물임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상제를 마친 이후 영암 유배에 이르기까지 곽재우의 행적에 대한 연보의 기록은 그가 出處에 분명한 태도와 입장을 보인 인물임을 나타내려 하였다. 즉 상제를 마친 후 그는 벼슬 길에 나아가나 자신의 직무와 관련된 건의가 조정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게 되며 이 때문에 영암에 유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것이다. 연보에서는 그의 벽곡 생활이 영암 유배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기록하여 그가 원래부터 도가적 취향의 인물이 아님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보에서는 곽재우가 영암 유배에서 풀려난 이후 부터 화식을 끊고 솔잎을 먹는 생활을 상당 기간 계속하였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광해군 즉위 이후 타계하기 까지 곽재우의 행적에 대한 연보의 기록은 그가 국정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국정이 잘못될 때에는 소신있는 주장을 펼쳤던 인물임을 부각시킴으로써 그가 현실 문제를 외면하는 ``方外之士`` 가 아님을 드러내려 하였다. 그리고 이 동안 주로 非北人系 인물과의 교유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그의 정치적 언동이 당쟁에 편승한 당파적 소행과는 무관함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s a document of the chronological records of the activities of Gwak Jae Woo, the leader of the records of the activities of Gwak Jae Woo, the leader of the ``righteous armies``. Two kinds of books of Gwak Jae Woo(郭再祐)(1552-1617)`s works have been passed down: the earlier published one which is not clear when it came out and the later published one which was released in the period of King Young Jo. Though the books were respectively published in different times, the chronological statements in the two books were recorded in similar periods, around before or after 1630`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re as follows: The records before the war against Japan in 1592 depicted him as trying to be a Confucian scholar or a literary writer rather than a military leader. The records after the war went into the whole story of Gwak`s Declaration where Gwak Jae Woo insisted on punishing Kim Sue, Gyeong Sang Province Governor. The statements showed that Declaration case was caused by Gwak`s loyalty to his country as well as his righteous wrath and that encouragements, prizes, and government positions offered to him by the King Sun Jo`s administration were all the results of the official recognition of his achievements. The records after Declaration stated that Gwak had faithfully served his office work going through several kinds of government positions, especially pursuing his policy of having people put into practice the spirit of filial piety. The records about Gwak`s activities between the time when he finished his three year mourning to his step-mother and the time when he was banished to Young Am tried to clarify that he stuck to his principles in deciding when to take an official job and when to resign it. The records during his life in Young Am tried to make it clear that he was not interested in Taoism until then, stating the fact that he began to stop eating crops there in Young Am. The records written in the period between the coronation of the King Gwang Hae and the death of Gwak tried to clarify that he was never an escapist by highlighting the fack that he took a deep and consistent interest in government affairs and took a firm stand against political injustice. The records also said that his political speech and behavior were not from his bad intention that he would take advantage of the disputes between politic1 factions, adding the fact that he kept social contact with the politicians outside the Northerners.

      • KCI등재

        영조조(英祖朝) 세종(世宗),단종(端宗) 태실(胎室)의 수개(修改) 역사(役事)

        김해영 ( Hae Young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4 No.-

        이 글은 조선시대 국왕 태실을 개보수하는 공역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영조조에 있었던 세종과 단종 두 태실의 수개 역사를 사례로 하여 고찰한 글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에는 국왕 태실에 어떤 결함이 발견되면 태실 소재지의 수령이 이를 관찰사에게 보고하고, 관찰사는 즉시로 태실 현장을 찾아 奉審한 뒤 이를 중앙에 보고하였다. 이렇게해서 관찰사의 보고가 중앙 에 이르면 禮曹에서는 관찰사의 봉심 내용을 중심으로 修改 여부에 대한 의견을 붙여 국왕에게 啓聞함으로써 태실 수개 여부가 결정된다. 태실의 수개가 결정되면 공역에 적당한 일자를 택정하고, 예정된 태 실 수개 일정에 맞추어 本道와 중앙의 해당 관사에서 준비해야 할 인력 과 잡다한 물품, 제반 준비 사항을 확정하여, 이를 본도 및 해당 관사에 미리 알려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그러나 일정과 계획이 정해진 경우라고 하더라도 국휼이나 흉년 등으로 인해 날짜를 연기하는 일이 흔히 발생하는데, 본 세종. 단종 태실의 개수 공사도 국휼로 인해 한 차례 연기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중앙으로부터 태실 수개에 필요한 준비 인력과 物目이 정해져 공문 으로 하달되면 본도에서는 관찰사가 이들 물목과 인력을 고을 별로 분정하였다. 물력과 인력의 분담 정도는 태실이 소재한 고을의 부담이 비교적 많은 편이나 인근의 대읍이 가장 많은 부담을 지는 것으로 나타 난다. 특정한 물품의 경우 멀리 떨어진 고을에 까지 부담케 하는 경우가 보이나, 대체로 태실이 소재한 고을과의 거리나 고을 사정 등을 감안해 서 필요한 물품과 인력을 여러 고을에 두루 부담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다. 역사는 중앙에서 감역관이 내려온 뒤 개시된다. 감역관은 공사 개시 일을 며칠 여 남기고 현지에 도착하여 개수할 태실의 석물 등을 살핀 뒤 이를 사안에 따라 소속 관서 와 예조, 및 본도 관찰사에 보고한다. 뒤이어 예정된 개수 공사 날짜가 임박하면 중앙에서 繕工監 提調와 觀象監 提調가 내려와 태실 공사 현장을 봉심하고, 수개 공사 당일의 행사와 공사 일체를 참관한 뒤 자신이 봉심하고 참관한 바를 중앙에 보고한다. 공역은 ‘告事由祭’와 ‘告后土祭’를 행한 뒤에 개시되며, 공역 을 마친 뒤에는 ‘謝后土祭‘를 행하는 것으로 행사가 완료된다. 본 건의 경우 왕실의 아기 태실을 처음 조성하거나 즉위한 국왕의 태실에 돌 欄干을 조성한 경우가 아닌데도 두 태실의 금표 구역을 정하 고 태실을 수호할 守直을 정하는 문제가 신중하게 논의되었다. 이는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국왕 태실의 관리 및 수호와 관련된 규정이 제대 로 지켜지지 않아 태실이 소홀히 방치되고 있었던 현황을 알려주는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s how repair works on royal placenta chambers of Chosun Dynasty were actually made by looking into the cases of repairing/mending King Sejong & King Danjong``s placenta chambers of stone during King Yeongjo``s reign. This study is summed up as follows: When a defect was found with a royal placenta chamber of Chosun Dynasty, the chief of the location where the chamber existed had to report it to governor, who had to visit the chamber in no time for inspection whose result had to be repor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This way, once the governor``s report reached the central government, the Ministry of Rituals discussed whether repair works should be made or not based on the report, and had the issue decided by reporting the outcome of its discussion to the king. Once repair works were decided, they had public construction service decide a proper date, confirm what were to be prepared by the province and the central departments to meet the needs of the repair work, and let it be known to them respectively so that there might be no preparatory hindrance. Though the date and schedule, however, were set, they got deferred in many cases due tonationwide funerals or famines, and according to documents, the repair plan for the placenta chambers of King Sejong and Danjong was once deferred due to a national funeral. Once an official document that set man power and items necessary for the repair work was delivered from the central department, governor of the pertinent province allocated the itemsand man power to each village. The extent of the burden villages where the chambers existed had to undertake was relatively more but the largest burden, according to documents, was on the largest village in the vicinity. There are cases that certain items were undertaken by remote villages, yet generally, the repair burden was shared by various villages in consideration of their distance to where the chamber was, their situations and etc. The work started after a work supervisor came down from the cetral departmet. The supervisor arrived at the site some days before the start of the work so that he could take a look at stone materials and etc. that would be used for the repair work and report the situation to the department he worked for and to the governor as well as the Ministry of Rituals. And then, as the D-day closed in, the central authorities dispatched an acting director from ConstructionDepartment and an acting director from Astronomy Department, who would take care of the work site, attend several works done on a day as well as the whole work process, and then report what they took care of and observed to the central authorities. The work started after ``Reason Announcement Ritual(告事由祭)’ and ``Report-to-the Land God Ritual(告后土祭)`` were offered, and once the work was done,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 with ``Thank-theLand God Ritual(謝后土祭).`` In these two cases, though they were not initial building of royal placenta chambers or composition of guard rails around an inaugurated king``s placenta chamber, the issue of putting golden lines that would divide the two chambers and deciding their protectors was carefully discussed. This indicates that the royal placenta chambers were neglected until then due to poor observance of the rules related to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the royal family``s placenta chamb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