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鑢의 西漁文草 편집에 대한 一考

        김하라(Kim Ha ra)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본고에서는 金鑢가 편집한 權常愼의 산문집 西漁文草 를 자료로 삼아 산문 작가 권상신과 편집자 김려의 일면에 각각 접근하고자 하였다. 권상신에게는 그 서자인 權正履가 엮은 것으로 추정되는 稿本 문집인 西漁遺稿역시 전하고 있는바, 서어문초 의 검토에 참조가 된다. 서어문초 에 수록된 작품들의 창작 연대를 고증한 결과 이 小集에 수록된 24편의 산문 가운데 적어도 21편이 저자의 20대 所作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각각의 작품들을 통해 京華世族의 자제로 南公轍 등과 교유하며 書畵古董의 취미를 향유하던 젊은 저자의 면모가 확인되며, 특히 <障上畵石贊> 등의 작품에 나타난바 화가 崔北을 불러 그림을 그리도록 할 수 있는 권상신의 취향 및 사회경제적 지위가 주목된다. 또한 그의 20대 시절 작품으로 干支 표시가 되어 서어유고 에 수습되어 있으나, 본 서어문초 에는 실리지 않은 <崔七七傳>의 존재는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 작품은 남공철의 金陵集 에도 똑같이 수록되어 있어 작자 고증이 요청되는 상황이었는 데, 김려가 권상신의 20대 시절 작품을 중점적으로 엮은 서어문초 에 해당 작품이 빠져 있다는 것은 그것이 남공철에게 귀속됨을 증명하는 자료가 될 뿐 아니라 편집자로서 김려가 권상신의 계승자인 권정리보다 작가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는 식견 있는 편집자로서 존중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는 단서로서 의미가 있다. I wish to review in this paper both editorial capacity of Kim Lyeo金鑢 and Kwon Sangshin權常愼's individuality as a writer by reading Seoeomuncho 西漁文草 , an anthology of proses of Kwon. Kim Lyeo, edited this short anthology at the request of Kwon, a 53 years old highranking official. Meanwhile Kwon has a voluminous book Seoeoyugo 西漁遺稿 , the posthumous works of his and its compiler is his son Kwon Jeongli權正履. However, Kwon Jeongli was the child of a concubine and there was so much this youngman didn't know yet about his deceased father's writing. There are 24 pieces of prose contained in Seoeomuncho and at least 21 articles had been written at his twenties. We can confirm young Kwon Sangshin’s identity as a literary person is concerned with his remarkable socio-economic status by reading these 21 articles. Kwon is a youngman of delicate tastes of art to call Choi Buk崔北, the most famous painter of Joseon his home and to describe the scene of genius artist's drawing in one prose. Apart from above-mentioned prose, there is “a short biography of Choi Buk” in Seoeoyugo. The same article is included in other writer's collection of works and it is /presumed that Kwon Jeongli made a mistake to compile the script of a friend of his father's in Seoeoyugo. But Seoeomuncho, edited by Kim Lyeo, do not contain an article of dubious authorship like “a short biography of Choi Buk”. This may be a clue to prove that Kim has considerable insight as an editer and his editorial achievement is noteworthy.

      • KCI등재

        ‘金溪’・‘西齋’ 藏書印을 통해 본 奎章閣 藏書의 한 局面

        김하라(Kim Ha ra)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8 No.-

        본고는 규장각에 소장된 일군의 문헌에 보이는 ‘金溪’・‘西齋’ 장서인이 가리키는 지점을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장서인이 찍힌 규장각 소장 문헌은 집부 별집류 41건, 집부 총집류 6건, 사부 2건 등 49건이 있으며, 규장각에 위탁된 해군사관학교의 자료 2건까지 합하면 도합 51건이 같은 기관에 소장된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국립중앙도서관의 1건, 일본 동양문고의 2건까지 더하면 무려 54건의 고문헌에 ‘金溪’・‘西齋’의 장서인이 찍혀있어, 그 문구가 지칭하는 소장자의 신원을 밝히고 그를 한 사람의 유력한 장서가로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하게 된다. 해당 圖書群의 성격과 내용을 분석하여 이 책들이 경북 북부, 특히 안동으로 수렴되는 지역성을 띠고 있다는 단서를 찾은바 ‘金溪’를 경북 안동시서후면 금계리로 확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저자와 관련인물, 수록내용, 간행시기 등을 고려한 결과 이 책들이 19세기 후반 20세기 초까지 금계리 소재 학봉 김성일 종택에 수집되어 장서인이 찍히게 되었다는 前史를 추론했으며, 이 점은 ‘金溪’와 ‘西齋’를 김성일의 주손 金興洛(1827~1899)에게 귀속시킬 근거가 된다. 따라서 해당 도서군은 한말 영남학파의 종장으로 언급되는 김흥락의 장서로 재조명할 여지를 갖는다. 한편 학봉 종택과 규장각에 공히 전하는 장서인인 ‘溪堂’을 단서로 삼아 조사한 결과 금계리 학봉 종택의 거주자를 지칭하는 다른 이름인 ‘召福山人’, 김흥락의 부친인 金鎭華 및 8대조 金煃의 명의를 나타내는 ‘坦窩居士’ 및 ‘定跟齋藏’ 등 김흥락 가의 장서를 구성하는 여타 장서인들도 새로이 발견할 수 있었다. 김흥락의 ‘金溪’・‘西齋’, 김진화의 ‘坦窩居士’・‘召福山人’, 김규의 ‘定跟齋藏’ 등 김성일의 후손에 해당하는 일가의 장서가 규장각 한 곳에 소장되어 있다는 이 현상은, 영남 남인 장서가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고 구체화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On a group of the books in Kyujanggak Archives is stamped with words ‘Geumgye’金溪 and ‘Seojae’西齋. These two words are the seals of the owners of the collection, in other words, proprietary seals. In this paper I tried to identify who was the owner of the book collection. Among the books of the Kyujanggak, there are 49 books with the seals. Plus five books with the same seals are also found in the collections of the Naval Academy,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the Japanese Oriental Library. Through this study, I came to assume that the owner, who has left his mark on 54 pieces of data, is Kim Heungrak金興洛, a Confucian scholar in the 19th century. ‘Geumgye’ is a term referring to the descendants of Kim Seongil金誠一 of Geumgyeri in Namhu-myeon, Andong City, Gyeongsangbuk-do. It seems that ‘Seojae’ refers to the school where Kim Heungrak, a descendant of Kim Seongil, was teaching the students in the Yeongnam area. Through further investig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collections of Kim Jinhwa金鎭華, the father of Kim Heungrak, were found in Kyujanggak. This study reveals that the collection of Kim Heungrak s family is a part of the collections of Kyujanggak.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history of publishing and circulating book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se of Kim Heungrak should be paid attention to.

      • KCI등재

        유만주(兪晩柱)가 만난 이안중(李安中) - 1786년 9월, 남산의 문학청년들-

        김하라 ( Kim Ha-ra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9

        본고에서는 兪晩柱의 『欽英』에 기록된 바를 바탕으로 李安中의 청년기를 재구했다. 충청도 단양의 문인 이안중은 23세 되던 1774년, 자신이 쓴 시문을 보이기 위해 서울 창동의 兪漢雋 家를 방문했다. 유한준의 외아들로 당시 20세였던 유만주는 「浪華女兒曲」 등 이국 여성의 목소리로 읊은 그 시문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 이래 이안중은 1786년까지 한 해에 두어 차례 이 집을 방문하여 유만주와 교유했다. 유만주는 詩論이 중심이 된 이안중의 言說 및 그가 낭송하는 자작시를 경청했으며, 또한 『索隱』 등 그의 야담집도 읽고 일기에 면밀히 기록했다. 이에 힘입어, 자작시를 낭송하는 감성 충만한 시인이자, 여성인물의 생애에 관심이 많은 야담작가이며 시의 음악성과 형식의 단련에 비중을 두는 평론가로서 이안중의 다각적 면모에 접근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이안중의 작품 「雁帝本紀」가 매개가 된 1786년 9월 11일과 9월 19일의 특별한 文會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그로써 흥미로운 시문을 저술하는 것 이상으로 그것을 낭송하는 데 각별한 재능이 있었던 이안중의 면모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그 문학적 배경으로 어른거리고 있던 朴趾源의 존재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모임의 구성원 중 한 사람인 金相任의 신원을 밝히고 그가 박지원의 후배 문인으로 중요하게 거론 될 여지가 있다는 단서를 얻은 것도 본고의 성과라 할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rtray a portrait of a literary youth in the 18th century Joseon. The young man's name is Yi Ahn-jung and his home is Danyang in Chungcheong Province. In 1774 he visited the house of Yu Han-jun in Seoul, where he showed his poetry and was encouraged. At that time, Yu Man-ju, Yu Han-jun's only son, was impressed by Yi Ahn-jung and his poetry. And Yu Man-ju wrote his diary Heumyeong for the next 13 years and detailed his encounter with Yi. Thanks to the diary Heumyeong, we can reproduce various aspects of a literary youth of Joseon. Yi Ahn-jung, drawn in Heumyeong was a poet who recites poetry that he wrote himself, a prose writer who was interested in the life of female characters, and a critic who considered the form and musicality of poetry as important. I also analyzed the literary gathering of Yi Ahn-jung and his sympathies to appreciate chrysanthemums and to recite poems and prose. Yi and his friends gathered in a garden in Cheongpa-dong, Seoul on lunar September 11, 1786, and gathered at the house of Yu Man-ju’s in Chang-dong on September 19, a few days later. On this occasion, Yi Ahn-jung recited his prose “Life of the Emperor Wild goose” and Yeolhailgi, the China travel sketches of Park Ji-won’s and made a deep impression on the audience. Among the participants was Kim Sang-im, one of the juniors who followed Park Ji-won. He referred to Park Ji-won’s recent works and expressed the influence of Park Ji-won, a literary artist. The diary of Yu Man-ju is a vivid description of a literary gathering in Seoul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it help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Joseon literature and literary youth at that time.

      • KCI등재

        유만주(兪晩柱)의 『수호전(水滸傳)』 독법(讀法)

        김하라 ( Ha Ra Kim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8

        몽상과 욕망을 기록한 데서 오는 虛構性은, 兪晩柱가 쓴 日記『欽英』의 다양한 면모 가운데 그다지 조명되지 않은 것에 해당한다. 이 글은 『흠영』의 이러한 虛構的면모가 연원하는 바를 그의 소설 독서와 관련하여 밝히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20대의 유만주는 評點本四大奇書및 明淸筆記類의 독서를 통해 소설에 대한 비평적 지식체계를 형성해 나갔다. 이 가운데 그는 李卓吾評批本『水滸傳』이 지향하는 ''새로운 세계의 구축''이라는 주제의식에 내적으로 깊이 공감하여 자신의 허구인 『臨華制度』의 저술에 『수호전』의 다양한 면모를 반영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유만주는 명청의 소설을 읽던중 『수호전』의 평점비평가로서 김성탄을 주목하기 시작했고, 서른 살에 비로소 70회본『수호전』을 읽었다. 넉 달에 걸친 이 『수호전』 독서일기는 私生活과 自我가 교직되어 독특한 양상을 보여준다. 그는 『수호전』의 문예미학적 측면에 주목하여 적극적으로 읽고 논평하며 그 스스로 ''허구''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참조대상으로 삼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스로의 존재를 돌아보고 반추하며 ''이 소설을 읽고 있는 나는 어떤 사람인가''하는 질문을 던지고 해명하는 데 이르기도 했다. 이 두 가지 읽기의 태도는 독서와 창작의 관련, 소설과 자아의 관련이라는 측면이 두드러지는 그 특유의 讀法에 해당한다. The diary has a latent tendency to become a fictitious narrative, organizing its structure in a self-centered way. Heumyeong欽英not only has this tendency, but includes some fiction as a literal meaning of the word. This fictitious aspect of Heumyeong comes from reveries and desires of Yu Manju兪晩柱, the writer of Heumyeong. He makes a vast, beautiful utopia named Imhwadongcheon臨華洞天in his diary. Heumyeong is best known for a reading diary of Yu Manju. And then some researchers take notice of his enthusiasm for wandering through the world of books. They have an insatiable curiosity about the titles of books referred in Heumyeong, describing lists of the books at great length. Accordingly what kind of reading diary Heumyeong is and why the writer mentions the books, relatively remains unnoticed. In this paper, I attempt to focu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ictitious aspect of Heumyeong and the fictions Yu Manju read with avidity. Relating his reading diary about the Four Masterworks of the Ming Novel四大奇書, a special regard will be paid to Shuihuzhuan水滸傳, commented by Jin Shengtan金聖嘆. Poring over Shuihuzhuan, Yu Manju empathizes with heroes living on the margins of society and writes about his own marginal utopia in more detail. The fictitious aspect of Heumyeong throws light on Yu Manju's intentions and methods as a writer.

      • KCI등재

        龍洲(용주) 趙絅(조경) 문학에 나타난 질병의 형상화

        김하라 ( Ha Ra Kim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2

        이 논문에서는 17세기 주요 관료문인의 한 사람인 용주 조경의 작가적 개성을 질병이라는 경험의 문학적 형상화라는 한 가지 단서로 해명해 보고자 한다. 그의 생애에서 질병과 養生, 의학적 지식의 획득과 현실적 적용 등이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가 타인의 삶을 응시할 때 유독 저마다가 겪은 질병에 주목하고 있는 점이 그의 글쓰기에 뚜렷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조경이 쓴 가족과 벗의 祭文을 검토한 결과, 그가 의사와 흡사하게 전문성과 책임감을 지닌 채 타인의 질병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으며, 스스로가 진단한 질병의 구체적 내용을 제문의 서사 구성에서 주된 축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서술방식은 그의 제문이 진부함을 벗어나 진정성을 획득하는 데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는 중풍으로 요절한 벗을 두고 품게 된 세계에 대한 심원한 의문을 의론문의 형식을 빌어 표출하고 있는데, 그의 이 의문은 역시 인간과 질병에 대한 그의 일관된 태도 내지는 시선을 반영하고 있다. 조경이 말년까지 지속해 온 이와 같은 타인에 대한 시선과 태도는 질병이 혐오의 대상이고 척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삶의 일부로 수용해야 할 무엇이라는 깨달음과 이어지고 있고, 그 깨달음은 결국 결함 있는 이 세계를 받아들이는 그의 세계관과도 연결된다. This paper suggests elucidation about one aspect of Yongju龍洲 Jo Kyeong趙絅`s literary achievement. Jo was an influential government official of 17th century Joseon朝鮮, particularly as a leader of the Namin 南人 Party. He is also known as a unique literary man enough to be mentioned by King Jeongjo正祖 many years after his death. Jo`s literary personalities are associated with his attitude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As a man of infirmity from the childhood, he has studied medical books and practiced rules for maintaining good health. He achieved considerable medical knowledge as a result. And this has an outstanding influence on the uniqueness of Jo`s writing. When he was writing the messages of condolence for his family and friends, the dead were depicted as patients. In these writings, he shows how his beloved people suffered each illness to death in a concrete style of writing. There is no metaphors surrounding certain illnesses and the patients. Reconstructing each situation of illness, he penetrates into the condition of patients and questions what inhibit himself from seeking proper treatment. Jo`s attitude bears some parallels to a medical doctor`s, that is, some professionalism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his later years, Jo shows a wonderful insight on life, especially in regards to illness and death. In his "Disease Story病說" which written to console one of his sick friends, giving advice to hypochondriac patients, he argues that illness is not a curse, certainly not an embarrassment but a part of our lives. After all, the defective can be more than the entire to Jo Kyeong.

      • KCI등재

        특집 1: 백운 심대윤의 문학과 사상 : 심대윤(沈大允)의 자기서사-노동하는 양반의 정체성과 자기 해명

        김하라 ( Ha Ra Kim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沈大允이 쓴 두 편의 자기서사인 「東邱子自解」 및 「與柳君夏元書」를 분석하여 그의 학문세계의 연원이 되는 생애 경험을 재구하고자 한 시도이다. 먼저 「東邱子自解」에서는 廢族의 후예로 극빈의 처지에 있으면서도 ‘士’의 본분과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날카롭게 유지하고 있던 30세 무렵 심대윤의 개결한 사대부로서의 면모를 포착할 수 있었다. 한편 그는 「東邱子自解」를 쓴 시기에 안성 읍내에 거주하며 상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나 이 글에서는 자신의 노동에 대해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마흔 살을 앞둔 1843년 제자 柳榮建에게 쓴 편지인 「與柳君夏元書」에서 양반사대부로서의 체면을 포기하고 본격적으로 상업에 뛰어들었던 자신의 28세 때 이래의 경험에 대해 비로소 진솔하게 토로한다. 이 가운데 그는 상업에 종사하며 남의 시선을 받는 것이 몹시 수치스럽고 그럼에도 이일을 유지해야 하는 자신의 처지가 몹시 암담하고 고통스럽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그 수치스러운 노동을 통해 가족의 생계를 해결하고 폐족의 長孫으로서 책임을 다할 수 있었다는 데 대해 일말의 자부심을 가지며 양반의 육체노동에 대해 의미부여를 할 여지를 두고 있다. 이러한 여지는 그가 이후 좀 더 독립적인 형태를 띠며 ‘士’의 본분인 공부와 병행할 수 있는 노동인 수공업, 즉 반상을 만드는 일에 종사하게 되었을 때 보여준 노동에 대한 진보한 인식 및 스스로의 만족감과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suggests elucidation about one aspect of Shim Daeyun沈大允, a unique scholar of late Joseon. He is known as a practical philosopher who had kept his livelihood by physical labor in spite of his gentry(Yangban) identity. In his two essay, "The Self-explanation of Dongguja"東邱子自解 and "A Letter for Yu Yeonggeon"與柳君夏元書, Shim tries very scrupulous self-narrative. The former represents him as an intellectual 30 years old whose family had met an abrupt downfall by political persecution. This critical youngman held firm opinions about the situation of scholar-official, which usually conflicted with his contemporaries. While the latter, wrtten when his forties was close at hand, Shim laid his inner thoughts about his life before Yu Yeonggeon, his faithful pupil. It has been nearly a decade since Shimhas been carrying on business in herbal medicine shop. However most people couldn``t accept the idea that the gentry(Yangban) might engage in physical labor such as commerce or industry. Being the head of the househol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job weighed him down. Engaged in commerce, Shimfelt a deep sense of shame and humiliation. He confided all his dilemma to his best pupil while he got a little self-esteem about his a bread-and-butter job and his life.

      • KCI등재

        유만주(兪晩柱)의 마지막 일기와 이상적 공간의 기획

        김하라(Kim,Ha-ra)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5

        18세기 후반 서울에 거주한 사대부 지식인 유만주(1755~1788)는 1775년 1월 1일부터 일기를 썼다. 12년간 정성스레 일기를 이어 오던 그는 1787년 5월 장남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일기쓰기를 중단했다. 다만 죽은 아들의 애도 기간으로 규정된 7개월간 아들을 기억하기 위한 일기를 더 쓰고 완전히 그만두기로 스스로 약속했다. 그는 약속대로 1787년 12월 14일에 “달 그림(月畵)을 제어해 끊고 마음의 붉은 눈송이(丹雪: 연지분)가 그치도록”이라는 모호한 문장을 써 일기를 맺었다. 본고에서는 그가 절필을 앞둔 1787년 12월 1일에 작성한 ‘원서(園墅) 제편(題楄)’을 분석해 이 마지막 문장의 의미를 읽어내고자 했다. ‘원서 제편’은 ‘임화동천’(臨華洞天)이라는 공간을 구성하는 21가지 건축물과 조경시설, 자연환경의 범주와, 각각의 범주에 속한 개별 항목의 이름 213개로 구성된 목록이다. 유만주가 사랑하고 꿈꾼 풍경과 공간을 수렴한 이 목록은 1775년부터 그가 지속적으로 시도한 ‘임화동천’이라는 이상향의 기획을 계승하여 결산한 것이었으며, 심미적 몽상가이자 소설의 작가로 나아가던 유만주의 자아를 그려낸 마음 속 그림이자 일종의 자기서사다. In the late 18th century, Seoul s intellectual Yu Man-ju(1755~1788) started writing his diary Heumyeong on January 1st, 1775. After keeping a diary for 12 years, he was shocked by the death of his eldest son in May 1787 and stopped writing the diary. He promised himself that he would write more diaries in memory of his son during the seven months defined as a period of mourning for his deceased son, after which he would quit completely. As promised, on December 14, 1787, he wrote the ambiguous sentence: Take control of the drawing of the moon and stop it, and let the red snowflakes of your heart cease , and thus ended the diary. In this paper, I tried to read the meaning of this last sentence by analyzing the Plaques of Garden written on December 1st, 1787, just before he quit his diary. Plaques of Garden is a list consisting of 21 categories of buildings, landscaping facilities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213 names of individual items in each category. These names constitute a space called The Ideal Land of Imhwa . This list, which converges the landscapes and places that Yu Man-ju loved and dreamed of, succeeded and settled the utopia project called The Ideal Land of Imhwa , which he has continuously attempted since 1775. Also, this list is a mental picture and a kind of self-narrative depicting the self of Yu Man-ju, who was an aesthetic dreamer and on the way to becoming novelist. On the other hand, while writing a diary for his son s mourning, Yu Man-ju, who deviated from writing focused on his own aesthetic taste, felt deeply guilty and ashamed of himself. So, he wrote the last sentence with the intention that he would no longer indulge in dreams and beauty and write decorative articles. I think that the ‘moon drawing’ refers to the landscape drawn by his dream, and the ‘red snowflake of the heart’ refers to the act of adorning a beautiful imaginary world. In the end, the last sentence of Yu Man-ju s diary was a denial of his aesthetic taste and lifelong dream that he had kept until the end. This statement is problematic in that it implies serious self-denial. Through this last sentence, it can be seen that Yu Man-ju no longer allows himself to write and live. This coincides with the death of Yu Man-ju on January 29, 1788, less than a month after the diary ended.

      • KCI등재

        유만주(兪晩柱)의 「전목재연보(錢牧齋年譜)」연구

        김하라 ( Ha Ra Kim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It is very controversial thing to answer the question who Qian Qianyi(錢謙 益) was. Because he made a living in somewhat contradictory and dubious way Qian Qianyi had been underestimated and scorned for a long time despite his brilliant achievements as a author. Unlike other critics, Yu Manju兪晩柱considered Qian Qianyi as a most crucial author in literature so that tried to describe his life as objectively and indiscriminately as possible. While Yu Manju wrote The chronological list of the Qian Qianyi``s life錢 牧齋年譜he focused on the Qian Qianyi``s competence as a poet and a historian. It is the central axis of The chronological list of the Qian Qianyi``s life how that competence had been kept and developed through his life. Meanwhile Yu Manju made an effort to describe the Qian Qianyi``s private life as well as his public life thoroughly. From that we can infer Yu Manju had a prominent talent as a biographer. Plus it must be said Yu Manju pointed out the fact in The chronological list of the Qian Qianyi``s life that in some sense Qian Qianyi was nothing but one of the Chinese who held a sense of ethnocentrism or Sinocentrism being indifferent to the public interest of Joseon(朝鮮). From the way how he handle the subject we can infer that when it comes to writing about someone Yu Manju thought highly of objective and rational attitude.

      • SCIESCOPUSKCI등재

        누에분말 및 누에동충하초분말 함유 돈육 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일석,진상근,조철훈,이무하,장애라,Kim, Il-Suk,Jin, Sang-Keun,Jo, Cheor-Un,Lee, Moo-Ha,Jang, Ae-Ra 한국축산식품학회 2008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8 No.5

        본 연구는 누에분말 및 누에동충하초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돈육 패티의 $5^{\circ}C$ 냉장저장 기간(0, 3, 6, 9일)동안의 품질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저장 6일차까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pH값을 보였으며 육색의 경우 누에분말과 누에 동충하초 분말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L과 a값은 감소했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p<0.05). 누에분말과 누에 동충하초 분말 첨가가 보수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2 처리구에서 낮은 가열감량을 보여 0.4%의 누에분말이 가열감량을 억제하였다(p<0.05). 지방산패도는 누에분말과 누에동충하초분말 첨가구 및 혼합 첨가구에서 모두 대조구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그러나 누에분말과 누에동충하초분말 처리간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돈육 패티의 관능적 특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풍미의 경우 저장초기에는 처리구의 기호도가 높았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하면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냄새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종합적기호도에서도 저장초기에 대조구보다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하면서 대조구에 비해 높거나 차이가 없었다. 누에분말과 누에동충하초분말 처리구간의 뚜렷한 기호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누에 및 누에동충하초분말은 돈육 패티의 pH값을 증가시키며 가열감량과 지방산패도를 억제시켰으며 보수력과 관능적 특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보이지 않아 추후 가공육제품의 첨가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