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유신』과 『영언선』을 통해 본 대구의 가곡문화

        김태웅 ( Tai Woong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7

        대구의 歌客인 한유신(?~1765)은 “動鶴山 □린 岩巒 有情도 □셰이고 /大德山 鳥足峯이 龍虎□ □화잇다 / 이듕애 風景 님자□ 나 뿐인가 □노라”라는 대구 지명을 활용하여 시조를 남겼다. 대덕산은 앞산, 동학산은 경산남쪽 4㎞쯤의 대구와 경계한 산이다. 그는 ‘어릴 적부터 노래를 좋아해 거의 침식을 잊을 정도였다’고 『영언선』에 스스로 기록하고 있다. 대구도호부에서 微職으로 있으며 다른 시조에서 노래한 것처럼 ‘80이 거의 다 되어’ 삶을 마칠 때까지 시조를 창작하고 노래하는 등 歌曲의 전승 및 향유에 앞장섰다. 그의 음악적 삶은 진본 『청구영언』에 기록되어 있는 ‘閭巷 6인’의 한 사람으로 이름을 날리던 가객 김유기를 1715년 대구에서 만나면서 본격화 될 수 있었다. 김유기는 자신의 노래책인 『영언선』을 남겼고 고조를 고수하였고 그것을 한유신에게 전승하였다. 한유신은 죽을 때까지 김유기가 전수한 고조를 고수하였고 시조 11수를 남겨 대구지역에 가곡문화를 전승하고 유지시켰다. Youshin Han who is singer in Daegu left the Sijo to take advantage of the name of a place. He has himself written in Youngunsun since childhood I like song so forget a little sleep. To staff from the DaeguDohobu, as if ``almost 80`` he is the Sijo from a different tradition spearheaded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the Gagok(歌曲) such as singing until you finish life. His musical life hit in 1715 Daegu since Yougi Kim meeting. Yougi Kim was left a song book Youngunsun. it was handed down to Youshin Han. Youshin Han was delivered adhere to the Gojo(古調) Yougi Kim until his death. And Leave the song can Sijo 11 Cultural traditions were maintained in Daegu.

      • KCI등재

        19세기 초반 가집 서울대본 『악부』의 성격과 시가사적 의미

        김태웅 ( Tai Woong Kim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가집연구는 연구자들이 노력하는 품에 비해 빛을 보기가 어려운 분야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일수록 끊임없이 노력한다면 더 좋은 연구성과를 기대할 수있다. 이 논문도 필자가 몇 년간 연구하여 나온 결과물이지만 그 성과는 미미하다고할 수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 텍스트로 삼고 있는 서울대본 『악부』는 개별논문이 나오지 않아 그 실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가집이다. 이 연구를 통해 파악한 서울대본『악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대본 『악부』는 ‘율당대엽’이라는 유동적 악곡을 가지고 있다. 이악곡은 ‘반엽’일 가능성도 있지만 이 가집에는 우조와 계면조가 나눠져 있지 않아, 아직까지는 그 역할이 분명하게 정해지지 않은 유동적 악곡으로 인정하는 편이 옳다고 생각한다. 둘째, 『악부』라는 가집명은 ‘기생’, ‘교방’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가집에는 12명의 기생의 18수의 작품이 수록되었다는 점은 이러한 사실을 입증하는 자료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셋째, 이 가집에는 89수라는 많은 가객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세 번에걸쳐 89수라는 가객의 작품을 수록한 점은 이 가집이 기생들을 가르쳤던 교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 것은 아니었는지 조심스럽게 추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래책으로서 서울대본 『악부』를 바라보면 더 이상 질서정연하지 않은 가집이 아니라 그 당대의 향유상을 가장 잘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가집사에서 서울대본 『악부』는 19세기 초 당대의 향유양상의 실제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화라는 것은 필자가 노력하지 않아도 그가 쓴 책에 무의식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율당대엽’은 이 악곡이 독립된 악곡이든 ‘반엽’의 역할로 변모되었든 간에 그 자체로 이 가집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노래책으로서 서울대본 『악부』를 바라볼 때 가장 먼저 염두에 두어야 하는 부분이다. The Gajip is a difficult field of study compared to the figure of researchers and efforts. But if you ever try the more these studies can be expected to better research results. The paper also resulted from the research I``ve a few years, but its performance can be considered negligible compared to hard work. Akbu of Seoul university that make in this paper as the tex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Gajip thesis that this substance does not appear. Properties of Akbu of Seoul university identified wit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kbu of Seoul university has a flexible piece of music as‘Yuldangdaeyeop’. This piece of music is the possibility ‘Banyeop’ but this Gijip does not split ‘Ouzo’ and ‘Gyemyeonjo’. So I think right away side yet to acknowledge its role as a flexible piece of music is obviously undetermined. Second, the name Akbu we believe that this is associated with Gyobang andGisang. This Gajip that was recorded 18 of the 12 Gisang number of works can be considered that the data to prove this fact. Third, the Gajip is included the work of many singers can be called 89. The point of the singers over three times the number 89 can not be estimated carefully whether this is a Gajip plays a role as a textbook taught Gisang. Finally, a song book , not a Gajip look at the Akbu of Seoul university not ordered more orderly and can reveal the best that the contemporary aspects of enjoyment. In the end history of Gajip of Akbu of Seoul university that can contain the actual enjoyment of the early 19th century and contemporary aspects. It is not just that culture may unknowingly have a book that does not try a contemporary author

      • KCI등재후보

        장서각 소장 『시조집』(1)의 체제와 특성

        김태웅(Kim, Tai-woo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장서각 Vol.0 No.35

        장서각본 『시조집』은 31수라는 매우 적은 수의 작품을 수록한 가집인데 악곡별 분류도 되어 있지 않고 평시조만 수록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방법이나 시각으로 이 가집을 바라보면 매우 초라한 가집으로 인식하고 연구 자체가 이뤄질 가능성이 적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노래책이라는 관점에서 이 가집을 바라보면 당대 가장 널리 애창되던 노래만으로 만든 가집으로 이해할 수 있다. 더욱이 이를 통해 우리는 그 당대의 앤솔로지 취합의 과정을 살펴볼 수도 있다. 노래책이라는 관점에서 장서각본 『시조집』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유추할 수 있었다. ① 장서각본 『시조집』은 18세기 중엽 편찬된 가집으로 추정된다. ② 이 가집의 작품 수록 형식은 ‘유명씨(열성어제, 사대부), 무명씨’ 순이라는 가집편찬의 일반적 모습을 가지고 있다. ③ 이 가집은 대부분의 가집이 기녀시조나 가객의 시조가 수록된 것과 달리 열성어제와 사대부 시조만 수록하고 있으며, 기녀시조의 경우도 황진이의 시조 1수만 무명씨 부분에 수록하고 있다. ④ 이 가집은 주로 임금에 대한 은혜와 강호에 은일하고 싶은 사대부의 모습을 주제로 노래한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유집단 자체가 사대부에 국한된 가집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⑤ 이 가집은 사대부 향유 집단에서 부르긴 했지만 여타 가집과의 악곡 비교를 통해 악곡을 부여했을 경우 그 순서가 일정하여 가창을 목적으로 편찬될 가능성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다. The Sijojip of Jangseogak is a very small number of works that can be recorded only 31 are classified by pyeongsijo does not have a music book. Looking at this book as a research method or time of very low so far recognized as tentative and the possibilities that can be achieved self-study. But if you look at the book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book, song book can be understood as a book edited by the contemporary most popular songs. Moreover, through which we can see the process of collecting contemporary Anthology. The Sijojip of Jangseogak the results of research in terms of song books could be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s. ① The Sijojip of Jangseogak is estimated to book compiled by the mid-18th century. ② The works in this book have the general appearance of the book compilation of ‘famous, anonymous.’ ③ The book, unlike most of the book contained only the Sijo of a gisang or singer, has Sijo of king and gentry. ④ The book is mostly a work song and recorded the appearance of the gentry wants to retreat from nature and grace to the king of the subject.

      • KCI등재

        19세기 초중반 가곡문화의 변모와 가집편찬의 양상

        김태웅(Kim, Tai-woo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한국고전연구 Vol.0 No.33

        이 글에서는 19세기 초중반 편찬된 가집인 규장각본 영언의 여창 ‘계면조’의 의미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19세기 초중반 악곡의 변화와 가집편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가집의 명칭인 『영언』은 『청구영언』 등에서 자주 쓰이는 일반적인 노래책임을 나타내는 제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가집은 『객악보』와 『청육』과 가장 친연성이 높은 가집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객악보』에는 여창이 없는 점을 통해 볼 때 『객악보』보다는 늦게 편찬되었으며 『청육』보다는 빨리 편찬된 가집이라고 할 수 있다. 규장각본 『영언』은 ‘우조’와 ‘계면조’로 악조가 두 개로 고정화 현상이 나타나고 여창이 독립된 채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19세기 초중반 가집의 현상을 잘 파악할수 있는 중요한 가집이다. 19세기 초중반 가집의 특징 중 하나가 ‘두거(頭擧)’의 등장인데 규장각본 『영언』에는 아직 ‘두거’라는 악곡이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변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이 가집에 존재하는데 그것이 바로 여창 ‘계면조’이다. 이 부분은 악곡명 이 아닌 악조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은 『동국』의 ‘계면조’에도 나타난다. 하지만 『동국』가 완전한 ‘편가’의 형태를 갖추지 못한 것에 비해 『영언』은 완전한 ‘편가’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 가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계면조’ 같은 유동 적 악곡의 특성을 가진 부분이 존재하는 것은 여창 부분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완전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렇듯 규장각본 『영언』은 19세기 초중반 가집의 특징인 ‘우조’, ‘계면조’라는 2개의 고정된 악조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독립된 여창부분이 나타난다는 점에서완전한 편가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가집이지만 여창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완전하 지 못한 형태, 즉 여창이 정착되기 바로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가집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overed meaning of gyemeonjo for women’s singing. Based on this research, this study also tried to search changes and compiling anthology from early 19th century to middle 19th century. Yeongun, name of this anthology, was name to show normality like other anthologies, such as Chengguyeongun. Especially, this anthology was very familiar with Gaekakbo and Chengguyeongun of Yukdang, this anthology was compiled later than Gaekakbo, earlier than Chengguyeongun of Yukdang. Yeongun of Gyujanggak was important anthology to show that women’s singing was independent, and two phenomenon to fix tones to ujo and gyemyeonjo about changes of anthologies from early 19th century to middle 19th century. Character of anthologies from early 19th century to middle 19th century was invention of doogeor, there was no doogeor in Yeongun of Gyujanggak. However, factor in anthology was existed to recognize this flow of changes, that factor was gyemyeonjo, women’s singing. This part was appeared as tone, not name of akgok, this phenomenon was also appeared in Gyemyeonjo in Donggukgasa. However, Donggukgasa didn’t have completed Pyeonga’s form, Yeongun was completed Pyeonga’s form anthology. Nevertheless, reason that flexible akgok like Gyemyeonjo was existed was high possibility to be not completed especially in part of women’s singing. Like this, Yeongun of Gyujanggak had two fixed form such as ujo, gyemyeonjo that character from early 19th century to middle 19th century, and also was completed pyeonga’s form to show independent women’s singing. However, that women’s singing was not completed, therefore, Yeongun of Gyujanggak was meaningful anthology to show form before settling women’s singing.

      • KCI등재

        유배가사를 통해 본 체제로서의 해역

        김태웅(Kim, Tai-Woong),조영돈(Cho, Young-Do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6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5

        조선시대의 섬은 그 자체로 ‘고립’이라는 단어와 동등하게 이해하는 측면이 강하였다. 따라서 ‘섬’이라는 공간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았다. 더욱이 조선시대 ‘섬’은 단지 유배지라는 인식이 강해 ‘절도(絶島)’의 의미가 매우 컸기 때문에 소통보다는 단절이나 고립의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섬에 대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역사적 기록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다. 하지만 섬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많지 않기 때문에 그 시대의 문화상을 자연스럽게 담고 있는 문학작품을 통해 그 시대의 모습을 유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유배가사 중 섬에 유배를 가 그곳에서 창작된 작품으로 한정해 섬이 갖고 있는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하지만 이러한 한정된 조건으로 작품 수가 적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보편성을 획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이러한 제한된 조건 속에서 이뤄지는 연구는 어려움에 직면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섬의 고립과 소통은 조선시대부터 존재했고 그 의미를 정확하게 짚어낼 수 있다면 앞으로도 도서문화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점이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도서문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In particular, the island of the Joseon Dynasty was not easy to grasp the true meaning of giving this ‘island’ of space by understanding equally with the word ‘isolated’ in its own right. Moreover, the Joseon Dynasty ‘island’ is only recognized means of communication, rather than isolated or disconnected to the meaning of ‘絶島’ very strong that size in exile can be very large. To view this phenomenon is easily accessible via the historical record, but the historical record is not much. So look through the literature of the period containing the Culture of the era naturally need to be inferred. Therefore, this article is the late Joseon exile into exile on the island want grasp the meaning of the lyrics was that the island has to the creative work and only there. Because there may be fewer, but only limited work in these conditions is suspected that these studies are also going to mean for how the parts. I think the Joseon Dynasty critical discourse that an important future implications. Forward this discourse hope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tudy of island culture.

      • KCI등재

        ‘자아성찰 글쓰기’를 통해 본 대학교양교육의 목적과 의미 - <유서쓰기>의 실습사례를 중심으로 -

        김태웅 ( Kim Tai-woo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 Vol.0 No.76

        교양교육은 개념을 정의하는 것 자체도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자유와 교양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이해해 논의를 진행했다. 왜냐하면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대학교 교양교육은 대학교에서 이뤄지는데 그곳은 교양과 자유를 추구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대학교 교양교육 중 글쓰기 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자아성찰 글쓰기’ 중 <유서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교 교양교육 중에서 ‘자아성찰 글쓰기’가 왜 필요한지, 그리고 그것이 대학생들에게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를 학생들의 글을 통해 살펴보았다. <유서쓰기>는 죽음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부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선입견이다. 인간은 태어나면 누구나 죽음을 맞이한다. 최근에는 죽음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져 잘 사는 것만큼 잘 죽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도 인간으로서 반드시 준비해야 하는 것이기에 죽음을 생각하는 것도 인생 전체를 구상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렇기에 ‘유서’는 자아성찰을 위한 효과적인 글쓰기이다. 실제로 <유서쓰기>를 실습한 학생들은 ‘자아성찰 글쓰기’를 하지 않았던 1학기 수업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드러냈다. 인문학 강의에서 “인간은 왜 사는가?”와 같은 질문을 한 학기동안 묻고 답하는 수업도 있었다. 지금은 이러한 질문은 무의미하다. 왜 사는 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과연 인간답게 사는가가 중요한 세상이다. 하지만 현재 대학생들은 인간답게 살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교수자로서 부정적 의견을 내놓을 수 밖에 없다. 필자도 이러한 환경을 만든 한 사람으로서 부끄럽지만 더 이상 이러한 의미 없는 글쓰기 교육은 없어져야 한다. 이러한 글쓰기를 지양하고 ‘유서’쓰기와 같은 자아성찰 글쓰기를 지향하는 것이 대학교양교육의 목적이자 의미이다. It is also difficult to define concepts in liberal arts educa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meaning of freedom and culture in an integrated way. This is because the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discussed in this article takes place in universities, because it is ideal to pursue liberty and freedom.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ed on ‘self - reflection writing’ which is covered in the subject of writ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considered negative because writing is related to death. But this is a prejudice. When a person is born, everyone is killed. In recent years, interest in death has also increased and it is important to die as well as to live well. And the process of getting to death is a must as a human being, so thinking death is a great help in envisioning the whole life. In this sense, ‘Will’ is effective writing for self-reflection. In the past, there were many classes in the college that included introductory classes and human anxieties. For example, there were classes that asked and answered questions such as "Why do we live?". Now these questions are meaningless. Why is not it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live like a human being. But now, college students are forced to give negative opinions as a professor to the question that they are living as human beings. I am as embarrassed as one who created this environment, but this meaningless writing education should no longer exist. You have to stop writing these. It is the purpose and meaning of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to teach self - reflection writing such as writing ‘Will’.

      • KCI등재

        고전문학을 통한 음식문화 콘텐츠 연구(2) : <수궁가>를 중심으로

        김태웅(Kim, Tai-Woong) 한국식공간학회 2021 식공간연구 Vol.16 No.1

        우리 고유의 음식문화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을 통한 음식문화 콘텐츠 연구는 필연적이다. 판소리는 시조, 가사 등 조선후기 대표적인 장르가 사대부 중심이었던 것과 달리 서민중심의 장르였다. 무대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되는 ‘판’과 소리를 대표하는 ‘창자’, ‘고수’만 있으면 쉽게 부를 수 있었다. 더욱이 시조와 가사가 창자에 의한 일방적인 장르였다면 판소리는 창자와 구경꾼 사이에 공연 중 소통이 가능한 장르였다. 또한 서사와 서정을 포함하고 있는 장르이기에 서사의 대표적 특징인 특수성과 서정의 대표적인 특징인 보편성을 아우르고 있다. 조선후기 이전에 고전시가는 일부 지식인들의 소산이었다. 그렇기에 조선후기 소설 장르는 서민들에게 어떤 장르보다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수성과 보편성을 다 가지고 있는 판소리는 서민들뿐만 아니라 지식인들에게도 인기를 끌게 되었다. 판소리에서 음식문화와 관련하여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된 연구는 아직 없기에 이 연구는 판소리에서 음식문화와 관련된 소스를 찾아 음식문화 콘텐츠 개발을 진행하는 밑거름이 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문학에는 역사에는 기록되지 않는 것이 있다. 이것이 문학의 가치이며 이를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음식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두 번째 연구로 <수궁가>에 등장하는 음식문화를 찾아내 음식문화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1차 작업 및 콘텐츠 활용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In creating genuine Korean food and cultural content, research on food and cultural content through traditional literature is inevitab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nsori was a commoner-centered genre unlike other main genres, such as sijo or gasa, that represented the aristocracy. It could be performed easily when “pan”, a stage; “changja”, a singer; and “gosu”, a drummer are ready. Moreover, while sijo and gasa were unilaterally delivered by changja, pansori was a genre where the singer could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on stage. It also includes both narrative and lyric, thereby being specific as the former and universal as the latter. Later it was embraced by the elite as well.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pansori ye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ontent related to food culture. Therefore, the research aims to find sources related to food culture in pansori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food and cultural content. Sometimes, literature has what is not documented in history. A basic research is in progress to identify that value of literature and help create content for food and culture. This study is the second work to develop food and cultural content. The study addresses primary efforts to find and develop food culture in “Sugungga”, one of the five surviving stories of pansori, for creating food and culture content.

      • KCI등재

        <헌화가>의 확장, 영화 <은교> -젊음에 대한 동경과 사랑-

        김태웅 ( Kim Tai-woong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0

        이 글은 고전문학을 지루하고 어려운 것으로 이해하는 ‘MZ세대’에게 ‘어떻게 하면 고전문학을 쉽고 재밌게 가르칠 수 있을까?’라는 필자의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성균관대학교 교양강좌인 ‘한국고전문학’ 수업에서 현대적 변용작품을 통해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요소를 끌어내는데 중점을 맞춰 강의를 진행하였고, 학생들과 토론을 통한 합의된 주관적 견해를 도출했다. 도출된 견해를 중점적으로 고전문학을 이해하는 데 활용하였다. 이 글에서 주텍스트로 삼고 있는 영화 <은교>는 고전시가 <헌화가>의 현대 변용작품이다. <은교>는 현대사회를 배경으로 <헌화가>를 변용하여 풀어낸 현실성이 높은 작품으로, 인물, 상징, 주제 등 다방면에서 고전과 일치하는 높은 일치성을 보인다. 영화 <은교>의 중심 주제는 노화와 젊음에 대한 동경이라는 보편적 감정과 관련됐으나, 인물의 나이 설정 등에서 현대 사회의 윤리적 기준과 어긋나 일부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해, 수용적인 측면에서 다소 부족한 측면을 드러냈다. 그러나 영화라는 장르의 특성을 활용하여 고전시가의 주제의식을 생생하게 표현하였고, 특수성을 가미해 흥미롭게 풀어감으로써 일부 대중들에게 는 고전문학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으므로 성공적인 변용작품으로 평가했다. 고전시가 <헌화가>와 이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작품인 영화 <은교>의 주제를 노인의 젊은 여인에 대한 사랑과 동경이라고 해석하였다. 두 작품은 사랑의 감정과 함께 늙음에 대한 부끄러움과 가질 수 없는 젊음에 대한 동경을 이야기한다. 같은 주제를 다루는 두 작품은 고전시가에서 현대작품으로 변용되면서 특수성이 더해지고 구체화되었다. 인물들이 더욱 입체적이고 상호작용을 보여주며 행위에 대해 납득할 수 있게 변화된 것이다. 또한 현대 작품에서는 현대적인 가치관을 추가하여 고전의 가치관에서 더욱 확장되었다. 사랑이라는 감정에서 파생된 여러 감정들을 함께 보여주어 더욱 다채롭다. 영화 <은교>는 토론을 통해 세운 기준인 현실성, 일치성, 수용성에 잘 부합하는 작품으로 변용이 매우 잘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두 작품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두 작품이 전하는 메시지를 파악할 수 있었고 현대에 더 적합하게 해석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irst discusses the writer’s concern regarding how to teach classical literature easily and in an interesting way to the “MZ Generation,” who perceive it as boring and difficult. To solve this problem, the lecture focused on drawing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modern transformations i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class, a liberal arts course a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drew consensus subjective views through discussion with students. The derived views were used mainly to understand classical literature. The main text of this article, “Eungyo” is a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classical poem “Heonhwaga.” “Eungyo” is a realistic work that is based on the background of modern society, transforming “Heonhwaga” and shows high consistency in many ways, including characters, symbols, and themes. The main theme of the movie “Eungyo” is related to the universal feeling of longing for aging and youth, but it failed to elicit sympathy from some of the public due to the ethical standards of modern society in terms of age setting. However,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movies, the theme of classical poetry was vividly expressed. Furthermore, by adding special characteristics, classical literature was effectively delivered to some of the public, so it was evaluated as a successful work. The classical poem interpreted the theme of “Heonhwaga” and “Eungyo,” a modern adaptation of it, as the old man’s love and admiration for young women. These works discuss feelings of love, shame about old age, and longing for youth that cannot be had. The two works dealing with the same theme were transformed from classical poetry into modern works, adding specialty and materialization. The characters have been changed to be more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and convincing about their actions. In addition, modern works have expanded further from classical values by adding modern values. It is more colorful because it shows various emotions derived from feelings of love together. The movie “Eungyo” is a work that meets the standards set through discussion, reality, consistency, and acceptability, and can be evaluated as a very well-transformed work.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comparing the two works, the message delivered by these works could be identified and interpreted more appropriately in modern times.

      • KCI등재후보

        해항도시 목포의 외래종교의 유입과 토속화 과정 연구

        김태웅(Kim, Tai-Woong)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5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3

        목포는 영산강을 통해 전라도 지역으로 진출하는 관문이며 역대의 조운로(遭運路)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반도․중국 · 일본을 연결하는 삼각항로의 중심에 위치하였기에 전라도 지역의 여타의 항구보다 월등히 뛰어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었고 청일 전쟁의 시작과 함께 목포의 개항에 일본은 착수하였고 1897년 10월 1일 개항되었다. 개항과 함께 목포에 관심을 갖고 있던 천주교와 개신교, 일본 신도(神道)와 일본불교가 유입되었고 목포에 존재하던 조선불교, 유교는 외래종교와 대립 갈등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개항과 함께 목포에 유입된 외래 종교의 선교전략과 토속 종교간의 갈등 및 외래 종교의 토착화 등을 밝혀 해항도시 목포의 종교성을 밝혔다. 해항도시는 그 자체가 토속문화와 유입문화의 갈등 양상, 토속화 과정, 유입문화의 도태 등 다양한 문화양상을 볼 수 있다. 해항도시 목포 또한 이러한 문화양상을 살펴보기에 적합한 지역이다. 특히 목포는 천주교, 개신교, 일본신도, 일본불교의 유입과 토속화 과정 그리고 조선불교와 유교, 무속신앙과의 대립과 갈등 등을 살펴보기에 적합한 지역이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해항도시로서 목포가 갖고 있는 종교성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Mokpo is a gateway to expand into the Jeolla region over the Yongsan River.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riangle route linking China and Japan were equipped with superior location than any other port in the Jeolla region. With the start of the Sino-Japanese War, Japan was launched in Mokpo opened was opened on October 1, 1897. With the opening of Mokpo who have an interest i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Japanese Shinto(神道) and Buddhism was introduced in Japan that existed in Mokpo Korean Buddhism, Confucianism was opposed to a foreign religion and conflict. In this paper, we reveal the inculturation of religious conflict between Mokpo and foreign influx of foreign religion and the native religion with the mission strategy and announced the opening of religiosity haehang city of Mokpo. The port town itself could see the conflict aspect, indigenous Tue process, selection and various cultural aspects of the culture of the indigenous culture and the inlet inflow culture. The port town of Mokpo is also appropriate to look at the regional aspects of these cultures. Mokpo is particularly Catholics, Protestants, Japanese Shinto, Japan’s indigenous flows and of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and Confucianism, to confrontation and look for areas of conflict such as shamanism. This research is essential because you can look at religiosity in the port town of Mokpo through this research.

      • KCI등재후보

        통영, 이순신 그리고 시조문화

        김태웅(Kim, Tai-Woong)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5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2

        교통이 발달하지 못했던 과거 인간의 이동이란 한계가 있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러한 실정에서 당연히 그 지역의 문화권을 형성했음을 추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불리한 환경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그 지역의 문화권 내에서는 고유문화를 내포한 다양한 장르들이 향유되고 있었고, 그것이 오늘날까지 잔존하여 그 지역 문화의 태(胎)를 형성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통영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 이 지역이 왜 역사적으로 중요한지, 또 문화적으로 발달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펴봤다. 또한 통영은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을 이룩한 거룩한 곳이며 <한산도가>를 창작한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순신 담론을 통해 통영지역의 시조문화를 살펴봤다. 특히 통영은 300여년의 통제영 문화를 바탕으로 중앙의 산물로 인식되던 가집이 생산된 곳이며 ?흥비부?는 이러한 통영의 기방 풍류문화를 담고 있는 가집이다. 또한 근대에도 통영은 문학으로서 시조가 강하게 득세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조선시대는 한양이라는 중앙을 기반으로 문화 예술이 발달하였다. 통영은 중앙은 아니지만 통제영이라는 군사적 특수 도시로서 문화 예술 특히 노래로서의 시조가 발달하였고 이로 인해 가집 또한 편찬되고 향유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It is obvious that people in past when transportation was not yet developed had trouble to move to other region. In this situation, it is not difficult to predict that regional culture surely formed. In spite of this environmental condition, several genres included inherent culture in this regional cultural area were possessed, this remaining even in now formed form of this own culture. This study searched history and culture of Tongyoung to discover why this region was historically crucial, culturally well-developed. Also, Tongyoung was place where Yi sun-sin won at battle of Hansan Island, and made <Hasando ga>. Through discourse of Yi sun-sin, this study researched sijo culture in Tongyoung region. Especially, Tongyoung was place where Anthology recognized as product for central was produced., Heungbibu was anthology reflected geisha culture in Tongyoung. Also, Tongoung was region where sijo had wide influential power as literature in modern age. Cultural art was developed based on central in Chosun age. Tongyoung was not central, as Tongjeyoung specialized navy port, Sijo as song was developed, because of this, Anthology could also compile and poss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