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말초 신경에 발생한 신경 내 결절종: 2예 보고

        김태승,조영훈,백승삼,김성재,Kim, Tai-Seung,Jo, Young-Hoon,Paik, Seung-Sam,Kim, Sung-Jae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2

        말초 신경에 발생하는 결절종은 일부 보고된 바는 있으나, 발생 빈도는 드문 것으로 되어있으며 발생 부위는 비골 신경이 가장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외에도 요골 신경, 척골 신경, 정중 신경, 좌골 신경, 경골 신경 및 후 골간신경에 발생한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내측 족저 신경에 발생한 신경 내 결절종 1예와 총 비골 신경에 발생한 신경 내 결절종 1예를 신경학적 후유증 없이 치료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Ganglion cysts that occurred within sheaths of peripheral nerves have been documented in literatures, but it is relatively rare condition. The peroneal nerve is the most common site of involvement. Other reported sites of involvement are the radial, ulnar, median, sciatic, tibial and posterior interosseous nerves. We report a case of the intraneual ganglion cyst within peroneal nerve and another case of the intraneural ganglion cyst within a medial plantar nerve that were successfully excised without neurologic complication.

      •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유골 골종

        김태승,김종헌,이봉근,김순명,Kim, Tai-Seung,Kim, Jong-Heon,Lee, Bong-Gun,Kim, Soon-My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2

        목적: 저자들은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8예의 유골 골종의 진단과정 및 임상양상에 있어 장관골의 간부에 발생한 유골 골종과의 차이점이 있어 이를 분석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5년부터 2004년까지 병리학적으로 유골 유종이라고 진단된 20예중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6예, 여자 2예로 진단당시 평균연령은 17세(8~29세)이었다. 전자간에 발생한 경우는 4예, 전자하 2예, 대퇴경부 1예, 비구 1예에 발생하였다. 진단을 위해 단층촬영 및 골주사검사, 자기공명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적혈구침강속도 및 C -반응단백검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예에서 소파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고, 3예에서 골이식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들이 증상을 호소한 부위로 고관절부위 6예, 슬관절부위 3예, 요추부위 3예이었으며, 2예에서는 슬관절 질환에 대한 검사 및 수술을 시행한 바 있었다. 2예에서 파행을 주증상으로 호소하였고, aspirin 등의 소염제에 동통이 완화된 예는 3예이었다. 병리학적으로 진단되기까지 추정진단으로 감염과 감별하지 못한 예는 2예, 반월상연골판파열 1예, 슬내장증 1예, Legg-Calve-Perthes disease 1예, 요추부 추간판 탈출의증 1예였다.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6예중 5예에서 유골 골종으로 진단하였으며, 자기공명검사에서 고관절 활액막염으로 1예, 감염성 질환으로 1예를 진단하였다.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 단백 검사에 이상소견은 없었다. 결론: 고관절 주위에 발생한 유골 골종은 주증상으로 파행을 호소할 수 있으며, 고관절 부위 통증뿐만 아니라 슬관절 부위 통증을 나타내며, 이중 슬관절 부위 통증이 고관절부위 통증보다 더 심한 예가 있어 진단에 주의해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만성 염증질환과 감별해야 되지만,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 단백 검사가 정상으로 나타나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수 있으며, 그리고 다양한 영상진단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중 컴퓨터단층촬영이 더 추천된다. Purpose: We experienced 8 cases of osteoid osteoma arising around hip joint which had some characteristics that differ from those arising on long bone. we reports the characteristics of osteoid osteoma arising around the hip joint. Materials and Methods: 8 cases of osteoid osteoma were diagnosed during 1985 to 2004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all cases were comfirmed patholgically. 6 cases were male, 2 cases were female patients. The mean age was 17 years old (ranged from 8 to 29). They occurred in intertrochanteric area (4 cases), subtrochanteric area (2 cases), acetabulum (1 case) and femoral neck (1 case). We used radiologic tools including magnetic resonance image, computed tomography, bone scintigraphy. clinicopathologic test including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Results: The patients expressed various symptoms including thigh pain, knee pain, low back pain and radiating pain respectively. 2 patients had experienced operation on knee joint. 3 patients showed limping gait. Aspirin relieved the pain in 3 patients. The difference in circumference was 1cm between both thighs in 2 cases. Conclusion: Patients with osteoid osteoma arising around hip joint which have various symptoms such as severe knee pain and claudication, differ from infectious disease by clinicopathologic test including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 reactive protein and had better diagnostic result in computed tomography.

      • 우측 둔부를 침범한 위장관 간질 종양 - 1예 보고 -

        김태승,황건성,김기천,박문향,Kim, Tai-Seung,Whang, Kuhn-Sung,Kim, Ki-Chun,Park, Moon-Hya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위장관이외의 장소에서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일차적 병소가 아닌 전이 병소로 진단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25세 남자에서 좌측 둔부 중둔근, 소둔근에서 발생한 위장관 간질 종양이 복부의 일차 병소없이 인접한 장골 및 천골을 침범한 1례를 경험하였다. 이에 위장관외 간질종양(Extra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EGIST)이라는 진단명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occurring outside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uncommon. When GIST is found outside the gastrointestinal tract, it has greater possibility to be diagnosed with metastatic lesion from other primary focus. But it rarely occurs in extragastrointestinal tract primarily, and then even outside abdomen. We experienced one case of GIST occurred from right buttock area of 25 year-old man. We could not find out the primary focus in abdomen. The tumor was developed inside gluteus medius and minimus and extended to pelvic inner area destroying iliac bone and adjacent sacrum. Here, we report the case of GIST with terminology of extra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EGIST).

      • 골육종으로 악성 전환된 섬유성 골 이형성증 - 1예 보고 -

        김태승,이진규,Kim, Tai-Seung,Lee, Jin-Kyu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1

        섬유성 골 이형성증(fibrous dysplasia)은 한 개 또는 수개의 골조직이 섬유성 조직으로 대치되는 양성 골 질환으로 발생학적 장애로 일어나는 양성 골 질환으로 분류된다. 악성 전환(malignant transformation)은 매우 드문 경우로 다발성 섬유성 골 이형성증에서 단발성 섬유성 골 이형성증보다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57세 남자 환자에서 대퇴골 근위부에 병적 골절 및 내반고 변형을 동반한 다발성 섬유성 골 이형증에 대하여 소파술, 절골술, 내고정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 후, 2년 5개월 만에 골육종(osteosarcoma)으로 악성 전환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Fibrous dysplasia is a developmental benign disorder in which normal bone is replaced by fibrous tissu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fibrous dysplasia is a rare complication and more commonly occur in the polyostotic form than monostotic form. We report a case in which osteosarcoma developed in area of fibrous dysplasia of proximal femur after treating with curettage, wedge osteotomy, internal fixation, and bone graft. A review of the literature is presented.

      • KCI등재

        Charcot-Marie-Tooth 병에서 시행한 양측성 범거골관절 고정술 - 1예 보고 -

        김태승,강석근,Kim, Tai-Seung,Kang, Suk-Ke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5 No.2

        Cavovarus deformities of both feet in 28 years old female patient with Charcot-Marie-Tooth disease were treated by one-staged pantalar arthrodesis. Excellent results were achieved at 6 years after surgery. She could walk without brace or stick and she was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one-staged pantalar arthrodesis. One-stage pantalar arthrodesis is an effective method of treatment for cavovarus deformity of foot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 사지에 발생한 혈관 외피 세포종 - 3례 보고 -

        김태승,조재림,최일용,이창우,Kim, Tai-Seung,Cho, Jae-Lim,Choi, Il-Yong,Lee, Chang-W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 No.2

        Hemangiopericytoma is a rare tumor of blood vessels, first described and named by Stout and Murray in 1942, arising from the contractile, elongated cells which surround capillaries originated from the pericytes of Zimmermann. It can develop anywhere there are capillaries and mostly in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human body. It can also develop at any age from 12 to 90 years old, and the rate of metastasis and prognosis vary with its histologic finding, We report three cases of hemangiopericytoma - one recurred in the right forearm where a tumor was excised 15 years ago, another occurred in the left pubis which metastasized to lung and head, the other metastasized from the lung to the right scapular area -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1989 to 1995.

      • 사지 및 체간에 발생한 양성 연부조직 종양의 발생 분포

        김태승,서경원,김태진,Kim, Tai-Seung,Seo, Kyoung-Won,Kim, Tae-J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5 No.1

        1984년 2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교 정형외과학교실에서 경험한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총 230례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성 연부조직 종양중 결절종(26.5%)이 가장 많았고, 혈관종(19.6%), 지방종(17.0%), 슬와낭종(13.0%), 신경초종(7.0%)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그리고, 임파관종(3.9%), 섬유종증(3.0%), 사구종(3.0%), 신경 섬유종(2.2%), 평활근종(0.9%),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0.9%), 점액종(0.9%), 외상성 신경종(0.9%), 황색종(0.4%), 활액막성 연골종증(0.4%), 골화성 근염(0.4%)이 발생하였다. 2. 종양의 분포 연령은 비교적 전 연령층에 걸쳐 고르게 발생하였다. 이 중 혈관종과 임파관종은 20세 이전에 호발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성별 분포는 남자 98례, 여자 132례로 여자에게 약 1.3배 많았으나, 슬와낭종과 신경초종은 남자에게 호발하였다. 4. 15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혈관종, 결절종, 임파관종, 지방종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16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결절종, 지방종, 슬와낭종, 혈관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5. 발생 부위는 하지(60.0%)에 호발하였고, 상지(35.2%), 체간(4.8%)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6. 크기가 1cm 미만인 종양은 결절종, 사구종, 혈관종, 임파관종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1-5cm인 종양은 결절종, 혈관종, 슬와낭종, 지방종, 신경초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5cm 이상인 종양은 지방종, 혈관종, 임파관종, 결절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7. 모든 환자는 절제술로 치료받았고, 국소 재발은 22례(9.6%)에서 나타났으며 혈관종이 12례로 가장 많았다. 재발율은 외상성 신경종,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 신경 섬유종, 섬유종증, 혈관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authors reviewed and analyzed the pathologically confirmed 230 cases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which had been treated at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in Seoul Hospital,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February 1984 to November 1997.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ost common benign soft tissue tumors was ganglion(26.5%) followed by hemangioma(19.6%), lipoma(17.0%), Baker's cyst(13.0%) and neurilemmoma(7.0%) in decreasing order of incidence. 2. Benign soft tissue tumors were found evenly distributed over all age group. Hemangioma and lymphangioma were usually found to occur before 20 years old. 3. Female was affected about 1.3 times more common. But, Baker's cyst and neurilemmoma occurred most frequently in male. 4. In children, the most common benign soft tissue tumors was hemangioma followed by ganglion, lymphangioma, and lipoma. In adult, ganglion, lipoma, Baker's cyst, hemangioma were common. 5. The lower extremity was the predominant site of occurrence(60.0%). 6. Benign soft tissue tumors were taken by excision. Local recurrences were developed in 22(9.6%) out of 230 cases, especially in hemangioma.

      • 섬유성 골 이형성증의 치료

        김태승,양문승,조재림,Kim, Tai-Seuug,Yang, Mun-Seung,Cho, Jae-Lim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 No.1

        The results of treatment of eighteen lesions of fibrous dysplasia which of them seventeen lesions were treated with surgery were reviewed at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We studi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clinical results and the recur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ease, grafted bone, methods of treatment and location of lesion. We treated sixteen patients(five males and eleven females) and their mean age was 22.6 years.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skin pigmentation or dysfunction of endocrine system. Twelve patients had a monostotic pattern and four patients had a polyostotic pattern. Twelve lesions were treated with curettage and bone grafting and four lesions in the proximal femur were treated by internal fixation with curettage and bone grafting. One lesion was treated by en-bloc resection. There were eleven satisfactory results in twelve monostotic lesions and there were four satisfactory results in five polyostotic lesions, but the recurrence were four cases, respectively. The two unsatisfactory results were seen in two patients treated by autografting, but there were three recurrence of four lesions in autografting only, one of five in autografting and allografting, four of eight in allgrafting or xenografting. Four of six lesions in upper extremity were recurred after curettage and bone grafting and five of them showed satisfactory results. In pelvic and lower extremity lesions, the recurrence were occurred in two lesions after curettage and bone grafting and in two lesions after internal fixation and bone grafting. The recurrence does not always provide an unsatisfactory functional results and the recurrence showed higher rate in radiologic pattern of ground glass appearance with-out marginal sclerotic rim, but the recurrence according to grafted bone showed similar rates. Curettage and bone grafting is adequate for a symptomatic lesion and firm internal fixation is needed for a lesion in proximal femur. In use of grafted bone, xenograft or allograft may be preferable to autograft because of the disadvantage of autografting like a increased blood loss, prolonged operation times, etc.

      • 근위 경골의 결합조직형성 섬유종 치료 후 발생한 골육종 - 1예 보고 -

        김태승,박용욱,박문향,장시형,Kim, Tai-Seung,Park, Yong-Wook,Park, Moon-Hyang,Jang, Si-Hy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Desmoplastic fibroma of bone is rare, involves usually long bones, and histologically resemblance to the desmoid tumor of soft tissue. It is benign, but aggressive locally. Recurrence rate is high when treated with simple curettage and bone graft. Moreover, malignant transformation of desmoplastic fibroma with recurrence has been reported very rarely, and then it make us review again whether previous tumor probably was low grade malignant tumor. We report a surgically proven case of osteosarcoma arising from desmoplastic fibroma. A 17 years old male had been treated for a desmoplastic fibroma of the proximal tibia with curettage and bone graft. But after 11 years, the patient showed recurrence accompanying malignant transformation with osteosarcoma. This is very rare case of an osteosarcoma arising in a desmoplatic fibroma of the proximal tibia. 결합조직형성 섬유종은 조직 소견상 연부 조직의 유건종(desmoid tumor)과 유사한,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 대부분 장관골에 발생한다. 그러나 양성 종양이지만 골소파 및 골이식 치료후에는 국소 재발이 빈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재발을 하게 되면, 아주 드물지만 골 육종으로 악성 변화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본 교실에서는 17세 남자 환자에서 근위 경골에 발생한 결합 조직 섬유종에 대해 소파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 후, 11년 후에 골육종으로 악성 변화된 결합조직형성 섬유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소아의 대퇴골 원위부 골단에 발생한 혈관종

        김태승,이창훈,박찬금,Kim, Tai-Seung,Lee, Chang-Hoon,Park, Chan-Keum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1

        골성 골단에서 발생하는 혈관종은 극히 드물어서 그 보고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우측 슬관절부 동통과 굴곡 구축을 주소로 내원한 5세 환아로 단순 방사선 및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대퇴골 원위부 골단 및 근위부 경골에서 병변을 보였으며, 생검한 결과 혈관종으로 진단되었다. 8년간 추시 관찰하였으며, 대퇴골 원위부 골단에 발생한 혈관종은 치유되었으며, 경골 근위부 골단에 발생한 병변도 치료없이 자연적으로 소실되었다. 또한, 하지 길이의 단축이나 슬관절 기능 장애는 발생하지 않았다. A hemangioma occurred in the bony epiphysis is extremly rare. A 5-year-old boy visited to our hospital with pain and flexion contracture on the right knee. MRI showed some lesions scattered in the epiphysis of the distal femur and the proximal tibia. Biopsy specimen from the distal femoral epiphysis revealed pathologic findings compatible with hemangioma. On 8 years follow-up, the lesion in the distal femoral epiphysis had been cured, and those in the proximal tibial epiphysis were spontaneously disappeared without surgery. The scanogram shows no leg length discrepancy and angular deformity. We reports a rare case of hemangioma occurred in the bony epiphysis with the results of 8 year follow-up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