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버디리딩(Buddy Reading)을 통한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치곤(Kim, Chi-Gon),채영란(Chae, Young-Ra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6

        본 연구의 목적은 버디리딩(buddy reading)을 통한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0명과 초등 6학년 학생 10명이며, 실험집단 유아들은 버디리딩을 통한 그림책 읽기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 유아들은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따른 일반적인 책 읽기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읽기 능력 및 태도 측정을 위해 조정숙(1990)의 읽기능력 검사도구 및 민광미, 현정희와 이지현(2008)의 읽기태도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읽기 능력 및 태도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버디리딩을 통한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과 태도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through buddy reading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attitud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experimental group : 20 children, control group : 20 children) at S kindergarten and 10 sixth grade students at S elementary school in G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had opportunities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through buddy reading in small groups with sixth grade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general reading activity based on the curriculum. The testing tool of Cho(1990) and Min et al. (2008) were used to assess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attitudes. The data were analyzed by a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through buddy read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attitudes.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따른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변화 및 요구도 분석

        채영란(Young-Ran Chae),김치곤(Chi-Go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따른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변화와 요구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평가인증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교사의 인식변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이경희(2008)의 평가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대한 교사 요구도 자료는 문헌연구와 유아교육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통해 구성된 설문문항(10문항)을 활용하여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평가인증 신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30명 이었으며, 수집된 연구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연령과 경력, 학력, 전공에 따라 평가인증 전과 후의 보육서비스 질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인증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서도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and ne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service quality with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to seek directions of effective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The evaluation tool by Lee(2008) was used to gather data about service quality of  child care center. The data of ne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service quality with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were gathered by using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arrangements with professors and teachers and used to collect data.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30 early childhood teachers at a child care center which applied to the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paired t-test,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ally by age, career,  scholarship and maj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and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 KCI등재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채영란(Young Ran Chae),김치곤(Chi Gon Kim)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중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 42명이며, 평균월령은 67.38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서는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실시되었고, 비교집단에서는 명화를 활용한 과학토론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측정을 위해 서윤희(2003)가 수정·보완한 과학탐구능력 검사도구, 그리기표상능력 측정을 위해서는 지성애(2001)가 개발한 그리기표상능력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명화를 활용한 과학탐구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cience inquiry activities with famous paintings on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forty-two, 5 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C kindergartens in G cit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7.38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cience inquiry activities with famous painting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scientific discussion activities with famous paintings. The ``science process skills scale (Seo, 2003)`` and the ``drawing representation scale (Ji, 2001)`` were used in the process of data-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2.0 computer program and a T-test was used to measure significanc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in science process skills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ience inquiry activities with famous paintings ar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ce process skills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 KCI등재후보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안전 인식 및 요구

        신수경(Su-Kyung Shin),김치곤(Chi-Gon Kim),오세경(Se-Kyoung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안전 인식 및 요구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장애유아 통합교육 환경에 있어서 안전한 교실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관련 변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유아교사 등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한 후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의 2개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55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ANOVA)분석을 실시하였고 추후분석으로는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안전 인식과 요구는 교사의 배경 변인인 교육경력, 학력,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safety recognition and needs of physical  environment for the inclusive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arrangement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used to collect data.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 items of 43  questions related to teacher’s safety recognition and needs of physical environment for  inclusive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55 early childhood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ANOVA and Scheffé.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artially among the groups in teacher’s safety  recognition and needs of physical environment for inclusive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 KCI등재후보

        유아의 소집단 종이접기 활동이 공간 지각력과 사회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윤지은(Ji-Eun Yoon),김치곤(Chi-Go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소집단 종이접기 활동이 공간 지각력과 사회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8명이며, 평균 월령은 71.95개월이었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소집단 종이접기 활동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은 기존에 실시해 온 일반적인 조형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공간 지각력 측정을 위해 ‘K-WISC-Ⅲ’, 유아의 사회성 측정은 Bronson의 ‘The Bronson Social and Task Skill Profile’를 사용하였고 언어능력 측정을 위해 서울 장애인 종합복지관 개발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공간 지각력, 사회성과 언어능력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집단 종이접기 활동이 유아의 공간 지각력, 사회성과 언어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mall group paper-fold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spatial perception, social and language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forty eight 5 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Y kindergarten in Gunpo-si.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1.95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mall group paper-folding activity,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general molding activity. 'Korea-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 'The Bronson Social and Task Skill Profile(Bronson, 1985)' and 'The Construction Meaning Comprehension Test(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09)'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computer program and t-test was used to measure signific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young children's spatial perception, social and language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mall group paper-folding activity is effective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spatial perception, social and language ability.

      • KCI등재후보

        긍정적 자아개념 증진 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효과

        강미영(Mi-Young Kang),김치곤(Chi-Gon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자아개념 증진 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6명이며, 평균 월령은 69.21개월이었다. 실험집단에서는 긍정적 자아개념 증진 활동이 실시되었고, 통제집단에서는 생활주제와 연계한 자아존중감 활동이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 지성애, 김영옥과 박희숙(2003)이 개발한 ‘유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반편견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Verbal Checklist(Lerner & Korn, 1972)를 권현수(2000)가 수정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반편견 인식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긍정적 자아개념 증진 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반편견 인식의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ositive self-concept improvemen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anti-bias perspective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forty-six, 5 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A, B kindergartens in S cit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9.21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ositive self-concept improvement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self-esteem activities using topics related to everyday life. The 'Child's Self-esteem Scale (Ji, Kim, & Park, 2003)' and the " Verbal Checklist (Kwon, 2000)' were used in the process of data-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8.0 computer program and a T-test was used to measure significanc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in relation to their self-esteem and anti-bias perspect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self-concept improvement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anti-bia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