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정서적 실행기능에 따른 주의력결핍, 기관적응, 그리기표상능력 간의 관계분석

        김채연(Chay-Youn Kim),손혜숙(Hye-Sook Sh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정서적 실행기능과 주의력결핍, 기관적응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 간 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의 정서적 실행기능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총 162명으로 평균 월령은 71.15개월이었다. 역보상 과제와 스티커 찾기 과제로 구성된 정서적 실행기능 검사도구, 주의력결핍 비율 척도(K-ARS), 유 아 교육기관적응 질문지(PAQ), 그리기표상능력 평가척도를 통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연 구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정서적 실 행기능과 주의력결핍, 기관적응이 유의미한 정적 및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기표상 능력과는 부분적으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주의력결핍이 정서적 실행기능 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기관적응도 정서적 실행 기능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hot executive function (hot EF), attention deficit, school adjustment,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62 five-year-old children who atten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and whose mean age is 71.15 months. For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nducted the hot EF task (Less Is More Task, Sticker Search Task). Teachers reported on the children’s attention deficit and school adjustment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an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alyzed children’s drawing using The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from this study were then analyzed by SPSS 21.0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hot EF, attention deficit, and school adjustment. On the other hand, correlation between hot EF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as found.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indicate that attention deficit is the predicted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rela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hot EF.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chool adjustment is a variable that predicts young children’s hot EF.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hot executive function, ADHD, school adjustment,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By doing so, these study results offer meaningful information for guidelines of promoti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의 행동문제와 유아교육기관 적응력, 또래관계, 자아탄력성 및 마음이론 간의 관계분석

        조유진(Yu-Jin Cho),김민아(Min-Ah Kim),김성현(Seong-Hyun Kim),김채연(Chay-youn Kim),이영민(Young-Min Lee),김순희(Soon-Hee Kim),김진희(Jin-Hee Kim),김보라(Bo-ra Kim),왕혜원(Hye-Won W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행동문제와 유아교육기관 적응력, 또래관계, 자아탄력성, 및 마음이론 간 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 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53명으로 평균 월령은 66.05개월 이였다. ‘K-CBCL 1.5-5’와 유 아교육기관 적응력 검사도구(PAQ)’, ‘또래관계 검사도구(PIPPS)’, ‘자아탄력성 검사도구(DECA)’, ‘ 마 음이론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행동문제는 또래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 유아교육기관 적응력, 마음이론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내재화 행동문제에 있어서는 유아교육기관 적응력이 유의미한 부적 예 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외현화 행동문제에 있어서는 자아탄력성, 또래관계, 마음이론이 유의미 한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 ego-resilience, preschool adaptation, theory of mind.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53 young children whose mean age of 66.05 months, and who were attended in eight kindergartens.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collecting data were ‘Child Behavior Check List preschool 1.5-5’,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PIPPS)’, The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DECA),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PAQ)', and lastly, ’Theory of Mi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ve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ego-resilience, preschool adaptation and theory of mind. Third, preschool adaptation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 ego-resilience, and theory of mind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 KCI등재

        유아 원예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분석

        지성애(Chi, Sung-Ae),김채연(Kim, Chay-Youn),정진화(Jung, Jin-Hw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원예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유아 원예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 교사 및 교육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의 ‘원예교육에 대한 교육현장 실태’ 영역은 ‘실시 정도’, ‘교육장소 및 자료’, ‘교육방법’ 3개의 범주로 구성하였고, ‘원예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인식’ 영역은 ‘원예교육 필요성과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누리과정 연계에 대한 인식’, ‘원예교육의 문제점’, ‘교사의 요구 및 만족도’ 5개 범주로 구분하여 총 2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72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χ², t-검증, One-Way ANOVA를 통해 분석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는 Scheffé 검증을 통해 추후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원예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discussion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22 questions related to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horticulture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fiel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categories: ‘frequency of implementation’, ‘place material’, and ‘teaching strategy’. To investigate ‘the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categories: ‘the awareness of teaching strategies’, ‘the awareness of linkage with the Nuri curriculum’, ‘the problem of horticultural education’, and ‘teacher’s demands and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χ²-tes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Lastly, ways to promote the efficiency in delivery of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