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혈액투석 시 칼슘역동학이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차현(Cha Hyun Kim),오동진(Dong Jin Oh),유수정(Soo Jeong Yoo),이태우(Tae Woo Lee),최재영(Jae Young Choi),이광제(Kwang Je Lee),김상욱(Sang Wook Kim),유석희(Suk Hee Yu),강응택(Eung Taek Kang)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5

        목 적 : 혈관의 완충 기능을 반영하는 arterial compliance (AC)는 혈관 경직에 의해서 감소되고, 수축기 혈압 증가와 확장기 혈압 감소를 일으켜 맥압의 증가를 초래한다. 혈액 투석 환자에서 혈청 칼슘 농도는 투석액 내 칼슘 농도에 비례하고 이의 증가는 혈관 수축을 일으키며 혈관 경직과 연관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저 칼슘 투석액 및 고칼슘 투석액 치료 후 arterial compliance,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맥압과 더불어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8명의 혈액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연령 45.5세, 남녀비 1 : 1) 하였고 평균 투석 기간은 3.5년이었다. AC, sroke volume (SV),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Ionized Ca, T-CO_2 둥을 저칼슘 투석액 (Gambro, Bicart 761 solution^ )과 고칼슘 투석액으로 각각 10회 치료 후 수치를 비교하였다. 결 과 : AC의 기저 평균치는 0.143±0.076 ㎟/kpa, 저칼숨 투석액 (1.25 m㏖/L) 치료 후 0.166±0.097 ㎟/kPa, 고칼숨 투석액 (1.75 m㏖/L) 치료 후는 0.142±0.082 ㎟/kPa로 8명 증 6명에서 감소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p>0.05).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 평균 동맥압, 맥압의 기저 평균치는 각각 157.75±15.97, 94.259.49, 114.12±10.56, 63.50±10.87 ㎜Hg이었고 저칼슘 투석액 (1.25 m㏖/L) 치료 후는 각자 135.25±13.00, 78.75±11.24, 98.37±15.14, 55.50±5.95 ㎜Hg, 고갈슘 투석액 (1.75 m㏖/L) 치료 후는 각각 160.50±15.36, 94.05±10.34, 115.75±9.64, 62.00±15.71 ㎜Hg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5). 혈중유리 칼슘의 기저 평균치는 4.66±0.40 ㎎/dL, 저칼슘 투석액 (1.25 m㏖/L) 치료 후 4.45±0.28 ㎎/dL, 고칼슘 투석액 (1.75 m㏖/L) 치료 후는 4.65±0.43 ㎎/dL이었으나 다른 생화학적 지표들은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저칼슘 투석액 사용시 arterial compliance는 62%의 환자에서 증가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평균 동맥압, 맥압의 평균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혈액투석 환자에서 저칼슘 투석액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Arterial compliance (AC) reflects the buffering function of the vessel. Low AC caused by arterial stiffness increases pulse pressure amplitude. Therefore, Low AC must be correlated with high cardiovascular mobidity and mortality in HD patients. Dialysate calcium concentration is potentially a main determinant of serum ionized calcium level and the vasoconstriction is associated with high calcium concentration. Therefore, We conducted a study for evaluation of the interdialytic effects of treatment with a low dialysate calcium (LdCa) concentration and high dialysate calcium (HdCa) concentration on the changes of AC, BP, biochemical parameters. Methods : Eight HD patient (mean age 45.5, sex ratio 1 : 1) were studied. The mean HD period was 3 years. Arterial Compliance, stroke Volume, SBP, DBP, PP, MAP, Ionized Ca, T-CO_2, P and Ca×P product were compared after treatment with a LdCa and HdCa concentration for each 10 sessions. Results : AC were 0.143±0.076 ㎟/kPa in baseline, 0.166±0.097 ㎟/kPa in LdCa (1.25 m㏖/L) dialysate, 0.142±0.082 ㎟/kPa in HdCa (1.75 m㏖/L) dialysate. SBP, DBP, MAP and PP were 157.75 15.97, 94.25±9.48, 114.12 10.56, 63.50±10.87 ㎜Hg in baseline and 135.25±13,00, 78.75±11.24, 98.37 15.14, 56.50±5.95 ㎜Hg in LdCa dialysate and 160.501±15,36, 94.05 10.34, 115.75±9.64, 62.00±15.71 ㎜Hg in HdCa dialysate. Ionized Ca were 4.66±0.40 ㎎/dL in baseline, 4.45±0.28 ㎎/dL in LdCa dialysate and 4.65±0.43 ㎎/dL in HdCa dialysate. However, there were no changes of other biochemical parameters. Conclusion : Treatment with LdCa dialysis, by minimizing the risk for LdCa-induced hypocalcemia, may have a beneficial role in the prevention of the ongoing reduction of arterial compliance in HD patients and thus improve cardiovascular prognosis.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모자 패턴제작을 위한 측정방법과 디자인 개발 연구

        김차현(Cha Hyun Kim),안영실(Young Sill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성장하고 있는 모자산업에 발맞추어 한국 성인여성의 착용감이 좋은 모자패턴 및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함에 목적에 있다. 모자 기본원형 제작의 기초가 되는 머리둘레는 모자 형태나 쓰는 방법의 변화에 따라 차이를 두어야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류된 각 대표 모자의 기본원형을 3D 스캔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디자인한 모자 4가지를 제작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에서 정의한 각 머리둘레는 모자 쓰는 위치와 디자인에 따라 모자둘레와 차별을 두어 사용하여야 하며, 두상의 앞면에서는 이마시작점, 이마중간점, 눈살점이, 옆면에서는 귀바퀴위점, 뒷면에서는 뒤통수돌출점, 뒤통수점이 모자 패턴제작을 위한 주요한 계측점으로 지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1차적인 머리 두께 및 너비길이에 근거한 머리둘레의 Master Oval Pattern 제작에 비하여 3D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제작방법이 보다 더 쉽고 정확하게 구할 수 있었으므로 앞으로 대량생산 모자의 패턴제작에 있어서는 3D 계측방법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제작된 모자 디자인에 따라 정확한 머리둘레 위치 및 형상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넷째, 모자 형태의 분류에 따라 반구형, 원기둥형, 원반형, 무 크라운 모자의 기본원형을 제시하여 다양한 디자인 전개에 활용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growing millinery industry of Korea with basic patterns and design for Korean women`s hats. We begin with the idea that measurement and shape of head circumference is dependent upon hat design and ways of wearing hats. Accordingly, we categorize hats according to their forms and shapes. Then we present basic patterns for selected hats from each category based on 3D scan data of head block models. We also made four sample hats using the basic patterns we developed. Main results are: First, principal measurement points should include glabella, the mid point of forehead, and crinion in the frontal head, occiput and inion at the back of the head, euryon on the side. Second, 3D scan data provides easier and more exact measurement and shape than the head circumference based on the uni-dimensional measurements of head length and head width for making the master oval pattern. We suggest that measurements based on the 3D scan data should be used widely for pattern-making, especially in mass production of hats. Third, the richer and more flexible set of measurements based on the 3D scan data resulted in a better fit of hats with different designs. Forth, our four basic hat patterns(domed, cylinder, discus, and non-crown) served well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hat plans and designs.

      • KCI등재

        품질기능전개(QFD) 이론을 적용한 뉴 실버 여성의 의류제품 디자인 설계요소-정장과 캐주얼웨어를 중심으로-

        김차현 ( Kim Cha H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뉴 실버 여성의 의류제품 요구속성을 QFD 방법론에 적용시켜 디자인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구체적인 디자인 요소를 도출해봄으로써 뉴 실버 여성 소비자 니즈에 적합한 의류제품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버 여성들의 의류제품 속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60~75세 뉴 실버 여성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5일에서 2013년 4월 22일까지 설문조사한 417부 응답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전문가 7명으로 구성된 QFD팀이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뉴 실버 여성들의 의류제품 고객요구속성은 `심미성`, `사회심리`, `맞음새`, `실용성`, `관리성`의 5차원으로 분류되었다. 2. 고객요구속성과 디자인 요소간의 관계에서 `심미성`과 `사회심리`차원은 대체로 선과 색채와 관련이 높았으며 `맞음새`는 대체로 선과 소재와 관계가 높았다. `실용성`은 대체적으로 선, 색채, 소재 모두 골고루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리성`은 대체로 소재와 관계가 높았다. 3. HOQ 디자인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는 정장과 캐주얼웨어 제품 모두 `섬유의 종류`, `여유`, `길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HOQ 고객요구속성의 상대적 중요도 최우선 순위는 정장과 캐주얼웨어 제품 모두 `착용용도의 적합성`으로 나타났다. `New Silver Generation`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elderly generation has emerged as a new consumer force in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design guidelines from the perspective of aged women for designing clothes for new silver generation through focusing on specific design elements associated with quality attributes that should be improved in advance based on QFD methodology after analyzing customer requirements for apparel product among the new silver generation women.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Customer requirements was conducted on 417 new silver generation women (ages 60 through 75, and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from April 15th to the 22nd in 2013. An expert`s review for QFD has been performed by the QFD team which consisted of 3 designers and 7 professors from the fashion design-related department from April 15 to 20, 2013. The results wereas follows. 1. Product attributes that the new silver women required in Apparel Products has five dimensions of class, `aesthetics`, `socio-psychology`, `fitness`, `usefulness` and `maintenance`. 2. According to analyses on relations between customer-required attributes and design elements, `aesthetics` and `socio-psychology` were mostly related with line and color. `Fitness` was highly related with line and material. In addition, `usefulness` was mostly related with line, color, and material. However, `maintenance` was highly related with material only. 3. In terms of priority on relative importance in HOQ design elements, `type of fiber` was number one, followed by `ease`, `length`, and `ton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ormal and casual wear. 4. In terms of priority on in HOQ customer-required attributes, `appropriateness of purpose` was the highes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ormal and casual wear.

      • KCI등재

        옵아트를 이용한 여성복 디자인 연구

        김차현(Cha Hyun Kim),박문희(Moon Hee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옵아트의 전반적인 특징과 패션에 나타난 옵아트의 조형성을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옵아트의 창시자이자 대표작가인 Victor Vasarely의 작품을 모티브로 이용하여 입체적이고 율동감이 있게 인체에 적용시킴으로서 개성적인 현대 여성복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논문과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한 옵아트와 바자렐리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과 최근 21세기 컬렉션지를 중심으로 패션에 표현된 옵아트를 분석해 본 후, 바자렐리 작품 시기별로 작품 2개씩을 응용하여 일러스트, 포토샵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여성복 디자인을 전개해 보았다. 4그룹의 디자인 결과물에서, 그 기간의 옵티컬 패턴의 특징을 살려 패턴과 패턴의 상호작용에 의한 지각효과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기하학적인 선에 의한 착시효과와 입체적이고 움직이는 인체와의 조화로운 시지각 착시효과를 여성복 디자인으로 나타내고자 의도하였다. 시기별 4그룹의 여성복 디자인을 연구하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Black & White 시기의 작품들은 흑백의 쉬크함을 살리기에 적합한 모티브였으며 Folklore-Plastique Alphabet 시기의 작품들은 인체를 왜곡시키는 디자인보다는 포멀한 이미지의 느낌을 살리기에 적합하였다. Gestalt와 Vega 시기는 작품에서 인지할 수 있듯이 인체에서도 입체감을 불어넣어 새로운 시각적 왜곡 효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옵티컬 모티브였으며, 특히 Vega 시기는 미래지향적인 우주적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p art and its plasticity in fashion. It also aimed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for distinctive and expressive designs for a women`s dress by using the works of Victor Vasarely, as the motive and striking three-dimensional harmony between the body`s rhythmic movements and the designs. The recent fashion collection magazines in the 21st century were also consulted to analyze op art in fashion. And also the trend of 2010 A/W season was analyzed. Then a series of creations were made based on Vasarely`s works for four groups by period using the Adobe Illustrator CS2 and Photoshop CS2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optical patterns were highlighted to express the perceptual effect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patterns. Also intended to express in the design of female dresses were the illusion effect by geometric lines and the visual perception illusion effect that`s harmonious with the three-dimensional and moving body.

      • KCI등재후보

        뉴 실버 여성의 의복유형에 따른 추구이미지

        김차현(Kim, Cha 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뉴 실버 여성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의복이미지가 의복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으며, 뉴 실버 여성 소비자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효과적인 시장세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뉴 실버 여성 및 실버 의복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접으로 정량조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 후, 2013년 4월 15일에서 4월 22일까지 서울 및 수도권 도시에 거주하는 60~75세까지의 뉴 실버 여성 41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 실버 여성들의 의복추구이미지는 ‘우아한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 ‘단정한 이미지’, ‘활동적인 이미지’ 4개의 차원으로 분류되었으며, 정장 제품에서는 세련되면서 우아한 이미지를 중요시하고 캐주얼웨어 제품에서는 활동적이고 세련된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노년층들이 우아함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지향하는데 비해 뉴 실버 여성들은 젊고 세련된 의복을 선호하는 성향을 가진 소비자로 분석되었다. 또한 의복추구 이미지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은 정장은 우아한 이미지 선호집단, 세련된 이미지 선호집단, 단정한 이미지 선호집단, 활동적 이미지 선호집단의 4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캐주얼웨어는 우아하고 활동적인 이미지 선호집단, 세련된 이미지 선호집단, 단정한 이미지 선호집단의 3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세부집단들은 연령과 경제적인 소득 및 의복비에 차이가 있어서 그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 기준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the difference in the pursued-image of clothes between the formal wear and the casual wear. The findings will offer a useful and effective design guideline for the new elderly female market segmentation. For this study, an in-depth one-on-one interview was performed against 30 experts and then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5 to 22, 2013. Participants were 417 new elderly women aged 60 to 75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e clothing image that the new elderly women want to present has 4 dimensions of class, elegant image, sophisticated image, ordinary image, active image. The main focus of the clothing image was that the new elderly women want to promote is class of elegant and sophisticated image in the formal wear and class of attractiveness, active and sophisticated image in the casual wear. The analysis reveal that new elderly women prefer the young and sophisticated clothing image compared to the elderly who prefer elegant and luxurious clothing image. And also the new elderly women consumers were devided into 4 types(elegant, sophisticated, ordinary, active) in the formal wear and 3 types(elegant, sophisticated, ordinary, active) in the casual wear by clothing image preference. The segmented market groups differed in terms of age, average monthly income and expense for clothing. The study suggested directions for efficient design strategies for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se findings offer directions in the design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new elderly female clothes.

      • KCI등재
      • KCI등재

        뉴실버 여성을 위한 의복추구이미지에 관한 질적 연구

        김차현(Kim Cha Hyun),박재옥(Park Jae O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뉴실버 여성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의복이미지를 알아보고 또한 용도(포멀웨어와 캐주얼웨어)에 따라 추구하는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기존 실버 세대와 대별되는 뉴실버 세대의 의복에 대한 변화된 성향과 그 다양성을 파악하고 뉴실버 여성 소비자 측면에서 고려되어져야할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뉴실버 여성들의 의복추구이미지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정성적 조사방법의 하나인 1:1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개방코딩으로 분석하였으며, 2012년 8월 10일에서 8월 23일까지 대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스스로 비교적 젊은 마인드를 가졌다고 생각하는 뉴실버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뉴실버 여성들은 공식적인 모임에 참석할 기회가 점차 줄어들어 포멀웨어보다 캐주얼웨어를 즐겨 입으며 더 편하고 젊어 보인다는 이유로 캐주얼웨어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실버 여성들의 의복추구이미지는 ‘품위성’, ‘단정성’, ‘매력성’, ‘활동성’, ‘활력성’의 5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포멀웨어에서는 ‘품위성’과 ‘단정성’을, 캐주얼웨어에서는 ‘매력성’, ‘활동성’, ‘활력성’을 더 중요시하게 표현하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분화된 지표는 실버의류제품을 디자인하고 마케팅을 함에 있어서 전략적으로 반영되어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the Pursued-image of clothes that women in the new elderly generation want to present and the difference in the intended clothing image between the formal wear and the casual wear. The findings will offer a design guideline when considering the changing and diverse buying patterns of the new elderly female consumers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elderly generation. We employed a qualitative study methodology of one-on-one in-depth interview with open coding. Between August 10 and August 23 of 2012, we interviewed fifteen female consumers of age 60 or above with residence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considered themselves as young-minded.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reveals that the new elderly women wear casual clothes more often than formal clothes. The new elderly women have fewer formal occasions and prefer casual wear because of the comfort and younger look that it offers. The clothing image that the new elderly women want to present has five dimensions of class, modernity, decency, attractiveness, activity and youthfulness. The main focus of the clothing image that the new elderly women want to promote is class of modernity and decency in the formal wear and class of attractiveness, activity and youthfulness in the casual wear. These findings offer directions in the design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lderly female clot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