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of tooth restored with metal-ceramic crown covering abfraction lesion according to its finish line location under occlusal load

        김지환,윤철욱,김태현,김한성,우대곤,이근우,심준성,Kim, Jee-Hwan,Yoon, Chol-Wook,Kim, Taehyeon,Kim, Han-Sung,Woo, Dae-Gon,Lee, Keun-Woo,Shim, June-Sung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itics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4

        목적: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된 Abfraction 병소가 있는 치아를 금속도재관으로 수복 할 경우, 변연의 위치에 따라 예후가 다양해질 수 있다. 수복물의 장기적 성공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응력분포의 분석이 필요하지만 금속도재관이 abfraction 병소의 적응증인 경우 금속도재관이 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는 아직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abfraction 병소가 있는 치아를 수복하는 금속도재관이 바람직한 응력 분포를 나타낼 수 있는 조건을 알아 보고자 함이다. 재료 및 방법: 치아, 주위 조직과 금속 도재관의 외형을 반영한 2차원 유한 요소모델을 제작하고 144 N의 편심 교합력 하에서의 응력분포를 유한요소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금속 도재관의 변연 위치를 쐐기모양의 결손부의 하연에(Group 0), 그리고 결손부의 하연보다 1 mm 하방(Group 1)과 2mm 하방(Group2)에 위치시켰다. 결과: Group 0에서 von Mises stress는 금속 도재관의 변연과 결손부의 첨부에 집중 되었고 협측 변연의 응력은 설측 부위로 분포되었다. Group 1과 Group 2에서의 응력분포양상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응력은 결손부의 첨부에 집중되지만 협측과 설측의 응력띠는 서로 분리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금속도재관의 변연을 Abfraction 병소의 하연에 설정할 경우, 금속도재관은 Abfraction 병소의 첨부에 응력을 집중시킨다. Purpose: When the full veneer crown was treated in the tooth with abfraction lesion due to various causes, the prognosis of it may be compromis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nish line, but there is few study about the location of its buccal finish 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cation of the finish line of the full veneer crown on stress distribution of the tooth with abfraction les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developed to express tooth, surrounding tissue and full veneer crown. The stress distribution under eccentric 144 N occlusal load was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The location of finish line was set just at the lower border of the lesion (Group 0), 1 mm (Group 1) and 2 mm (Group 2) below the lower border of the lesion. Results: In the Group 0, von Mises stress was concentrated at the finish line and the apex of the lesion. Also, the stress at the bucal finish line propagated to the lingual side. In the Group 1 and Group 2, stress distribution was similar each other. Stress was concentrated at the apex of lesion, but the stress at the buccal finish line did not propagate to the lingual side. That implied decrease of the possibility of horizontal crown fracture. Conclusion: Full veneer crown alleviated the stress concentrated at the apex of the abfraction lesion, when the finish line of full veneer crown was set below the lower border of abfraction lesion.

      • KCI등재

        Collar design이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

        김지환,정문규,문홍석,한동후,Kim, Jee-Hwan,Jung, Moon-Kyou,Moon, Hong-Suk,Han, Dong-H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1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는 임플랜트의 기능적 및 심미적 성공에 큰 장애가 되는 요인이다. Adell은 임플랜트에 지대주 연결 후 첫 1년간 평균적으로 1.5mm의 변연골 소실을 보이고, 이 후에는 매년 0.1mm이하의 변연골 흡수가 있었다고 하였다(Adell et al.,1981). 이러한 변연골 흡수를 막기위한 많은 노력들이 행해져 왔다. 특히 임플랜트 collar의 특징에 따라서 변연골의 흡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랜트 collar에서의 laser microtexturing(microgroove)이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4종류의 임플랜트 총 101개를 식립한 환자 53명에서 임플랜트 식립시부터 보철물 장착한 후 평균 6개월 후 정기 검사 시까지의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생물학적 폭경을 충분히 확보한 임플랜트(ITI standard)와 생물학적 폭경이 부족한 임플랜트 (ITI esthetic plus, Silhouette IC Laser-$Lok^{TM}$, Silhouette IC)에서 변연골 흡수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에 대한 laser를 이용한 미세나사산의(Silhouette IC Laser-$Lok^{TM}$) 영향을 알아보았다.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ITI standard와 Silhouette IC Laser-$Lok^{TM}$ 이 ITI esthetic plus 와 Silhouette IC 보다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적었고 (p<0.05), ITI standard 와 Silhouette IC Laser-$Lok^{TM}$ 사이에는 변연골의 흡수가 유의차가 없었고(P>0.05), ITI esthetic plus와 Silhouette IC 사이에도 변연골의 흡수가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사용된 임플랜트 전체에 대한 상하악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사이에서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흡수각도에 대한 비교에서도 4종류 임플랜트 그룹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본 연구에서 제한이 있긴 하지만, 임플랜트 디자인에서 생물학적 폭경이 부족한 경우(ITI esthetic plus, Silhouette IC)에는 생물학적 폭 경 보상을 위한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나, laser를 이용한 microgroove 가 부여된 임플랜트에서는 collar의 거칠기와 laser microtexturing 등의 특징에 의해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적게 일어난 것이 관찰되었다. 심미적인 요구도가 높은 전치부에서 충분한 생물학적 폭경이 확보된 임플랜트를 식립할 경우 변연골의 흡수에 따른 치은퇴축에 의해 metal collar의 노출이 우려되기에 충분한 생물학적 폭경이 부여되지 않은 임플랜트를 선정하게 되는데 이때 collar에서의 laser microtexturing은 변연골의 유지에 도움이 되었다. 이것은 조직의 단단한 부착으로 인한 안정화로 추정해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더 장기간의 연구와 더 많은 수의 임플랜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조직학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atement of problem: 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success of implants in esthetics and function.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is bone loss by improving implant design and surface textur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early marginal bone loss is affected by implant neck design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aser microtexturing of implant collar on 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 Materials and methods: Radiographical marginal bone loss was examined in patients treated with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Marginal bone level was examined with 101 implant fixtures installed in 53 patients at three periods(at the time of implantation, prosthetic treatment and 6-month after loading). Four types of implants were examined. The differences of bone loss between implants(ITI standard) with enough biologic width and implants(ITI esthetic plus, Silhouette IC, Silhouette IC Laser-$Lok^{TM}$) with insufficient biologic width have been compared. Resorption angles were examined at the time of prosthetic delivery and 6-month after loading. Results and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1. The marginal bone loss of ITI standard and Silhouette IC Laser-$Lok^{TM}$ was less than that of ITI esthetic plus and Silhouette IC(P<0.05). The marginal bone loss between ITI standard and Silhouette IC Laser-$Lok^{TM}$ ha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arginal bone loss of ITI esthetic plus and Silhouette IC(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ginal bone loss between maxilla and mandible(P>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orption angle among four types of implants(P>0.05). The marginal bone of implants with supracrestal collar design of less than that of biologic width had resorbed more than those with sufficient collar length. The roughness and laser microtexturing of implant neck seem to affect these results. If an implant with collar length of biologic width, exposure of fixture is a possible complication especially in the anterior regions of dentition that demand high esthetics. Short smooth neck implant are often recommended in these areas which may lack the distance between microgap and the marginal bone level. In these cases, the preservation of marginal bone must be put into considerat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may be concluded that laser microtexturing of implant neck is helpful in the preservation of marginal bone.

      • KCI등재

        단일염기다형성을 이용한 치과 질환 유전체 연구

        김지환,이재훈,Kim, Jee-Hwan,Lee, Jae-Ho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4

        Genetic association study has been progressed in medicine along with advance in genetic technology. It focused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genotype due to errors occurring during DNA duplication, which can cause vulnerability to specific diseases. Polymorphism defines the varieties in phenotype due to those genetic variations. Polymorphism due to change in one DNA base sequence is called as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near future, the evaluation of relative risk to specific disease according to SNP will be essential part of fundamental of medicine for the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has been first subject to genetic association study in dentistry and broaden out to other areas like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This article 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genetic association study and its application to dentistry. DNA 복제과정에서의 오류(error)에 의한 유전적 변이(genetic variation)를 통해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유전변이형을 조사하고 특정 질환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를 밝히는 유전체 연관성 연구가 의학계 전반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개인 간의 DNA 상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의 차이를 보이는 유전적 변이를 통해 개인간의 형질이 다르게 표현 되는 것을 다형성이라고 하는데 다형성의 원인 중 염기 서열 한 쌍의 변이에 의하여 다른 형질로 표현되는 것을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이라고 정의한다. 유전자 분석 기술의 놀랄만한 발전과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 프로그램의 개발에 의해 SNP과 질병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의학계 모든 분야에서 가속화 되고 있다. 최근 급격하게 빨리 진척되는 연구들에 힘입어 특정 질병에 대한 특정 유전자가 가지는 위험도를 분석하고 환자를 유전적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여 진단, 예방 및 치료하는 환자 맞춤식의 진료가 모든 의약학 분야에 적용 될 것으로 생각 된다. 치과 영역에서는 충치와 치주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초기 단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수준이다. 본 종설에서는 유전체 질병 연구의 현황과 치과 영역에서 시작된 연구를 소개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알렌드로네이트의 투여기간이 발치와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 예비실험

        김지환,홍종환,최현민,박영범,문홍석,Kim, Jee-Hwan,Hong, Jong-Hwan,Choi, Hyun-Min,Park, Young-Bum,Moon, Hong-Seok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3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알렌드로네이트 투여기간의 차이가 백서의 상악 제 1대구치 발치와의 초기 창상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주령 Sprague Dawley Rat (Body weight 130-140 g) 15마리를 이용하여 알렌드로네이트(Merial Inc., Parramatta, Australia) 투여군(실험군)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고 실험군은 다시 투여기간에 따라 1주 투여군부터 2주 투여군, 4주 투여군, 6주 투여군까지 총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눴다. 실험군에 정해진 시기(발치 5 주전, 발치 3주전, 발치 1주전, 발치 시)부터 발치 1주 후까지 알렌드로네이트를 1 mg/kg의 농도로 주 3회 피하주사 한 후 6주 투여군과 대조군에서 한 개체씩을 이용하여 미세배열(microarray)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른 시편들을 이용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발치와 내에서의 신생골의 형성 비율과 발치와 주위 골에서 활성을 잃은 뼈에 대해 분석하였고, 파골세포 표지자인 TRAP 염색을 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으로 크루스컬-왈리스 검정(Kruskal Wallis test)을 실시하였다(${\alpha}=.05$). 결과:발치 후 1주 시점에서의 발치와 내에서의 신생골의 생성 비율은 대조군보다 ($16.77%{\pm}1.36%$) 4주 투여군($14.99%{\pm}6.26%$)에서 더 낮게 나오는 경향은 있었지만 유의 하지는 않았다. 투여기간이 증가할수록 활성을 잃은 골수강(empty lacuna)의 수는 증가하였고, TRAP positive cell 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본 예비실험을 통해서 알렌드로네이트의 투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신생골의 생성 비율이 감소되고 활성을 잃은 뼈들이 많아지며 파골세포의 수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administration duration of alendronate on initial wound healing and new bone formation of extraction socket in rats.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male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130-140 g, 4 weeks old, male)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no alendronate administration) and experimental group (alendronate administration). Experimental group was subdivided into 1 week administrated group, 2 week administrated group, 4 week administrated group and 6 week administrated group according to duration of administr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s, during the designated time period (at the time of extraction, 1 week before extraction, 3 week before extraction and 5 week before extraction) till 1 week after extraction, rats were subcutaneously injected with Alendronate at the dose of 1.0 mg/Kg three times a week. Each specimen from 6 week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used for microarray analysis, and other specimens were used for histological analysis. The rate of new bone formation within the extraction site and bone loss activity was analyzed using TRAP staini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Kruskal Wallis test. (${\alpha}=.05$) Results: After one week from the time of extraction, the rate of new bone formation within extraction site for the control group ($16.77%{\pm}1.36%$) compared to the 4 week experimental group ($14.99%{\pm}6.26%$) was lower.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crease in the number of inactive lacuna (empty lacuna)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TRAP positive cell were identified with increased duration of administr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the duration of Alendronate administration increased the rate of new bone formation decreased with loss of bone activity and reduced number of osteoclast.

      • KCI등재

        치과대학 및 치과전문 대학원의 보철학 교과과정 실태 조사 및 개선 방향에 대한 고찰

        김지환,이소진,박영범,정문규,Kim, Jee-Hwan,Lee, Sojin,Park, Young-Bum,Chung, Moon-Kyu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2

        연구 목적: 대한민국 치과대학의 보철학 교육은 자율적 규제를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각각의 특성에 맞게 발전 되어 가고 있다. 주어진 환경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획일적이며 동일한 교육 교과과정을 갖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국내 2012년 현재 치과대학에서의 보철학 교육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보철학 교과과정의 현 실태를 조사하여 향후 보철학 교육의 개선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전국 11개의 치과대학 보철학 교실에 전달 된 설문지에 대한 회신 내용을 근거로 조사 되었다. 결과:학생 수, 평균 연령, 남녀 성비, 보철학 강의 및 실습 학점, 4학년 학생이 환자를 보기 전에 시행되는 평가 방법, 졸업을 위한 최소 요구 조건, 임상 교육의 시작과 종료시점, 교육에 참여하는 인력이 학교마다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치과 대학 보철학 교과과정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학생들에게 더욱 도움이 되는 보철 임상 교육을 위해서는 양질의 교육자가 주체가 되는 교육 인력의 확충, 교육 시간의 증가, 효율적인 교과과정 확립 등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Purpose: Prosthodontics education of Korean dental schools is developing under liberal regu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each school. Diversity in the current environment and condition for each school make it impossible to apply the same and uniform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validate the status of the 2012 prosthodontics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n dental school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 Materials and methods: A survey was completed by all the 11 dental schools in South Korea. Results: The number of students, age, sex, credits for prosthodontics lecture and practice courses, evaluation method before senior students' clinical practice, modalities for minimum requirement for graduation, beginning and finishing timing of clinical practice and faculty personnel involved in the education varied among the dental schools. Conclusion: High-quality educators leading an expanded teaching personnel are required, education hours must be increased and efficient curriculum must be organized to improve the prosthodontics education.

      • KCI등재후보

        장노년의 생리적 교합변화의 이해와 치료전략

        김지환(Jee Hwan Kim),심준성(June Sung Shim) 대한치과의사협회 2012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0 No.1

        As in all other parts in the body, oral tissue also undergoes dramatic changes with increasing age. Since these changes occasionally go beyond physiological scope, which may result in pathological changes, it is essential for dentist to understand changes caused by normal aging process. With increasing age, tooth morphology and occlusion also varies, especially loss of hard tissue, which is taking place in lifelong time, occurs as a result of tooth wear. When this loss of hard tissue is presented rapidly or excessively, functional and esthetical problems are raised, resulting in lowering quality of life of patient as well as making dental treatment for oral rehabilitation even more complex. Therefore, based on understanding of change in occlusion with increasing age, strategic approaches for maintenance of oral health in both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 are required as appropriat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for progressive tooth wear enables desirable occlusal relationship. Carefully planned-restorative treatment in accordance with changed occlusal relationship is also required in the same context. Instead of taking changes in oral tissue as only a consequence of ageing, it is vital to educate patient and his or her guardian, assuring maintenance of oral hygiene and regular dental check-up are of utmost importance for improved oral health.

      • KCI등재
      • KCI등재

        알루미늄 청동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Fe 및 Si 첨가의 영향

        김지환 ( Jee-hwan Kim ),김지태 ( Ji-tae Kim ),김진한 ( Jin-han Kim ),박흥일 ( Heung-il Park ),김성규 ( Sung-gyoo Kim ) 한국주조공학회 2016 한국주조공학회지 Vol.36 No.6

        The effects of Fe and Si additions on the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uminum bronze have been investigated. In a bar-type specimen cast in a die mold, the addition of Fe promoted the dendritic solidification of the α phase. The hardness values increased slightly in the Fe-added specimen with heat treatment, while these value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pecimens with Si or with combined additions of Fe and Si. When a centrifugal casting bush with combined addition of Fe and Si was heat treated, the FeSi compound within the matrix was finely dispersed, and was observed to be the origin of cup-cone type conical dimple failure in the tensile fracture surfa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heat treated centrifugal casting bushes, whose nominal alloy compositions were (Cu-7.0Al-0.8Fe-3.0Si)wt%, exhibited tensile strength of 703-781 N/㎟, elongation of 6.6-11.7% and hardness of Hv 222.6-249.2. These high values of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at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matrix due to the combined addition of Fe and Si, and to precipitation of fine the FeSi compound.

      • KCI등재

        상악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부분틀니 수복 증례

        이보라,김지환,Lee, Bo-Ra,Kim, Jee-H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2

        부분 무치악 환자는 고정성 보철, 가철성 국소의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로 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소수 잔존치아만 남은 경우, 고정성 보철로는 수복이 어려우며, 국소의치 혹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을 고려하게 된다. 이 경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은 고정성 수복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충분한 개수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하며, 환자의 전신적, 국소적 여건이 합당해야 하고, 경제적 부담도 크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에 의한 대칭적인 지지가 중요하며, 특히 중심선에 대해 편측으로 소수 치아만 남은 경우에는 지점선에 대해 지대치에 유해한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지대치의 예후가 불량해진다. 이 경우,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의치의 유지 및 지지 요소로 활용하는 가철성보철물을 설계한다면 비용 대비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보철 수복이 가능해진다. 본 두 증례는 상악 Kennedy Class I 부분 무치악 환자 중 편측으로 소수 잔존치가 전치에 국한하여 존재하는 경우로, 잔존치를 지대치로 사용하면서,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의치의 지지가 향상된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이다. Treatment options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are fixed partial denture,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In case of a patient with a few remaining teeth,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is are available. For implant fixed prothesis, enough implant fixtures are required and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local factors and economic status must be considered. When the condition of the abutments and the residual ridge is favorable and the prosthesis is well desig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n be an option.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bilateral support is important. If the teeth remain unilateral, harmful stress is put on the abutments by the fulcrum line. In this situation, strategic implantation and implant-retained or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beneficial to the retention and support of the denture. And this can be cost-effective, functional and esthetic choice of treatment. This article describes the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of Maxillary Kennedy class I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In these two cases, the patients had a small number of teeth and they were restored by the combination of a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dental implants.

      • KCI등재

        Osstem USII plus 임플란트의 단기간 성공률 및 변연골 흡수량 평가

        김선근,김지환,이근우,조규성,한동후,Kim, Sun-Keun,Kim, Jee-Hwan,Lee, Keun-Woo,Cho, Kyoo-Sung,Han, Dong-H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3

        연구 목적: 임플란트 경부까지RBM 표면 처리를 한 Osstem$^{(R)}$ USII plus system (Osstem Co., Seoul, Korea)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이 system을 이용하여 치료 받은 32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88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기능 부하 후 1년까지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진료 기록부를 통해 전신 조건, 성별, 연령, 식립 위치, 식립 된 임플란트의 직경 및 길이 등을 조사하여 그에 따른 분포 및 생존율의 차이와 함께 이들 항목이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방사선사진 분석으로 임플란트 식립 시, 보철물 장착 후 6개월 내지 1년간의 변연골 흡수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각 항목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하여 독립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이용하였으며(${\alpha}$=.05), 보철물 장착 전과 보철물 장착 후 12개월 동안의 변연골 흡수량 비교를 위하여 일원 반복측정 분산 분석(one-way repeated-measures ANOVA)을 이용하였다(${\alpha}$=.05). 결과:총 32명에게 식립된 88개의 임플란트 중에서 실패한 것은 없었으며 누적 생존율은 100%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식립 시부터 보철물 장착까지의 변연골 흡수량은 0.24 mm이었으며, 보철물 장착 후 12개월까지의 변연골 흡수량은 평균 0.19 mm로 임플란트 식립 시부터 보철물 장착 12개월까지의 총 변연골 흡수량은 0.43 mm였다. 상악에 식립된 경우와 하악에 식립된 경우의 변연골 흡수량을 비교했을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치부에 식립된 경우가 전치부에 식립된 경우에 비해 변연골 흡수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보철물 장착 12개월까지의 기간 동안 임플란트 고정체의 경부까지 RBM 표면 처리를 한 외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란트의 단기간 임상적인 성공률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며 변연골 흡수량도 임플란트 성공 기준에 부합하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value of Osstem$^{(R)}$ USII plus system implants.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were analyzed for 88 implants placed and functionally loaded for a 12 month period at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 Based on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clinical factors and their effects on implant marginal bone resorption, distribution and survival rate were analyzed. The marginal bone loss was evaluated at implant placement and during a 6 to 12 months functional loading perio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lpha}$=0.05), and one 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amount of marginal bone resorption. Result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for 88 implants was 100%. The marginal bone resorption from implant placement to prosthetic delivery was 0.24 mm and the average marginal bone resorption from prosthetic delivery to 12 months of functional loading was 0.19 mm. The total average bone resorption from implant placement to 12 months of functional loading was 0.43 m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marginal bone resorption when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xilla or the mandible (P>.05), however, implants placed in the posterior areas showed significantly more marginal bone loss than those placed in the anterior areas (P<.05).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hort term clinical success rate of RBM surface treated external connection domestic implant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and the marginal bone loss was in accord with the success criteria of dental im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