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혈대 압력에 따른 인공 슬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피하출혈양의 관계

        김지형 ( Jee Hyoung Kim ),이송 ( Song Lee ),김경태 ( Kyung Tae Kim ),고동오 ( Dong Oh Ko ),양종화 ( Jong Hwa Yang ),이정수 ( Jung Soo Lee ),김대근 ( Dae Geun Kim ) 대한슬관절학회 2011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인공 슬관절 치환술 중 지혈대의 압력 차에 따른 수술 후 피하출혈의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3월 4일부터 9월 16일까지 본원에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13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혈대의 압력은 250 mm Hg와 320 mm Hg를 무작위로 선택 적용하였으며, I군 250 mm Hg 69예, II군 320 mm Hg 67예였다. 피하출혈 정도의 평가는 수술 후 3일 6일째 출혈이 가장 넓게 보이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모든 수술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이뤄졌다. 결과: 250 mm Hg (I군)은 2예에서만 피하출혈이 관찰되었으나 320 mm Hg (II군)은 3일째 32예, 6일째 33예에서 피하 출혈이 발생하였다. 피하출혈은 3일과 6일 모두에서 유의하게 I군이 적었다(각각 p=0.000,p=0.000). 지혈대 압력에 따른 두 군의 지혈대 사용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p=0.814), 다중회기분석 결과 두 군의 나이와 지혈대 적용 시간, 먼저 수술한 다리인지 나중 수술한 다리인지의 변수(1차 수술, 2차 수술 변수)는 무의미하였으나 지혈대 압력은 3일째, 6일째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고 250 mmHg (I군)의 피하출혈 양이 적었다(p=0.001). 결론: 피하 출혈의 발생과 지혈대 압력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지혈대의 압력을 낮춤으로 피하 출혈의 양을 낮출 수 있었다. 환자의 나이, 지혈대를 적용한 시간, 1차 수술 및 2차 수술 여부 등은 피하출 혈의 양과 무관하였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amount of subcutaneous bleeding according to the tourniquet pressure during total knee re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36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knee replacement at our hospital from March 4th, 2010 to September 16th, 2010. A tourniquet pressure of 250 mm Hg was applied to 69 patients (group I) and a tourniquet pressure of 320 mm Hg was applied to the other 67 patients (group II). Subcutaneous bleeding was evaluated on the 3rd 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s. All of the total knee replacements were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Results: Among the group I patients, subcutaneous bleeding was seen in just 2 patients, yet among the group II patients, there were 32 patients with subcutaneous bleeding on the 3rd day and 33 patients with subcutaneous bleeding on the 6th day.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s, the tourniquet time and the orders between the two groups. Group 1 had significantly less subcutaneous bleeding than did group II on the 3rd and 6th days after the operations (p=0.001).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mount of subcutaneous bleeding amount according to the tourniquet pressure. We were able to decrease the post-operative amount of subcutaneous bleeding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by lowering the tourniquet pressure to 250 mm Hg.

      • KCI등재

        수술술기 : 척골경상돌기 골절 고정을 위한 β-강선을 이용한 수술적 기법

        김지형 ( Jee Hyoung Kim ),김진학 ( Jin Hak Kim ),이송 ( Song Lee ),양승진 ( Seung Jin Yang ),유창욱 ( Chang Wook Yoo ),전태환 ( Tae Hwan Chun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저자들은 척골경상돌기 골절을 고정하기 위해, 시술하기 쉽고 안전하며 골절부위에 압박력을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β-강선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For the fixation of ulnar styloid process fracture, we want to introduce the `β-wire technique`, which is easy to learn and practice and thought to give a compressive force to the fracture site.

      • KCI등재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발생한 조기 실패의 원인과 치료

        김경태 ( Kyung Tae Kim ),이송 ( Song Lee ),김지형 ( Jee Hyoung Kim ),김관수 ( Kwan Soo Kim ),김태우 ( Tae Woo Kim ),박순열 ( Soon Youl Park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조기에 발생한 실패를 분석하여 그 원인과 치료 및 예방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시행한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총 687예 중 meniscal bearing 형 622예, tracked bearing 형 31예, fixed bearing 형이 34예였고 최소 침습적 방법을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실패는 36예에서 발생하였다. 실패의 발생 시기는 수술 후 4개월부터 5년 7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원인으로는 유동성 삽입물의 탈구가 20예로 가장 많았다. 대퇴 또는 경골 치환물의 조기 해리가 18예에서 발견되었으며 감염이 4예, 내측 경골과 골절 및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으로 인한 실패가 각각 1예 있었다. meniscal bearing 형은 유동성 삽입물의 탈구로 인한 실패가 가장 많았고 tracked bearing 및 fixed bearing 형에서는 실패가 모두 치환물의 해리로 인해 발생하였다. 단순유동성 삽입물 탈구 중 9예는 유동성 삽입물의 교환으로 치료되었고 나머지 예들은 부분치환술로 재치환한 1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치환술로 재치환하였으며 감염이 있던 4예는 모두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부분치환술 후 조기 실패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환물을 선택하고 정확한 수기를 사용하여 수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실패 발생 시의 치료는 단순 유동성 삽입물의 탈구는 유동성 삽입물의 교환을 일차 시도하고 치환물의 해리 등 다른 원인이 동반된 경우는 전치환술로 재치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auses, treatment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early failure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the cas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687 cases of UKA that had been performed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6. There are 622 cases of the meniscal bearing type, 31 cases of the tracked bearing type and 34 cases of the fixed bearing type. All of the cases were performed by minimally invasive surgery. Results: Early failures after UKA were seen in 36 cases, and these failures occurred from 4 months postoperatively to 5 years 7 months postoperatively. There were 20 mobile bearing dislocations, 18 femoral or tibial component loosenings, 4 infections, 1 medial tibial condylar fracture and 1 case of pain of unknown origin.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failed cases of the meniscal bearing type was bearing dislocation. All of the failed cases of the tracked and fixed types were from loosening of the component. Simple dislocations of bearing were treated by bearing change. All of the other cases were treated with revision TKA or UKA. Conclusion: Selection of an appropriate prosthesis and accurate surgical technique are needed to improve the clinical results and reduce failures. Open bearing change can be done for the cases of simple bearing dislocation, and revision TKA is needed if this is accompanied by other complications.

      • 유골 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파괴술 - 1례 보고-

        서재곤,김지형,안중모,Seo, Jai-Gon,Kim, Jee-Hyoung,Ahn, Choong-M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1

        유골 골종은 골의 양성 종양으로 대부분 30세 이하의 환자에 이환되며, 주로 하지의 장관골이 가장 흔히 이환된다. 주 증상으로 통증이 있으며, 밤에 심해지고, 아스피린에 특징적으로 반응하기도 한다. 수술적 제거술이 대부분의 일반적인 치료이며, 전산화 단층촬영하에 제거 술, 전산화 단층촬영하의 드릴을 이용한 파괴술 등을 통한 최소한의 침습적인 수술적 방법이나, 더욱 비침습적인 경피적 방법으로 레이저나 고주파를 발생하는 전극을 이용한 파괴술 등이 시도되고 있고, 수술적 제거술의 대체술로서 고려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경골 근위부의 유골 골종을 전산화 단층촬영 투시하에 고주파 치료술을 시행한 1례를 보고하며, 유골 골종의 새로운 치료법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We report the radio-frequency ablation technique applied on an osteoid osteoma under CT guide and review other new methods of treatment for the osteoid osteoma. An 18-year-old boy with an osteoid osteoma at the left proximal tibia, which was visible at plain film and MRI. He was treated by the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echnique under CT guide after a needle biopsy. He is free from any symptom and able to do daily activities. So, we proposed that the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echnique under CT guide is the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method for an osteoid osteoma.

      • 소아의 수부골에 전이된 신장의 투명세포육종 -1례 보고-

        심종섭,김지형,서연림,Shim, Jong-Sup,Kim, Jee-Hyoung,Suh, Yeon-Lim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4 No.2

        Clear cell sarcoma of the kidney (CCSK) is a rare malignant tumor of the renal origin in childhood, distinguished from Wilms tumor by its pathologic and clinical features. Bone metastas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The common site of metastasis of the clear cell Sarcoma of the kidney is axial skeleton including skull, spines, ribs and femur. A cases of clear cell Sarcoma of the kidney presented to us, which solely metastasized to the hand bones without metastasizing to any other tissues including axial skeleton.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시행한 관절경적 치료의 임상 결과

        김경태,이송,김지형,김대근,신원식,Kim, Kyung Tae,Lee, Song,Kim, Jee Hyoung,Kim, Dae Geun,Shin, Won Shik 대한관절경학회 201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7 No.1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대해서 시행한 관절경적 치료의 효용성과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대하여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17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혈액검사와 관절액 천자를 통해 감염을 확인한 후 관절경을 이용하여 변연 절제술과 활액막 제거술을 시행하고 항생제를 혼합한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세척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치료의 실패 또는 재발 여부를 확인하고 수술 후 2년까지 감염의 재발이 없는 경우를 치료의 성공이라 판단하였다. 결과: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대하여 관절경적 수술로 치료받은 17예 중 13예에서는 1회의 관절경적 치료만으로 감염이 치료되었으나 4예는 감염이 지속 또는 재발되어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재수술을 시행한 군에서 관절경적 수술만으로 치료된 군보다 감염 증상 발현 후 수술까지의 기간이 더 길었다(p<0.05). 결론: 관절경적 수술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의 치료는 적절한 환자의 선택, 철저한 변연 절제술과 세척술 및 적합한 항생제의 사용 등을 통해서 성공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감염이 의심된다면 가능한 빨리 수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arthroscopic treatment for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7 cases which underwent arthroscopic treatment to treat infection after TKA. After confirming infection by hematologic examination and analysis of joint fluid, we performed arthroscopic debridement, synovectomy and irrigation with normal saline mixed with antibiotics. Through routine examination after operation, we checked failure of treatment or recurrence of infection. If there is no recurrence until 2 years after the operation, we considered it as a success of treatment. Results: Of the 17 cases taken arthroscopic treatment, 13 cases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primary arthroscopic treatment only, but 4 cases had to undergo re-operation because of persistence or recurrence of infection.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we found that symptom duration of the re-operation group is longer than the treated group after arthroscopy (p<0.05). Conclusion: Arthroscopic treatment can be effective when we performed appropriate selection of patients, careful and extensive arthroscopic irrigation and debridement, and suitable use of antibiotics. However, we have to do early arthroscopic surgery as soon as possible when infection after TKA is suspected.

      • KCI등재

        골절 내고정용 금속판 모양에 따른 응력과 변형의 유한요소 해석

        문준희(Jun-Hee Moon),김지형(Jee Hyoung Kim),이봉구(Bong-Gu Lee),이송(Song Lee),김대근(Dae Ge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4

        목적: 골절 시 사용되는 금속판을 개선하기 위해 동일한 부피와 무게를 가지면서도 모양이 다른 금속판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변형과 응력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길이 100 mm, 외경 20 mm 및 내경 12 mm인 피질골을 가진 뼈에 장축과 직각인 가상의 골절선을 만든 뒤 두 조각의 뼈를 금속판으로 고정한다고 가정하였다. 이 때 금속은 Titanium 재질이며, 12 mm 간격으로 6개의 구멍이 있고 이 구멍에 지름 2 mm, 길이 25mm의 나사못이 삽입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금속판의 모양은 A형은 표준형, B와 C형은 중심부 두께가 두꺼운 형태, D와 E형은 중심부 폭이 넓은 형태로 총 5개로 구분하였다. 각 형태에 인장, 압축, 전방, 후방 및 측방 굽힘, 비틀림의 6 종류의 힘이 주어졌고 그에 따른 최대 응력 및 변형을 비교하였다. 결과: 인장력, 굽힘 그리고 비틀림이 작용하는 환경에서는 B, C, D나 E형의 금속판이 A형보다 낮은 최대 응력 및 적은 최대 변형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전방 굽힘에서 가장 월등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압축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향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동일한 부피의 금속판은 가운데 부분의 두께가 두껍거나 폭이 넓을수록 낮은 최대 응력 및 적은 최대 변형을 보여주었다. Purpose: To determine the metal plate that has almost the same volume and weight as the conventional plate, but has improved properties by changing the shape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bone is assumed to be of 100 mm length, 20 mm outer diameter and 12 mm inner diameter, respectively. There is a fracture line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bone at the center. The two pieces of bone are joined together using a metallic plate that is made of titanium. Six holes are located, with an interval of 12 mm. We suppose that screws of 2 mm diameter and 25 mm length are inserted in six holes. The metallic plates are of 5 shapes (A, B, C, D and E) in total. Shape A is the standard or nominal type. Shape B and C are thicker at the center of the plate, respectively. Shape D and E are wider at the center. Six types of load are applied to each of those plates: tension, compression, anterior flexion, posterior flexion, lateral flexion and torsion. We compared stress, deformation, maximal stress and maximal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six types of load. Results: Our deliberate investigat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showed that increasing the thickness or width at the center of metallic plates lowered the maximum stress and deformation. In particular, maximal stress and deformation could be reduced by 33.5% and 38.6%, respectively, in the anterior bending situation. Compression showed lower stress and deformation in type C or D, but the absolute quantity was much smaller than others, for example 0.01-0.001 times. Conclusion: As for the internal bone fixation plates with the same volume, the wider or thicker in the middle the plate become, the less deformation and yielding it bear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과상부 대퇴 삽입물 주위골절의 치료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잠김 금속판 고정술 간의 비교-

        김진학 ( Jin Hak Kim ),김지형 ( Jee Hyoung Kim ),양승진 ( Seung Jin Yang ),유창욱 ( Chang Wook Yoo ),전태환 ( Tae Hwan Chun ),양종화 ( Jong Hwa Yang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4

        목적: 본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과상부 대퇴삽입물 주위 골절의 수술적 치료로서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로 치료한 군과 잠김 금속판 고정술로 치료한 군간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시행한 역행적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 10예(제1군),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 13예(제2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군에 대하여 골절 전과 최종 추시에서의 관절 운동범위,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score, 대퇴 경골각 및 골유합 시기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슬관절 운동범위는 제1군은 평균 124.5˚에서 116.2˚, 제2군은 평균 118.2˚에서 110.1˚로 감소하였다. HSS knee score는 제1군은 평균 84.4점에서 75.8점, 제2군은 평균 82.3점에서 79.0점으로 감소하였다. 대퇴 경골각은 제1군은 평균 외반 6.3˚에서 5.8˚, 제2군은 평균 외반 6.1˚에서 7.2˚로 측정되었다. 골유합 시기는 제1군은 평균 2.7개월, 제2군은 평균 3개월이었다. 결론: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수술법 모두 견고한 고정 후 조기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좋은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and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Both of these are surgical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periprosthetic supracondylar femur fractures that occur subsequent to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 population consisted of 23 cases: there were 10 cases that underwent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fixation (group 1) and 13 cases that underwent use of a locking compression plate (group 2), and in both groups supracondylar femur fracture subsequent to total knee replacement occurred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8. The range of joint motion,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score, the tibio-femoral angle and the time to achieve bone union in each group were comparatively analyzed. Results: The mean range of the knee joint motion decreased from 124.5˚ to 116.2˚ in group 1, and from 118.2˚ to 110.1˚ in group 2. The mean HSS knee score declined from 84.4 points to 75.8 points in group 1, and from 82.3 points to 79.0 points in group 2. The mean tibio-femoral angle changed from 6.3˚ eversion to 5.8˚ in group 1, and from 6.1˚ to 7.2˚ in group 2. The mean time to achieving bone union was 2.7 months in group 1 and 3 months in group 2. Conclusion: Both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and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as surgical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periprosthetic supracondylar femur fractures that occur subsequent to total knee replacement, allow solid fixation and early resumption of joint movement withou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rocedures. So, both procedures appear to be good methods of treat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