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적 자아개념 문헌고찰을 통한 유아기 음악경험에의 함의

        김지언(Jee-Ean Kim)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7

        본 연구는 음악적 자아개념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유아기 음악경험의 중요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들을 재인식함으로써 유아기 음악경험에 주는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음악적 자아개념에 앞서 위계적 구조의 최상위에 있는 자아개념의 정의와 발달, 특성, 구조에 대해 탐색하였으며, 일반적 자아개념의 요인과는 별개로 예술적 자아개념과 관련된 분석을 도출해 내었다. 다음으로 예술적 자아개념 전체와는 구별되는 음악적 자아개념과 그 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함의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악적 자아개념은 개인의 음악적 능력과 음악관련 행동에 대해 자신이 지각하는 것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일반적 자아개념과 같이 다면적이고 위계적인 구조를 가진다. 음악성취, 음악의 내면화,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적 자아개념은 또한 음악적 경험과 그에 대한 해석, 중요타인으로부터의 평가, 자신의 음악적 흥미에 영향을 받으며, 개인의 음악적 행위의 방향, 강도, 지속성을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의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 about music self-concept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n early childhood music experience by re-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xperience and major factors influencing it. For this, a search for definitio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self-concept at the top of hierarchical structure was conducted. This derived analysis and discussion related to artistic self-concept away from factors of general self-concept. Next, the study presented an analysis about the music self-concept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whole artistic self-concept and variables mainly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self-concep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Music self-concept is a concept that integrates what one perceives about individual musical ability and music-related behavior. It has a multi-faceted and hierarchical structure like general self-concept. The music self-concept that affects music achievement, internalization of music, self-esteem, and social self-concept is also influenced by musical experience and its interpretation, evaluation from other important people, and musical interest of oneself. Music self-concept is the factor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strength, and persistence of individual musical actions. Based on the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김지언(Jee-Ean Kim),김성수(Sung-Su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한국판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척도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영역별 음악적 능력과 전반적인 음악적 능력에 관련한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Vispoel(1993b)의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MUSPI)를 바탕으로 Morin et al. (2015)이 수정하고 타당성을 검증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MUSPI-S)를 번안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유아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공인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K-MUSPI-S는 가창, 기악, 독보, 창작, 감상, 음악에 따라 움직이기, 음악 전반적 활동의 총 28개 항목, 7개 요인구조가 탐색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하위요인 및 척도 전체의 내적 합치도가 적절한 신뢰도를 보였으며, 7개 요인의 연구모형이 적합도 지수를 바탕으로 양호한 모델임이 검증되었다. 또한 공인타당도 분석에서도 요인 간의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K-MUSPI-S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usical Self-Perception Inventory(K-MUSPI-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omestic application of the scale. Methods Morin et al. (2015) modified and validated the Musical Self-Perception Inventory(MUSPI-S) and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In this surve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11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23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Results As a result, K-MUSPI-S explored a total of 28 items and 7 factor structures of singing, instrumental playing, reading, composing, listening, dance movement according to music, and general music ability,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ub-factors and the entire scale showed adequate reliability,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research model of the 7 factors was a good model based on the goodness-of-fit index. In addition, in the validation analysi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he factor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K-MUSPI-S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for use as a tool to measure early childhood eucation teachers' musical self-perception.

      • KCI등재

        자아존중감, 학업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 간의 구조적 관계

        김성수(Kim Sung-Su),김지언(Kim Jee-Ean),김미옥(Kim Mi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학교상담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과 통합적인 이해를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 학업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와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북도에 소재한 고등학생 신입생 250명이며, 측정도구는 진로성숙도(Crites, 1978), 학업적 자기효능감(김아영, 박인영, 2001), K-SRQ-A(Kim, 2002)및 자아존종감(Coopersmith, 1967)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성숙,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동기, 및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들과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 중감이 학업동기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태도성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진로태도성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동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roach and understand school counseling multi-dimensionally and interactivel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ttitude maturity,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A total of 250 high-school freshmen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buk-do were studied for this research. Statistical methods include correlation by SPSS program and model fit and mediation effects by AMO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passiv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fter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career attitude maturity,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Second,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motivation, while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the medi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it is revealed that these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meditation effects. Fourth, academ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the medi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it is also revealed that these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meditation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