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관상동맥 우회술 후 마그네슘 투여가 심 부정맥을 예방하는 효과

        김준현,송현,김용희,이은상,이재원,송명근,Kim, Jun-Hyun,Song, Hyun,Kim, Yong-Hee,Lee, Eun-Sang,Lee, Jay-Won,Song, Myung-Ku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4

        부정맥은 심장수술 후 자주 발생하며 여러 인자가 요인이 되고 있다. 마그네슘의 정맥주사는 증상이 있는 심부전 환자나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 있어서 심실 부정맥의 빈도를 줄여준다는 보고가 있다. 이 연구는 관상동맥 우회술 후 흔하게 발생하는 미숙 심실수축을 예방하는데 있어 마그네슘의 역할을 평가해 보고자 고안하였다. 50 명의 연속된 환자를 전향적으로 무작위로 정규 관상동맥 우회술 후 심 부정맥의 발생에 대한 술후 마그네슘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든 환자는 술전에 관상동맥 조영술, 심초음파, 심전도, 기타 임상병리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술후에는 계속적인 심전도 관찰과 마그네슘의 농도를 술직후, 술후 3시간, 6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60시간, 72시간에 각각 측정하였다. 25명의 연구군 환자들은 술후 첫 24시간 동안 4그램의 마그네슘을 계속적으로 투여받은 후 그 다음 24시간에는 2그램의 마그네슘을 72시간까지 투여받았다. 두 군 간의 임상특성은 비슷하였고(p<0.05) 술전 평균 혈청 마그네슘의 농도는 연구군에서 1.59 mg/dl, 대조군에서 1.71 mg/dl로 비슷하였다(p<0.05). 연구군에서 술후 평균 혈청 마그네슘의 농도가 술전의 농도와 비교해 보아 술후 12시간에서 36시간까지 의미있게 상승되었다(p<0.05). 대조군에서는 술후 평균 혈청 마그네슘의 농도가 술직후 감소한 상태로 72시간까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연구군에서 평균 혈청 마그네슘의 농도가 술후 3시간에서 72시간까지 의미있게 높게 유지하고 있었다(p<0.05). 연구군에 있어서 마그네슘의 투여로 혈역학에 악영향을 끼치는 미숙 심실 수축과 같은 부정맥의 발생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p<0.01). 연구 기간동안 마그네슘 투여로 인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마그네슘의 예방적 투여는 관상 동맥우회술 후 부정맥의 발생과 심한 정도를 경감시킨다. Arrhythmias are common after cardiac surgery and are multifactorial. Intravenous magnesium administration reduces the frequency of ventricular arrhythmias in patient with symptomatic heart failure 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ole of magnesium in preventing PVCs(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s) occurred frequentl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CABG). 50 consecutive patients were prospectively entered into a randomized trial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postoperative magnesium therapy on the incidence of cardiac arrhythmias after elec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The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echocardiography, electrocardiography and clinical laboratory study preoperatively.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was done and magnesium level was checked 0, 3, 6, 12, 18, 24, 36, 48, 60 and 72 hours postoperatively. Study group of 25 patients were given 4g of magnesium continuously over the first 24 hours and then 2g/24hours from 25 to 72 hour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oth groups were similar(p<0.05). The preoperative mean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 was similar in both study group, 1.59mg/dl and control group, 1.71mg/dl. The mean postoperative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 in study group elevated significantly over postoperative 12hours through 36hours(p<0.05). The postoperative mean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 in control group declined and remained significantly depressed over immediate postoperation through 72hours. The mean serum magnesium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tudy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ver postoperative 3hours through 72hours(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incidence of arrhythmias such as PVCs(p<0.01) which might jeopardize hemodynamics. There were no recognized adverse effects of magnesium Administration. In conclusion, prophylactic magnesium administration seems to lesse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rrhythmias after coponary artery bypass graft.

      • KCI등재

        시, 번역, 주석 -보들레르의 「가난한 자들의 죽음 La Mort des pauvres」을 중심으로

        김준현 ( Jun Hyun Kim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0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4

        La presente etude a pour l`objet de porter une reflexion sur le role de la traduction et des notes, en examinant les caracteristiques des traductions coreennes de Baudelaire et les intentions des traducteurs de 1922 a 2003. Pour poser quelques fondements d`une `traduction a venir`, c`est-a-dire une traduction analogue a l`edition critique, nous avons retenu seize traductions du poeme de Baudelaire, "La Mort des pauvres." Depuis sa premiere mention par Baek Dae-Jin et sa presentation par Kim Eok, l`interet porte au poete n`a cesse de croitre. Si les traducteurs des annees 1920, notamment Kim Myoung-Sun et Yang Ju-Dong, ont mise inconsciemment sur la force du texte original, en produisant des traductions a la fois explicatives et complementaires, Yi Pa-Ho a manifeste, quant a lui, une inquietude et un certain manque d`assurance, en y insufflant une suffocation excessive. Des la version de Park Nam-Soo(alias Park Eun-Soo) realisee en 1956, les poemes de Baudelaire commencent a etre traduits de maniere plus serieuse. Jung Ki-Soo, Park Eun-Soo, Kim In-Hwan, Kim Bung-Goo s`evertuent a rester fidele au sens de l`original, pesant chaque mot pour rendre le plus integralement possible le vouloir dire de l`auteur. Il faut toutefois noter que, les traducteurs privilegient, avant tout, la lisibilite du texte d`arrivee, c`est-a-dire le naturel et la fluidite des expressions dans la langue coreenne, en eliminant toute impression d`etrangete. Dans l`histoire de la traduction de Baudelaire, les retouches et les revisions de deux traducteurs, notamment de Jung Ki-Soo et de Park Eun-Soo, meritent particulierement d`etre considerees. Mais elles ne parviennent pas a produire de versions definitives, malgre ces ameliorations apportees a leurs traductions par divers moyens. Des les annees 1990, les traducteurs redoublent donc d`efforts pour adjoindre des notes explicatives et scientifiques. Park Eun-Soo traduit quasi integralement les notes de l`edition critique de Baudelaire par Claude Pichois. La version anotee de Yun Young-Ae realisee en 2003, quant a elle, apporte de grandes precisions, qui malheureusement ont le defaut de ne pas circonscrire l`objectif du subjectif, ni de vehiculer des idees personnelles, sans pour autant que la lecture des traductions existantes permette d`en faire la distinction. Il est, en outre, des traductions qui iront jusqu`a plagier ou encore celles infideles, se contentant juste de remanier quelques mots. Pour realiser `une traduction a venir`, c`est-a-dire `une traduction en tant que notes explicatives`, comportant les propres idees et conscience des problemes du traducteur, il conviendra, selon nous, d`etudier minutieusement les traductions deja parues, avant d`entreprendre toute recherche productive des traductions, susceptible d`elargir les possibilites de notre langue, et d`ajouter notre propre interpretation, sous forme de synthese objective des etudes avancees, a l`appui des verifications des variantes.

      • KCI등재

        근대 초기 프랑스 단편 소설의 ‘번역’ 및 ‘번역 계보’ 연구 (1919~1921)

        김준현(Kim, Jun-Hy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4

        번역문학과 관련된 연구의 기본적인 출발점이면서도 종종 간과되었던 ‘번역 계보’ 조사의 중요성과 함의를 재확인하는 데 본 논문의 주안점이 있다. 차후의 심화 연구를 위한 기본 선행 작업이기도 한 본 연구에서는, 서양문학 작품 번역의 초기에 해당하는 1910년대 말과 1920년대 초에 이루어진 몇 편의 프랑스 단편 소설의 ‘번역’ 및 ‘번역 계보’와 관련된 논의를 통해, 이 시기 번역의 현황과 특징, 원작과 번역 사이의 주목할 만한 변용 양상 등을 실증적으로 짚어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로 번역 계보 조사의 필요성을 김소월의 번역을 다룬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통해 다시 확인하였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로는 향후의 연구 과제 소개 차원에서 1920년대 초에 번역되었으나 오늘날까지 특별한 관심을 받지 못했던 모파상과 뒤마의 작품인 「사랑」, 「브랑빌리에 후작 부인」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근대 서양 문학 번역의 주역 가운데 한 명인 김억의 모파상 작품 「고독」의 번역 및 번역 계보 문제를 세밀하게 검토하였다. 연구자의 주안점은 과거의 번역을 다양한 층위에서, 즉 프랑스어 원문뿐만 아니라 당시의 영역(英譯), 일역(日譯) 등과 유기적으로 비교하는 데 있으며, 실증적인 검토를 통해 당시 번역의 저본을 명확히 규명하는 데 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의 연구는 세밀한 ‘번역 계보’ 조사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마주치게 되는 문제들, 즉 당시 번역가의 원작 이해 수준, 번역에서 드러나는 굴절의 이유, 번역의 특징 등을 되짚어봄으로써 번역 문학과 관련된 논의들을 효과적으로 보충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이 ‘원론’을 효과적으로 보완하는 ‘각론’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ims to reconfirm of the importance and implication of ‘translation genealogy’ which was often passed over by the studies on the translated literature. The scope of this study covers several French short stories translated in the period from late 1910s and early 1920s which was the very beginning of the translation history in Korea. Our basic preliminary examination focuses on the situation and special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 this era and noteworthy change patterns from the original text to the translated ones. This article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the necessity of ‘translation genealogy’ is confirmed through the critical literature review about Maupassant’s L’Odyssée d’une fille. Second and Third, to introduce the research question, Amour and La Marquise de Brinvilliers by Dumas and Maupassant will be discussed generally since those two were translated in the early 1920s but didn’t get proper attention. Lastly, Maupassant’s Solitude translated by Kim Eok, who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modern western literature translation, will be closely translated. The research mainly compares the past translated text with not only the original French text but English translation and Japanese translation of the same period. Furthermore, the study seeks to find the exact source text of many translated script through corroborative review. At the same time, the study tries to add rich discussion on translated literature by retracing the reason of bending the text,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by the translator at that time, and special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 that period, which are inevitably confronted during the course of meticulous ‘translation genealogy’ research.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uld be the first step to lead to more detailed discussions from general ones effectively.

      • KCI등재

        중세 문학에 나타나는‘나병(癩病)’의 의미 - 『아미와 아밀』, 『불쌍한 하인리히』를 중심으로

        김준현 ( Kim Jun Hyun ),이순희 ( Lee Soon He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9 프랑스어문교육 Vol.67 No.-

        본 연구는 중세 문학 작품에 빈번히 등장하는 나병의 사회적, 종교적 의미들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문학 작품 속에서 나병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매독의 출현 이전까지 페스트와 함께 대표적인 질병으로 꼽혔던 나병은 육체의 병인 동시에 ‘영혼의 병’으로 인식되었으며 종종 상반되는 해석이 결부되곤 했던 만큼, 이러한 중의적인 의미들이 의학, 종교, 사회 차원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변용되었는지를 검토하는 과정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아울러 우리의 논의는 작자 미상의 프랑스 무훈시로 두 친구의 특별한 우정을 노래한 『아미와 아밀』, 하르트만 폰 아우에의 『불쌍한 하인리히』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그 과정에서 나병의 의미, 질병과 죄악, 신의 섭리와 인간적인 반응, 주인공의 윤리적 갈등과 성찰, 자기 인식 등의 문제를 짚어보도록 한다. 나병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을 여러 각도에서 조망해보는 본 연구는 16세기 이후 나아가 19세기에 이르기까지 나병에 대한 사회적, 종교적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 문학 작품에서는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살펴보는 후속 작업을 통해 통시적인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les significations sociales et religieuses de la lèpre fréquemment traitée dans la littérature du Moyen Âge, ainsi que ses représentations littéraires. Dans cette optique, nous avons d'abord examiné comment sont formées, développées et modifiées les significations équivoques attribuées à la lèpre considérée souvent comme une maladie du corps et celle de l'âme dans la société médiévale. Puis, nous avons analysé la portée littéraire de cette maladie à travers Ami et Amile, chanson de geste anonyme qui chante l'amitié sans égale entre deux amis et Le Pauvre Henri de Hartmann von Aue de l'Allemagne et réfléchi sur différents thèmes étroitement liés à la lèpre : maladie et péché, providence divine et réaction humaine, conflit éthique et conscience de soi du protagoniste. Cette étude, qui examine la lèpre sous différents angles, ne sera pas sans intérêt dans la mesure où elle constitue le point de départ pour considérer les perceptions modifiées de la lèpre à travers les siècles et leurs représentations littéraires.

      • KCI등재

        나병 시인 장 보델의 『고별시』 읽기 - 성찰의 글쓰기를 통한 치유와 구원

        김준현 ( Kim Jun-hyun ),이순희 ( Lee Soon-he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6 프랑스어문교육 Vol.54 No.-

        Le grand poète arrageois Jean Bodel (vers 1165-1210) est souvent considéré comme le « premier » poète de la poésie personelle, le poète qui a su puiser une nouvelle inspiration poétique autre que l'amour courtois. Notre étude consiste alors à retracer cet aspect de Jean Bodel à travers les Congés, poème composé en 1202. Au moment où le poète s'apprêtait à partir pour la quatrième croisade, il s'est trouvé atteint de la lèpre et devait se retrirer dans la léproserie où il mourrait huit ans plus tard. Ce poème, composé dans ces moments douloureux, est naturellement doté d'un ton personnel et intime. Jean Bodel ne cesse de parler de lui et de son mal, s'épanche et rentre à lui-même, en même temps qu'il s'adrese à ses amis. Dans l'enchaînement répété entre l'épanchement de son coeur et les adieux à ses amis, il fait dévoiler tous les maux dont il est accablé. Cependant les Congés ne s'arrêtent pas à étaler les maux dont le poète souffre. Ils vont au-delà. Face à son sort tragique, le poète, avec humilité devant la volonté de Dieu, réfléchit sur le sens de cette maladie et de sa vie et cherche le salut de son âme dans son écriture même: chaque strophe commence par prendre congé à un ami mais finit par la méditation sur le corps, l'âme, et la mort. Finalement, à l'aide de l'écriture, Jean Bodel, poète lépreux arrive à transformer la honte de son corps en une pénitence spirituel et en un témoignage de sa foi. Jean Bodel a ainsi laissé ouverte une nouvelle voie à la poésie, en transformant une matière non poétique - en l'occurrence la lèpre, et avec lui la poésie personnelle a germé avant son apogée avec François Villon.

      • KCI등재

        손창섭, 서기원 초기 단편의 담론 비교 「생활적」, 「혈서」와 「암사지도」, 「이 성숙한 밤의 포옹」을 대상으로

        김준현 ( Kim Jun-hyun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 No.-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discourse of Son Chang-seop and Seo Ki-won's early short stories: 「Saengwhal-jeok」, 「A writing in blood」, 「The blank map」, 「The embrace of the mature night」. These stories contain same theme: ‘Pseudo-family’. A ‘Pseudo-family’ is a family that made up with non blood-tied members. ‘Pseudo-family’ is a common theme in 1950’s Korean modern short stories; because it was a useful theme for describing the social situation which was in a state of disorder caused by the Korean-war. Both Son and Seo put the ‘Pseudo-family’s into their stories, and describe the situation which the members of the families confronted. This paper analyzes the motives (story-elements) of these stories, and generalized them down to several types. These stories hold 5 types of motives in common. Although they have common motives, the discourse of the works could have various shapes; because the authors have different subjects for their works. Son concentrates on describing the grotesque situations that miserable characters confronted. These situations are continuous and have an aspect of everyday-life. In this case the cause and overcoming of these situations are not important. The characters don't have a will to overcome the situations, and these conditions would be never changed. On the contrary, Seo tries to show the characters' overcoming of the situations. In Seo's works, the situations neither are continuous nor have an aspect of everyday-life. The grotesque situations in ‘Pseudo-families’ are parts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of the situations. The situations would be changed at the end of stories. The discourse of Son's works is suitable for showing disordered situations and cynicism for those. On the other hand, that of Seo's works is suitable for showing the characters' will of overcoming. The difference between intentions of these two authors could be analogized from the comparison of the discourses and motives.

      • KCI등재

        해방 이후 문학 장의 재편과 이태준 -「해방전후」와 「먼지」를 중심으로-

        김준현 ( Jun Hyun Kim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4

        이 논문은 해방기와 단정수립기 문학 장의 재편 과정에서 이태준과 그의 ``월북``과 ``전향``이 갖는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태준의 내면적, 의식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왔던 기존 연구의 관점에서 더 나아가, 당시 문학 장에서 이태준의 월북과 전향을 의미화했던 외면적 맥락을 함께 살핀다. 이태준과 그의 월북은 남한에 남아 문단을 구성했던 우파 문인들에 의해 ``반민족적 변절``과 ``역사적 도태``라는 두 가지 의미로 규정되었다. 이러한 소급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이태준은 「해방전후」와 「먼지」라는 두 작품을 통해 드러낸다. 「해방전후」에서 현과 김직원 사이에 발생하는 소통의 간극은 그들의 입장보다는 그들의 입장에 대한 규정행위에서 발생한다. 「먼지」의 한뫼 선생은 「해방전후」의 현과 같이 ``상고적인 민족주의``의 차원에서 남북합작에의 열망을 보여준다. 그러나 「해방전후」에서는 ``반민족적 변절``로 규정되었던 입장이 「먼지」에서는 ``반동``이라는 정반대의 의미로 규정되는데, 이를 통해 이태준은 당대에 이루어지던 자신의 행위에 대한 소급적 규정을 비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meaning of Lee, Tae-joon`s conversion and crossing over into North in the literary field at late 1940`s in South Korea. For that, this paper reviews the 2 chains of reasoning about Lee, Tae-joon`s conversion, in his thought, and also in the context of the literary field at the time. The right-wing writers who constituted the literary field defined his moves as a ``treachery`` or ``historical weeding out``. Lee, Tae-joon reveals a criticism against those retroactive definition in 2 short stories, Hae-bang Jeon-hoo, and Meon-ji. In Hae-bang Jeon-hoo, the failure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comes not from difference between their positions, but from the definition of their positions. In Meon-ji, the main character shares his thought, racialism and wish for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with the main character of Hae-bang Jeon-hoo, ``Hyun``. However, his thoght was defined as a reactionism, while ``Hyun`s thougt was defined as a ``anti-racialistic treachery``. Describing this inconsistency, Lee, Tae-joon criticizes the retroactive definition of his action.

      • KCI등재

        한국전쟁의 발발과 미군 관련 풍속에 대한 대중 인식 변화

        김준현(Kim, Jun-Hy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59 No.-

        이 글은 ‘양갈보’에서 ‘유엔마담’과 ‘양공주’로 이어지는 기호의 변천을 통해 미군 접대부들을 바라보는 당대 대중들의 시선을 재구하여 보았다. 미군 접대부에 대한 인식은 해방과 단독정부 수립, 그리고 한국전쟁을 통해 유입된 미군 관련 풍속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중요한 표본의 역할을 한다. ‘양갈보’라는 비하의 뉘앙스가 강한 기호가 ‘유엔마담’으로 변화되는 과정에는 국내에 진주해 있는 미군의 위상이 높아지고 그에 대한 정권/국가적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미군 접대부에게 국가주의적 책무를 부여하려는 기획이 녹아 있다. ‘유엔마담’이라는 기호에 들어 있는 ‘존칭’의 뉘앙스는 단순히 비아냥거리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획은 두 가지 문제를 안고 있는데, ‘갱생’이라는 기호를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미군 접대부들에게 이중의 희생을 요구했다는 점, 그리고 여성의 신체를 국가주의적인 도구로 이용하는 태평양 전쟁기 일제의 ‘종군위안부’ 담론을 답습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한국전쟁이 휴전으로 일단락되고 미군철수가 이루어지면서, 미군 접대부를 국가주의적인 필요악으로 보는 관점은 소멸되고, ‘유엔마담’이라는 기호 대신 ‘양공주’가 가장 흔히 쓰이는 기호의 위치를 점하게 된다. 1955년을 전후하여 언론이 일제히 ‘양공주’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는 작업을 시작하면서, 미군 접대부는 사회 최하층이라는 인식이 고정되고, 미국 문화와 풍속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던 또 하나의 계층인 여대생의 반면교사로 기능하게 된다. 신문연재소설은 당대 시사에 대한 일반 대중의 담론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텍스트이다. 주요섭, 박영준, 김래성 등의 작품은 ‘유엔마담’과 ‘양공주’에 대한 대중의 시각이 변화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서사에 반하여 드러내고 있다. 연재소설의 시사성을 논의 과정에서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이러한 시사적 담론이 반영되어 있는 요소들의 의미를 충분히 해석해 낼 수 없다. This paper aims to reconstitute the point of view of the public to the signs (‘yang-gongju’, ‘U. N. madam’, ‘yang-galbo’) related to the U. S. army after the Korean war. The cognition of the public to the signs of ‘comfort women’ is a key specimen of the point of view to the custom related to U. S. army in the period. And this process is reflected to the narratives of the serial stories in newspapers from 1950 to 1955. The sign ‘U. N. madam’ reveals the nationalistic plan to impose ‘comfort women’ a duty to serve the war by comforting the U. S., or the U. N. armies. This fact draws 2 problems: The plan imitate the ideology of the Japanese colonialism who operate comfort women in the early 1940’s, and the plan demand comfort women double sacrifice. As the nationalistic point of view to the U. S. army weakened after the truce of the Korean war, ‘yang-gongju’ became a major sign for the comfort women. As newspapers started to give negative image to this sign by writing articles, the sign became a major code for the lowest social stratum again.

      • KCI등재

        나폴레옹의 국내수용사 검토(I)

        김준현(Kim, Jun-Hy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1

        개화기에서 1920년대에 이르는 기간 동안, 나폴레옹이 어떤 모습으로 한국에 소개되었으며, 어떤 표상으로 자리잡게 되는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연구자의 궁극적인 지향점이 있다. 본고는 근대 한국에 소개 및 수용되었던 나폴레옹의 초상이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준비작업이며, 차후의 후속 연구를 개진하기 위한 사전 검토에 해당한다. 나폴레옹에 대한 전기가 단편적인 언급을 벗어나 최초로 자세히 소개되는 첫계기인 『한성신보』 수록 연재물 『나파륜전(拿破崙傳)』과 10여년 뒤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던 유민상 번역의『나파륜전사상(拿破崙戰史上)』에 대한 기존 연구를 되짚어봄으로써, 그 안에서 우리가 어떤 것을 어느 정도까지 이야기해왔으며, 현재 연구되지 못했거나 보완해야 할 사안들로는 무엇이 있는지를 본고를 통해 점검해보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번역 저본에 대한 문제, 연재 의도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금까지 구체적인 비교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두 번역의 일부분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각 번역의 특징을 대별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일면 단순해보일 수도 있는 원작의 서문에 대한 논의, 새로 추가된 역자 후기의 역할,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또 다른 번역본인 『拿破崙史全』 관련 연구의 필요성 등을 차후 과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나폴레옹의 국내수용사를 종합하는 동시에 당대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의 궤적을 함께 고려할 필요성 또한 절감할 수 있었다. Our ultimate objective is to draw up a comprehensive review of Napoleon’s Korean reception betwee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1920s : consider in what circumstances, by whom, for what purpose he was introduced to Korea and take account of his portraits, fruits of this introduction, in relation to his reception in East Asia. This present study is a preparatory step to achieve this objective and we conducted our research two first Korean publications on Napoleon : The biography of Napoleon, serialized in the Hanseongsinbo (1895.11.7∼1896.1.26) and The History of the Napoleonic War I (1908), translated by Yu Min-Sang. We have carefully examined previous studies of both publications and compared some of these translations to examin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translation. The difference of these two translations are more in para-texts : the first removes not only the preface to the basic text may still add the postface; the second reproduced the preface to the basic text and removes only the last sentence. On these two publications, much is certainly studied, but it still remains to illuminate the basic text of the translation and to reconsider intentions of translator in theirs deletions and additions. Reflect on these questions will be our next research step.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