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장고봉유형 사례로 본 창출계 왜계석실 유형설정의 재검토

        김준식(Kim, Junsik)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21

        창출계 왜계석실인 장고봉유형에는 해남 장고봉고분, 고성 송학동1B-1호 석실, 사천 선진리고분이 포함된다. 그러나 최근 각 석실의 구조적 차이가 지적되기 시작하였는데, 장고봉유형 왜계석실은 유형설정의 근간이 되는 세장방형 평면형태를 비롯하여 석실의 축조방식, 연도구조, 현문구조 등에서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해남 장고봉고분은 일본 규슈 북부지역 횡혈식석실을 기반으로 전방후원분의 출현과 함께 현지에서 창출된 왜계석실로 평가할 수 있고, 장방형의 역제형 평면형태와 긴 연도구조는 나주와 해남지역 등 주변의 창출계 왜계석실과 유사하여 이러한 개념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고성 송학동1B-1호 석실은 선축된 송학동1A-1호 석곽과 비교하였을 때 기왕의 수혈식석곽 축조 전통에서 왜계요소를 동반하며 횡혈식석실이라는 묘제가 출현하였고, 이때 왜계석실의 한 형태로 창출된 것으로 보인다. 사천 선진리고분은 일본과 한반도 남부지역 그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기 어려운 상황으로, 왜계석실이 창출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변이가 발생한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왜계요소의 일부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진주 원당1호분과 비교하면서 가야지역 창출계 왜계석실의 특징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 남부지역의 창출계 왜계석실을 대표하는 장고봉유형의 구조적 차이에 주목하여 유형설정의 타당성을 논하면서 개별 고분의 성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해남 장고봉고분, 고성 송학동1B-1호석실, 사천 선진리고분은 장고봉유형이라는 틀 속에서 오래도록 남아 있었고, 연구 방향이나 해석은 당연히그 속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하나의 유형으로 설정하기에는 구조적 차이가 분명하였고, 오히려 현재 유형에서 분리되었을 때 주변의 창출계 왜계석실 또는 재지 고분과의 관계 등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Janggobong type tombs are a type of the ‘convergent Wa-style stone chamber tomb’ and examples include the Haenam Janggobong tombs, Goseong Songhak-dong Tomb No. 1B-1 stone chamber, and Sacheon Seonjin-ri stone chamber tombs. However, some researchers have recently pointed out the structural differences of each stone chamber.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convergent Wa-style stone chamber tombs of the Janggobong type demonstrated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long rectangular planar shape (including the gate facility, which is an element of the Wa-style),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one chamber, the flue structure, and the gate structure, all of which are the properties that have been used to establish this tomb type. The Haenam Janggobong tombs can be identified as Wa-style stone chambers created on the local site with the appearance of the Keyhole shaped tombs, which were based on the horizontal-entrance stone chambers of the northern part of Kyushu, Japan. The rectangular of trapezoidal inverted planar shape and long corridor structur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tone-chamber tomb of Wa-style in the surrounding areas such as Naju and Haenam region,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is concept. The stone chamber of Goseong Songhak- dong No. 1B-1 was compared with the prebuilt stone lined tomb of Songhak-dong No. 1A-1, which accompanied the Wa-style element in the existing stone lined tomb construction tradition, and a tomb system called a stone chamber appeared. At this tim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is type of stone chamber had been created in the form of a Wa-style stone chamber tomb. In the case of the Seonjin-ri tombs of Sacheon,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if it is of the Japanese tradition or that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Various mutations occurred in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of the convergent Wastyle stone chamber tomb in the Gaya region. The Wa-style elements observed at Wondang Tomb No. 1 in Jinju were identifi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Wa-style stone chamber tombs of the Gaya reg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structural differences that could be observed in the case of the Janggobong-type examples of ‘convergent Wa-style stone chamber tomb’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means of evaluating the validity of establishing such a type. It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ombs. The Haenam Janggobong Tombs, Goseong Songhak-dong Tomb No. 1B-1 stone chamber, and the Sacheon Seonjin-ri tombs remained for a long time within the framework of Janggobong-type tombs, and research directions and interpretations had to be made within them. However,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 clear structural differences made it difficult to approach all of these examples as one type. In addition, freed from the shackles of a single type, it became possible to obtain meaningful results, such as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area and tomb,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dividual tombs.

      • 일제강점기 강원지역 고적조사 현황과 전망

        김준식 ( Kim Junsik ),김규운 ( Kim Gyuun ),권오빈 ( Kwon Ohbin ),이상규 ( Lee Sanggyu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1 강원문화연구 Vol.44 No.-

        이 글은 한일합병 전후부터 시작하여 1945년까지의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에 대해서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당시 강원지역의 고적조사를 재조명하였고, 일제강점기 강원지역 고고자료의 활용과 그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된 상황에서 강원지역 전체의 고대사를 정립하고, 그 문화상을 제대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비록 식민주의사학에 입각한 관학자들에 의한 것이나 현재 남아있는 자료 중에서는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자료가 가장 현실적이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강원도는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있고, 심지어 고성군과 철원군은 개별적 분단의 어려움까지 겪고 있다. 특히 이런 상황에서 객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북강원도의 고분, 성곽, 취락, 사지 등의 고고자료는 사실상 일제강점기 조사자료에 기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앞으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미 공간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고, 곳곳에 흩어져있는 자료를 수집 및 정리하여 체계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해야만 한다. This article, first, diachronically examines the general investigation projects of historical sites between right before and after Japan’s annexation of Korea and 1945, also re-examines the situation of the investigation in Gangwon area at that time, and finally considers the use of those archaeological data record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 with its prospects.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Korean Peninsula i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it is more likely to be realistic and useful to use the data writt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order to establish the ancient history of the entire Gangwon region, including North Gangwon-do, and to properly restore the region’s cultural images, although those surveys were conducted by government scholars based on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Gangwon-do i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and even Goseong-gun and Cheorwon-gun are suffering from separate division. In this situation, we have no choice but to use the survey dat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archaeological information on North Gangwon-do such as its tombs, fortresses, villages, temple sit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in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already open data, to organize the new ones scattered here and there and to lay the foundation so that those materials can be used as systematic research data.

      • KCI등재

        고령 고아동벽화고분의 성격과 대가야 지배층

        김준식(Kim Junsik) 한국상고사학회 2018 한국상고사학보 Vol.101 No.101

        고령 고아동벽화고분은 대가야 최고수장층의 묘역인 지산동고분군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횡혈식석실이다. 고아동벽화고분에 대해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연화문 벽화 분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에 석실 구조에 대한 고고학적 분석을 근거로 한 계보와 편년, 피장자의 출신과 성격에 관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리고 고아동벽화고분의 출현 배경에 대가야 수장층이 어떠한 목적으로 개입하였는지, 또한 그 관계에 관한 접근도 필요하다 생각하여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다. 고아동벽화고분의 석실 구조는 공주와 부여지역에서 확인되는 터널형 횡혈식석실과 유사하다. 그 출현시점은 530년대 이후의 6세기 중엽으로 설정하였고, 축조 공인은 백제인이 중심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피장자 문제는 고아동벽화고분의 입지, 인접한 지산동고분군의 성격, 당시 역사적 배경과 관련지어 논하였다. 이에 고아동벽화고분의 피장자는 친백제계 대가야 고위층 또는 고령지역에 파견된 백제 관료의 두 가지 가능성으로 압축하였다. 고아동벽화고분의 출현 배경에는 대가야 지배층의 정치적 목적이 강하게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백제 선진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유물에 그치지 않고 묘제에도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고아동벽화고분을 그 사례로 평가하였다. 아울러 이와 유사한 구조의 석실이 고령양식 토기 일색 분포권과 유사함을 지적하면서 그 의미와 가능성에 대 해 살펴보았다. 대가야는 당시 백제를 포함한 주변국의 흐름과 같이 횡혈식석실을 수용하였고, 이것을 통해 정치적 성장을 도모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역시 대가야 멸망에 가까운 시대적 상황에 의해 더 이상의 발전은 없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Goadong Mural Tomb in Goryeong is a stone chamber tomb with a tunnel entrance adjacent to Jisandong Tumuli, the tombs of the highest level of the ruling class in Daegaya.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Goadong Mural Tomb, but they concentrated too much on Yeonhwamun mural analysis that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done in detail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the stone chamber tomb, and the origin and personality of the buried. There is also a need to approach the purpose of intervention by the Daegaya ruling class or the relationship with the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Goadong Mural Tomb,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Goadong Mural Tomb is similar to the tunnel-type stone chamber found in Gongju and Buyeo. It was assumed to have emerged in the mid-6th century, and probably built by Baekje people. The buried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location of Goadong Mural Tomb, the character of Jisandong Tumuli next to it,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at the time. One thing clear is that the buried of Goadong Mural Tomb is not from the highest ruling class around Jisandong Tumuli. It was assumed that there might have been political purposes of the ruling class of Daegaya in the background of Goadong Mural Tomb. There was also a possibility that this aspect might have appeared in the burial system, based on Daegaya’s unique Goryeong-style earthenware and gold earrings. In the end, while Daegaya made efforts to build a typical stone chamber tomb following the trend of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Baekje, no more progress was made due to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when Daegaya was on the verge of ru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