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프로젝트의 적용과 평가: 재료역학 수업의 사례연구

        김주후,Kim Ju-Hu 한국공학교육학회 2003 공학교육연구 Vol.6 No.1

        이 논문은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에서 실시된 수업개선에 관한 것으로 그 내용은 디자인 프로젝트를 재료역학 수업에 응용한 결과이다. 전통적인 강의를 활용한 수업과는 달리 학생들은 기계역학 디자인의 기초와 재료, 표준, 경제적인 요소, 제작상의 특성, 환경문제, 법 및 안전과 관련된 제반 문제들 등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학습하도록 격려되었다. 협동학습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강사들은 학생들이 팀 단위의 의사결정, 평가기준의 설정과 통합, 현실적인 대안의 발견, 현실적인 제한점들에 대한 고려 등의 보다 고차원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왔다. 새로운 수업개선이 학생들의 학습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가을학기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재료역학 입문수업에 대해 높은 가치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가치점수는 낮게 나타났고 오히려 전통적인 강의에 높은 가치를 부여했다. 더불어 이전 선수과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던 학생들이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해 낮은 가치를 보고했다. 공학교육자들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제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course restructuring employing design projects in an introductory mechanics of materials course a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like traditional lecture course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learn the rudiments of mechanical design and how materials standards, economics, manufacturing, environmental, legal (liability) and societal (safety) concerns relate to design. Through conducting collaborative design projects, the instructors helped students to acquire more advanced skills such as team-based decision making, integration and establishment of criteria, use of modern design theory,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and application of realistic constraints.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new course changes on students' 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in 1998 Fall semest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analyses, students reported high values on this introductory mechanics of materials course. However, they did not give high values on the design projects. Rather, they preferred lecture sessions. Additionally,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who earned higher grades from a prerequisite course(statics) showed lower values on the design projects. Implications for engineering educator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김주후 ( Ju Hu Kim ),전유영 ( Yoo Young Jeon ),곽승주 ( Seung Ju Kw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kindergarten evaluation in terms of accountability,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improve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For this direction,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455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for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do province and near the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verall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evalua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e purpose of kindergarten evaluation as ‘enhance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expertise and provision of opportunity for working hard.‘ For effec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they chose ‘provision of evaluation system assessing educational practice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teachers also perceived ‘educational planning’ as a judgment criterion of kindergarten accountability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y highly agreed with the role of teachers as primary contributor to kindergarten evaluation. Second, in perception about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in kindergarten evaluation index, teacher was perceived as a key evaluation person for ‘educational goals and plann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evaluation implementation’, ‘young children’s health management and guidance’, 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 Kindergarten director was perceived as a key person in ‘in/outdoor educational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nd ‘furnishment/provision of educational materials’, ‘kindergarten staffs’ personnel welfare and expertise’, ‘budge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nd ‘networking between family and community as well as extra-curriculum management’. Parent was chosen as a key person for ‘education satisfaction’. Third, for opening of the resul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they highly disagreed with open to the public. The reason was found that they concerned about the main direction of evaluation could be changed to a show to the public. For the public offering, in terms of target and range of evaluation results, ‘open the results to the kindergarten staffs only who took evaluation’ was perceived high priority. For the opening methods, ‘pass/fail and opening of kindergartens’ strength and weak points includ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highly agreed. In terms of utilization methods of evaluation results, a strong consensus was on ‘evaluated kindergartens utilize autonomically the results as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kindergarten’s quality’. For opening of the results after categorization of kindergartens by local conditions were marginally agreed. The primary reason was that it is fair to open the evaluation results after categorizing kindergartens in terms of local/starting conditions. Opening path and main contents of kindergarten evaluation opening were chosen as ‘kindergarten homepage’ and ‘curriculum’ respectively. The impact of public offering on parents’ selection of kindergarten was also investigated. The teachers highly agreed with ‘positive impact’ of kindergarten evaluation on parents’ selection. They also agreed with impact of kindergarten evaluation on selection of kindergarten through their job hunting proces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책무성 관점에서 유치원 평가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유치원 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인근에 소재한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 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치원 평가 실시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및 노력의 기회 제공’이라 인식하였고, 유치원 평가의 효과에 대해 ‘교사와 운영자에게 자신이 수행하는 교육실제를 평가하도록 하는 평가체제 마련’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유치원 책무 수행에 대한 판단 준거는 ‘교육계획’이라 인식하였고, 유치원 평가 시 중요 역할자는 ‘교사’라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평가 지표 관련 책임당사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교육목표 및 교육계획 수립’, ‘교육활동 및 평가의 실시 및 활용’, ‘유아의 건강관리 및 지도’, ‘유아의 안전관리 및 지도’, ‘유아의 발달’ 항목에서 ‘교사’를 일차적 책임 당사자로 인식하였으며, ‘실내외 교육환경의 구성 및 관리’, ‘교재교구의 구비 및 제공’, ‘교직원의 인사 복지 및 전문성’, ‘예산의 편성 및 운영’, ‘가정ㆍ지역사회 연계 및 방과 후 과정 운영’의 항목에서는 ‘원장’, ‘교육만족도’에 관하여는 ‘학부모’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유치원 평가 공개에 관한 인식에서는 외부 공개에 대해 반대하는 비율이 찬성보다 높았으며 그 이유는 ‘외부에 보이기 위한 평가로 변질’이 우려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대상 및 범위에 대해 ‘평가를 받은 해당 유치원 교직원에게만 평가 결과 공개’라는 인식이 높았으며 공개 방법으로는 ‘통과/ 미통과, 순위보다는 유치원의 강점과 약점, 개선사항 공개’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았다. 유치원 평가 결과 활용방법으로는 ‘해당 유치원이 자율적으로 유치원 질을 관리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 여건별 범주화 후 평가 실시 및 결과 공개에 대한 인식에서는 찬성이 반대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여건이나 출발선이 비슷한 유치원끼리 묶어서 평가하는 것이 공정한 것이므로’가 주된 의견이었다. 그리고 교사들은 유치원 평가 결과 공개 경로로 ‘유치원 홈페이지’, 평가 결과 중 중요 공개 항목으로 ‘교육과정’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평가 결과가 학부모의 유치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치원 평가가 교사들이 취업할 때 유치원 선택에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가정방문 유아교육의 교사역할과 정체성이해: 초임교사를 중심으로

        김주후 ( Ju Hu Kim ),곽승주 ( Seung Ju Kwak ),임채란 ( Che Ran L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2 아동복지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가정방문 유아교육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교사로서의 역할과 그 역할을 수행하며 느끼는 정체성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가정방문 유아교육은 일반적인 유아교육 기관과는 다른 조기교육으로 유아의 개별적 맞춤화 교육을 목적으로 교사의 역할이 중요시 된다. 즉, 가정방문 유아교사의 역할인식을 통해 형성된 안정된 정체감을 통해 효율적인 교사역할수행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방문 유아교육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역할과 정체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교사 경력이 있으며, 가정방문 유아교육 경력 1년 미만 초임교사 5명을 선정하여 10주 동안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가정방문 유아교육 초임교사는 기관에서의 교사역할과 비교를 통해 유사성과 차이성을 찾기에 용이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정방문 유아교육 교사의 역할과 의미로는 개별유아를 위한 교수계획-실행-평가자, 유아의 일상생활교육 및 부모상담자, 교육전문가로서의 변화와 성장을 위한 학습자로 인식하였다. 둘째, 가정방문 유아교육 교사로 역할을 수행하며 느끼는 정체성은 다중역할을 해야 하는 만능교사로서의 나, 감정을 억제해야 하는 정서적 노동자로서의 나, 주도적인 교육 전문가로서의 나, 부모의 평가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나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후 가정방문 유아교육 교사가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과정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가정방문 유아교육 교사의 전문성 확립을 위한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no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ir role and identity during home-visi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Home-visit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xpected to have educational effects through individual customized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s. Therefore, no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have less than one year of teaching experience were interviewed for ten weeks to determine the role and identity of home-visit early childhood teachers by making comparisons and observations about their teaching experience at previous institutions. First, our analysis shows that the role and meaning of home-visit early childhood is changing and developing into a teaching plan-practice-assessor for individual infants, teaching daily life for infants, mentoring to parents, and an education for home schooling. Second, in regards to the identity of the teacher of home-visit early childhood education, we feel these teachers view themselves as all-round multi-role teachers, emotional laborers who must suppress their feelings, leading educationalists, and teachers who are not free from the judgments of parents. In conclusion, studying the meaning of the role and identity of home-visit early childhood teachers is required to establish their professionalism as well as to conduct research about the expectations that parents have of home-visit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노후 주거인식과 지역거주 영향요인

        김주영 ( Kim Ju-young ),김주후 ( Kim Ju-hu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不動産學硏究 Vol.29 No.4

        베이비부머의 본격적인 은퇴는 주택시장과 고령자 주거 관점에서 주요한 이슈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은퇴후 주거인식을 지역거주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고령가구의 주택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도시 거주 베이비부머에 대한 분석결과 지역거주를 희망하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간에는 은퇴후 희망 주거입지와 주택유형 그리고 은퇴주택에서 받기를 원하는 서비스 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지역거주를 선호하는 베이비부머들은 대중교통접근성이 좋은 대도시의 아파트 거주를 가장 희망하는 반면 지역거주를 선호하지 않는 그룹은 근린공원이나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이 좋은 전원지향형 생활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노인복지주택과 같은 고령자 주택의 부족과 서비스의 한계를 고려할때 베이비부머의 지역거주를 촉진할 수 있는 고령친화 환경의 조성과 고령자서비스주택의 개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One of the issues confronting in this old age fields is the outbreak of retirement of babyboom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find out housing policy options of old ages. Results of analysis of babyboomers residing large cities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tiation of desired location and housing type and the number of services receiving in retirement housing between preferring aging in place group and the other one. That is, the group of aging in place preferred location of easy access to public transportaton and housing type such as apartment while the other group liked a detached house located in small city or country that is easy assess to park or convenient facilities. Considering limited supply and services current old age housing, it need to set up age friendly neighborhood including service integrated housing promoting aging in place strateg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드론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학 융합 자료 개발 및 적용 결과

        윤경란,김주후,허난,고호경,Yoon, GyeongRan,Kim, Ju Hu,Huh, Nan,Ko, Ho Kyoung 한국수학교육학회 2017 初等 數學敎育 Vol.20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 및 흥미, 융합형 소양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일환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편적 교과 지식의 학습 보다는 융합적인 접근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지식을 적용할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융합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효과성 사전, 사후설문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융합프로그램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드론과 관련된 내용을 수학적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적용결과 학생들은 수학 학습 및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과학자아개념, 이공계 진로선택 요인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료는 향후 초등학교 교실에서 타교과 융합을 위한 수업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in this paper considers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and STEAM literacy could be promoted by conjoining the learning of mathematics with the learning of drone topics.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to measure student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and to evaluate student beliefs on learning mathematics embedded in science topics. Data were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dministering pre- and post-tests: students were intervened with examples of math problems embedded in certain science contex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of solving mathematics problems embedded in science contexts positively affects the promotion of their attitudes toward, beliefs on science subjects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 path selection. We hope that the mathematics program using the drone will be used in the classroom for STEAM.

      • KCI등재

        교감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곽주철 ( Kwak Ju Cheol ),김주후 ( Kim Ju Hu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4

        지금까지 학교 교육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교장이나 교사에 집중되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실제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감의 리더십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학교에서 자주 접하는 관리자는 교장이 아닌 교감이며, 교감은 교무실에서 교사의 학사와 복무, 그리고 실무를 관장한다. 그러나, 교사들이 지각하는 교감의 역할에 대한 실질적 중요성에 비하여 학문적으로 교감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지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는 교장의 리더십과 교감의 리더십은 유사점을 가지면서도 리더십 발휘영역에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새로운 리더십의 상징인 교감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교감의 서번트 리더십은 교사의 성장을 돕고 교사의 자아실현 가능성을 높여, 궁극적으로 학교 조직을 형성하는 리더십이라 할 수 있다. 경기도에 소속한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응답을 하지 않은 설문지 79부를 제외한 321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Statistic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교감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읍면지역 소재 학교와 소규모 학교일수록 구성원들이 자주 접함으로써 인간관계가 친밀한 결과 교감의 서번트 리더십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특히 교감의 서번트 리더십 하위변인들 중 인지 및 통찰·비전제시가 학교조직효과성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감의 서번트 리더십은 기존의 전통적·관리적 리더십의 한계를 보완하고, 창의적인 학교조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부합한다. 앞으로 교감의 리더십 개념, 역할, 특성 등을 기반으로 하는 교감 직무수행 측정도구 및 프로그램을 독자적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하여 교감의 서번트 리더십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는 방안 마련이 요청된다. Previous studies on leadership in school education have focused mainly on principals and teachers, but it had been report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the highest perception level of vice-principals' leadership. It is vice-principals that are the managers who teachers make frequent contacts with in school, and they supervise the academic affairs, service and practical affairs of teachers in the teachers' room. However, there is an extreme shortage of academic research on the leadership of vice-principals' leadership for the practical importance of their roles perceived by teachers. Starting from this problem recogn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the vice-principal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areas of leadership exer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ice-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which is a symbol of new leadership, and the structural effect of the school organization was explored. Vice-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elps teachers with their growth and increases the possibilities of their self-realization,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school organiz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a total of 400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mong them 79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incomplete, and there were 321 usable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PASW Statistics 24.0.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vice-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he structural effect of the school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relationship is intimate because the members are frequently contacted in the local school and small school. Of the subvariables of their servant leadership, recognition, provision of insight and vision especially offered good explanations about the structural effect of the school organization. Vice-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sup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old traditional and managerial leadership and helps to exercise leadership to ensure an improvement toward a creative school organization. It will be needed to develop independently tools and programs to measure vice-principals' job performance based on their leadership concepts, roles, and characteristics. It will be also required to prepare measures designe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their servant leadership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it.

      • KCI등재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경기도 중학교의 국어와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배종현 ( Jong Hyeon Bae ),김주후 ( Ju Hu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운영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의 학교알리미에 정보 공시된 국어와 영어교과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합리적인 비교집단 설정을 위해 30개의 혁신학교와 동일한 조건을 가진 30개의 일반학교를 1대 1 매칭 방법으로 표집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생수준 배경 변수와 학교수준 변수를 공변인으로 활용한 반복측정 공분산분석(Repeated-Measure ANC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어와 영어교과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국어와 영어교과에서 4년에 걸친 집단 내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국어교과 기초학력미달 성취수준에서 연도*학교유형 사이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고, 영어교과의 기초학력 성취수준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그 동안 일각에서 문제제기 되었던 혁신학교의 학력 하락에 대한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즉,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뛰어난 학업성취를 보인다고 언급할 수는 없으나 적어도 학력 하락에 대한 지적은 설득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혁신학교 운영을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ole influence of innovative schools operated by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o set reasonable comparison groups, 30 innovative middle schools and 30 general middle schools having the same conditions as the former were selected by sampling on the basis of 1:1 matching. In addition, repeated-measures ANCOVA was carried out to see how students` background variables and schools` level variables might influenc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s covariates. First,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for Korean and English subjects at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effects of the schools on the two groups in Korean and English subjects for 4 yea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year and school type regarding students` below basic achievement level for Korean, and similar results regarding students` basic achievement level for English were identified. Some people have argued that innovative schools have caused the problem of academic performances declining, but there was no evidence to support these claims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