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에서의 관련자간 협력에 대한 연구문헌 분석

        김주혜(Joo Hye Kim),박은혜(Eun Hy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2

        Collaborative teaming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the delivery of AAC service. Especially, as more students with severe communication problems are educated in the inclusive classrooms, a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effective delivery of AAC servic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context. Collaborative practice includes not only the speech therapist, but also special educators, a general teachers, parents, teachers, aides, and etc. This paper reviewed 8 published articles that we selected regarding collaborative practice in AAC. The results showed who the key personnels are, what some of the components of a desirable AAC team collaboration are, what some of the barriers are in AAC team collaboration, and the need for an AAC related course in personnel preparation and inservice train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사용해야 할 정도의 중도 의사소통장애아동들도 최근에는 통합교육의 대상이 되고 있다. 언어치료의 방법이 과거의 치료실 중심의 분리된 형태에서부터 교실 중심의 통합된 치료의 형태로 발전되어가면서 이에 따른 전문가들간의 협력이 연구의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AAC는 특히 관련전문가들의 협력이 AAC 적용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진 반면 실제 시행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AAC 중재에 있어서의 협력 형태와 내용 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최근 10년간의 연구 중 AAC 중재에 대한 것으로서 2명 이상의 전문가 협력을 다루고, 문헌연구나 개념 설명이 아닌 연구들을 선정하여 최종 8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언어치료사, 특수교사 외에도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일반교사 및 부모, 보조교사가 중요한 AAC팀의 구성원으로 나타났으며, AAC 중재 및 협력이 의사소통 뿐 아니라 사회적 참여, 학습 수행 등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이와 관련한 어려운 점도 지적되었으며, 사전교육 및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치료교육 및 언어치료 상황과 매우 다른 외국 환경에서의 선행연구들이기는 하지만, 향후 AAC 중재의 시행과 관련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 KCI등재

        SNA 분석을 이용한 중심성과 지역 성장률 비교를 통한 국내 지역 네트워크 분석

        김주혜 ( Kim Joo-hye ),김치열 ( Kim Chi-yeol ) 한국해운물류학회 2022 해운물류연구 Vol.38 No.4

        주요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물류의 공간적 영역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국제분업 등으로 사업적 영역의 변화가 동시에 이루어졌다. 따라서, 물류 전체의 개념을 단순한 화물의 이동이 아닌 네트워크의 관점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더 나아가 물류 네트워크가 지역의 성장에 중요한 요인이 될것임이 분명해졌다. 본 연구는 지역성장 및 발전과 물류 네트워크 중심성간의 상호과정과 영향에 초점을 두고 2005~2020년간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했다. 서울지역의 경우 GRDP와 연결 중심성 추세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부산, 인천, 전남지역의 경우에는 매개 중심성의 지표가 지역 성장률의 추세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지역의 성장은 국내 해상 수출입 물동량 및 네트워크 구조와 관계가 있으며, 지금까지는 살펴보지 못했던 네트워크 구조상의 특징들이 지역의 성장과 상호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response to the recent rapid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ogistics as a whole, not as a simple movement of goods, but as a network.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from 2005 to 2020, focusing on the mutual processes and influences between centra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growth and development and logistics networks. In the case of the Seoul, trends in GRDP and connectivity centrality are similar. In Busan, Incheon, and Jeonnam, the index of betweenness centrality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trend of regional growth rates. Regional growth is related to domestic maritime distribution volume and network structure, and we can se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structure, which have not been seen before, have a mutual relationship with regional growth.

      • KCI등재

        항만 네트워크 중심성과 효율성간의 상관관계 분석: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김주혜 ( Joo Hye Kim ),권오경 ( Oh Kyoung Kwon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4 로지스틱스연구 Vol.22 No.4

        본 논문에서는 항만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항만의 자원과 물동량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둔 기존 효율성 위주의 평가를 보완하기 위해 항만의 네트워크 특성을 반영하는 방법을 모색 하였고, 이를 위해 효율성 지표와 함께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심성 지표를 산정하였으며, 두 유형의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효율성 분석을 위해 2012년 물동량 기준으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상위 30개의 컨테이너 항만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네트워크 지표 분석을 위해서는 2014년 1월 지정된 주간에 대상 항만의 항로 구성과 빈도, 방향성을 포함하는 항만 스케줄 데이터를 구축하여 중심성 지표를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효율성 지표가 상대적으로 내향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과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외향 연결 중심성, 외향 근접 중심성과의 관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항만 효율성 분석에 중심성과 같은 네트워크 특성이 적절히 반영될 수 있을지를 검토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social network analysis as an useful approach to supplement the DEA method which has been widely use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ports. For the empirical analysis, 30 largest container ports are selected based on annual container throughput in 2012. In order to analyze the efficiency, the input and output variables are selected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on port efficiency. For the social network analysis, we construct the network of selected ports using actual ship schedule. Various centrality measures and cohesion measure a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ort rankings of two method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fficiency measures and centrality measures is performed. We have found there are some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wo types of measures. It indicates that the centrality measures can be jointly used to determine the competitiveness of ports in more rational manner.

      • KCI등재

        부산항 스마트기술의 도입 우선순위 분석 -항만터미널과 항만 배후단지를 중심으로

        김주혜 ( Kim Joo-hye ),김율성 ( Kim Yul-seong ) 한국해운물류학회 2021 해운물류연구 Vol.37 No.3

        최근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스마트기술의 고도화와 코로나19에 따른 환경 변화 등으로 물류 수요 패턴이 변화되었다. 과거 B2B 위주의 물류 수요가 B2C, O2O 등으로 변화함에 따라 물류산업으로의 스마트기술 도입은 필수가 되었으나, 부산항 터미널 및 물류센터의 스마트기술 적용 수준은 주요 해외 경쟁 대상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세계 주요 국가들의 터미널과 글로벌 물류 기업의 스마트화 현황을 분석하고, 컨테이너 터미널과 배후 물류센터에서 적용 가능한 스마트 기술 및 기술의 수요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급 가능한 스마트기술을 분석하여, 스마트기술의 수요와 공급을 매칭한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우선순위와 도입방안을 도출했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항만터미널과 배후단지 물류센터 둘 다의 우선적 도입 기술로 분석되었으며, 로봇과 드론 기술은 물류센터에서의 차선적 도입 기술로 분석되었다. 향후 스마트기술 관련 적용 연구로써 단일 기술이 아닌 융복합 기술을 대상으로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the logistics demand pattern has changed due to the advancement of smart technology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Corona 19. Before as the demand for B2B-oriented logistics has changed to B2C and O2O, the introduction of smart technology into the logistics industry has become essential. This study analyzed the smartization status of terminals and global logistics companies in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alyzed the demand for smart technologies and technologies applicable to container terminals and logistics centers. In addition, a portfolio analysis that matched the supply and demand of smart technology and priorities and introduction methods were derived. The IoT technology was analyzed as the preferred technology to be introduced, the robot and drone technology were analyzed as the next best. In the future, as a smart technology-related application study, it is necessary to apply research to convergence technology rather than single technolog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사의 소속 및 학교과정 간 원격수업 운영 실태와 요구 비교 분석

        김희규(Kim Hee-gyu),김주혜(Kim Joo-hy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소속과 학교과정 간 원격수업 운영 실태와 요구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속별로는 특수학급 교사 55명, 특수학교 교사 46명, 학교과정별로는 초등학교 74명, 중등학교 27명으로 총 101명이 참여하였다. 특수교사들은 수업 계획 시,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원격수업을 위한 학습 자료 제작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답하였고, 원격수업을 위한 플랫폼으로는 ZOOM과 YOUTUBE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어려움은 장애 학생들마다 다른 학습 환경과 적합한 교육자료 제공으로 보고하였으며, 장애학생 수행 결과는 주로 학생의 출석과 내용 이해 정도에 대한 확인 정도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원격수업의 긍정적인 영향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으로 나타났고, 원격수업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특수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행정, 특수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소속별로는 원격수업 운영 유형과 선택 경로, 주로 활용하는 컨텐츠에서, 학교과정별로는 원격수업을 위해 활용하는 컨텐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원격교육 운영을 위한 특수교육 환경 및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ctual state and requirements of remote learning between affiliation of special teachers and school courses. 55 teachers of special class and 46 teachers of special school in terms of affiliation and 74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 and 27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 in terms of school cours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ecial teachers said that they used content-focused classes the most when planning classes and had the greatest difficulties in making teaching materials for remote classes. It was also found that ZOOM and YouTube were used a lot as platforms of remote classes. They reported that it was hard to have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of disabled students and to provide suitable teaching materials, and they just checked students attendance and level of understanding for the performance results of disabled students. The positive effect of the remote classes were found to be increase of class professionality of teachers and required improvements that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were administration that didn t consider speciality of special education and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contents for special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peration type and choice path and contents frequently used for each affiliation and contents to be used for the remote classes in terms of school cours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rovements of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and curriculum to operate remote classes.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교과교육이 예비특수교사의 스마트러닝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희규(Kim Hee-gyu),김주혜(Kim Joo-hy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특수교사의 스마트러닝 교수효능감 현황과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교과교육이 예비특수교사의 스마트러닝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특수교육 교과교육 강의를 수강한 예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스마트러닝 교수효능감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예비특수교사들에게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을 시행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스마트러닝 교수효능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스마트러닝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비해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교과교육은 예비특수교사들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mart learn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effect of subject instruction using smart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smart learn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of smart learn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subject instruction classes. In addition, it provide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experimental group with education for the use of smart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pared the changes in smart learning teaching efficacy of experimental group with those of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lower general teaching efficacy than the smart learning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that subject instruction using smart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그림상징 반응카드의 사용에 장애아동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명주 ( Myoung Joo Lee ),박은혜 ( Eun Hye Park ),김주혜 ( Joo Hye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3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중도 장애 아동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위해서는 학습시간 중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교사 주도의 질문 응답 방식과 같은 수업 중 의사소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 학생 3명을 대상으로 그림상징 반응카드의 사용이 중도 지적장애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의 증가와 문제행동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수업참여행동 및 문제행동의 정의, 기초선 측정, 학급대상 반응카드 사용훈련, 중재, 일반화, 유지의 단계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그림상징 반응카드의 사용은 대상 학생들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이와 같은 결과를 일반화,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ictorial preprinted response cards on the task engagement and problem behavior of three elementary-ag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urrent study occurred during a group activity in a resource room with thre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d limited verbal abilities and low task engagement level.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are used and the frequency of children`s response rate, task engagement and problem behavior rate is measured. During all conditions, the instructor asked 8 questions each session. In the baseline conditions, the teacher called on one student who raised his or her hand to answer the question while in the intervention conditions, students responded by showing one`s pictorial preprinted response card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ictorial preprinted response card intervention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task engagement for all three students, Secondly, the pictorial preprinted response card intervention in substantial reduction in problem behavior for all three students. Thirdly, the effect of the pictorial preprinted response card intervention was generalized in a different class activity. Lastly, the effect of the pictorial preprinted response card intervention was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intervention. Results mentioned above indicated that the use of pictorial preprinted response card is beneficial method to be implemented in the class for includ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encourag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