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경기분석 연구의 국내외 주요연구동향

        김주학(Joo Hak Kim),최형준(Hyong Jun Choi)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4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6 No.1

        이 연구는 국내외 스포츠경기분석 연구의 주요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문헌에서 나타난 자료수집 방법, 내 용분석 방법, 통계분석 방법의 3가지 관점으로 자료를 분류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스포츠경기분석 연구의 발전방 향에 대해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 연구문헌의 경우, 최근 20년간 출간된 한국연구재단에 등록된 22개 등재 학술지와 2개 등재후보학술지를 전수 조사하였으며, 국외 연구문헌의 경우 최근 5년간 출간된 SCI(Science Citation Index), SSCI(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ended), SCOPUS에 등록된 11개 등재학술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연구문헌에서 ‘경기력향상’을 목적으로 한 연 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국내의 경우 ‘기술분석’에 연구목적을 두는 반면에, 국외의 경우에는 ‘기술분석’, ‘요인분석’, ‘운동학습’에 상당수의 연구가 목적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기법별로 살펴본 결과, ‘단순자료 수집’에 의한 연구가 치중하고 있는 국내의 경우와는 다르게 국외 연구문헌에서는 ‘시퀀스자료수집’에 의한 연구가 높 게 나타났으며, 국외 연구문헌의 경우 국내 연구문헌과 비교하여 ‘비모수통계(non-parametric statistics)’의 비중이 높 았다. 넷째, 연구대상별로 살펴본 결과, 국내 연구문헌의 경우 ‘일반선수’와 ‘학생선수’를 구분하여 선정하고 있었지만, 국외 연구문헌의 경우 ‘일반선수’와 ‘학생선수’를 비교함으로써 학생선수들이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es of Performance Analysis in Sport for a proposal of further research area and topics in concerned area. The data collection methods, contents analysis methods and statistical approaches were considered for the analysis of literature relating to the Performance Analysis in Sport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the analysis, all domestic papers in 22 accredited journals and 2 semi-accredited journals recogniz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which published within last 20 years were reviewed. For the international research papers, 11 recognitive journals by SCI, SSCI, SCIE and SCOPUS published within last 5 years were concern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through the comprehensive analysis were following as below; Firstl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have considered ‘enhancement of performance’ as a purpose of study. Secondly, domestic researches have more concerned on ‘technical analysis’ than international researches. Thirdly, the ‘simple data collection’ was mostly concerned in domestic researches in spite of ‘sequential data collection’ in international researches. Additionally, the use of ‘non-parametric statistics’ were greater in the international researches rather than the domestic researches. Fourthly, ‘elite player’ and ‘student player’ were often categorized in domestic researches that the comparisons between ‘elite player’ and ‘student player’ were more considered in the international researches regarding to researches on Performance Analysis in Sport.

      • KCI등재

        자료범주에 따른 경기기록 승패의 재해석

        김주학(Joo Hak Kim),최형준(Hyong Jun Choi)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5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는 스포츠 경기기록 자료의 범위를 경기결과와 시간적 단위에 따라서 구분하고, 승리와 패배한 경기력을 재정리한 후, 경기결과와 시간적 단위에 따라서 구분한 자료의 범위가 승패 간 차이분석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다. 더불어 경기결과와 시간적 단위에 따라 구분한 자료를 각기 다른 표본크기에 따라서 승패간 경기내용의 차이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스포츠경기 내용을 해석하는 데 필요한 자료의 범위와 크기를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열린 영국 시니어 여자 농구대회 경기(n=39)와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테니스 그랜드슬램 대회 경기(n=1,079)를 대상으로 각각 156개의 쿼터별 기록과 3,964개의 세트 기록으로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인 자료처리를 위하여 비모수 통계 중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첫째, 전체 농구 16개 변인과 테니스 10개변인 모두 경기결과와 시간적 단위에 따른 구분과 관계없이 승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하지만, 농구 경기기록의 경우, 자유투 성공수, 자유투 실패수, 자유투 성공률, 공격 리바운드 비율, 개인 파울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표본크기에 따른 유의확률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농구 자료를 경기결과로 구분할 경우, 전체 자료의 80%가 넘을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내는 반면, 시간적 단위로 구분하는 경우에는 전체 자료의 90%를 차지했다. 테니스의 경우에는 전체 자료 중 무작위로 추출한 45개의 자료가 사용될 경우 경기결과와 시간적 단위 구분 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냈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wo different conditions of data range regarding to identify the winning and losing performances in basketball and tennis match. Two conditions were basing on the game results and different time scales such as quarters in basketball and sets in tennis. Additionally, the data arranged by the game results and different time scales were determined with various sample sizes. Thus, it keened to identify the optimal data rage and types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English Senior basketball competitions (from 2005 to 2007, n=39) and Tennis Grand Slam championships (from 2005 to 2010, n=1,079) were considered that it re-arranged as 156 quarters in basketball and 3,964 sets in tennis.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s among the non-parametric statistic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ata that the .05 significant level was used to figu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s result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ll variables used (16 variables in basketball and 10 variables in tennis) in this study(p<.05). However, no matter what types of data rang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on successful free-throw, unsuccessful free-throw, % of successful free-throw, % of offensive rebound and personal fouls.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80% of total data range in basketball when the data were re-arranged by the game results. But, 90% of total data range were required in order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data were re-arranged by the time scales (quarters for basketball). However, the optimal data range needed when randomized sample sizes were above 45 cases with no consideration of data types such as by game results or by the time scales (sets for tennis).

      • KCI등재

        남,여 중학생간 건강관련 체력구조의 요인불변성 검증

        김주학(Joo Hak Kim) 한국사회체육학회 200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18 No.1

        This study tested the invariance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structure for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t tests the ability of five factor(Static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Skinfold, Cardiovascular Endurance) structure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o fit data based on 13 indicators of fitness for 591(309 males, 282 females)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ests of factorial invariance, factor loadings and factor correlations were reasonably invaria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uniqueness were not reasonably invaria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substantive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comparison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structure across gender groups.

      • KCI등재

        신경망분석을 이용한 축구경기 승,패 예측모형 개발 -2006독일월드컵 대회를 중심으로-

        김주학 ( Joo Hak Kim ),노갑택 ( Gap Taik Ro ),박종성 ( Jong Sung Park ),이원희 ( Won Hi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축구 경기 기록자료를 활용하여 축구경기의 승·패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활용된 경기기록 자료는 2006년 독일 월드컵대회에 나타난 축구경기 전체 64경기의 FIFA TSG공식자료와 M대학교 경기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산출된 경기기록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기법으로는 최근에 예측연구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신경망 분석을 이용하여 예측율을 확인 하였으며, 예측율은 2개의 예측모형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구체적인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06년 독일월드컵에 나타난 기록 관련 요인 중 경기 내적요인을 중심으로 축구 경기의 승·패와 관련한 요인을 탐색하고 2006년 독일월드컵 전 경기에 대한 비디오녹화를 실시하였으며, 녹화된 비디오를 통하여 기록요인에 대하여 실시간 축구 경기분석 프로그램을 활용, 승·패와 관련한 기록요인을 점수화하였다. 점수화된 기록요인은 점유율, 성공률 관련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었으나 실제 경기에서 예측을 할 수 있는 요인을 전문가와 회의를 통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요인을 바탕으로 신경망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축구경기 승·패 예측 모형을 개발하여 예측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회의를 통하여 기록화 할 수 있는 기록자료 요인을 중심으로 2006년 독일월드컵 전체 경기에 대하여 축구 경기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점수화하여 실제 다양한 요인이 내재된 경기에 대하여서도 내용분류를 통하여 점수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점수화된 경기 내적요인을 중심으로 신경망분석 방법을 통하여 축구경기에 대하여서도 승·패를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타 종목에 대하여서도 실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축구경기의 승패에 대하여 87.5%의 예측율을 보임으로써 축구경기의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였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on purpose to investigate the various factors of soccer games into inner factors and classify performance factors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using a soccer game analysis program and develop a model which can predict the result of the soccer games using the Neural NetWork Analysis that stands on the game graded record. The game recorded data was collected from the FIFA TSG official record and the data which was gained using a game analysis program. It has searched the factors related the game results which were focused on the game inner factors of the related factors in 2006 World cup games and recorded the whole games of 2006 World cup games, graded the recording factors related the win/lose using the video and the real time game analysis program with numbers. The graded recording factors with numbers were several; ball possession, completion, and so on. However, through the meeting with Neural NetWork Analysis, professionals prediction related factors which can predict in the real games were selected. And a soccer game win/lose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selected factors and Neural NetWork Analysis. It also was compared with the preceding researches in documents record studies. Followings ar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vailable to grade the real factors in the games which include various factors through the professionals` meetings which implemented the analysis the 2006 Worldcup games and it was focused on the recording factors. Second, the graded recording inner-factors make it possible to predict the soccer game results using the Neural NetWork Analysis method. It was verified that it can be effective in other sports also. Third, the rate of predicting the soccer games` results was 87.5%.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is study contributes on the basis of the importancy of soccer game factors.

      • KCI등재

        머신러닝과 Kano 모델을 활용한 팬 중심 축구선수 속성 모형 개발

        김주학(Kim, Joo-Hak),강지연(Kang, Ji-Yeon),조선미(Cho, Sun-Mi)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3

        이 연구는 모형 개발 연구이며, 그 목적은 뉴스에 나타난 선수 속성을 토픽모델링을 통해 도출하고, 도출된 속성과 코멘트 자료를 Kano 모델에 적용해 팬 중심 축구선수의 속성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모형 확인을 위해 축구선수 2인 관련 뉴스의 코멘트를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크게 자료수집 및 전처리, 평가 속성 도출 및 감성사전 개발, 만족·불만족 극성 분류 및 Kano 모델을 활용한 평가의 3단계로 구분된다. 해당 모형을 축구선수 2인에 적용해 연구한 결과 A선수의 경우 대회 또는 리그, 가족 및 방송, 경기력 등을 나타내는 7개의 속성 그룹으로, B선수의 경우 국가대표, 팀이슈 등을 포함한 4개의 속성 그룹에 따른 Kano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속성 모형은 복잡한 축구선수의 속성을 토픽모델링을 통해 명세화, 군집화한 연구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도출된 선수 속성에 대한 팬 만족 유형을 5가지로 구분지음으로써 수용자의 질적 평가를 반영한다는 데에 있어 체육측정평가 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스포츠 마케팅 및 선수 가치평가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추후 더 다양한 측면에서 선수 가치를 고려한 확장·발전된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This is a model development study, and its purpose is to derive the player attributes shown in the news through topic modeling, and apply the derived attributes and game data to the Kano model to develop a fan-centered soccer player attribute model. To confirm the model, we applied news and comments related to two football players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in this analysis. The research procedure is largely divided into 3-steps: data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attribute derivation and emotional dictionary development,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polarity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using the Kano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se of A player, a Kano model was developed according to four attribute groups, including the tournament or league, family and broadcasting, and performance, and in the case of B player, the four attribute groups including the national team and team issues. The attribut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a study in which the complex attributes of soccer players are specified and clustered through topic modeling. In addition, it can be said to have significance as a study 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in that it reflects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consumer by dividing the fan satisfaction types for the derived player attributes into 5-types.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study necessary for decision-making in sports marketing and player valuation. And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expanding and developing follow-up studies that consider player values in more various aspec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전자 부위의 골절을 동반한 불안정 대퇴 전자간 골절 치료에 있어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의 유용성을 높이는 방법 - 강선 및 나사를 이용한 대전자부 고정 -

        김주학 ( Joo Hak Kim ),박재형 ( Jai Hyung Park ),김형수 ( Hyung Soo Kim ),정수태 ( Soo Tai Chung ),유정현 ( Jeong Hyun Yoo ),차승도 ( Seung Do Cha ),박상준 ( Sang Joon Park ),조주원 ( Joo Won Joh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1

        목적: 노인의 불안정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있어 압박 고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함께 사용 시 대체로 우수 한 결과를 보이나 대전자의 분쇄가 동반된 불안정 골절의 경우 과도한 감입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강선과 나사를 이용한 대전자의 추가 고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12월 사이에 65세 이상의 대전자의 골절을 동반한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대해 활강 압박고 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함께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6개월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37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3.5개월이었다. 활강 압박고 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만을 이용해 수술한 군(A군: 20예), 추가로 강선과 나사를 이용하여 골절된 대전자를 고정한 환자군(B군: 17예)으로 구분하였으며, A군의 평균 연령은 80.9세(범위: 68~89세), B군의 평균 연령은 83.2세(범위: 72~91세)였다.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방사선학적 평가를 비교하여 지연나사의 활강 정도, 대전자의 전위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A군의 2예를 제외하고 모두 골유합을 얻었으며 지연나사의 활강 정도는 A군에서 평균 8.96±5.98mm였고, B군에서 4.80±3.68 mm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 value<0.05). 대전자의 전위 정도는 A군에서 평균 2.06±2.86 mm였고, B군에서 평균 0.99±1.41 mm로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P value>0.05). 결론: 불안정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활강 압박고 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이 유용하나 대전자부 골절선이 있으면서 내측부 결손이 심한 경우 감입되면서 금속판 밖으로 대전자부 골절편이 전이되며 과도한 활강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강선이나 나사 고정이 이를 막아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이 대전자를 지지하도록 하여 금속판의 유용성을 증가시켜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clinical outcome is favorable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using both dynamic hip screw (DHS) and trochanter stabilizing plate (TSP) in elderly patients. However, there are sometimes complications related to excessive sliding.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ue of additional fixation of greater trochanter using wires and screw in the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a greater trochanter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4 through December 2005, thirty-seven patients, who were more than sixty-five years of age and were diagnosed with osteoporosis, were treated with DHS and TSP in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a follow-up of more than 6 months (mean duration, 13.5 mont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group A: 20 patients) was treated with DHS and TSP only, whereas the other (group B: 17 patients) was treated with DHS and TSP augmented by a wire and screw. The average age was 80.9 (range 68 to 89) and 83.2 years (range 72 to 91) in groups A and B, respectively. All the patients in both groups were assessed radiographically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at the last follow-up. The level of sliding of the lag screw and displacement of the greater trochanter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Results: Bony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except for two cases in group A.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of lag screw sliding in groups A and B was 8.96±5.98mm and 4.80±3.68, respectively, showing a statistical difference (P value<0.05). The average greater trochnateric displacement in groups A and B was 2.06±2.86mm and 0.99±1.41mm, respectively, showing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 value > 0.05). Conclusion: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can be treated successfully using a hip screw and TSP alone. However, the addition of wires and screws in the greater trochanter can prevent excessive sliding that occurs after displacing the greater trochanteric fragments out of the plate in the presence of a greater trochanteric fracture line or severe bone defect in the lateral aspect.

      • KCI등재

        무지 외반증의 근위 중족골 절골술에 있어서 수술 중 비체중부하와 수술 후 제중부하 방사선 소견에서의 제 1-2 종족골간 각의 차이

        성일훈,김주학,황건성,Sung, Il-Hoon,Kim, Joo-Hak,Whang, Khun-Su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3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7 No.1

        Purpose: To study the relationship of the 1st to 2nd intermetatarsal angle(1-2 IMA) between the intra-operative and weight bearing postoperative anterior-posterior(AP) radiography, and evaluate the intra-operative predictability for the postoperative 1-2 IMA after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PMO) in the hallux valg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20 cases of moderate to severe hallux valgus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fter the oblique PMO(Ludloff procedure) was performed and the osteotomy site was fixed temporarily, the AP view was taken intra-operatively. About 10 weeks after surgery, postoperative weight bearing AP view was taken. The pre -. intra -, and postoperative 1-2 IMAs were compared and ana lysed statistically. Results: The 1-2 IMAs of the weight bearing preoperative, non-weight bearing intra-operative and weight bearing postoperative AP view were $15.9^{\circ}{\pm}1.8^{\circ},\;4.7^{\circ}{\pm}2.1^{\circ}$, and $6.8^{\circ}{\pm}2.5^{\circ}$ (Mean${\pm}$SD) respectively. The postoperative 1-2 IMA was greater than intra-operative measurement by $2.1^{\circ}{\pm}1.8^{\circ}$ (range; $-1^{\circ}$ to $6^{\circ}$) which was stastistically significant(p<0.05). To get less than $9^{\circ}$ postoperatively as an average normal, intra-operative 1-2 IMA should be within $3.8^{\circ}$ to $5.2^{\circ}$ (95% confidence interval), and intra-operative 1-2 IMA should be within $3.4^{\circ}{\pm}$to $5.4^{\circ}$(95% confidence interval) to get more than $6^{\circ}$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1-2 IMA, which is regarded as more than average correction by the distal metatarsal osteotomy. Conclusion: In hallux valgus surger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ntra-operative 1-2 IMA was less than the postoperative. To achieve postoperative 1-2 IMA less than $9^{\circ}$ and more than correction angle of $6^{\circ}$, it is suggested that the intra-operative 1-2 IMA should be measured less than about $5^{\circ}$.

      •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김형수,김주학,지정민,Kim, Hyoung-Soo,Kim, Joo-Hak,Ji, Jeong-Min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2

        슬개건과 슬괵건은 전방 십자 인대의 관절 내 재건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조직이다. 일반적으로 중앙 1/3 슬개건 이식을 전방 십자 인대 재건에 있어서 gold standard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Harder와 Aglietti 등의 저자들에 의한 최근의 연구들은 슬관절 안정성과 기능적인 결과에 있어서 중앙 1/3 슬개건 이식과 슬괵건 이식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 고찰을 통하여 (1)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슬괵건 이식의 역사를 고찰하고 (2)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슬괵건 이식의 사용에 대한 적응증을 논의하고 (3) 연합 이중 고리의 반건양건과 박건 이식을 사용하여 $RIGIDFIX^{circledR}$와 $INTRAFIX^{circledR}$로 고정하는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술기를 묘사하고 (4) 슬괵건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재검토하는 것이다. The central third of the patellar tendon and hamstring tendons(semitendinosus and gracili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issues for intra-articular replacement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At present, many surgeons consider the central third patellar ten don graft to be the gold standard for replacement of the ACL. Recent prospective studies by Marder et at and Aglietti et al, however, have failed to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ee stability and functional outcome between central third patellar tendon grafts and hamstring tendon grafts. The review of this article is to (1) review the historical use of hamstring tendon grafts for ACL reconstruction; (2) discuss indications for use of hamstring tendon grafts for ACL reconstruction; (3) describe our present operative technique using a combined double-looped semitendinosus and gracilis graft with $RIGIDFIX^{circledR}$ and $INTRAFIX^{circledR}$ and (4) review the results of hamstring ACL reconstru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