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산유고』 소재 시조(時調)의 구조(句調) 통계 및 분석

        김주석(Kim, Ju-Seok)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1 No.-

        고산 윤선도의 『고산유고』소재 시조 35수의 구조(句調)를 통계ㆍ분석해 본 결과, 각 구(句)의 주조(主調)를 이루는 구조는, 초장(初章)의 경우 전구(前句)는 3ㆍ4조, 후구(後句)는 3ㆍ4조와 4ㆍ4조였고, 중장(中章)의 경우 전구(前句)는 3ㆍ4조, 후구(後句)는 4ㆍ4조와 3ㆍ4조였으며, 종장(終章)의 경우 전구(前句)는 3ㆍ5조와 3ㆍ6조, 후구(後句)는 4ㆍ3조였다. 고산 시조의 구조 형성 양상을 살필 때 음수 ‘1음’과 ‘6음’은 절(節)을 이루는 구성 음수가 아니다. 그러므로 구조를 형성하는 ‘절음범주(節音範疇)’는 ‘2음’부터 ‘5음’까지가 된다. 다만 종장 제1절은 ‘3음’ 고정화(固定化) 양상을 보이며 종장 제2절은 결합절(結合節)의 양상을 보인다. 고산 시조의 구조의 시작점과 끝점을 살펴보면 2ㆍ2조와 5ㆍ5조는 나타나지 않는다. 즉 시작점은 2ㆍ3조이며 끝점은 4ㆍ5조, 5ㆍ4조이다. 다만 2ㆍ3조가, 특수하게 중장 전구에서만 나타나는 분할구(分割句)임을 감안하면 ‘구음범주(句音範疇)’는 ‘6음’부터 ‘9음’까지라고 할 수 있다. 고산 시조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구조의 율형(律型)’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서 구조를 이루는 전절(前節)과 후절(後節) 사이의 ‘+, 0, -’의 수차(數差)에 의해서 발현되는 순조(順調), 평조(平調), 역조(逆調)를 발견한다. 순조는 ‘생성ㆍ변화’, 평조는 ‘유지ㆍ안정’, 역조는 ‘종결ㆍ변화’로서의 율성(律性)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statistics and analysis on ‘Gujo(句?)’ of ‘Sijo(??)’ in 『Gosanyugo』. The ‘Jujo(主調)’ of each ‘Guwi(句位)’ are as follows: ‘Chojang(初章) Jeongu(前句)’ 3ㆍ4jo(3ㆍ4調), ‘Chojang(初章) Hugu(後句)’ 3ㆍ4jo(3ㆍ4調) and 4ㆍ4jo(4ㆍ4調), ‘Jungjang(中章) Jeongu(前句)’ 3ㆍ4jo(3ㆍ4調), ‘Jungjang(中章) Hugu(後句)’ 4ㆍ4jo(4ㆍ4調) and 3ㆍ4jo(3ㆍ4調), ‘Jongjang(終章) Jeongu(前句)’ 3ㆍ5jo(3ㆍ5調) and 3ㆍ6jo(3?6調), ‘Jongjang(終章) Hugu(後句)’ 4ㆍ3jo(4ㆍ3調). In aspects of Gujo formation of Gosan(孤山)"s Sijo, ‘one syllable’ and ‘six syllables’ can not make up the ‘Jeol(節)’. In other words, ‘Jeoleum(節音)’ is ‘2∼5’. However, ‘three syllables’ of ‘Jongjang(終章) Jeongu(前句) Jeonjeol(前節)’ is immobilized(固定化). And ‘Jongjang(終章) Jeongu(前句) Hujeol(後節)’ is ‘Gyeolhapjeol(?合?)’. In aspects of Gujo formation of Gosan(孤山)"s Sijo, ‘2ㆍ2jo(調)’ and ‘5ㆍ5jo(調)’ can not make up the ‘Gu(句)’. The starting point is ‘2ㆍ3jo(調)’. The endpoint is ‘4ㆍ5jo(調)’ and ‘5ㆍ4jo(調)’. ‘2ㆍ3jo(調)’ is ‘Bunhalgu(分割句)’. ‘Bunhalgu(分割句)’ is the ‘Jungjang(中章) Jeongu(前句)’ appears only. In other words, ‘Gueum(句音)’ is ‘6∼9’. This was confirmed through analysis ‘metrical pattern(律型) of Gujo(句?)’. This study finds ‘Sunjo(順?)’ and ‘Pyeongjo(平?)’ and ‘Yeokjo(逆?)’. This is expressed by ‘+, 0, -’ of the quantity difference(?差) in ‘Jeolgan(節間)’ of ‘Gujo(句調)’. Metrical feature(律性) of ‘Sunjo(順?)’ is ‘creation?change(生成?變化)’. Metrical feature(律性) of ‘Pyeongjo(平?)’ is ‘keeping?stability(維持?安定)’. Metrical feature(律性) of ‘Yeokjo(逆?)’ is ‘close?change(終結?變化)’.

      • KCI등재

        리튬금속 전극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의 내부단락에 대한 분리막의 영향

        김주석,배상호,황민지,허민영,도칠훈,Kim, Ju-Seok,Bae, Sang-Ho,Hwang, Min-Ji,Heo, Min-Yeong,Doh, Chil-Hoon 한국전기화학회 2011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4 No.3

        리튬금속을 사용하는 리튬이차전지는 사용이 간편하고 측정전극의 고유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방전후 충전 시 리튬금속 전극에 리튬금속 수지상이 생성되고 심지어는 성장된 수지상에 의해 내부단락을 초래한다. 이러한 단락현상은 분리막의 두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수지상에 의한 내부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께가 각각 다른 4종류의 분리막을 사용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공성 유리섬유 부직포(glass microfiber filter) 분리막은 두께가 $300{\mu}m$ 로써 내부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으며 AC 임피던스 값도 낮아서 유망한 분리막으로 확인하였다. 분리막의 두께가 $50{\mu}m$ 이상인 경우 내부단락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0.2 C율의 싸이클 특성도 양호하였다. Signature 율 특성은 다공성 유리섬유 부직포를 사용한 경우 5 C의 고율에서 용량 유지율은 0.1 C에 비교하여 99%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lithium metal count electrode are easy to use and to analyz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working electrode. Nevertheless, during the charge operation internal electrical short circuit could be caused by the dendritic growth of lithium. The cell failure by the short circuit depends on the condition of separator such as constitutive material and thickness. To prevent the cell failure caused by the dendritic growth of lithium,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cell of lithium metal count electrode were evaluated for four different kinds of separator. Among the tested separators, GMF (glass micro-fiber filter, $300{\mu}m$) was the most promising one because it could effectively prevent the cell failure during the charge. The cell using GMF separator had relatively low impedance. Generally the cell using thicker separator than $50{\mu}m$ could effectively avoid the cell failure by internal short circuit and had the good cycleability. The highest rate capability by the signature method was acquired in the case of GMF separator.

      • KCI등재
      • KCI등재

        시조(時調) 율격(律格)의 음수한정론(音數限定論)

        김주석 ( Kim Ju-seo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4

        時調의 定型性 논의는 ‘音數律’로부터 시작되었다. 논의는 ‘音數 限定’의 문제로 귀결되는데 그 입장 차이를 ‘音數 固定論’과 ‘音數 範疇論’으로 大別해 볼 수 있다. 李光洙, 趙潤濟, 安廓은 ‘음수 고정론’으로 분류되고 李秉岐, 李殷相, 曺雲은 ‘음수 범주론’으로 분류된다. 음수 고정론은 古時調의 대표적인 ‘首型’을 제시하는 동시에 ‘基律’을 제공한다. 여기서 기율이란 ‘基音’과 ‘基調’를 말하는데 기음은 ‘3音’과 ‘4音’이며 기조는 그 어울림인 ‘3·4調’, ‘4·4調’, ‘4·3調’이다. 또한 시조의 정형성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音數 固定 部分’을 明示한다. 그러나 음수 고정론은 古時調의 정형성에 어느 정도 접근하는 데는 성과가 있었지만 시조가 近代詩의 한 양식으로 자리 잡게 하는 데에는 시의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음수 범주론은 실제 창작에 柔軟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또 近代時調가 古時調를 創造的으로 繼承한다는 측면에서 意義가 있다. This paper is research relating to the theory of limited syllabic meter (音數限定論)’ on the meter(律格) of sijo. Theory of limited syllabic meter is divided into theory of fixed syllabic meter(音數固定論)’ and ‘theory of categorical syllabic meter(音數範疇論)’. Lee, Gwang-su & Jo, Yun-je & An, Hwak is classified as a 'theory of fixed syllabic meter(音數固定論)’. Lee, Byeong-gi & Lee, Eun-sang & Jo, Un is classified as a ‘theory of categorical syllabic meter(音數範疇命)'. Theory of categorical syllabic meter is convincing than theory of fixed syllabic meter. Theory of categorical syllabic meter is because creative succession. Theory of fixed syllabic meter show typical of Gosijo(古時調) type (首型). And it show base rhythm(基律) of sijo form. Base rhythm(基律) is 'base syllabic quantity(基音)’ and 'harmony of base syllabic quantity(基調) Base syllabic quantity(基音) is ‘3 syllables(3音), & ‘4 syllables(4音)’. Harmony of base syllabic quantity(基調)’ is ‘3 syllables & 4 syllables(3 · 4調)’, ‘4 syllables & 4 syllables(4 · 4調)’, ‘4 syllables & 3 syllables(4 · 3調)’. Theory of categorical syllabic meter enables the creation of flexible. And it was such a moment. Sijo in music style was reborn as a sijo in literary style.

      • 감정 상태에 따른 반응형 서비스

        김주석(Ju-Seok Kim),고건(Koen Ko),이용찬(Yong-Chan Lee),배유석(You-Seok Bae)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최근 독신율의 증가와 미혼율의 증가에 따라 홀로 식사하는 독거자가 증감함에 따라 감성 인식 기술을 활용한 개인의 감성에 맞는 반응형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논문은 이 같은 감성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홀로 사는 독신의 삶을 보다 윤택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반응형 서비스의 개발 내용을 주축으로 한다. 우리 연구팀의 소프트웨어는 홀로 사는 외로운 독신자의 삶을 윤택하고 편리하게하고, 특별한 유지비용 없이 개인 비서를 가질 수 있는, 그리고 외로운 식사를 함께 해주고 내 기분에 따라 음악을 재생해주는 친구 같은 비서를 가질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이다. 이 같은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따른 반응형 서비스가 개발됨으로서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李鼎輔 時調의 風流地理

        김주석(Kim, Ju-Seok)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4 No.-

        이 논문은 이정보(李鼎輔)의 풍류지(風流地)와 그 의미(意味)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정보의 풍류지는 ‘호동(壺洞)’과 ‘학탄(鶴灘)’이었다. ‘호동’은 그의관인생활(官人生活)의 근거지로 종묘(宗廟) 동쪽의 황교(黃橋)와 연지(蓮池)가 있는 마을이었다. ‘학탄’은 그의 귀거래(歸去來) 근거지로 주변에 저자도(楮子島)와 무동도(舞童島)가 있던 곳으로 탄천(炭川)과 양재천(良才川)이 한강(漢江)에서 만나는 학여울이었다. 주목되는 의미는 이정보의 풍류생활(風流生活)이 비록 치사(致仕) 후에 본격화되었다고는 해도 이미 관직에 봉직할 때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학탄풍류(鶴灘風流) 역시 그 시원(始原)이 오래된 것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object of determining place of Lee, Jeong-bo(李鼎輔)’s Pungryu(風流) & its meaning. Place of Lee, Jeong-bo’s Pungryu(風流) is Hodong(壺洞) & Haktan(鶴灘). Hodong(壺洞) is located toward east at Jongmyo(宗廟). That place was Hwanggyo(黃橋) & Yeonji(蓮池). At that time, Haktan(鶴灘) was in Eonju-myeon(彦州面) of Gwangju-bu(廣州府). That place is Hangnyeoul flowing together Tancheon(炭川) & Yangjaecheon(良才川). Jeojado(楮子島) & Mudongdo(舞童島) was neighborhood. Lee, Jeong-bo’s Pungryu-life(風流生活) was already beginning since serve in a government. Therefore HaktanPungryu(鶴灘風流) is also beginning a long time ago.

      • SCOPUSKCI등재

        국소 진행성 위암에서 2제, 3제 선행항암화학 요법의 임상 결과

        김주석 ( Ju Seok Kim ),강선형 ( Sun Hyung Kang ),문희석 ( Hee Seok Moon ),성재규 ( Jae Kyu Sung ),정현용 ( Hyun Yong Jeong ),설지영 ( Ji Young Sul ) 대한소화기학회 201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8 No.5

        Background/Aims: In gastric cancer, the rate of recurrence and metastasis following radical resection is high, necessitating improvement in survival and cure rates. Neoadjuvant chemotherapy (NAC) has potential benefits for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however, the surgical benefits and effects on survival are unclear.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NAC in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and compares clinical outcomes of doublet and triplet regimens. Methods: We reviewed patient medical records of 383 patients who underwent NAC (n=41) or surgery only (n=342) for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Chemotherapy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regimen, doublet (n=28) and triplet (n=13), and NAC-related clinical response, safety, and toxicity were analyzed. Results: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After NAC, the tumor downstage rate was 51.2% (21/41); however, overall survival (p=0.205) and disease-free survival (p=0.415)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On subgroup analys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ug toxicity (p=0.604) or clinical response (p=0.374) were found between outcomes of doublet and triplet chemotherapy regimens.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NAC showed tolerable drug toxicity and increased tumor downstage, but NAC faile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which may be caused by a high D2-lymphadenectomy rate. Therefore, NAC was found to be a therapeutic option for select gastric cancer patients. (Korean J Gastroenterol 2016;68:245-25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