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영수 ( Young Soo Kim ),정은영 ( Eun Young Chung ),김주나 ( Joo Na Kim ),서영준 ( Young Joon Seo ) 대한보건협회 2014 대한보건연구 Vol.40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수준에 대해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2012년 10월부터 12월 까지 M네트워크에 근무하는 치위생사 30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변수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감정노동 영향요인 분석에서 상사영향요인과 환경영향요인이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 성격이었다. 셋째,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 성격, 근무형태, 환자 수였으며 감성지수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 성격, 근무형태, 감성지수였으며 근무형태를 제외한 인구사회특성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감정노동수준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 공식적, 비공식적 지원이 필요하며 다양한 제도적 개선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of hospital nurse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the job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 The sample used in the study consisted of 275 nurses selec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Wonju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4 to 11, 2011,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 First, factors related to the nursing supervisors and work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of hospital nurses. Second,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affectivit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tress of hospital nurses. Third, it was found that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psychological affectivity, duty type, and volume of patient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burnout of hospital nurses. Fourth,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psychological affectivity, duty type, and emotional quotient were found to have to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formal and informal support of hospital administrators as well as nurse managers are encouraged to reduce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of hospital nurses.

      • KCI등재

        병원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성과: 직원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강신희 ( Shin Hee Kang ),김주나 ( Joo Na Kim ),서영준 ( Young Joon Seo ) 대한보건협회 2015 대한보건연구 Vol.41 No.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이슈이면서 경영의 한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병원의 현실에 맞게 응용하여, 병원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수준과 병원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병원의 사회적 책임경영 활동이 병원 경영성과와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병원을 분석단위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모형에서는 독립변수로 인권, 근로환경, 환경적 책임, 환자보호, 지역사회공헌의 5개 변수를 선정하고, 종속변수로는 직원만족도, 내부커뮤니케이션, 환자만족도, 병원이미지, 병원평판의 5개 변수를 설정하여 독립변수들이 (+) 또는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병원은 수련병원 55개소와 지방의료원33개소였다. 자료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t-test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병원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로환경과 환자보호활동, 지역사회 공헌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근로환경이 좋을수록, 환자보호활동이 활발할수록, 지역사회 공헌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병원성과가 높아졌다. 이는 사회적 책임경영활동이 활발할수록 기업이나 제품의 이미지, 고객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해 주는 것이다. 결론 : 우리나라 병원의 사회적 책임경영활동은 아직 활발한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직장내 인권과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책임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 외부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과 병원 내부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책임활동이 동시에 병행되어야만 그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of Social Responsibility (SR) activities of Korean hospital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R activities and Social Performance (SP). Methods: SR activities of hospital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consist of three components; workplace responsibility,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socio-economic responsibility. SP,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contains five variables; employee satisfaction, internal communication, patient satisfaction, hospital image, and hospital reputation.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55 private teaching hospitals and 33 municipal public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R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bed size and hospital type. Second, SR activities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P. Third, the two variables of the workplace responsibility and working condi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re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employee satisfaction, internal communication, and hospital imag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hospitals need to enhance internal SR activities first prior to trying to conduct external SR activities for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