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일한국의 바람직한 사법제도

        김종철 ( Jongcheol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15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6 No.1

        This essay aims to look into the conditions and orientations which the judicial system in the unified Republic of Korea must suffice. Its premise lies in, above all, the conviction that the unified Korea must be based upon the free and democratic basic order which cherishes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Also, the author argues that the quest for an ideal type of the judicial system should consider not only its value-orienta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s but also diverse institutional variations surrounding it such as the form of the state and the form of government. The conclusions in this regard can be summarized in four folds. First, the basic idea of the judicial system of the unified Korea must be based upon the pluralist political order and the judicial independence essential to the free and democratic basic order. Second, not only the constitutional court entrusted with the designated jurisdiction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but also the supreme court as the highest court of ordinary judicial jurisdiction should be a political institution.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judicial system itself should be pluralized in the sense that the specialized divisions designated with a special jurisdiction must be established within the supreme court and the specialized court system must be introduced in lower instances. Third, the com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must be diversified in terms of social background and variations. The thrust of such a diversified highest court can be guaranteed by the introduction of a qualified majority voting or an intensified quorum in selection of the justices of these highest courts. Also, the jury system or layman justice system is strongly supported to enhance the popular sovereignty in the judicial process. In addition, the jurisdictions of the highest courts are remodelled. While a limited constitutional review of the decisions of the ordinary courts is introduced, the jurisdiction of election litigation is transferred from the Supreme Court in the current constitutional arrangements to the constitutional court. Fourth, considering the unsatisfactory development of South Korean judicial system featuring built-in bureaucratization and centralization, it is proposed that the judicial administration must be democratized and decentralized.

      • KCI등재

        헌법개정의 정치학 : 87년 체제의 평가와 헌법개정의 조건 및 방향

        김종철 ( Jongcheol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구 법과사회이론연구회) 2017 법과 사회 Vol.0 No.55

        87년 체제의 기본법인 87년헌법을 개정하자는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87년 체제의 역사사회적 본질이나 제도요소의 특질에 대한 신중하고도 실증 적인 분석과 평가는 도외시하면서 정략적이거나 막연한 이미지에 의존한 개헌론은 오히려 개악으로 흐를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87년 체제가 다양한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87년 체제, 특히 정치체제의 헌법적 차원에서 개혁의 필요성이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민주공화주의 원리에 입각하여 견제적 민주주의를 강화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우선 87년 체제, 특히 정치체제는 정부형태를 비롯한 헌법상의 제도요소 외에 정치관계법 등 입법상의 제도요소와 정치문화적 요소에 의해 종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편다. 그 결과 정치권 중심의 개헌론에서 중점을 이루고 있는 5년 단임제정부형태 개헌론이 과장되고 왜곡된 헌법분석과 진단에 의존하고 있음을 논증하고 오히려 국민주권의 실질화를 위한 정치관계법의 정비를 헌법적 차원과 입법적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정치권력의 통제에 유용한 사법권력과 감사제도가 현행헌법하에서 민주공화적 원리하에 정비되어 있지 못한 점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 또한 강조하고 있다. 더불어 정치체제의 위기가 반복되는 것은 중앙집중적 권력구조하에서 권력기관의 일탈에 의한 부정적 영향이 국가공동체 전체에 미치는 강도가 증폭되고 있다는 점에 그 원인이 있음을 지적하고 획기적 지방분권 또한 개헌을 통한 정치개혁의 전제조건임을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헌법제도의 미시적 개량에 집중한 개헌보다는 헌법제도와 하위입법제도 및 정치문화의 유기적 결합을 전제하여 민주공화주의원리에 부합하는 국민참여 개헌, 국민의 정치적 주권을 실질화하는 국민주권강화개헌만이 촛불시민항쟁으로 현직 대통령의 권력남용을 단죄한 시대정신에 부합할 것이라는 점이 강조된다 Recently, a movement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which calls for a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1987, becomes one of main agenda in Korean politics. However, it is doubtful that this movement is backed up by scientific and positivist analyses and prudent evaluation of current constitutional arrangements. The author assumes that the movement, especially initiatives driven by politicians, are motivated by strong partisan or self-interested motivations focused upon the empowerment of the members of the legislature. Needless to say, any constitutional reform should be based upon the cautious and objective evaluation of not only socio-historical backgrounds and spirits but also institutional elements of existing constitutional arrangements. Assuming that the 1987 regime is a multi-dimensional one which cannot be understood by simple and superficial observations of current political realities, the author argues that any constitutional reform, especially the reform of governmental structures, should be designed by a multi-dimensional comprehensive approaches covering not only constitutional forms of governments but also legislative political reforms of the election system and political party system with peculiarities of Korean political culture. In particular, it is stressed that the current constitutional crisis cannot be mainly attributed to institutional arrangements of the 1987 Constitution but to politicians` ignorance or violation of its principles and procedures. From this viewpoint, this article aims to look into what should be reformed from the perspectives of `contestatory democracy` based upon the principles of a democratic republic. The author argues that the current constitutional crisis can be cured by more strengthened checks and balance system in constitutional and statutory arrangements. The required reform includes the intensified devolution of excessively centralized political powers, the election reform toward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nd liberalization of political expressions and associations through legislative reforms of the election law and the political parties law, the decentralization of judicial administration and institutional independence of audit and inspection system. In conclusion, the author points out that above all of the substantive reform agenda, the most important elements leading the constitutional reform movement to its success will be the issues like how to reflect the peoples` will in this field and how to enable their participation in the constitution-making.

      • KCI등재후보

        영국 지방선거에서의 공정선거 확보방안

        김종철(Jongcheol Kim) 유럽헌법학회 2010 유럽헌법연구 Vol.7 No.-

        영국의 지방자치제도는 수백년의 역사적 전통속에서 매우 복잡한 체제를 유지해 왔는데, 최근 헌정현대화의 흐름속에서 지방자치개혁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지방자치제도의 복잡성에 따른 한계에도 불구하고 지방선거제도는 자유선거를 원칙으로 하면서 선거비용 규제 등을 통해 공정선거를 구현하기 위한 제한적인 보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유권자의 표현의 자유와 후보자와 정당의 선거운동의 자유는 최대한 보장하면서 금전적 불평등에 의한 과열선거를 방지하고 유권자와 후보자의 자발적인 참여에 기초한 자유로운 선거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선거관리인제도, 유급선거운동원고용금지, 선거감시인제도, 기부제한, 선거관리위원회제도 등이 그 주요한 특징이다. 특히 우편투표의 확대나 전자투표에 대한 실험과 같이 국민의 참정권을 확대하기 위하여 기술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물론 이와 같은 변화에 따른 선거부정의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대처하면서 참정권의 확대와 자유로운 선택권의 가치를 최대한 배려하는데 인색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확고히 하고 있다. 이는 선거에 있어서 자유와 공정의 두 가치 가운데 무엇이 원칙이고 무엇이 수단인지를 철저히 보여주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Local government system in Britain is very complex and diffused as a result of gradual institutionalization over the decades. Despite of these limitations, the principle governing local election has continued to be complied firmly with the first principle of election in liberal democracies: the election should be free and fair.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part of electorates and free campaigning of candidates are fully guaranteed in the electoral process with exceptional restriction focussed not only on the prevention of financial inequality but also on voluntary participation of electorates and candidates. Main features of local election regulation include election agent system, voluntary canvassing, election observer system, restriction on donations and gifts, cap on election expenses, and the newly established electoral commission and so on. In particular, the adoption and adap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o the election process like the expansion of postal voting and introduction of electronic voting system can be noted. Although these new means of voting may cause new types of wrong-doings in election, the Britain seems to strike the balance in favor of the positive effect of new technologies towards the easy participation and free choice of voters. British way of maintaining fairness in local election verifies that election regulation for the purpose of fairness is envisaged to contribute to the maximization of free election so that it should not amount to the extent that free choice of electorates and free campaigning of candidates can be hindered excessively.

      • 권력구조 개헌의 기본방향과 내용

        김종철(Jongcheol Kim)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18 법학평론 Vol.8 No.-

        6월민주항쟁의 결실인 1987년 헌법체제는 미완의 민주화였다. 대통령직선제를 쟁취하고 헌법재판제도의 도입을 통해 기본권이 강화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주권자 국민의 정치참여를 억압하는 제도와 관행이 지속되는 민주적 결핍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나아가 과도한 중앙집권적 권력구조를 권위주의체제로부터 답습하고 있으므로 대의권력간 견제와 균형의 원칙을 실현하는데도 제도적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따라서 87년헌법개정, 특히 권력구조의 개헌론은 주권자 국민의 정치적 견제권을 강화하고 국가권력간 견제와 균형의 관계를 정립하는 방향, 즉 견제적 · 균형적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정치권력간의 견제와 균형, 혹은 분권과 협치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통령제를 근간으로 하는 정부형태가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헌정의 경로와 역사사회적 조건도 이원정부제와 같은 다른 대안보다는 대통령제에 유리한 배경을 이루고 있다. 한편 대통령제의 구조적 문제점인 분점정부하의 정치적 교착의 빈발이나 여대야소체제하의 독재적 경향은 권력통제권력인 사법권력과 감사권력을 민주화하고 분권화하여 독립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고 지방분권을 확대하여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런 권력구조는 민주공화국 헌법정신인 더 강한 민주주의, 더 많은 자유와 권리의 보장, 경제민주화와 사회복지가 구현되는 공동체를 구현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proposals and ideas of constitutional reform in the light of contestatory and balanced democracy. “1987 Constitutional System” resulted from the Democratic Uprising of June 1987 can be said a uncompleted reform. First of all, although it introduced both a direct presidential election replacing a corrupted and manipulated electoral college system and a strong constitutional rights protection scheme, it has failed to consolidate fre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people in political process. In addition, a strong criticism has been consistently raised that it featured a overly centralized political system and the lack of independence of power-control institutions such as the judiciary and audit branch. It is argued that an ideal of contestatory and balanced democracy pertaining to not only democratic authorization by people of state powers but also sufficient contestation of powers can be taken as a vision for constitutional reform. Given that, the author attempts to support a democratic presidential system vis-a-vis a hybrid dualist government system or cabinet system.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inherent problems of the presidential system such as the dangers of divided government and/or authoritarian tendency can be structurally mitigated by the introduction of constitutional schemes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stronger democracy, the strengthened protection of individual’s constitutional rights and the enriched social welfare and economic democratization.

      • KCI등재

        공화적 공존의 전제로서의 평등

        김종철(Jongcheol Kim)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3

        이 연구는 평등이 형식적 평등(formal equality)과 실질적 평등(substantive equality)의 두 차원을 내포하는 이념임을 전제하고, 한국 헌법의 현실은 이러한 평등가치가 형식적 평등을 중심으로 불균형하게 실현되고 있으며, 그러한 평등가치의 불균형 실현은 헌법이 채택하고 있는 평등의 정치철학적 기초 및 그에 토대를 둔 정치공동체의 위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데 그 근본원인이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평등의 정치철학적 기초를 규명하여 한국 사회가 당면한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개선하는 헌법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두 가지 가정을 논증하고 있다. 우선 헌법이 상정하고 있는 평등이 단순한 기회의 평등과 자의적 차별금지라는 형식적 평등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한 국가의 적극적 기능을 요구하는 실질적 평등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이 두 가지 차원의 평등, 즉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평등의 관계, 이를 기초하고 있는 헌법적 인간상, 평등과 함께 헌법적 인간상의 양대축을 형성하고 있는 자유의 성격 혹은 이 두 가치를 포괄하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의미,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보장할 의무를 가진 국가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논의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전개시킬 정치철학적 기초를 공화주의적 평등론에서 찾는다. 이 연구에서 공화주의적 평등론은 롤즈나 드워킨의 평등주의적 자유주의의 평등론과 루소식의 평등주의적 평등론을 승화시킨 정치철학적 비전으로 비지배적 자유와 적극적 혹은 능동적 자유에 기초한 공공의 시민적 자발성이 활성화되어 사회적 불평등을 구조화하는 법적 사회적 폐습을 일소할 목적을 가진 국가의 광범위한 형성적 작용을 정당화한다. This paper assumes two arguments. First, the principle of equality should be conceived to cover not only the idea of formal equality but also that of substantive equality. Formal equality centers on the equality of opportunity and non-discrimination which tend to neglect or ignore substantive differences in human conditions and social realities while substantive equality attempts to provide substance to the concept of equality. Second, the unsatisfied reality that equality as formal equality dominates equality discourses in Korea can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a comprehensive and basic political philosophic understanding of equality though it is well embedd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This represents a distorted constitutional ideal and practices of the democratic republic. This paper also tries to demonstrate that if egalitarian approach seeing equality as the basic virtue of the democratic republic is equipped with a republican concept of liberty as non-domination and self-help, it can be a stepping stone to reformulate the principle of equality as the basis of a republican co-existence by way of enhancing substantive equality.

      • KCI등재

        친일진상규명법에 대한 헌법적 검토

        김종철(Kim, Jongcheol)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1

        친일진상규명법은 친일반민족행위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여 “역사의 진실과 민족의 정통성을 확인하고 사회정의 구현에 이바지함”을 입법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친일반민족행위의 ‘반헌법성’(혹은 그 이면으로서의 민족의 정통성을 확인하고 사회정의를 구현하는 것의 ‘헌법합치성’)을 선결과제로 요구한다. 그런데 친일반민족행위의 반헌법성은 근원적 헌법문제와 연계되어 있다: 첫째, 대한민국의 헌법적 기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둘째,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이후 대한민국 역대헌법의 연속성과 단절성을 어느 범위에서 인정할 것인가? 셋째, 친일반민족행위의 원인을 제공한 국권침탈과 식민통치의 주체인 일본제국주의의 헌법적 성격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헌법의 근간에 대한 신중한 성찰을 요구하는 헌법적 쟁점 외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연좌제의 문제, 평등권 침해의 문제, 과잉금지원칙 위반문제 또한 단순한 형식법논리를 넘어서서 체계적인 헌법이론적 검토를 요하는 사안들이다. 이 글은 이처럼 친일진상규명법을 중심으로 친일관련법제에서 제기되는 헌법적 문제들을 일별하고 그 해결점과 개선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친일반민족행위는 현행 헌법공동체인 대한민국이 승계한 한민족공동체의 공동가치인 자주독립의지를 부인한 행위로 그 공동체에 대한 반가치성은 이후의 헌법공동체를 통해 줄곧 유지되어 왔다고 평가한다. 따라서 친일진상규명법의 친일진상규명활동의 헌법적 정당성은 확보되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친일진상규명활동이 구체적으로 연좌제의 문제, 평등권 침해의 문제 등을 통하여 현행 헌법이 설정한 국가권력발동의 한계요건을 여하히 준수하였는지가 현실적으로 문제될 수 있는데 필자의 판단은 헌법적 한계요건을 준수하였다는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constitutional issues related to the Special Law on the Inspection of Collaboration for the Japanese Imperialism(hereinafter “SLIC”). SLIC was made to restore national legitimacy and the historical truth as well as to materialize the social justice by way of clarifying the truth of pro-Japanese Imperialism and anti-national activities, which has been delay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1948. The constitutionality or constitutional legitimacy of SLIC basically depends upon the counter-constitutional nature of pro-Japanese Imperialism activities. The author argues that pro-Japanese Imperialism activities cannot be compatible with the will of national independence which has been unceasingly a supreme common value of Korean states existed in Korean Peninsular. The author also argues that no reasonable reasoning can be found in the challenges against some provisions of SLIC on the ground of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rules such as prohibition of a “guilt-by-association” system, equal protection before the law,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 교원단체의 법적 지위와 관련한 교육법적 문제

        김종철(Kim Jongcheol) 한국교육법학회 2005 韓國敎育法硏究 Vol.8 No.2

        이 글은 교원단체의 법적 지위를 교육법적 시각에서 법해석론과 법정책론적 방법론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교육현안해결의 토대를 마련하고 궁극적으로 교육문제의 논의와 관련된 혼란을 최소화하는데 일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글은 우리 헌법이 교육권보장을 위한 주권자인 국민의 결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국민대표기관인 국회가 구체화하도록 위임하고 있는 사실로부터 교육법의 공법적 성격을 밝히고 그 기본원리를 도출한 다음, 그 전제위에 교육법상 설립된 교육당사자로서의 교원단체의 법적 형태와 법적 지위를 규명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현행 교육법체계에서 교원단체는 교육당사자로서 교육의 진흥과 문화의 창달을 위한 공적인 활동을 요구받는 한편 교원의 경제적ㆍ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익집단으로서의 기능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교육법체계가 교원단체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지 못함으로써 교원노조법의 제정이후 가속화된 교육공동체의 불안정화에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가 교육기본법상의 교원단체와 관련된 법령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교원단체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령을 제정하고 교원지위법과 교원노조법 등 관계법을 정비하여 교원단체와 교원노조의 법적 위상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원단체의 단체교섭 및 단체행동권을 강화하고 정치적 활동의 자유를 허용하면서 동시에 그 같은 위상강화에 대응하는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교원단체의 민주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모색하여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legal status of teachers' associations as a professional group different from trade union under education law and setting force some proposals to ease confrontational situ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Teachers' association in the present legal system has an ambivalent status. On the one hand, it is envisaged to perform public functions to promote educational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on the other hand, it is treated as an interest group to promote private economic and social interests of teachers. This ambiguous legal stance about the legal status of teachers' associations causes instability of education community, especially since the legal recognition of teacher's union as a trade union. Therefore, there is a strong need for reform in the legal regime governing teachers' associations. The reform should direct towards the clarification of legal status of teachers' association, including its relationships with the State and other social entities such as teacher's union. It is argued that the reform should take a double track. On the one hand, teachers' association should be given the right of collective bargaining and actions as well as the right to political activity. On the other, certain mechanisms should be introduced to strengthen internal democracy to enhance accountability corresponding to fostered legal status.

      • 박재삼 시의 <흥보가> 변용(變容)에 대하여

        김종철 ( Kim Jongcheol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9 No.-

        Jae-sam Park(1933~1997), a Korean modern poet, wrote several poems such as < Image of Heungbu couple >, < The Poverty of Heungbu >, < At a Poor Alley >, and < The Sunlight and Wind of Heungbu > using < Heungbo-ga >, a piece of pansori, as material. His writing principal in poetic representation of Korean pre-modern novel was an new and characteristic interpretation of material. In these poems, he focused the poverty and tear of characters in < Heungbo-ga >, disregarding theme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nd he described characters, Heungbo and his wife, as persons who have pity on each other suffered from poverty. Also he transfigured characters from the persons working hard to overcome poverty and bearing resentment against misfortune into the persons accepting poverty as fate. In addition, he regarded the tears of characters as a righteous way to live in poverty. Finally he interpreted the poverty and tears in the view of nature, transcendental deity, and the Gospel of Matthew. Alike in his other poems, in these poems he used tears and poverty of characters to pursue the beauty of sadness.

      • KCI등재

        사법제도의 개정 필요성과 방향

        김종철(Jongcheol Kim)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3

        그동안 헌정개혁의 논의는 입법권과 행정권과 같은 정치권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사법작용의 활성화는 입법권과 행정권에 대한 중요한 제어기제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법에 의한 국가권력통제기제의 발전은 입헌 민주주의 발전의 시금석이다. 특히 국가의 주요한 정책결정이 정치과정이 아닌 사법과정으로 해소되는 현상으로서의 정치의 사법화(judicialization of politics)가 헌정운영의 주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는 시점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현행 헌법의 사법권력에 관한 규정은 한국입헌주의의 맹아기에 사법권력의 본질에 대한 전문적 인식이 결여된 채 도입된 것이다. 권위주의 시대를 거치면서 독재권력에 대한 사법전문가의 종속 혹은 협력관계를 강화하여 자유민주주의를 강화하기는 커녕 오히려 압박하는 체제로 잉태된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현행 사법권력구조는 민주화와 자유화에 따른 조건과 상황의 변화를 수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측면이 적지 않다. 예컨대, 합의제의 정신을 살리지 못하도록 과도하게 대법원장에게 집중된 권한들, 다른 헌법기관의 구성에 대법원이라는 기관의 대표성이 아니라 대법원장의 지위에서 관여하도록 된 규정들, 전문성의 원리에 과도하게 집중하여 사법정책의 최고결정기구이자 집행기관으로서의 대법원의 폐쇄성을 초래할 수 있는 헌법의 법문들,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에는 미흡한 구성방법, 국민의 참여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사법제도, 사법권력의 독립을 본질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사법의 관료화와 중앙집권화를 촉진하는 제도들이 그러하다. 이 글은 2009.8. 국회의장 자문기구인 헌법연구자문위원회가 제출한 결과 보고서(이하 ‘자문위 보고서’)에 제시된 사법권력관련 규정의 개헌논의를 주요 소재로 하여 입헌민주헌정에서의 사법의 핵심가치인 민주적 정당성, 전문성, 독립성을 기준으로 개헌논의에서 사법제도는 어떤 방향으로의 개선이 필요한 지를 개괄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검토의 방향으로는 사법권력의 분권화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대법원과 헌재의 구성방법, 내부조직의 구성, 사법권력간의 권한배분에 관한 세부적인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법관인사제도의 개혁, 상고허가제의 도입, 참심제와 배심제의 도입, 재판소원의 제한적 도입, 특별법원제도의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필자는 원론적인 차원에서 현행 헌법의 사법권력조항이 가진 문제점을 지적하면서도 현실정책론적 차원에서 개헌이 사법개혁의 유일한 수단이 아님을 강조하고 진정한 사법개혁은 국민의 인식의 개선과 입법등 현실정치적인 제도개선을 필요조건으로 함을 지적하고 있다. This article has two purposes. First, it aims to summarize a variety of judicial reform agenda including proposals by the Advisory Committee for Constitutional Revision for th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Second, it aims to provide some critical reviews and suggestions about the proposed reform agenda in terms of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levancy with constitutional revision. What were taken on board to be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how to organize the judiciary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democracy and judicial independence, (2) how to restructure the judiciary towards a more democratic and accountable institution, and (3) how to allocate judicial powers among arguably competing institutions, especially the ordinary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or other, if any, special tribunals). A number of specific issues looked into under these three categories include whether or not constitutional revision is necessary for jury system or Schöffengericht, permission to appeal, constitutional complaint for judicial decisions, special tribunal and so on to be implemented in Koran constitutional arrangement. Although, in this article, the author acknowledges that constitutional revision for judicial reform has a number of merits to democratize constitutional institutions and enhance the rule of law in Korea, he also points out that it cannot be a panacia for judicial reform which will accomplish its goals only together with both supplementary legislative activism and civil will formation towards the better constitutional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