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먼 조울증

        김종영(Jongyoung KIM)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2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의 담론에 깊이 자리 잡은 포스트휴머니즘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한 반응은 한편으로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자율자동차, 알파고 등 새로운 과학기술사회에 대한 열광을, 다른 한편으로 인류세의 도래, 생명의 자본화, 무인살상로봇 등이 보여준 충격과 파국을 포함한다. 한 마디로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조울증이다. 포스트휴먼 조울증은 정신분석학적 진단이라기보다는 사회적 담론의 욕망과 무의식에 대한 해석이다. 이 논문은 우선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을 간략하게 파악하고 포스트휴먼의 세 가지 방식, 곧 동물-되기, 지구-되기, 기계-되기를 논의한다. 그런 다음 4차 산업혁명과 트랜스휴머니즘에 대한 반응을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한 대표적인 조증으로 분석하고 인류세의 파국주의를 대표적인 울증으로 진단한다. 4차 산업혁명이 경제성장과 인간초월을 노래하는 포스트휴먼 복음(복된 소식)이라면 인류세는 지구파멸을 예언하는 포스트휴먼의 요한 묵시록이다.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롤러코스터로 인한 조울증이 과학기술, 행위자, 자본주의에 대한 전체화의 경향성과 과잉결정론 때문에 발생한다고 진단한다. 조증으로서의 4차 혁명과 울증으로서의 인류세는 헤게모니적 이론화로 인해 거울 이미지가 된다. 곧 포스트휴먼 조울증은 4차 산업혁명의 유토피아와 인류세의 디스토피아 사이를 오간다. 끝으로 이 논문은 대안적으로 ʻ천천히 이론하고 실천하기ʼ를 제시하고 포스트휴머니즘이 어떻게 유토피아 없는 사상-되기의 실험이 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posthumanism, which is deeply positioned in the discourse topography of Korean society. On the one hand, the reaction to the posthuman world showed enthusiasm for new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y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utonomous cars, and AlphaGo, and on the other hand, the advent of Anthropocene, capitalization of life, and unmanned killing robot, Includes shock and catastrophe. In short, our reaction to the posthuman world is bipolar. Posthuman bipolar disorder is not a psychoanalytic diagnosis, but an interpretation of the desire and unconsciousness of social discourse. This paper briefly grasps the topography of posthuman discourse and discusses three ways of posthumans: becoming-animal, becoming-earth, and becoming-machine. Then, the reaction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ranshumanism is analyzed as a representative mania for the posthuman world, and the catastrophe that Anthropocene predicts is diagnosed as a representative depression. I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posthuman gospel (good news) that sings about economic growth and human transcendence, Anthropocene is the posthuman apocalypse that predicts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This article diagnoses that posthumanismʼs roller coaster bipolar disorder is due to the totalizing tendency and over-determinism of techno-science, agency, and capitalism. Consequent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manic and Anthropocene as depression is a mirror image due to hegemonic theorizing.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lternatively ʻslowing down theory and practiceʼ and explores how posthumanism can be an experiment of becoming-thought without utopia.

      • KCI등재

        글로벌 문화자본의 추구

        김종영(Kim Jongyoung)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6

        미국 유학은 교육, 직업, 사회적 위신과 관련하여 한국사회에서 첨예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이 주제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는 드물다. 이 논문은 미국의 한 연구중심대학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한국 유학생 총 50명을 심층 면접하여, 왜 이들이 유학을 선택했으며 이러한 교육적 포부가 그들의 가족, 학력 직업 배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한다. 심층 면접을 통한 이들의 유학 동기는 (1) 사회적 지위의 상승 수단 (2) 글로벌 학문의 중심에서 배움 추구 (3) 학벌차별, 성차별, 대학문화의 비민주성으로부터 탈출 (4) 코스모폴리탄 엘리트가 되고픈 욕망, 이렇게 네 가지로 분류된다. 이론적으로 필자는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을 글로벌 영역으로 확장시켜 글로벌 문화자본의 개념을 제시한다. 여기서 필자는 미국 유학 현상을 글로벌 문화자본의 형성과 대학과 학계의 글로벌 위계 속에서 분석하는 동시에 이를 한국대학과 학문생산의 구조, 한국사회에서 학력과 사회지위구조, 그리고 학문수행에 있어서의 미시적 상호작용과 개인의 심리적 차원과의 연결 속에서 파악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미국 유학 현상이 글로벌, 내셔널, 로컬의 차원들과 어떻게 동시에, 관계론적으로, 그리고 다차원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The American degree has become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and social prestige in Korean society, but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rarely on this increasingly serious social issue. I understand achieving the US degree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global cultural capital in the global university ranking. Empirically, in order to delve into their motivations for studying in the U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50 Korean graduat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research-centered university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In these interviews, I sought to understand how their motivations are connected with their family, school, and occupational backgrounds. I classify their motivations for earning the US degree within four categories: (1) enhancing their class positions and enlarging their job opportunities, (2) pursuing learning in the global center of learning, (3) escaping the Korean Hakbul system, gender inequality, and an undemocratic university culture, and (4) fulfilling desires to become cosmopolitan elites. Theoretically, this paper attempts to extend Pierre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capital into the field of global education. Through this empirical study, I argue that the phenomenon of 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y in the US reflects multiple desires and cultural assumptions regarding individual motivation and psychology, daily interactions in university settings, the Korean university system, and the global university ranking.

      • KCI등재

        ‘황빠’ 현상 이해하기

        김종영(Kim Jongyo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6

        이 논문은 문화기술지(ethnography) 방법론을 통하여 황빠 현상의 심층 이해를 시도한다. 첫째 이 글은 기존에 있었던 황빠에 대한 급조된 심리학적ㆍ사회학적 해석들의 한계를 지적한다. 스톡홀름 증후군, 인지 부조화 이론, 믿고 싶은 정보 이론, 유사 파시즘론 등은 황우석 사태를 탈맥락화시켜 황빠 현상이 발생하는 사회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는다. 둘째 이 논문은 방법론적으로 장기간의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하여 황빠들이 왜 황우석을 지지하고 어떤 활동을 펼치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황빠들의 황우석 사태의 해석과 그들의 문화를 통해 ‘황빠’ 현상을 다차원적이고 상호연관된 문화적ㆍ정치적 맥락 속에서 분석한다. 황빠 현상은 공중의 과학 이해와 참여의 한 방식인데 이것은 인지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치적, 도덕적, 감성적 요소들의 복합적 상호작용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황빠’ 현상은 (1) 민족주의적 열망과 미래주의적 비전에 기반한 황빠들의 집단적 감성 (2) 한국 사회 체제에 대한 불신의 문화 (3) 황우석 사태의 복잡합과 이해하기 어려움 (4) 황빠들의 통찰 없는 박식함과 사회과학적 환원주의 (5) 언론의 애국주의, 경제주의, 미래주의 담론의 유포 (6) 정부의 줄기세포연구 거버넌스의 실패, 이 여섯 가지 요소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이 논문은 황빠 현상을 음모의 문화와 책임전가의 정치로 특징짓는데 이는 사회체제와 권력 집단에 대한 불신에 기반하는 것과 동시에 민족주의적 욕망, 미래주의적 비전, 민주주의적 가치 사이의 긴장과 모순 속에서 발생한다. This ethnography investigates how Hwang Woo Suk supporters are organized, the motivations behind their support for Dr. Hwang, and the activities conducted by this group. Theoretically, this paper refutes previous interpretations of Hwang supporters which are based primarily upon hasty psychologizing. Instead, informed b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 I connect the Hwang supporter phenomenon with diverse socio-technical relations emerging during the course of the Hwang Affair. By doing so, I aim to understand the new formations of discourse and activism in the multi-layered processes of friction among science, media, government, and public. My fieldwork consisted of online and offline participant observation from November 2005 to May 2007. In addition to observation of online activities, I participated in street demonstrations, seminars, strategy meetings, and other meetings and events organized by Hwang supporters. Furthermore, I interviewed 18 supporters and 7 other people who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Hwang affair. In order to critically examine Hwang supporters, various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lements are taken into account: (1) Hwang supporters' collective ethos including nationalistic passion and futuristic vision, (2) the culture of distrust in Korean society, (3) the complexity and unintelligibility of the Hwang Affair, (4) Hwang supporters' semi-erudition and social scientism, (5) the media's role in disseminating discourses such as nationalism, futurism, and economics, and (6) the Korean government's failure to regulate stem cell research. This paper argues that the emergence of the Hwang scandal-related conspiracy is connected to a greater Korean cultural phenomenon questioning the quality of Korean democracy and society. I contend that Hwang supporters’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is ongoing culture of distrust exhibit an identity crisis that stems from tensions among nationalistic passion, futuristic vision, and democratic values in Korea.

      • KCI등재

        대항지식의 구성 : 미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운동에서의 전문가들의 혼성적 연대와 대항논리의 형성

        김종영(Jongyoung Kim)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1

        이 논문은 2008넌 미 쇠고기 수입으로 촉발된 촛불운동에서 정부의 논리에 반하는 대항지식이 대항전문가들(Oppositional experts)의 혼성적 연대를 통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분석한다. 촛불사태에서 광우병에 대한 과학적 지식과 정책이 논란의 중요한 쟁점으로 떠올랐으며 이는 전문지식의 정치화로 이어졌다. 광우병 논쟁은 절대적 과학적 준거점의 상실 하에 발생하였으며 실재주의/구성주의, 현재/미래, 과학적 합리성/사회적 합리성, 사실/가치가 뒤섞여서 진행되었다. 정부의 논리와 대항지식 간의 대결 과정에서 대항전문가들의 역할은 촛불운동을 구성하는 중요한 힘으로 작동했으며 이들이 생산한 대항논리들은 촛불운동의 정당성을 제공하고 미 쇠고기 재협상을 위한 구체적인 논거로 작동했다. 이론적으로 이 논문은 지식사회학(좁게는 과학기술사회학)과 사회운동론을 결합시켜 전문지식의 정치화, 전문가-시민의 연대, 사회세계-자연세계의 잡종화, 과학기술의 불확실성과 같은 개념들을 건설적으로 수용한다. 경험적으로 이 논문은 촛불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전문가를 중심으로 심층 면접하여 이들의 활동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 동시에 이들이 작성한 다양한 종류의 자료들(책, 과학논문, 회의록, 학회발표자료, 기자회견, 신문사설, 성명서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사회운동에서의 전문지식의 정치화를 지식사회학과 사회운동론의 결합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둘째, 촛불운동을 전문가/시민, 운동/비운동 온라인/오프라인, 로칼/내셔널/글로벌, 자연과학/사회과학/정책의 경계를 뛰어 넘는 탈경계운동(trans-boundary movement)으로 해석하는데 여기서는 특히 지식생산의 탈경계성이 강조된다. 셋째, 촛불운동에서 전문가들의 혼성적 연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이들이 어떻게 조직되는지 분석할 것이다. 넷째, 촛불운동에서의 전문가들의 활동과 대항논리의 전개를 6개의 세부주제로 나누어 다루고 대항논리의 강화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다섯째, 대항전문가들이 촛불운동 참여를 계기로 전문지식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전문가 체계를 어떻게 성찰적으로 바라보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탈경계운동과 현대정치에서 전문가들의 혼성적 연대가 강력한 대항무기로 작동하며 앞으로의 사회운동에서는 전문가/시민 자연과학/공학/사회과학, 과학/정치, 운동/비운동을 뛰어넘는 탈경계지성이 요구되어짐을 강조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diverse oppositional experts forged a hybrid alliance and oppositional logics in the candlelight protests caused by the Korean government's sudden decision to import American beef in 2008. During the candlelight protests, scientific knowledge and policy decisions concerning mad-cow disease became central issues, leading to the politicization of expert knowledge. The debate on the BSE risk of American beef took place without absolute scientific certainty because the BSE risk itself operates in complicated and hybrid realms bridging realism/constructivism, present/future, scientific rationality/social rationality, and fact/value. In this situation, oppositional expert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constructing the candlelight movement because they produced legitimate oppositional logics to contest Korean government policies. Theoretically, this paper combines relevant concepts from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from social movement studies, including expert/citizen alliances, the politicization of expert knowledge, hybridization between social and natural worlds, and the uncertain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mpirically, this work draws on 34 qualitative interviews in which I focus on experts' activities and knowledge-making. I also rely on a variety of other data - books, scientific papers, presentation materials, articles in newspapers, public statements, and press conferences. In the body of this paper, I first theoretically analyze the politicization of expert knowledge in social movements by combining the literatures of 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al movements. Second, interpret the candlelight protest as a trans-boundary movement which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movement/non-movement, expert/citizen, online/offline, local/national/global, and natural science/social science. In this part, I particularly emphasize the hybrid formation of expert knowledge. Third, I analyze how the hybrid alliance among diverse experts was formed and how they organized their expertise and resources. Fourth, I examine the deployment of oppositional logics in six realms and its consolidation process. Fifth, I analyze how oppositional experts reformulate their expert knowledge and how they reflexively judge the expert system in the wake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candlelight movement. In conclusion, I argue that experts' hybrid alliance plays significant roles in trans-boundary movements; attention to their hybrid intelligence, which goes beyond and eludes the typical binaries of expert/citizen, natural science/social science, science/politics, and movement/nonmovement, will be required to understand social movem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반올림 운동과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

        김종영(Jongyoung Kim),김희윤(Heeyun Kim)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09

        ‘반올림(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 반올림) 운동’은 2007년부터 현재까지 8년여가 넘는 기간 동안 진행되면서 한국의 노동안전보건의 민낯을 드러내왔다. 반올림 운동은 한국 사회에 노동안전과 노동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일대 충격파를 던진 사건으로 언론에서 상당한 비중으로 다루어졌으나 학계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이 논문은 반올림 운동을 체화된 노동보건운동과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이라는 두 측면에서 분석적으로 이해한다. 반올림 운동의 복잡다단한 전개는 노동환경과 노동자 건강에 대한 지식의 불확실성과 사후성, 그리고 노동자 건강과 산업안전보건의 정치경제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반올림 운동은 개인의 질병으로 치부될 뻔한 반도체 산업 노동자의 질병을 사회적 발견을 통해 집단적, 정치적 질병으로 밝혀가면서 ‘체화된 노동보건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반도체 산업의 직업병 인정의 난해함과 복잡성은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에 기인한다. 다시 말해 반도체 산업질병은 노동자 건강을 둘러싼 정치적, 경제적, 과학적 체계의 불평등과 연관된다. 이 다차원적 불평등은 노동환경에 대한 기업(삼성)의 통제와 알 권리의 독점, 제한된 정보에도 불구하고 노동자에게 전가된 입증책임의 원칙, 산업질병을 연구하는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엄격한 인과성의 적용, 행정부의 보수적인 산재보험보상 운영, 산업재해 판정에 대한 사법부의 엄격한 판단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반올림 운동 과정을 통해 반도체 산업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은 증거가 쌓여감으로써 노동환경과 노동자 질병에 대한 원인주의적 판단보다 상당인과관계가 설득력을 얻고,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이 점차 제도적으로 포용되었다. 따라서 반올림 운동은 한편으로는 노동환경에 대한 지식의 불확실성 속에서 다른 한편으로 자본, 권력, 지식의 다층적 비대칭성 속에서 이해돼야 한다. 결과적으로 반올림 운동은 노동자 건강과 노동환경을 둘러싼 산업체계, 보험체계, 과학체계, 법률체계의 모순을 드러내고 제도 개선을 요구한다.

      • KCI등재

        로봇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프레임워크 수준 결점관리 방안

        김종영(JongYoung Kim),윤희병(HeeByung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7 No.9

        자율로봇은 일반적으로 임베디드 기반의 실시간 및 데이터 집약적인 특성을 지니며 안전성, 신뢰성 그리고 결점감내와 같은 시스템 속성을 보장해야 한다. 컴포넌트 기반 로봇의 경우, 컴포넌트를 실행하고 관리하는 프레임워크 차원에서 결점을 관리할 필요가 있으나 대부분의 로봇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가 결점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경제부 주관으로 개발되고 있는 로봇 표준 플랫폼인 오프로스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차원에서 컴포넌트의 결점을 탐지, 진단, 고립 및 복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로봇 컴포넌트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결점을 프레임워크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함에 따라 응용개발자의 부담을 감소시켜주고 컴포넌트 기반 로봇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오프로스 컴포넌트를 활용하여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을 구현하고 결점주입(Fault Injection) 기법을 활용하여 실험한다. 실험 결과,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에서 컴포넌트 결점을 효율적으로 탐지, 진단 및 복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ftware for autonomous robotics is typically embedded based realtime, and dataintensive and must guarantee system properties such as safety, reliability, and fault tolerance. In component based robo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mon, framework-level fault management. However, the majority of existing robot software frameworks has failed to provide systematic fault management featur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ult management method to detect, diagnose, isolate and recover faults based on the OPRoS software framework.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 collective, framework-level management for commonly encountered robot software faults, thereby reducing the application developers’ efforts while enhancing the robot system reliabili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we implement a prototype reconnaissance robot using OPRoS components and injected different types of faul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have shown that our approach effectively detect, diagnose, and recover component faults using the software framework.

      • KCI등재

        경계 작업에서 인프라 작업으로: 혼종 한의학과 의료기기 사용 분쟁의 정치

        김종영(Jongyoung Kim),박현준(Hyunjun Park),이광호(Kwangho Lee) 한국과학기술학회 2021 과학기술학연구 Vol.21 No.1

        전통의학과 양의학/과학의 경계 설정과 이 둘의 혼종화(hybridization)는 과학기술학의 주요 테마 중 하나로 연구되어져 왔다. 이 논문은 혼종 한의학(hybrid Korean medicine)의 제도적 형성의 과정에서 의료기기 사용의 분쟁 정치가 법적, 정치적, 사회운동적 측면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분석한다. 한의학은 양의학/과학의 오랜 집단적 투쟁의 과정을 거쳤고 이 과정에서 일어난 대표적인 분쟁은 1, 2차 한약분쟁, 천연물 신약 분쟁, 그리고 의료기기 사용 분쟁이다. 한약분쟁과 천연물 신약 분쟁은 오랜 시간에 걸쳐서 일단락되었지만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문제는 2010년대 이후 의료계의 주요 쟁점이 되었으며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우리는 의료기기 사용과 관련된 문헌 분석, 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례 분석, 7개 의대와 4개 한의대의 커리큘럼 분석, 그리고 의료기기 사용과 관련된 전문가 심층인터뷰 등의 연구방법을 종합하였다. 이 논문은 첫째, 개념적으로 혼종 한의학이 권력지형을 동반하는 사회정치적 과정인 동시에 새로운 인프라를 구성하는 창조의 과정임을 설명한다. 둘째,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을 둘러싼 담론 투쟁의 지형을 분석한다. 셋째,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주요 판결을 둘러싼 쟁점을 분석한다. 넷째,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문제의 쟁점의 발달 과정과 2011년 이후의 본격적인 쟁점의 전면화를 설명한다. 다섯째, 의료기기 사용 분쟁의 주요 논쟁점인 학문의 원리, 전문성, 위험성은 한의학의 혁신과 혼종성에 의해 변천되어 왔다는 점을 밝힌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은 한의학의 인프라 권력의 확장의 시도에서 발생하는 법적, 정치적, 사회운동적 투쟁의 과정임을 강조한다. The boundary between traditional medicine and biomedicine/science and the hybridization of the two has been studied as one of the major them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dispute of the use of medical devices is formed in the legal,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 aspects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formation of hybrid Korean medicine. Korean medicine has gone through a long collective struggle against biomedicine/science, and representative disputes arising in this process are the first and second herbal medicine disputes, natural product new drug disputes, and medical device use disputes. The herbal medicine dispute and the dispute on new natural drugs have been settl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but the problem of using medical devices by Korean medicine doctors has become a major issue in the medical field since the 2010s and remains unresolved. For this study, we synthesized research methods such as analysis of literature related to the use of medical devices, analysis of legal cases in courts and constitutional courts, curriculum analysis of 7 medical schools and 4 Korean medicine school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related to the use of medical devices. This article first, conceptually, explains that making hybrid Korean medicine is a socio-political process that accompanies the powerscapes as well as a creation process that constitutes a new infrastructure. Second, it analyzes the topography of the discourse struggle over the use of medical devices by Korean medicine doctors. Third, it analyzes the issues surrounding major legal judgments on the use of medical devices by Korean medicine doctors. Fourth,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ssue of the use of medical devices by Korean medicine doctors and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the issue after 2011 will be explained. Fifth, it is revealed that the principle, expertise, and risk of study, which are the main debates in the dispute on the use of medical devices, have been transformed by the innovation and hybridity of Korean medicine. In the final conclusion, it is emphasized that the use of medical devices by Korean medicine is a process of legal,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 struggles arising from attempts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power of Korean medicine.

      • KCI등재

        로봇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실행 모니터링/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방안

        김종영(JongYoung Kim),윤희병(HeeByung Yoon)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7 No.11

        As robotics systems are becoming more complex there is the need to promote component based robot development, where systems can be constructed as the composition and integration of reusable building block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facing component based robot development is safeguarding against software component failures and malfunctions. The health monitoring of the robot software is most fundamental factors not only to manage system at runtime but also to analysis information of software component in design phase of the robot application. And also as a lot fo monitoring events are occur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robot software components, a simple data treatment and efficient memory management method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events monitoring and data management method by modeling robot software component and monitoring factors based on robot software framework. The monitoring factors, such as component execution runtime exception, Input/Output data, execution time, checkpoint-rollback are deduced and the detail monitoring events are defined. Furthermore, we define event record and monitor record pool suitable for robot software components and propose a efficient data management metho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a monitoring module and user interface has been implemented using OPRoS robot software framework. The proposed monitoring module can be used as monitoring tool to analysis the software components in robot design phase and plugged into self-healing system to monitor the system health status at runtime in robot systems.

      • 무기체계 내장형SW 적용을 위한 공개SW의 식별 및 선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김종영(Jongyoung Kim),이경수(Kyunsoo Lee),윤희병(Heebyung Yoon),권경용(Kyungyoong Kyun) 한국IT서비스학회 2009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1

        공개SW의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공공부분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국방 분야에서도 무기체계 개발 시 공개SW 적용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무기체계 개발 시 적용할 가이드라인은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 분석, 공개SW 식별, 평가대상 공개SW 선정, 평가기준 정의 및 수행, 평가결과 분석 등 5단계로 구성된 식별 및 선정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향후 무기체계에 공개 SW 도입 시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로봇 컴포넌트의 시간요소 기반 결점탐지 및 진단

        김종영(Jongyoung Kim),김제영(Jaeyoung Kim),윤희병(Heebyung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로봇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차원에서 컴포넌트의 시간요소를 기반으로 결점을 탐지하고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주기적 실행모델을 갖는 로봇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결점과 관련된 4가지 시간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컴포넌트 프로파일에 정상실행을 위한 시맨틱 정보를 확장한다. 그리고 로봇 실행엔진의 실행기에 의해 실행되는 컴포넌트를 모니터링하고 시맨틱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결점을 탐지하고 진단한다. 제안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OPRoS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감시정찰 로봇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결점을 주입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방법은 시간-관련 로봇 컴포넌트의 결점과 컴포넌트 간의 결점전파를 프레임워크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탐지하고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ot software frame-level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method based on component time factors. Four factors representing time-related faults in robot software components with periodic execution model were identified, upon which the component profile was expanded with semantic information defining normal component execution. By monitoring the components executed on a robot execution engine's executor and comparing them with predefined semantic information, we can detect and diagnose faults.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we have implemented a prototype reconnaissance robot based on the OPRoS framework and conducted experiments using fault injection.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ffectively detect and diagnose time-related robot component faults and their propagation between components on the framework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