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머니즘의 의료, 소통과 보살핌의 의철학

        김정현(Kim, Jyung-hyu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2 No.-

        자연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 의학은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오늘날 의사들은 주로 질병상태와 신체적 기능이상에만 관심을 가지며, 환자의 이야기에는 귀를 잘 기울이지 않는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이는 의사들이 환자의 고통 자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며 의술이 차가워졌다는 것을 뜻한다. 여기에서는 의료가 왜 휴머니즘의 전통과 결합되어야만 하는지를 먼저 언급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치료에서 현대 의학이 몰두하고 있는 통증의 완화나 제거가 아니라 환자의 고통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언급하고, 고통의 의미와 의학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더 나아가 이 글은 환자-의사 관계의 핵심에 해당하는 대화의 중요성을 살펴 본 이후 환자의 이야기 혹은 질병의 이야기가 치료과정에서 갖는 의미를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의료는 보살핌의 실존적 소통을 필요로 하는 하나의 실천예술이라는 점을 살펴 볼 것이다. 인간의 고통에 주목하고 고통스러워하는 사람과의 감응을 통해 의학에 온기를 불어넣기 위해서 자연과학으로서의 의학은 인간학과 결합될 필요가 있다. 특별한 실천학으로서의 의학이 환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인간의 고통에 따뜻한 시선을 보낼 수 있을 때 의학은 인간적 모습을 한 휴머니즘의 의료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을 것이다. 휴머니즘의 의학은 과학적 의학적 지식을 의술로 만들 수 있는 능력과 환자를 하나의 인격체로 보살피는 의료인의 인간적 능력이 결합되는데서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의학이 인간을 이해하는 학문으로서의 인문학과 만나는 지점에서 시작한다. 소통과 보살핌의 윤리는 의학에게 새로운 휴머니즘의 언어를 제공한다. 과학적 지식과 인문학적 소양이 결합될 때 의학은 새로운 휴머니즘의 실천학으로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modern medicine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treatment of human diseases and to the life expectancy of humans. Today, however, doctors usually take an interest only in the state of the disease and dysfunction of the body (somatopathology), and will not listen to the story of the patient. This means that the doctors do not accurately understand the pain of the patient, making modern medicine colder. In this paper, I will first mention why modern medicine should be combined with the medical tradition of humanism that was associated with Hippocrates. After that, I will aver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ain of the patient when undergoing treatment, rather than to simply remove the pain, which seems to be the primacy concern of modern medicine. I will then state the meaning of pain and its relationship to medicine. Furthermor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significance of dialogue that lies at the core of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s. It also investigates the implications of the story of the patient or of the illness in the process of treatment.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at medicine is a kind of practical art which needs to be of existential communication of care. Medicine as a natural science needs to be combined with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order to pay attention to the suffering of human beings and to personalize modern medicine through the meeting of the sick or suffering and sharing with them the sensibility of pain. Medicine as a special practice could be born again as human medicine which is characterized by humanism when it listens to the voice of the patient and intimately regards human suffering. Humanistic medicine would begin when scientific medicine is combined with the humanistic capabilities of the physician. Good communication between the physician and patient and ethics of care will provide modern medicine a new language of humanism. Modern medicine will be able to fulfill its role when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training of humanities are joined.

      • KCI등재

        로고테라피와 실존분석의 임상방법 및 철학상담에서의 함의

        김정현(Kim, Jyung-hyun)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20 No.-

        현대인들은 실존적 공허나 삶의 무의미성, 허무감 등 정신적 문제로 고통스러워한다. 로고테라피와 실존분석은 이러한 정신인성 질병에 초점을 맞추는 실존적 심리치료 가운데 하나이다. 이 글은 먼저 로고테라피와 실존분석의 철학적 전제, 즉 차원존재론과 심리학적 근본사상을 살피고 이것이 삶의 의미문제와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 지를 구체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토대에서 로고태라피의 구체적인 임상방법, 즉 역설지향, 탈성찰, 입장조정, 소크라테스적 대담 등을 차례로 논의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로고테라피와 실존분석이 철학상담이나 철학실천과 어떤 연관성을 지닐 수 있는지, 그 임상적 함의를 비판적으로 언급할 것이다. 로고테라피가 철학을 지반으로 성장했듯이, 오늘날 철학의 실천활동이나 철학상담은 반대로 로고테라피나 현대 심리치료의 다양한 성과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의 심층심리학이나 다양한 심리치료들이 철학을 숙주로 삼으며 성장했듯이, 철학도 이제 그러한 심리치료의 귀중한 자원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니체에 있어서의 사고(思考)의 폭력과 우울증, 고통의 치료술

        김정현 ( Jyung Hyun K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1

        In der Gegenwart geht das Sinnlosigkeitsgefuhl mit einem Leeregefuhl einher, das als existentielles Vakuum bezeichnet werden kann. Heutzutage geht es um das Leiden an der Sinnlosigkeit des Lebens, also den Unsinn des Leidens. Im diesem Aufsatz versuche ich zu zeigen, wie der Selbstverlust als eine Krankheit des Unsinnes bei Nietzsche durch die Gewalt des Denkens verursacht und in Verbindung damit eine Art von Depression hervorgebracht wird. Die Fragen Nietzsches, um die hier gehen, sind insbesondere die drei christlichen Verordnungen im Kampf mit der Depression, also die Arbeit als die maschinelle Tatigkeit, die kleine Freude und die Gemeindebildung. Aber Nietzsche kritisiert daran, dass sie keine grundsatzliche Verordnungen, sondern die vorlaufigen Mittel sind. Unter anderem ziehe ich hier Nietzsches philosophisches Therapeutikum in Betracht. Im Zusammenhang mit der hellenistischen Tradition findet Nietzsche als sein Therapeutikum die drei Methoden fur die Heilung wie Katharsis des Affektes, die Kunst von Erinnerung und Vergessen, und Parrhesia heraus. Des Weiteren zeigt er die Verbesserung der Gewohnheit und die bewusste Lebensfuhrung im alltaglichen Leben als eine Art von Seelsorge. Als ein Beispiel der philosophischen Praxis im Sinne Nietzsches wird zuletzt die philosophische Beratung A. Mussenbrocks behandelt. Der Weg der Heilung bei Nietzsche liegt in der Ubung der guten Auslegung uber die Welt, im Prozess, in dem sich der negative Wille in den positiven Willen verwandelt, und in der Verwirklichung des Willens, mit dem man sein Leben schon und gesund fuhrt.

      • KCI등재

        니체의 행복과 치유의 사상

        김정현(Kim Jyung hyun)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5 No.-

        현대인은 욕구의 만족을 행복이라 여기며 행복을 사회심리적 자본으로 관리하는 행복산업시대에 살고 있지만, 동시에 피로, 불안, 우울증, 스트레스 등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현대사회의 문제와 연관해 니체철학이 담고 있는 행복의 문제를 다루었다. 즉 삶에 대한 긍정적 의식, 자기 긍정감(자존감)의 확인이나 삶의 의미 등에 중심을 두고 행복의 문제를 철학적 심리학의 시각에서 접근해 보았다. 먼저 니체에서 행복이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밝힌 이후, 행복과 불행의 관계를 논의해 보았다. 또한 니체의 행복문제가 긍정적 의식(삶의 긍정, 자기긍정, 창조성)과 밀접하다는 것을 조명했으며, 더 나아가 행복이 '현재 여기에'의 일상에서 의미 있게 살아있다는 자신의 존재(생명)에 대한 자각과 감사의 의식이며, 이를 찾기 위해 우리가 일상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를 치유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Der gegenwärtige Mensch hat viele Probleme wie Müdigkeit, Angst, Depression und Stress, obwohl unsere Zeit eine Zeit der Glücksindustrie ist, in der er die Befriedigung der Begierden für das Glück hält und diese als ein sozio-psychisches Kapital reguliert. In Bezug auf das Glücksproblem unserer Zeit versucht dieser Aufsatz das Problem des Glückes in der Philosophie Nietzsches zu behandeln. Hier befasse ich mich mit dem Glück als einem positiven Lebensgefühl, als Sinn des Lebens und als Affirmation des Selbst (Selbstwertgefühl) aus der Perspektive der philosophischen Psychologie. Dieser Artikel erörtert zunächst, was das Glück bei Nietzsche ist, und wie dessen Verhältnis zum Unglück ist. Außerdem behandelt die vorliegende Arbeit, wie das Problem des Glückes bei Nietzsche mit dem positiven Bewusstsein der Bejahung des Lebens, der Affirmation des Selbst und der Kreativität verbunden ist. Hier behaupte ich, dass das Glück ein Lebensgefühl ist, das im Zentrum des 'Hier und Jetzt' des Alltags steht, und zugleich das erweckte Bewusstsein der Dankbarkeit im Alltag ist. Am Ende des Aufsatzes wird die Art und Weise des Von-Tag-zu-Tag-Managements von einem therapeutischen Standpunkt aus behandelt.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철학의 글쓰기와 글쓰기의 철학

        김정현(Kim, Jyung-Hyu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3 No.2

        Reading and writing are the meeting of other people"s thoughts and simultaneously a conversation with oneself. They signify a coming together of the highest spiritual values and the meaning of life as mankind has constructed it. They are the language of self-expression which indicates the life history of man in private or public. Writing is a social action which makes known the thoughts, feelings, and the story of life in man. It is also the mental communication of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excavation of meaning. By writing we meet social others and express public activities which deliver our own thought and intention. Therefore we can say that writing is the self-expression and the internal action of self-recognition. This article aims to treat how philosophy relates to writing and how they are connected with cultural life as a human task. Here I will discuss how medical writing as an art of philosophical writing can be formed. On the other hand, I will also discuss how writing relates to the classics which provide the backbone and the spirit of writing. In conclusion, using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nd self-expression as a clue, I will deal with the meaning of "the philosophy of writing" and discuss how this issue relates to the experiment of thinking and self-creation.

      • KCI등재

        소진(消盡)의 시대와 ‘영혼의 보살핌

        김정현(Kim, Jyung-hyun)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40 No.-

        오늘날 우리가 사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사회로서의 성과사회에는 성과와 물질적 풍요가 있지만 동시에 불안과 피로, 무력감과 소진의 느낌이 함께 공존한다. 20세기 후반 새로 등장한 정보화 사회에도 속도경쟁과 언제 어디서나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적 정보접속의 가능성이 있지만 현실에 존재하는 이웃으로서의 타자에 대한 무관심과 사이버세계에로의 나르시시즘적인 몰입현상이 존재한다. 오늘날 우리는 이러한 두 사회가 중첩된 이중우주 속에 유영하며 살고 있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우리로 하여금 더 많은 일을 하거나 더 빠르게 움직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진공 속에 갇혀버리듯 존재의 불안과 피로를 느끼고 있고 전자매체에 자기중심적으로 몰입함(‘자기몰입’Self-absorption)으로써 사색의 정신공간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인간에 대해, 자기 자신이나 타자의 관계에 대해, 자연과의 관계에 대해, 삶의 의미에 대해, 인간적 가치에 대해 폭넓게 생각할 수 있는 능력과 전망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 오늘날 사람들은 더 이상 자신의 영혼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는다. 불안, 조급함, 부산함, 피로, 소진, 무력감, 우울, 분노, 공격성 등 우리의 몸에 침윤된 이와 같은 부정적인 느낌과 반응을 우리는 해결해야 할 것이다. 니체가 제기하는 ‘사색적 삶’(vita contemplativa)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단서를 줄 수 있다. 사색적 삶이란 고전을 읽는 책읽기에서 시작되기도 하지만, 사색의 시간 속에서 삶에 대해 성찰하고 다양한 의견을 숙고하는 삶의 의미 공간(관점과 의미의 넓이, 높이 깊이)을 확장하려는 노력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사색적 삶을 위해서 그리고 의미가 충일한 삶을 살기 위해서 우리는 자신의 영혼을 보살피고 정신의 근육을 기르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첫째, 영혼을 보살피는 일은 ‘정신의 근육훈련’에서 시작된다. 이는 사태를 정확히 읽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사고훈련이자 자신의 생각에 대한 성찰, 즉 사고의 사고 훈련이다. 둘째, ‘일상의 성찰’이 필요하다. 일상의 성찰법은 로마의 철학자 섹스티우스(Quintus Sextius)가 사용한 방법으로 매일 몸과 마음을 점검하고 다스리는 자기 성찰의 훈련이다. 셋째, 영혼의 훈련은‘내려놓음’(Gelassenheit)의 훈련이기도 하다. 내려놓음은 내가 할 수 있는것과 할 수 없는 것, 내게 중요한 것과 가치가 덜한 것을 구별하는 마음에서 비롯된다. 넷째, ‘생각 바꾸기’(Umdenken)라는 사고 훈련이다. 이는 ‘달리 생각하기’(Andersdenken)의 훈련이기도 하다. 이는 어떤 사태뿐만 아니라 그 사태의 이면도 함께 섬세하게 살피면서 사태를 달리 해석하고(Umdeutung), 문제를 해결하는 긍정적이고 창의적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것이다. 다섯 번째, 사회적 관계로부터 분리되어 점차 원자화되고 개인주의화되는 현대인의 삶에서 마음의 관리에 도움이 되는 길 가운데 하나에는 심리적 조력 혹은 인문학적 소양 조력그룹의 형성 및 만남이 있다. 우리의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산소가 바탕이 되어야 하듯이, 인간이 삶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신적 산소’가 풍부히 있어야만 한다. 이 정신적 산소는 자연에서처럼 그렇게 무한하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자가생산해야 하는 인문학적 자원이며 영혼의 보살핌과 마음의 관리를 통해 더욱 풍부해지는 인간적 가치의 자원이다. 이 정신적 산소를 호흡하며 ‘여기 현재’에 의식적으로 깨어있는 사람만이 시대와 사회가 몰아대는 격랑에 휩쓸리지 않고 삶의 균형과 존재의 중심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In a modern neo-liberalistic and capitalistic society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chievement outcomes and material affluence, there are feelings of anxiety, fatigue, helplessness and burnout. Although the information society only appeared in the late 20th century, it is a competitive fast-paced society and has ubiquitous information systems available anytime and anywhere displaying both indifference toward neighbors and narcissistic absorption in the cyber world. Today, we live in a double universe, in which these two societies overlap. Modern society requires us to work more and move faster. As though we were trapped in a vacuum state, we feel anxious about our own existence, and are gradually losing our mental space for contemplation by being self-absorbed in electronic media. Today, we are gradually losing our ability and perspective to think broadly about human beings, our relation to other people and nature, the meaning of life, and human values. Today, people are no longer interested in their own spirits. We should resolve negative feelings and reactions such as anxiety, impatience, instability, fatigue, burnout, helplessness, depression, anger and aggression, which have infiltrated our bodies. Nietzsche’s ‘contemplative life’ (vita contemplativa) can give a clue to solve these problems. Vita contemplativa begins from reading classics, but it also can be accomplished by reflecting on life through meditation and enhancing the meaning of life (the width, height, depth of perspective and meaning) to consider various opinions. To live a contemplative and meaningful life, we should take good care of our spirit and train our mind muscles well. First, caring for the spirit begins with training of mind muscles. This is training in thought to grasp situations correctly and to think critically as well as training to introspect one’s own thoughts. Second, ‘introspection about daily life’ is required. The introspection method of daily life used by Roman philosopher Quintus Sextius is a self introspection method to examine and control both body and mind every day. Third, spirit training is also ‘serenity’ (Gelassenheit) training. Serenity starts from the mind that distinguishes what I can do from what I cannot do, and what is important to me from what is less important to me. Fourth, ‘rethink’ (Umdenken) is thought training. It is also ‘thinking differently’ (Andersdenken). This is to find a positive and creative solution to a situation by closely examining it and its hidden side, and also construing it differently. Fifth, in modern life, which is personalized and separated from society, groups providing psychological assistance or liberal arts knowledge help to control the mind .Just as we need oxygen for a healthy body, we need abundant ‘mental oxygen’ for a healthy life. Unlike atmospheric oxygen, this mental oxygen is not provided limitlessly, but it is not only a liberal resource that should be self-produced, but a resource of human value that should be taken care of by spirit and mind. Only those who breathe this mental oxygen and are consciously awake ‘here and now’ can live a balanced life without being swept away by the raging waves of our era and society.

      • KCI등재

        프랑클의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그 이론적 기초

        김정현(Jyung Hyun Kim) 철학연구회 2009 哲學硏究 Vol.0 No.87

        Viele Menschen von heute leiden vor allem unter dem Gefuhl abgrundiger Sinnlosigkeit. Viktor E. Frankl sah, dass sich in der gegenwartigen Gesellschaft, wo es die existenzielle Frustration gibt, die kollektive Neurose wie Depression, Aggresion und Addiktion, namlich `das existenzielle Vacuum` verbreitet. V. Frankl richtet sein Augenmerk auf dieses existenzielle Leiden. Ich behandle hier die theoretische Grundlage der Logotherapie Frankls wie folgt: Erstens, ich betrachte den Einfluß von Psychoanalyse und Individualpsychologie auf den Gedanken Frankls und die Entwicklung seiner sinnzentrierten Psychotherapie (als geistesgeschichtlichen Hintergrund). Zweitens, es handelt sich hierbei um die anthropologische Grundlage seiner Logotherapie. Sein anthropologischer Ansatz besteht darin, dass der Mensch nicht nur das geistige Wesen sei, das letztlich und eigentlich auf der Suche nach Sinn ist, sondern auch ein Bezogen-sein und zugleich ein Frei-sein und Verantwortlich-sein. Drittens, es geht um die Begriffsbestimmung, die theoretische Grundlage und das Ziel der Logotherapie. Zusammenfassend: (1) Die Logotherapie ist eine psychotherapeutische Behandlungsform, die mit Hilfe der Sinnfindung praktiziert wird. (2) Daruber hinaus ist die Logotherapie angewandte Anthropologie, die ein Auge auf die Freiheit und Verantwortung des Menschen wirft. Sie ist also der Versuch einer psychotherapeutischen Anthropologie mit Menschenbild und Weltanschauung. (3) Die Logotherapie strebt eine personale Umstellung an, mit dem Ziel, dass der Leidende fur sich selbst und seine innere Einstellung zu seinem Leben bewusst einstehen kann. Frankls Logotherapie als eine Art von Sinnphilosophie wirkt heutzutage immer noch sinnvoller, weil sie in der Sinnfindung dem Menschen Beistand leistet.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예술, 어디로 가는가?

        김정현(Kim, Jyung-hyu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1

        오늘날 우리는 정보화 사회와 4차 산업혁명의 문명적 격변 속에 서 있다. 현대 문명은 소위 ‘인간향상기술’에 힘입어 자연과학의 영역뿐만 아니라 예술문화의 영역에도 깊이 들어와 일상을 지배하며 ‘포스트휴먼의 시대’를 만들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이 예술의 발전에 어떤 역할을 했으며, 현대의 예술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었는지, 더 나아가 포스트휴먼 시대의 예술에 어떻게 개입하고 그 당면 과제는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이 글은 현대에 과학과 예술이 만나 단순한 혼성화가 아니라 어떻게 미래적 예술 실험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소위 ‘예술의 종말’ 이후의 현대 예술의 다양한 실험양태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상호작용’, ‘감성적 지각’의 강조, ‘신체미학의 실험성’, ‘기이한 숭고의 미학’ 등으로 규정될 수 있는 예술의 종말 이후 및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학적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예술적 실험주의 속에서 포스트휴먼 시대의 예술의 당면 과제도 살펴보았다. 의미가 건조해지고 이미지가 과잉되는 시대에 예술은 의미의 함열을 극복하고 고차적인 감성학적 유희놀이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Today, we stand in the rapid change of civiliza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called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which has a profound influence on modern civilization, is deeply penetrating not only the natural science but also the cultural arts. This article discusses how science and technology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art, how it influenced contemporary art, and how it intervenes in the art of the post-human era. This article examines not only how science and art meet in modern age, but also how futuristic art experiments are carried out. It investigates various experimental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after so-called "the end of art". Next, I have looked 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rt after the end of art and of the post-human era, which can be defined as "interaction", the emergence of new "aisthetics", "experiment of body aesthetics", and "aesthetics of the uncanny sublime’. In this artistic experimentalism I have also examined the major tasks of art in the post-human era. In a time when the meaning becomes dry and images become excessive, art has a task to overcome the rupture of meaning and achieve a higher aesthetical play.

      • KCI등재

        철학과 마음의 치유

        김정현(Kim, Jyung-hyun)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5 No.-

        마음의 병과 삶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현대의 상담, 혹은 치유(치료) 영역은 삶의 지혜, 삶의 예술, 철학실천(철학상담), 철학치료, 정신분석, 심층심리학에 기반한 심리치료, 철학에 기반한 심리치료(로고테라피, 현존재분석, 실존적 심리치료), 정신의학 등 실로 다양하다. 이 글은 주로 철학실천과 삶의 예술, 철학치료(혹은 철학적 심리치료)가 철학의 실천적 활동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점검하며 그 다양한 운동의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삶의 문제해결 혹은 마음의 치유/치료에 관한 철학적 실천활동의 지형도 전체를 염두에 두면서, 철학실천(철학실천, 철학상담)과 삶의 예술(삶의 지혜, 철학 카페, 삶의 예술), 철학치료(철학에서의 치료연구, 철학적 심리치료, 임상철학) 등에 대한 내용과 활동, 그리고 그 정신적 계보 및 문제점 등을 주로 살펴보았다. 현재 아헨바하에 뿌리를 두고 있는 철학실천운동은 한계를 보이고 있고, 삶의 예술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는 다양한 시도들은 아직 그 이론적 성숙을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현재 진화하고 있는 이러한 철학 실천의 활동에는 수많은 심리치료의 성과들을 극복하는 문제가 놓여 있고, 그 가운데 철학 실천 고유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문제가 놓여 있으며, 또한 다양한 방법을 찾아내는 과제가 여전히 놓여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