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행정적 지원, 정서적 지원, 사회적 지지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정민(Kim, Joung-min),구아름(Ku, A-Reum),이상욱(Lee, Sang-Wook)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충남에 위치한 대학교 기숙사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만족도의 S 잠재 변인들(정서적, 사회적, 행정적, 핵심역량)간의 인과적 영향력과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입생 1,39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배경변인별 만족도 차이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t=1.788, p<.05), 단과대학별은 F 검증 결과 (p<.05)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잠재변인 간 차이에서 정서적 지원은(F(2.1394), 203.20), 행정적 지원은(F(3.1395) 362.11), 사회적 지지는(F(3.1395), 738.23), 핵심역량은(F(4.1394), 517.24)으로 p<.001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 개의 잠재변인인 사회적 지지, 정서적 지원, 행정적 지원은 대학생활 핵심역량(리더십, 사회성, 공동체의식, 학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usal influence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atisfactions of college life (emotional, social, administrative, core competence) based on the data of 1,399 freshmen living in dormito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1.0 and AMOS 20.0 statistical package.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ly, male students" college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females’ (t=1.788, p<.05) and appeared difference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ix colleges,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social science, global business, natural science colleges was higher by a narrow majority. Secondly, among the four variables of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it appeared emotional support F(2.1394), 203.20, administrative support F(3.1395), 362.11, social support F(3.1395), 738.23, core competence F(4.1394), 517.24, and appeared difference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Thirdly, the three variables (social, emotional, administrative) affect positively the core competence(leadership, social community spirit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내,외 앱 활용 중재연구 고찰 및 효과성 분석

        김정민 ( Joung Min Kim ),차태희 ( Tae Hyi Cha ),김현호 ( Hyun Ho Kim ),이민희 ( Min Hee Lee ),이주미 ( Ju Mi Yi ),장윤희 ( Yun Hee J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본 연구는 2015년 현재까지의 장애영역에 상관없이 국내ㆍ외에서 이루어진 앱 활용 중재와 관련된 실험연구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학생 대상 앱 활용 중재에 대한 연구의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기준에 따라 국내 21편과 국외 14편으로 총35편의 실험논문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분석절차에 따라 개괄적 특성, 독립변인별 중재 효과, 활용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총 145명의 장애학생 35편의 실험연구에 각각 참여하였으며, 자폐성장애와 지적장애가(n=129)로 가장 많았으며, 단일대상연구는 33편으로 집단 간 비교연구(2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부분의 연구의 신뢰도는 90-100%으로 높았으나,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일반화를 포함하지 않은 문헌이 대다수였다. 독립변인별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면, 교육과정의 학습을 목적으로 한 연구가 1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일상생활기술(8편)과 의사소통기술(5편)과 관련한 앱을 활용한 연구가주를 이루었다. 중재방법은 자기교수가 14편, 직접교수 17편으로, 대부분 중재의 효과성이 단시간에 나타날 수 있는 직접교수방법이 주요하게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앱 개발 유형은 기존 앱을 활용한 앱(19편)이 장애아의 특성을 고려한 자체개발용 앱(16편)보다 많았으며, 기기는 주로 태블릿 PC(19편)을 사용하였으며, 그밖에 삼성 갤럭시, 애플 아이폰을 활용한 연구가 9편으로 나타났다. OS 지원유형은 애플의 IOS를 기반으로 한 연구(23편)가 안드로이드 기반 연구(11편)보다 많았다. 중재의 효과성은 전반적으로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ND=94.66, PAND=91.18), 독립변인 중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으며(PND=100, PAND=100), 직무기술에서는(PND=88.33, PAND=78.43) 보통의 효과크기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헌고찰과 효과성 분석을 바탕으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추후 앱 활용중재를 위한 결론과 제언이 논의에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application(App) based intervention literatu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reach the purpose and search the literature in Korea and abroad that is related to this subject. Through the search process with the criterion of inclusion, a total of 35 studies resul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ss, overall characteristic were established and calculations of the effect size were done (PND, PAND) with 31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two studies were excluded), as well as the implication provided regarding how to develop or extend i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esult, 145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35 experimental studies. Most of the studies`` reliabilities were high (ranged 90-100%), however, only a few studies included social validity, intervention fidelity, and a generalization stage. For the characters, 14 studies used App that were to increase academic skills (e.g., math, language), 8 studies were used for increasing the daily skills, and 5 studies were used for communication method (e.g., AAC). Intervention methods used were mainly two, one was self-instruction in (14 studies) and the other was direct instruction by teachers or authors (17 studies). The types of App were mainly commercial App in (19 studies) or developed a specific App by the author or professionals only for the study in 16 studies. 23 studies of applications’ OS supporting types were IOS based and 11 were Android based App. The effect size was overly high (PND=94.66, PAND=91.18). The most effective independent application was problem-solving and Job-related skills was resulted medium effect size(PND=88.33, PAND=78.43). Also, discussion and implication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view of these studies.

      • KCI등재

        문말명사문의 사용 양상에 관한 일한대조연구

        김정민 ( Kim¸ Joung-m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3

        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문말명사문 사용 양상을 파악하고 양국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新屋(2014)가 제시한 문말명사문의 의미 분류를 원용하여, 일한 소설과 신문에 사용된 문말명사문의 출현 빈도 및 명사의 종류를 조사하고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문말명사문의 전체 출현 빈도는 소설과 신문 모두 일본어보다 한국어가 더 높게 나타났다. (ii) 일본 소설에서는 「D. 주관」, 한국 소설에서는 「C. 상태」문말명사문의 사용률이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본 신문에서는 「B. 속성」, 한국 신문에서는 「E. 해설」의 사용 비율이 각각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iii) 양국의 「C. 상태」에 공통적으로 출현한 명사는 소설에서는 「状態/상태」·「表情/표정」, 신문에서는 「状況/상황」·「状態/상태」였다. 한편, 한국 소설에서의 출현이 두드러진 「모양」에 대응되는 일본어의 「模様」는 일본 소설에 사용되지 않았다. (iv) 「C. 상태」문말명사문이 「한국어 원작→일본어 번역본」에서는 대부분 문말명사문으로 대응되었으나, 「일본어 원작→한국어 번역본」에서는 문말명사문 이외의 다양한 형식(예: 증거성 모달리티, 기능동사 등)으로 번역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noun-concluding sentence (henceforth, NCS) in Japanese and Korean and aims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Based on the semantic classification(A~G)suggested by Shinya(201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requency of NCS occurred in novels and newspapers of the two langu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 The frequency of Korean NCS is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NCS in both novels and newspapers. (ii)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NCS is ‘D. Subjectivity’ in Japanese novels and ‘C. Situation’ in Korean novels, respectively. In terms of newspapers, each frequency of Korean ‘E. Elaboration’ NCS and Japanese ‘B. Attributes’ NCS is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and Korean, respectively. (ⅲ) Japanese and Korean are similar in that nouns such as jyootai/sangthay ‘state of affairs’, hyoojyoo/phyoceng ‘expression’ occurred in both novels, and jyookyoo/sanghwang ‘situation’, jyootai/sangtay ‘state of affairs’ appeared in both newspapers. In contrast to the high frequency of Korean noun moyang ‘shape’ in Korean novels, its Japanese counterpart moyoo does not occur in Japanese novels. (ⅳ) While Japanese ‘C. Situation’ NCS is almost corresponded to Korean NCS in ‘Japanese-Korean translated novels’, Korean ‘C. Situation’ NCS is translated into various Japanese expressions (e.g. evidential modality, co-occurring with functional verb) in ‘Korean-Japanese translated novels.’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김정민 ( Joung Min Kim ),임해주 ( Hae Ju Lim ),김경화 ( Kyeong Hwa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인식과 직무경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접근을 통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 6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반 구조적 및 개방식 인터뷰에 응답하였다. 인터뷰는 평균 98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인터뷰 내용은 분석과정을 통해 코딩(coding), 개념화(conceptualization), 그리고 범주(categories)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대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로 나눠졌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현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명시되어 있는 기능부분과 연관하여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이 모호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학교 또는 학급의 특수교사들에 비해 정시퇴근이 어렵고, 방학이 없다는 점, 방대한 업무량과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에 대해 소호하였다. 또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으로는 전문적인 행정기관으로써 독립·분리에 대해 강조하였으나, 부족한 예산으로 인해 그 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 total of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working at the Chungbuk and Chungnam. As a result of detaile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s, three categories were founded; the centers` primary function, teachers`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ideas of improvement of the center. Along with three main categories, 12 sub-categories were deducted. For the interviewees` perspective of the role of the center, the teacher responded that the primary role was special education service and administrative agency. For the interviewees` occupational satisfaction, most of teachers were negative for their work situation due to no summer-winter vacation and difficulty of leaving the office at regular time. For the ideas or/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center, all of the interviewee gave a skeptical response on account of lack of budget which make possible to separate administrative offi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needed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to provide better services for the al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

        전문무용단 예술감독의 교수전문지식(PCK) 탐색

        김정민 ( Jung Min Kim ),이한주 ( Han Joo Lee ),이정화 ( Joung Hwa Lee ),김진경 ( Jin Kyung Kim ) 대한무용학회 201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an expert artistic director. Hahn, professional dance director/instructor with over 40years of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ndings indicated that Hahn`s expertise could be categorized with educational purpose, understanding of dancers, and instructional strategy, which are the components of PCK. Findings showed that her educational goal was to put on the best performance by having dancers understand their assigned roles and practice proper techniques. She emphasized routine practices (i.e., basic bar practice, both repertoire and new pieces practice, etc.) using situational practice.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성 중재에 대한 국내,외 단일 대상 연구 메타분석

        김정민 ( Joung Min Kim ),임해주 ( Hae Ju L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최근 14년간(2000∼2013) 발표된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메타 분석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41편의 단일대상연구가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대상 논문의 개괄적 특성과 효과크기를 보았으며 효과크기는 전체 효과크기, 연구 대상자 변인별 효과크기, 실험 설계 변인별 효과크기로 나누어 검증하였다. 사회성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회기적 접근방법인 PND, PAND, phi를 사용하였다. 각 효과크기 계산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대상자 변인별에 따르면 (ㄱ) 연령이 어릴수록, (ㄴ)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경우, (ㄷ) 사회성결핍 정도가 높을수록 중재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설계 변인별은 (ㄹ) 상황간일 때, (ㅁ) 가정과 치료실에서, (ㅂ) 인간관계중심 중재와 교육훈련중심중재에서 중재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ㅅ) 효과크기는 중재충실도, 일반화 실시 여부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ㅇ) 유지기를 거친 연구대상자(n=83)의 중재 효과크기가 그렇지 않은 연구대상자(n=29)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ㅈ) 마지막으로 증거기반 질적 지표 점수가 높을수록 중재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reviews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intervention when implemented in multiple setting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total of 41 single subject studies was selected based on the selection of criteri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three different nonoverlap effect size techniques PND, PAND, Phi () wer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 variables; (a) as younger age, (b) as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c) as lack of social skills level, the intervention showed the large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variables; (d) as the condition of multiple baseline across settings, (e) as the condition of home and clinic, (f) as the condition of human based intervention and training based intervention was found to be a high effect size, (g) the study fidelity and generalization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effect size, (h) the maintenance has affected to the effect size, and (i) finally, when evidence based quality score higher, the intervention effect size was higher.

      • KCI등재

        자폐성 장애 학생의 식습관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김정민(Kim, Joung min),송영선(Song, Young sun) 한국자폐학회 2018 자폐성 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학생의 식습관 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일대상 연구의 효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실질적인 식습관 개선 프로그램은 국내에서는 수집되지 않았으며, 국외의 연구 19편을 바탕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시각적 자료 추출을 위해 GetData Graph Digitizer 2.26을 사용하였고, 구간 간 비교를 통하여 Tau-U 값을 도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논문의 개괄적 특성은 총 31명, ASD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6.4세로 대부분 미취학 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바람직한 음식섭취와 음식 거부에 대한 문제점을 증감하고자 하였고, 이에 대해 차별 강화, 비유관 강화 기법 등의 중다요소 중재 방법을 활용하였다. 평균 중재 효과는 0.876(CI95 = 0.253 ~ 1)였으며, 1편을 제외하고 중간 ~ 높은 효과 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별 효과 크기를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 중재의 효 과가 높았으며 유지기가 중재기보다 그리고 중다요소 중재 기법이 차별 강화 또는 비유관 강화에 비해 큰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다. 중재 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 가정 연계의 유무는 중재의 효과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메타연구를 통해 올바른 식습관 개선을 위한 방안과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ingle subject design aimed at improving the eating habits of individuals with ASD. The actual eating habits improvement program was analyzed based on the 19 foreign studies. For visual data extraction, GetData Graph Digitizer 2.26 was used and the Tau-U value was derived by comparing the interva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of 31 ASD subjects was 6.4 year-old. Most of them were preschool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l 19 selected studies were tri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roblem of food intake and food rejection. The intervention of 19 studies were implemented had medium size of ES. Second, effect size(ES) of maintenance was higher than intervention. The ES was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age level. Also the fidelity of the intervention, social validity, and home linkage interven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 to 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ta analysis, discussion and suggestion were implemented.

      • KCI등재후보

        담양 명옥헌 원림(鳴玉軒 苑林)의 경관색채 현황조사 및 분석

        김정민 ( Joung Min Kim ),이재근 ( Jae Keun Lee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2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7 No.-

        This study we selected Byeolseo garden, Myungokhun which is designated as a nation scenic beauty cultural asserts and suggested a traditional landscape color palette making use of an analysis result and understanding the color of the present condition through landscape color study and analysis. In the first step, a literature study for the object place was done. In the second step, landscape color study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was done and the digital image by a digital camera was confirmed. We also researched four seasonal color for a year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natural environment color reflected on visual color sensitively because of seasonal changes. In the third step, the color of digital image by a field investigation was analyzed and seasonal color palette was suggested. The color distribution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GY, YR, Y, RP, R, G, BG, PB. The color of B and P did not appear at all. In brightness and chroma, the Crape Myrtle blossom was distributed to most middle and low brightness except for the area of high saturation. This study was expected for help color plan showing the traditional beauty with elegance, if the color palette of byeolseo scenic beauty that was derived from it was applied and matched in the step of the scenic planting selection among the color plan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that reproduced modernl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temperate Zone.

      • KCI등재

        「けど」と「는데」の使用実態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金廷珉(Kim, Joung-Min) 한국일본문화학회 2018 日本文化學報 Vol.0 No.78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y of Japanese kedo and Korean nuntey paying attention to co-usage frequencies and their relation to predicate types and moda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 Distribution of kedo and nuntey in each occurrence position Kedo: Interclausal positions 〉 utterance-final positions Nuntey: Interclausal positions 〈 utterance-final positions (II) Preference for co-occurrence with predicates and modalities Kedo: Verbs 〉 adjectives 〉 modalities 〉 nouns Nodakedo:Verbs 〉 modalities 〉 nouns 〉 adjectives Nuntey (interclausal position):Verbs 〉 nouns〉 modalities 〉 adjectives> existential verbs〉 wh-questions Nuntey (utterance-final position):Verbs〉 modalities 〉 nouns 〉 wh-questions 〉 adjectives≧ existential verbs (Ⅲ) Modality types as co-occurring with kedo and nuntey Kedo:Epistemic modality (e.g, -to omou ) was most frequently used. Nuntey:In addition to epistemic modality, deontic modality was frequently attested in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