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의 진단에서 초음파의 의의

        김정만,임동선,김태형,김종익,이규조,Kim, Jung-Man,Im, Dong-Sun,Kim, Tae-Hyung,Kim, Jong-Ick,Lee, Kyu-J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4 No.1

        목적: 자기 공명 영상 시행 전에 내측 반월상 연골의 파열 진단에서의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4월부터 2010년 9월까지 본원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하여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의심 하에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341예 중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14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상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16예, 비균질성(inhomogeneity)만을 보인 12예, 무리(cluster)를 보인 4예, 실질 내에 틈(cleavage)을 보인 60예, 5 mm 이상의 내측 탈출(extrusion)을 보인 55예를 자기 공명 영상 검사 결과와 비교 하였다. 통계학적으로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 예측률과 음성 예측률을 구하였다. 결과: 자기 공명 영상에서 파열을 보인 경우는 104예였다. 초음파 검사는 자기 공명 영상에 대하여 민감도가 94.2%, 특이도는 23.3%로 측정 되었다. 양성 예측률은 74.8%, 음성 예측률은 62.5%로 측정되었다. 초음파 영상에 따른 양성 예측률은 비균질성이 보이는 경우 58.3%, 무리를 보이는 경우에는 100%, 실질 내에 틈을 보이는 경우 75%, 내측 탈출을 보이는 경우 80%로 나타났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의 진단에 있어 고가의 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하기 전 초음파 검사는 파열 가능성 여부를 사전에 아는데 유용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in diagnosis of the medial meniscus tear as a screening tool before perform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9 to September 2010,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as taken in 147 knees out of 341 knees examined with ultrasonography (US) under the suspicion of medial meniscus tear. The sonographic findings were 16 without abnormality, 12 inhomogeneity, 4 cluster, 60 cleavage and 55 more than 5mm medial extrusion of medial meniscus. In Statistical analysi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MRI showed abnormality in 104 knee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ultrasonography for MRI was 94.2% and 23.3%, respectively.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74.8%,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62.5%.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ultrasonography were 58.3% in heterogeneity, 100% in showing cluster, 75% in visible cleft and 80% in medial extrusion. Conclusion: The US is a useful tool in prediction of medial meniscus tear before confirming it in high-cost MRI.

      • SCOPUSKCI등재

        한국인의 연, 망간, 알루미늄 및 실리콘의 혈중 농도

        김정만,안정모,김원술,김정일,신해림,정갑열,김준연,Kim, Jung-Man,Ahn, Jung-Mo,Kim, Won-Sul,Kim, Jung-Il,Shin, Hai-Rim,Jung, Kap-Yeol,Kim, Joon-Youn 대한예방의학회 200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3 No.2

        연, 망간, 알루미늄 및 실리콘에 대하여 직업적 노출이 없는 성인 132명(남성 67명, 여성 65명)을 대상으로 혈중 농도를 정량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평균 혈중 연량(기하평근, 기하표준편차)은 남자군 (3.49, 1.70) ${\mu}g/dL$와 여자군 (3.04, 1.65) ${\mu}g/dL$로서 남자군에서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연령군별로는 남, 여 모두 차이가 없었다. 평균 혈중 망간량은 $0.99{\pm}0.41\;{\mu}g/dL$이었으며, 성별, 연령군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혈중 알루미늄량은 $0.59{\pm}0.35\;{\mu}g/dL$이었으며, 성별, 연령군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혈중 실리콘량은 남자군 $54.11{\pm}27.64\;{\mu}g/dL$, 여자군 $43.34{\pm}23.51\;{\mu}g/dL$로서 남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05), 남자군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p<0.05), 여자군의 경우에는 연령군별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금속의 참고치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앞으로의 연구에 자료로서 활용함으로써 이들 물질에 의한 인체장해의 평가와 예방관리에 일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form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values of blood lead, manganese, aluminium, and silicon in healthy adul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132 (67 male and 65 female), and classified to three age groups $(\leq39,\;40\sim49,\;and\;50\leq)$. Blood lead, manganese and aluminium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blood silicon was analyzed by direct current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Results : Blood lead levels(geometric mean, S.D) were (3.49, 1.70) ${\mu}g/dL$ in male and (3.04, 1.65) ${\mu}g/dL$ in female, but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Mean blood manganese level was $0.99{\pm}0.41{\mu}g/d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or age groups. Mean blood aluminium level was $0.59{\pm}0.35{\mu}g/d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or age groups. Mean blood silicon level was $54.41{\pm}27.64{\mu}g/dL$ in male and $43.34{\pm}23.51{\mu}g/dL$ in female, and the level in 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female (p<0.0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and the oldest showed the highest level in male (p<0.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in female. Conclusions : Authors hope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basic data for determining reference values and evaluating health effects.

      • 내측 반월상 연골 초음파 상 고에코성 '무리'의 임상적 의의

        김정만,오세관,유종민,김필성,김인보,Kim, Jung-Man,Oh, Se-Kwan,Yu, Jong-Min,Kim, Pil-Sung,Kim, In-B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4 No.2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의 초음파적 진단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내측 반월상 연골의 초음파 영상에서 고에코성 '무리'가 보일 때 어떤 임상적 의의가 있는지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측 반월상 연골의 초음파 상 고에코성 '무리'가 보이는 28예에서 자기 공명 영상과 수술 소견을 비교하여 그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전례 여성이었으며 년령은 55~75세 사이였다. 결과: 고에코성 '무리'의 생성 부위는 수술 소견상 정확히 반월상 연골의 파열된 조각이 모조직과 중첩되는 부위와 일치 하였다. 결론: 고에코성 '무리'가 내측 반월상 연골에 보일 때 이는 연골 파열 파편이 모조직과 중첩된 것을 나타낸다. Purpose: To verify the sinificance of the hyperechoic cluster formation in medial meniscal tear on the son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The formation of hyperechoic cluster of the medial meniscus on the sonography were compared with the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in 28 knees. Results: The cluster formation area coincided with the overlapped torn fragment of the meniscus in all cases. Conclusion: The hyperechoic cluster on the sonography reveals the position of the overlapped torn fragment.

      • KCI등재
      • 초음파적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진단 가치

        김정만,이동엽,고인준,이은봉,Kim, Jung-Man,Lee, Dong-Yeob,Koh, In-Jun,Lee, Un-Bong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rrelate the degree of sonographic medial meniscal extrusion with MRI and arthroscop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these 32 patients, with medial meniscal tear who went on arthroscopic surgery, 14 patients had the medial meniscal tear and 18 patients had both lateral and medial meniscal tear. The extent of meniscal extrusion without meniscal tear was assesed in 24 patients who did not show meniscal tear on MRI. The extent of meniscal extrusion was measured between tibial medial joint line (excluded osteophyte) and the outer margin of the medial meniscus. Kellgren-Lawrence grading scale was assessed in plain X-ray image and the location of lesion was assessed during arthroscopic surgery. We also measured the extent of meniscal extrusion on MRI and sonography respectively, and compared each other.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medial meniscal tear and both lateral and medial meniscal tear, patients with medial meniscal tear, patients with both medial and lateral meniscal tear, patients without meniscal tear (P value<0.05). Conclusion: The Meniscus tear must be considered when sonography shows the meniscal extrusion more than 5 mm in length. 목적: 초음파상 진단되는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반월상 연골 파열과 관련된 의의에 대해 자기 공명 영상과 관절경 소견을 연계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내측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있어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던 32예로서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14예, 내측 및 외측 동시 파열 1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반월상 연골 파열이 없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탈출의 정도는 자기공명 영상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이 없는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 탈출의 정도는 골극을 제외한 경골의 내측 관절선부터 내측 반월상 연골의 변연부까지 계측하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Lawrence (K-L) 등급을 평가하였고, 관절경 수술 시에 병변의 위치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소견을 비교하여 자기 공명 영상과 초음파에서 반월상 연골의 탈출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관절경 소견 상 반월상 연골 파열이 있는 군 전체,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이 있는 군,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이 동반 파열된 군 들과 파열이 없는 정상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초음파 영상에서 5 mm 이상의 탈출이 있을 때 반월상 연골 파열을 의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Differences in swine gut microbiota in southern region of Republic of Korea

        김정만,운노타쯔야,Kim, Jungman,Guevarra, Robin B.,Nguyen, Son G.,Unno, Tatsuya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5 미생물학회지 Vol.51 No.1

        성장촉진제로 항생제 사용이 금지가 된 이후, 가축들의 사망률이 증가되어 항생제 대체제를 개발해야 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한 대체제 개발에 새로운 접근 중 하나는 숙주의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장내미생물생태를 조절하는 것이다. 하지만 가축의 장내미생물에 대한 이해가 인간과 비교하여 볼 때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지역적 차이가 있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돼지 분변샘플은 제주(n=40), 광주(n=28), 해남(n=30) 농가로부터 채취하였으며, MiSeq을 이용하여 16S rRNA V4 지역을 시퀀싱하였다. 또한 Mothur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MiSeq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총 5,642,125 reads를 얻었으며, 에러시퀀스들을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3,868,143 reads가 남았다. Phylum 수준의 taxonomic composition 분석에서는 제주 돼지들이 Firmicutes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Operational Taxonomic Units 분포분석에서 또한 지역적 차이에 따라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과 Phyla의 풍부함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Actinobacter, Verrucomicrobia, Firmicutes, Fibrobacteres이 세 개의 지역에 있는 돼지들의 장내미생물생태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장내 미생물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한 가축의 장내미생물생태는 농장에서 사용하는 사료와 사양관리에 의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지역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추후에 가축의 장내미생물생태에 관한 연구는 지역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될 것이다. Since the banning of antibiotic growth promoters (AGPs), the death of livestock has been increased, thus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AGP-alternatives. Modulation of gut microbiota has been reported to affect host physiological functions and suggested to be a novel approach for developing AGP-alternatives. However, little has been understood about livestock gut microbiota compared to that of humans. We conducted preliminary stud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regarding to regional differences in swine gut microbiota. Swine fecal samples were obtained from farms in Jeju (n=40), Gwangju (n=28), and Haenam (n=30). MiSeq was used to sequence 16S rRNA V4 region, and Mothur pipeline (Schloss et al., 2009)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 total of 5,642,125 reads were obtained and 3,868,143 reads were remained after removing erroneous reads. Analysis of taxonomic composition at the phylum level indicated greater abundance of Firmicutes among Jeju swine, and cluster analysis of distribution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s also showed regional differences among swine gut microbiota.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abundance of phyla suggested that the phyla Actinobacter, Verrucomicrobia, Firmicutes, and Fibrobacteres were driving factors for the regional differences. Livestock gut microbiota may be affected by diet and practices in farms. Our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swine gut microbiota, suggesting that future livestock gut microbiota studies should be designed with the regional differences in mind.

      •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

        김정만,이동엽,고인준,김상일,Kim, Jung-Man,Lee, Dong-Yeob,Koh, In-Jun,Kim, Sang-Il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ause of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24 patients with tenderness at pes anserinus, 23 patients were female and 1 patient was male, and their average age was 65.9 years old. We checked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by history taking & physical examniation and then, checked the pes anserinus for the presence of bursitis by US in outpatient clinic. With no evidence of bursitis by US, we injected steroid-lidocaine mixture intraarticularly and checked whether the tenderness disappeared after 2~3 minutes. Results: There was no case with bursitis at pes anserinus by US.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diminished in 2-3 minutes after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the steroid-lidocaine mixture. After 6 weeks follow up, 16 patients(66.7%) had little or no tenderness at pes anserinus. 8 cases had the recurrence of tenderness recurred, 4 cases underwent arthroscopic operation on the meniscal tear, and 1 case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All cases underwent any operations had the tenderness at pes anserinus disappeared. The others 3 cases did not undergo total knee arthroplasty despite of radiologic obliteration of knee joint adequate for Kellgren-Lawrence grade IV. Conclusion: Without the bursitis at Pes Anserinus, patients the osteoarthritis may have the tenderness due to the referred pain. 목적: 거위발 건 압통의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거위발 압통이 있었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65.9세, 여자 23명, 남자 1명 이었다. 외래에서 거위발 압통 여부를 문진 및 진찰 소견으로 확인 후 초음파 검사로 거위발 점액낭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점액낭염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관절내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에 주사하고 2~3분 후 압통이 자연 소실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4예의 거위발 압통이 있는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 상 점액낭염이 확인된 예는 없었다. 스테로이드-리도카인 혼합액을 관절내 주사 한 후 전 예에서 2-3분 후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6주 후 외래 추시 시에 16예(66.7 %)에서는 모두 거위발 압통의 소실 및 관절 내 삼출액이 감소 또는 소실되었다. 6주 추시 시 압통이 재발된 8예 중에서 4예는 반월상 연골의 파열로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하였고, 1예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을 시행한 전 예에서 추시 시 거위발 압통이 소실되었다. 나머지 3예는 Kellgren-Lawrence grade IV로 관절 간격의 완전한 소실을 보였으나 슬관절 전치환술은 시행하지 않은 예들이었다. 결론: 골 관절염에서 거위발 압통의 원인은 거위발 점액낭염이 없어도 발생하며 그 기전은 연관통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