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선유도에 의한 인지부조화의 설득 효과

        김재휘(Jae Hwi Kim),김정애(Jung Ae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89

        본 연구는 위선유도(Hypocrisy Paradigm)라는 설득기법이 공익 행동과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에 대한 지지를 유발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위선유도가 ``물 절약행동`` 및 ``물 절약활동을 하는 기업에 대한 지지행동(제품 선택)``을 증가시키는지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위선유도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어서 자신의 태도를 어떻게 나타내는가와 관련된 ``태도 강도(태도를 표명하는 정도)``의 역할을 포함하는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즉, 자신의 태도를 표명하는 강도에 따라 위선유도의 효과가 달라지는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선을 유도하기 위해, 물 절약에 대해 피험자들이 평소 지지하고 있음(긍정적인 태도가 있음)을 확인한 뒤, 위선유도 집단에서는 그들이 지난 한 달 동안 실제로는 물 절약을 하지 않았다는 점을 직접적으로 상기하도록 하였으며, 응답자들의 태도강도(지지표명 강도) 차이는 물 절약에 대해 자신이 작성한 글을 인적사항과 함께 공개하느냐 혹은 익명으로 작성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처치되었다. 연구결과, 위선유도 유무에 따른 물 절약활동 참여와, 물 절약과 관련된 CSR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 선택 비율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위선유도와 지지표명 강도에 따른 기존의 태도변화를 검증한 결과, 지지표명 강도가 강하고 위선이 유도된 집단(강한 인지부조화 조건)에서는 물 절약과 관련된 CSR활동을 하는 기업에 대한 태도가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선유도를 통한 인지부 조화가 공익 행동을 유발할 정도의 행동변화를 일으키지는 못하였으며, 오히려, 강한 인지부조화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심리적 반발을 초래하여 행동을 바꾸기보다 태도를 바꾸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강한 인지부조화 조건에서는, 행동을 바꾸는 시도보다도 오히려 빠르게 부조화를 해소하고자 하는 동기와 심리적 반발로 인해, 현재의 행동에 맞게 기존태도를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위선유도를 통한 인지부조화 전략을 구사할 경우에 부조화를 일으키는 행동이 아니라 기존 태도가 바뀌는 상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dissonance by hypocrisy paradigm on public behavior and attitude of CSR Corpor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istence of hypocrisy paradigm and advocacy strength for water conservation affect to participate in water conservation activity and to induce product purchas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water conservation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rporation by means of reduction cognitive dissonance. Existence of hypocrisy is manipulated by confirmation they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water conservation. Later, hypocrisy groups were asked to think of situations which they did not conserve water for one month, whereas none hypocrisy groups only identified they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water conservation. In addition to manipulate strong advocacy strength, one group was required to write an essay advocating water conservation with their name and address, including information that this essay will be posted on cyber publicity of Korea Water Resource Corporation while another group wrote an essay but did not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This study hypothesized groups which have hypocrisy more participated water conservation activity and induced higher the CSR corporation supports (product purchase) than none hypocrisy groups. However, th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First, the results did not demonstrate significant difference to participation in water conservation activity, product purchase of the CSR corporation between hypocrisy and none hypocrisy groups. Second, however, the group which have hypocrisy in strong advocacy strength toward water conservation was indicated higher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CSR corporation. This condition made psychological reactance.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적 광고효과와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김재휘(Jae Hwi Kim),강윤희(Su Hyun Boo),부수현(Yoon Hee Kang)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SNS의 광고 효과에 있어 광고의 지속적인 확산 가능성과 네트워크에 의한 광고의 사회적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SNS에서의 광고 확산과 전달된 광고(콘텐츠)의 사회적 영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전달된 광고의 유형에 따른 개인적인 광고 효과에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 지각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광고의 지속적인 확산에는 이용 동기(자기 표현적, 관계적, 정보 추구)와 광고 태도, SNS 접속 빈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달된 광고에 대한 사회적인 영향력 지각에는 관계 추구적인 이용동기가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전달된 광고 유형에 대한 수용적 차원의 광고 효과에 있어, 사회적 영향력을 지각하는 수준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을 높게 지각한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타인에 의해 전달된 광고(콘텐츠)에 대해 더 긍정적인 광고 효과(정보적 유용성, 지각된 상업성, 추가적인 정보 탐색 의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SNS의 미디어적 특성을 활용하여 전달 되어진 광고에 초점을 두고, SNS의 광고 효과에 있어 광고의 지속적인 확산과 확산된 광고의 사회적인 영향력의 차원을 조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기업이 미디어로서 SNS를 활용함에 있어 중요한 소비자의 특성과 영향 요인을 밝힘으로써, 향후 마케팅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sheds lights on viral advertising effect that is passed on by other individuals in social networks sites (SNS) and it systematically analyze the potential fac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 over this viral advertising. Unlike other forms of traditional advertising, since social media advertising is network-based where it connects individuals to individuals, not only the influence of advertising itself but the relationship of sender-receiver should also be considered.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ss-on behavior and the perceived social influence of the passed-on advertising.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user motives(self-expressive, socializing, information- seeking) attitudes towards ads, and frequency of usage have influence on the pass-on behavior, and for the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he user motive of socializing found to be the crucial factor. This study further examines whether if there are different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the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he results demonstrates that the individuals with higher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owards the ads (vs. individuals with lower social influence perception towards the ads) show more positive advertising effect when it comes to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perceived ulterior motive of advertiser, and intention for the further information seeking. Providing pot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ver viral advertising in SNS together with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with great influence, this study serves various implications to the related advertising and marketing fields.

      • KCI등재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유용성, 편의성,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이 광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재휘(Jae Hwi Kim),성보경(Bo Kyung Sung),부수현(Su Hyun B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광고연구 Vol.0 No.87

        본 연구는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유용성, 편의성 등의 긍정적 측면과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과 같은 부정적 측면이 광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소비자들이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원인을 탐색하고, 소비자의 지각된 통제감을 중심으로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한 위험성 지각을 낮춰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1400명의 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온라인 맞춤형 광고로 인한 이점과 위험성은 상호배타적인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것들은 각기 소비자의 광고수용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정보의 상업적 활용, 기업 및 관리자에 대한 불신, 온라인 사생활 침해 위험성 및 기업에 의한 일방적인 결정/통제 등이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소비자의 지각된 통제감(고지, 결정권 및 통제권)을 높여줄수록 맞춤형 광고에 대한 위험성 지각을 낮춰줄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맞춤형 광고의 유용성 및 편의성 등의 이점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맞춤형 광고로 인한 위험성 지각을 줄여줄 수 있는 방안 또한 동시에 고려되어 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통제감을 높여주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OBA) is based on consumer`s online activities, thus provides 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consumer`s interests or desire. Therefore, OBA has been proven to be useful not only to businesses but also to the consumers themselves. Nevertheless, The processes of OBA that has collected and analyzed consumer`s online activities is great potential to invade one`s free will and online privacy. In this context, for resolving the problem that conflicting aspects of OBA, could increased the benefits of OBA and decreased the perceived risk by consumer on information gathering for customized advertis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benefits of OBA and perceived risk on privacy threats by OBA process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400 consumers who were given to a random sample of online pane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perceived risk on privacy threats can have an independent influence on consumer`s acceptance of OBA. Also, negative evaluation by consumer in OBA processes consists of two main components: a information gathering for commercial purposes, and a impossible to control the processes of OBA. The result indicated that consumer`s perceived controllability (notice, choice & determination about OBA) reduced the adverse reaction of OBA.

      • KCI등재

        사회적 목표 행동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재휘(Jae Hwi Kim),강윤희(Na Jin Kwon),권나진(Yoon Hee Kang)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2

        연구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다수가 관여된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에 있어, 동일한 상황에 놓인 다른 사람에 대한 상호성 인식에 따라 효과적인 목표 프레임이 달라짐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동일한 목표에 놓인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행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사회적 상호성(다수, 소수)과 목표 프레임(to-date, to-go)이 사회적 목표의 실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수에 비하여 다수가 실천하고 있다는 정보가 사회적 목표의 실천을 높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수 행동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경우, to-date 프레임 보다는 to-go 프레임이, 소수 행동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경우, to-go 프레임 보다는 to-date 프레임에 대한 실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사회적 목표를 추구하는 상황에서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을 해석하는 유형에 따라 사회적 목표의 실천에 있어 효과적인 목표 프레임이 달라질 것이라 가정하였다. 즉, 다른 사람들(집단)과 자신의 상호 관계 점화에 따라 차별적인 목표 프레임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의존적 상호 관계가 점화되는 경우에는 to-date 프레임보다 to-go 프레임이, 독립적 상호 관계가 점화되는 경우에는 to-go 프레임보다 to-date 프레임이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al frame in the process of social goal pursuit. Social goals are defined as shared goals that groups of people are involved, such as charity/fund raising events. In study 1, it focuses on the effect of a message that indicates how many people are pursuing the same goal and its effect on actual goal pursuit. In addition, it also investigates on interaction effect with goal frame (To-go/To-date) and this message suggesting many/only a few people are pursuing the same goal. The result of study 1 suggests that the message that many people are engaged in a goal rather than message that few people are engaged in same goal elicits higher behavioral intention for goal pursuit. Moreover the results of interaction effect suggests that, for the message that few people are engaged, to-date frame (vs. to-go frame) shows higher intention for goal pursuit while for the message that many people are engaged, to-go frame (vs. to-date frame) shows higher intention for goal pursuit. Study 2 focuses on the effect of self-construal level and its interaction effect with goal frame in a pursuit of goal. Self-construal can be explained as the way of how individuals see themselves in a group they belong, whether they include themselves inside the group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r regard themselves independently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result suggests that, for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o-go frame leads to higher behavioral intention while for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to-date frame leads to higher behavioral intention for goal pursuit.

      • KCI등재

        광고 및 홍보 연구에서 사회 인지 심리의 기여와 향후의 연구 방안

        김재휘(Kim, Jae-Hwi),강윤희(Kang, Yoon-H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2

        본 연구는 광고 홍보 영역에서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사회 인지적 패러다임을 통해 소비 심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심리학의 사회 인지 접근이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하고, 광고 및 홍보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사회 인지의 여러 심리학적 이론들이 어떻게 적용되어 왔으며, 향후 적용될 수 있는지 소개 한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사회 인지 심리학의 이론들이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설득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제시하는 것이 주요한 목표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회 인지 심리의 주요 특성 및 역사를 개관한 후,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CSR)에 대한 소비자 반응, 위기에 대한 반응과 위기 대처 커뮤니케이션, 건강과 헬스 커뮤니케이션, 공익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설득과 같이 광고 홍보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뤘던 연구 이슈들을 정리하고, 사회 인지 심리적인 관점의 여러 이론들을 통해 해당 주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설득 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심리학적 이론들을 통해 현상을 보다 세밀히 설명하고, 관련 연구 주제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consumer psychology through social cognitive paradigm in order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effect of persuasive communication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In other words, this article is introducing how psychological theories of social cognition have been applied and will apply in the future, focusing on topics that are mainly dealt wit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research.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on how the theories of social cognitive psychology are applied to understand consumer behavior and how they can be used for effective persuasion communication. After analyzing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social cognitive psychology in detail, summarize the research issues that were mainly dealt wit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research. Key issues include that persuasion to drive public interest behavior, Health and Health Communicati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Risk management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through the psychological theories to the researchers who study persuasive effect,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apply them to related research topic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디어 정보에 의한 사회적 추론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재휘(Jae Hwi Kim),부수현(Su Hyun B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매스 미디어’라는 정보로부터 유발되는 사회적 추론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186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매스미디어를 통해 이전에 실제로 노출되었던 광고를 먼저 제시하고, 참여자가 그 광고에 노출되었던 미디어의 유형과 빈도, 그 광고에 대한 참여자 자신의 태도, 지식 및 행동반응, 그리고 ‘매스미디어’로부터 활성화 될 수 있는 사회적 추론 등을 측정하여, 각 측정변인들이 광고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매스미디어’라는 정보로부터 그 광고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 졌으며, 그것이 사람들 사이에서 얼마나 화젯거리가 되었을 것인지, 그리고 그 광고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일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추론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이렇게 활성화된 사회적 추론은 그 광고의 수용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 매스미디어에 의한 사회적 추론의 영향력은 광고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그리고 보다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그 광고를 접했던 집단에서 더욱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매스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은 매스미디어 그 자체의 힘이라기보다, 청중이 매스미디어로부터 읽어내는 사회적 추론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ocial inference induced by mass media on ad effectiveness.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influence induced by peripheral cue, mass media, not by central cue such as contents of ads when consumers encountered ads. We conducted on-line survey with 186 people to estimate inference of other`s evaluation, perception and response about ads as well as self evaluation, perception and response about ads a frequency of ad exposure. based of this data,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influence on message acception.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inference induced by mass medi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lower respondent`s knowledge level and the more mass media disclosure, the higher this tendency. These results emphasized consumers` activeness for explanation about effect of mass media. In other words, the persuasion of mass media were not work by mass media itself but by consumers` influence induced by mass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