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추 열매와 잎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김일훈 ( Il Hun Kim ),정창호 ( Chang Ho Jeong ),박수정 ( Soo Jeong Park ),심기환 ( Ki Hwan Sh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3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jube fruit and leaf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nctional food materialization and processing. The nitrogen-free extract contents of the fruit and leaf were 71.92% and 41.51%, respectively. The mineral components of the fruit and leaf were rich in Ca (72.14 and 3,252.09 mg/100 g), K (899.82 and 1,708.12 mg/100 g), and P (172.11 and 286.28 mg/100 g), respectively. The major free sugars of the fruit were glucose (13.01%) and fructose (7.35%); and of the leaf, sucrose (3.94%) and fructose (0.75%). The ascorbic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fruit (135.73 mg/100 g) than in the leaf (100.43 mg/100 g).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 amino acid showed a relatively high ratio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and essential amino acids of leucine, but a low methionine and cystine content. The ABTS and FRAP assays indicated that the butanol fraction of the leaf was a more potent radical scavenger and reducing agent than the other five solvent fractions. The butanol fraction of the leaf also presented inhibitory effects against lipid peroxid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butanol fraction of the leaf has strong antioxidative activities that are correlated with its high level of phenolics, particularly rutin and quercitrin. These phenolics of jujube leaf can be utilized as effective and safe functional food substances, i.e., natural antioxidants.

      • KCI등재

        국내 바다거북류의 출현 현황과 주요 출현 2종의 형태적 특징

        김일훈 ( Il Hun Kim ),문대연 ( Dae Yeon Moon ),조인영 ( In Young Cho ),김민섭 ( Min Seop Kim ),안용락 ( Yong Rock An ),한동욱 ( Donguk Han ),한원민 ( Won Min Han ),한동진 ( Dong Jin Han ),박대식 ( Daesik Park ) 한국수산과학회 201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0 No.3

        Four species of sea turtles (Chelonia mydas, Caretta caretta, Dermochelys coriacea, and Eretmochelys imbricata) have been recorded in Korean waters. However, nationwide surveys on the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each spe-cies have rarelybeen conducted in Korean waters. In this study, we comparatively analyzed the trends in occurrence of sea turtles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148 reliable observations and stuffed specimen data and suggested Korean names for each species. Chelonia mydas (57 cases, 58.8%) and C. caretta (52 cases, 31.5%) were dominant species, and occupied > 90% of all observations. Most of observations of sea turtles in Korean waters were obtained through stranding (61 cases) and incidental catches (62 cases). A coastal set net was the main fishing gear for incidental catches (82%). Sea turtles were found mainly around Jeju-do and the Korea Strait from June to No-vember. Most C. caretta found were adults, whereas most C. mydas were juveniles. Additionally, we provide detail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 mydas (n=8) and C. caretta (n=4) using stuffed specimens. Finally, based on a literature search, we suggest appropriate Korean names, such as “Pureunbada-geobuk” for C. mydas, “Bulgeunbada-geobuk” for C. caretta, “Jangsu-geobuk” for D. coriacea, and “Maeburibada-geobuk” for E. imbricate.

      • 국내 바다뱀의 연구: 큰바다뱀(Sea krait)의 포획과 기원 추적

        김일훈 ( Il-hun Kim ),박재진 ( Jaejin Park ),구교성 ( Kyo-soung Koo ),최우진 ( Woojin Choi ),권세라 ( Sera Kwon ),조한나 ( Hanna Cho ),김종선 ( Jongsun Kim ),박대식 ( Daesik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대서양과 태평양의 아열대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바다뱀은 코브라과 (Elapidae)에 속하며,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70종이 알려져 있다. 바다뱀은 바다에서 난태생 (viviparous) 으로 태어나 바다에서 섭식과 번식을 하며 평생 동안 육지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진정바다뱀아과 (Hydrophiinae)와 육지에서 난생 (oviparous)으로 태어나 바다에서 섭식을 하지만, 휴식과 번식은 육지에서 수행하는 큰바다뱀아과 (Laticaudinae)가 있다. 전자에는 총 62종이, 후자에는 8종이 알려져 있다. 국제적으로 바다뱀의 분화, 종의 분류, 기본생태의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나 국내에는 포획 사례에 근거한 바다뱀의 기록 이후 65년 동안 어떠한 연구도 수행된바가 없었다. 국내 바다뱀의 기록은 1951년 F.A. Shannon에 의해서 Hydrophis melanocephalus와 Pelamis (Hydrophis) platurus 2종이 최초로 기재되어 있으며, 두 종 모두 부산 초량에서 포획된 사례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1972년 북한의 원홍구는 부산 초량과 동해안 거진에서 발견된 사례에 근거하여 H. melanocephalus (먹대가리바다뱀, 검은머리바다뱀)와 부산 초량과 북한 옹진에서 발견 사례에 근거하여 H. cyanocinctus (얼룩바다뱀), 그리고 부산 초량에서 발견사례에 근거하여 H. platurus (바다뱀, 검은등바다뱀) 3종을 기재하고 있다. 남한의 경우 1975년 강영선과 윤일병이 부산 초량과 제주시 포획사례에 근거하여 먹대가리바다뱀을, 부산 초량에서 포획사례에 근거하여 바다뱀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재 이후에 해당 종들에 대한 구체적인 형태학적 기재나 생태학적 연구들은 수행되지 않았으며, 2003년 이종남이 1995년에 어민이 포획한 후 방사한 먹대가리바다뱀의 포획 사례를 유일하게 보고한 바 있다. 2013년부터 본 연구진은 국내 대학기관, 해양자원 보전기관 등에서 바다뱀 표본보관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더불어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과 제주해안에서 어민들을 대상으로 바다뱀 관찰에 대한 전화 인터뷰 및 현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또한, 온라인상에 탑재된 다양한 바다뱀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건의 바다뱀 사진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사진 1건은 거제인근에서 포획되었던 바다뱀 H. platurus 이었으며, 2건의 사진은 제주도에서 관찰된 것으로 국내에는 보고되지 않았던 큰바다뱀아과에 속하는 바다뱀으로 1차 판정하였다. 이후 추가적인 분석으로 부터 사진 속의 종을 Laticauda semifasciata와 L. laticaudata종으로 각각 판단하였으나, 표본이 없는 관계로 최종적으로 확정을 할 수는 없었다. 어민들의 현지 인터뷰결과 153명 중 약 35%인 53명이 사진으로 제시한 바다뱀을 관찰한 적이 있다고 답하였다. 3년간의 노력 끝에 2015년 8월 26일 제주 서귀포시에서 어민에 의해 바다뱀이 최초로 포획되었으며, 이후 9월과 11월에 각각 제주 애월읍과 남원읍에서 추가적으로 바다뱀개체가 포획되었다. 포획된 개체들의 꼬리모양, 주둥이비늘의 갈라짐, 정수리판비늘의 수, 몸통띠무늬의 모양과 수 및 미토콘드리아 Cyt b 유전자 시퀀스를 비교한 결과, 포획된 3개체는 모두 큰바다뱀아과에 속하는 L. semifasciata로 확인되었으며, 국명을 “넓은띠큰바다뱀”으로 하여 2016년에 국내 최초 포획을 한국동물분류학회지에 보고하였다. 또한, 포획된 바다뱀을 이용한 행동연구의 결과 바다뱀들은 밤9시경에 움직임을 시작하여, 새벽 5시 경에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다뱀의 활동은 해가 뜨는 시각에 맞추어 종결되었으며, 낮 동안은 은신처에 숨어서 거의 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넓은띠큰바다뱀은 해수보다는 담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획 시 확인된 바다뱀의 먹이로는 자리돔, 놀래기, 황놀래기가 있다. 이후, 같은 L. semifasciata 종 개체가 2016년 6월에 여수에서 1개체, 8월에 부산 기장과 고리에서 각 1개체, 제주서귀포에서 1개체 추가로 포획되었다. 이들 포획된 개체들의 mt DNA Cyt b 시퀀스와, 대만의 4개체 샘플, 그리고 NCBI 내 동일 시퀀스 자료를 함께 이용하여 이들의 기원을 추적하고 있다. 현재까지 5개체의 분석결과 2개체는 대만과 남부 류쿠열도 지방에서만 발견되는 하플로타입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체는 남부 류쿠에서만 나타나는 하플로타입을, 2개체는 류쿠열도 전역에서 관찰되는 하플로 타입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넓은띠큰바다뱀이 국내 바다에서 상주하는지의 여부는 여전히 해결해야할 질문으로 남아 있지만, 국내에 발견(혹은 유입)되는 넓은띠큰바 다뱀은 아마도 대만난류와 쿠로시오난류의 영향을 함께 받아서 국내로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인 샘플의 분석은 좀 더 정확한 유입경로와 기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3년부터 국내 바다뱀의 연구를 통해서 국내 최초로 바다뱀 샘플을 확보하였으며, 큰바다뱀아과에 속하는 바다뱀인 넓은띠큰바다뱀의 포획을 국내 최초로 국내에 보고하였다. 더불어서, 이들의 기초행동에 대한 정보와 개체들의 유입경로와 기원에 대한 자료를 축적 해나가고 있다. 우리의 연구는 국내 생물 다양성 자원을 확보하고, 맹독을 가지는 바다뱀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는 핵심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메타세콰이어나무 열매와 잎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배영일(Young-Il Bae),이주원(Ju-Won Lee),하태정(Tae Jung Ha),황승하(Seung-Ha Hwang),신창식(Chang-Sik Shin),정창호(Chang-Ho Jeong),김일훈(Il-Hun Kim),심기환(Ki-Hwan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3

        메타세콰이어 나무 열매와 잎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열매와 잎의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69.04% 및 50.47%로 나타났으며, 열매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9.95 mg/GAE g이었고, 잎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21.75 mg/GAE g으로 열매보다 잎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열매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Ca(2,136.08와 304.85 mg/100 g), K(1,355.53와 1,144.04mg/100 g) 및 P(426.30와 350.50 mg/100 g)이었다.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및 proline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leucine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고, methionine과 cystine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메타세콰이어 열매와 잎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잎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메타세콰이어나무 잎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nutri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ruits and leaves from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 nitrogen-free extract contents of fruit and leaves were 69.04% and 50.47%,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ntent was higher in leaves (21.75mg/GAE g) compared to the fruit (19.95 mg/GAE g). The mineral components of fruit and leaves mainly consisted of calcium (2,136.08 and 304.85 mg/100 g, respectively), potassium (1,355.53 and 1,144.04 mg/100 g, respectively), and phosphorous (426.30 and 350.50 mg/100 g, respectively). In terms of amino acid compositio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and leucine were relatively high, but methionine and cystine were low. The hot water extract from leaves was a more potent free radical-scavenger and had higher reducing activities than extracts from fruit. Thus, phenolics of M. glyptostroboides leaves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functional food substance for its natural antioxidant properties.

      • KCI등재

        등갑에 나타난 성장선에 근거한 멸종위기 종인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연령예측 가능성 평가<sup>1a</sup>

        정유정 ( Yu-jeong Jung ),김일훈 ( Il-hun Kim ),박대식 ( Daesik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6

        멸종위기종 개체군의 연령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개체군의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멸종위기종 Ⅱ급과 문화재청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남생이 (Mauremys reevesii)의 등갑에 나타나는 성장선으로 실제 연령을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실험개체는 실 연령이 1-9살인 서울동물원에서 사육하는 100개체였다. 성장선은 중앙 추갑판 네 개와 좌우측 첫 번째 늑갑판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실 연령 1-5살까지는 성장선의 수가 실 연령보다 많았으나, 6-9살에는 성장선의 수가 실 연령보다 적었다. 실 연령과 성장선 연령을 비교 평가한 결과 성장선으로 실 연령을 예측하는 것은 6살 이하에서 제한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또한 어린 개체와 암컷 남생이들의 등갑의 길이와 너비를 이용하여 나이를 예측하는 수식을 제공하였으나 연구에 사용한 남생이들의 나이가 실 연령이 어린개체들이 대부분이어서 신뢰성 있는 연령예측은 가능하지 않았다. 종합하면, 등갑에 나타난 성장선을 이용하여 남생이의 실 연령의 예측하는 경우, 성장선 6개 이하는 성장선 수의 최소값을 7개부터는 최대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실 연령과의 편차를 줄 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의 연구결과가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국내에서 거북류의 성장선의 수를 이용하여 실 연령을 예측한 첫 번째 연구로, 야외에서 멸종위기종인 남생이의 연령을 평가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Determining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of an endangered species is critical because it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population dynamics.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possibility if the growth lines on dorsal scutes of the national monument as well as endangered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can reliably estimate actual ages of the 100 turtles of which actual ages were known and have been housed in Seoul Zoo. We counted the number of growth lines on the first four dorsal scutes and the first left and right lateral scutes of each turtle and compared those with their known actual ages. Ages estimated by the growth lines were overestimated at between 1 and 5 actual ages, but underestimated at between 6 and 9 actual ages, indicating that age estimation using growth lines is only partially applicable at actual ages of less than 6 years old. In addition, using length and width of turtle`s dorsal plates, we produced growth curves with equations to estimate actual ages of females combined with juveniles, but its application to estimate actual ages was not reliably possible because all subject turtles which used were at relatively young ages. In conclusion, when estimating actual ages of Reeves` turtles using the number of growth lines on the dorsal scutes, it is recommend to use minimum values at less than 6 lines, but use maximum values at more than 7 lines. As the first study which estimated actual ages of a turtle species using growth lines on the dorsal scutes in Korea, our results could be useful to estimate ages of the endangered Reeve`s turtles in the field although its application might be limited.

      • KCI등재

        멸종위기 종인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동면 여부에 따른 기초 번식생리의 계절적 변동<sup>1a</sup>

        정유정 ( Yu-jeong Jung ),김일훈 ( Il-hun Kim ),구교성 ( Kyo-soung Koo ),송재영 ( Jae-young Song ),강신근 ( Shin-geun Kang ),박대식 ( Daesik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6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 종인 남생이의 복원을 위하여 개체증식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왔지만, 남생이의 번식생리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 사이에 동면을 한 개체와 동면을 하지 않은 개체를 이용하여 성호르몬, 여포와 알의 수와 크기, 암·수간의 행동상호작용의 계절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비록 동면 여부에 따라 다소의 편차는 있었지만, 암컷의 혈청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7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10월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수컷의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는 8-9월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3월에 가장 낮았다. 동면을 한 암컷들은 5월초에서 7월 중순 사이에 완전히 발달한 알을 가지고 있었으며, 산란은 6월 초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이루어졌다. 반면, 동면을 하지 않은 암컷들은 이른 4월부터 이른 6월 사이와 8월 중순에서 11월 하순 사이에 알을 가지고 있었으며, 산란은 6월초, 10월 중순, 2월 초에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동면이 여포와 알의 정상적인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행동연구에서 암·수간의 구애행동을 포함하는 행동상호작용은 8월 하순부터 증가되어 10-11월에 최대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남생이의 짝짓기 기간이 성호르몬의 증가와 직접 연계되어 있지만, 여포와 알의 발달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멸종위기종인 남생이의 성공적인 번식프로그램을 운영 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aptive breeding program of the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which i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category II species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has developed, but the reproductive physiology of the species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asonal changes in the sex steroid levels, the number and size of follicles and eggs and male-female interactive behaviors of hibernated and non-hibernated turtles between November 2014 and October 2015. Plasma estradiol level in females increased from July and peaked in the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Plasma testosterone level in males peaked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and was the lowest in March, although there were som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patterns of hibernation. Hibernated females had fully developed eggs between early May and middle July and laid eggs between early June and late July, but non-hibernated females had eggs between early April and early June and also between middle August and late November, and laid eggs in early June, mid-October, and early Februa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bernation could be essential for normal follicular and egg developments. Male-female interactive behaviors including courtship intensified from late August and peaked in October and November. Our findings suggest that mating period of this species is directly related to increased steroid hormone levels, but follicular and egg developments in females are not. Our results could be very useful to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aptive rearing programs of the endangered Reeve` sturtles.

      • KCI등재후보

        고리도롱뇽의 번식이주 시기와 기후요소와의 관계

        김자경 ( Ja Kyoung Kim ),박대식 ( Dae Sik Park ),이헌주 ( Heon Ju Lee,),정수민 ( Soo Min Jeong ),김일훈 ( Il Hun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4 생태와 환경 Vol.47 No.3

        To elucidate which climate factors and what periods affect the time of breeding migration of Gori salamanders (Hynobius yangi), we have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5-years breeding monitoring data from 2006 to 2010 which had obtained in both natural and translocated breeding sites at Bongdae mountain, Gijang-gun, Busan-si and the matched climate data obtained from the weather station, approximately 25 km apart from the sites. Mean average and mean lowest temperatures during one month before the first breeding migration were related with the time of first female migration in the translocated site. Mean temperature variation and mean precipitation during 60~120 days before the first breeding migration affected the time of 30% male appearance at the natural site and the time of 30% female appearance at both natural and translocated sites. Climate factors were more closely related with female appearance than male and at the translocated site than at the natural site. Our results show that changes in mean temperature variation and mean precipitation rather than mean average temperature might more significantly affect the breeding migration of salamanders, female breeding migration is more closely related with climate factors, and the salamanders translocated could be more affected by climate changes than those in natural pop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