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정은 체제의 대남정책과 남북관계

        김일기 ( Il Gi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2 글로벌정치연구 Vol.5 No.1

        북한은 작년 김정일 사망 이후 권력승계의 속도를 빠르게 진행하여 올해 4월의 제4차 당대표자회와 제12기 제5차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김정은 체제를 공식적으로 출범시켰다. 현재 김정은 체제의 대내외 정책 방향은 김정일의 유훈에 따라 진행되고 있으나, 구체적 내용들은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김정은 체제의 대남정책 방향과 남북관계를 전망하였다. 김정은 체제는 북한의 전통적 대남전략 목표인 ``한반도 공산화``를 계승함과 동시에 강온 양면의 이중적 대남정책을 전개할 것이다. 북한의 대남 유화정책은 경제난 해결과 미북 관계 개선 및 6자회담 재개를 위해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대남 강경정책은 미북 관계와 북핵 협상 미진, 체제위기 탈피, 남북관계 주도권 확보 차원에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김정은 시대의 남북관계는 북한의 이중적 대남정책에 따라 경색과 회복의 국면을 반복할 것이다. 북한의 대남정책에서 새로운 변화가 없는 한 당분간 남북관계는 경색국면을 벗어나기 어렵다. 그러나 장기적 측면에서 보면 남북관계는 김정은 체제의 안정화 속에서 제한적이지만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높다. 아마도 남북관계와 한국, 미국, 중국의 권력교체가 완료되고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는 2013년 이후에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기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Kim Jong-un regime has been officially launched from the fourth Conference of the Workers` Party of North Korea, and the fifth session of the 12th Supreme People`s Assembly was held on April 2012. The policy of Kim Jong-un regime has been followed by the teachings left by Kim Jong-il, but the details of it have not been known. So, this article analyzes not only the North Korea`s Policy against South Korea, but also inter-Korea relations which could be expected in the Kim Jong-un Regime. While it maintains the past policy objective, "the communization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will be continued to purse the dual strategy of hardline and moderate toward South Korea. Inter-Korea relations of Kim Jong-un Era will be swung back and forth such as pendulum in the wall clock. If there is no change in strict policy toward South Korea, inter-Korea relations will become progressively worse. Taking the long-term perspective, however, inter-Korea relations will be improved gradually.

      • 김정은 시대 북한정치의 특징과 전망

        김일기(Kim, Il-Gi),이수석(Lee, Su-Suk) 북한학회 2013 북한학보 Vol.38 No.2

        이 글은 김정은 시대 북한 정치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변화를 전망하고 있다. 북한 정치의 특정은 권력구조와 리더십 그리고 통치이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북한의 권력구조는 수령체제라는 북한 정치체제의 특성에 주목하여 유일영도체계와 함께 권력엘리트의 재편에 초점을 두었다. 김정은 시대 유일영도체계는 김정일 시기에 비해 약해지고 있으며, 권력엘리트들은 당-정-군 모두에서 세대교체가 가속화되고 있다. 둘째, 김정은의 정치적 리더십은 인격적 리더십과 제도적 리더십을 통해 분석하였다. 김정은은 김정일 사망 직후 최고지도자의 지위에 기반한 제도적 리더십을 갖춘 이후, 현재까지 인격적 리더십 확립에 매진하고 있다. 셋째, 북한의 통치이념은 주체사상에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북한은 김정은 시대의 실천담론으로서 김정일 애국주의를 확산시키고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은 김정은 시대의 새로운 비전과 목표를 제시할 것이며, 이를 통해 김정일과의 차별성 및 변화를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litics and predicts future changes under Kim Jong-Un era. It is analyzed power structure, political leadership and ruling ideology as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litics. First, The power structure is consist of 'uilyongdochege (monolithic leadership)' and change of power elite. The 'uilyongdochege' has weakened and the replacement of power elite has accelerated compared to Kim Jong-Il era. Second, there were analyzed personal leadership and positional leadership as Kim Jong-un's political leadership. Kim Jong-Un established institutional leadership based on position of supreme leader soon after the death of Kim Jong-Il and has been trying to establish personal leadership. Third, The ruling ideology of North Korea changed from 'Juche Ideology' to 'Kimilsung-Kimjongilism'. And The 'KimJongil Patriotism' is spreading to the entire society as the discourse for practice 'Kimilsung-Kimjongilism'. Finally, North Korea will present a new vision and goals and try to differentiate Kim Jong-Un era from Kim Jong-Il era.

      • 국제사회의 인권개입과 북한의 대응전략

        김일기 ( Il Gi Kim ) 朝鮮大學校 統一問題硏究所 2011 統一 問題 硏究 Vol.26 No.2

        본 논문은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개입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제사회의 효과적인 북한인권 개입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개입은 유엔, 미국·유럽연합·일본 등 개별국가, 그리고 국제인권단체들을 중심으로 북한인권결의안, 북한인권법, 북한인권보고서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인권개입에 대해 우리식 인권을 주장하면서 체제안보의 관점에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국제사회에 소극적으로 협력하거나 내부적으로 법률을 재정비하는 등 변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북한인권 문제는 북한 당국 스스로 개선노력을 보이지 않는 이상 더 이상 진전되기는 어렵다.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개입이 그동안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나 성공을 거두지 못한 이유는 북한의 자발적 동의를 이끌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국제사회의 효과적인 북한인권 개입은 북한당국이 인권개입을 수용하는 것이 북한에게 이익이 된다는 인식변화가 수반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북한 스스로의 인권개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어렵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인권 개입 역시 북한주민의 인권보호와 증진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society is concerned about human rights issues about DPRK.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naturally concluded to intervene in human rights issues against North Korea. Therefore, on this study,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countermeasures of North Korea against the interv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search the effective intervening strategies on improvement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There are many kinds of intervention in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s, such as UN Resolution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PRK, North Korean human Right Act of 2004, and 2009 Human Rights Repor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onducted by individual nations-e.g., US, EU, Japan- as well as organizations for human rights. For North Korea, it is hard to improve the matter of human rights without making efforts to reform itself voluntarily. Despite a lot interventions in human rights from international society, the failure of North Korea is caused by the absence of informed consent. Considering this, therefore, to be successful in effective intervening in human rights issues about North Korea, it should be headed to broad the possibility to make real benefits for North Korean authorities by itself. Moreover, it is essential to keep endeavoring for improv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of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체제변화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의 개혁,개방 연구

        김일기 ( Il Gi Kim ) 북한연구학회 2006 北韓硏究學會報 Vol.10 No.1

        본 논문은 7·1 조치 이후 북한의 개혁·개방을 사회주의 체제변화론의 관점에서 그 내용과 특징 및 단계와 유형을 분석하였다. 북한의 개혁·개방은 시장화, 분권화, 대외개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단계적이면서도 동시에 진행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북한의 개혁·개방은 정치, 이데올로기부문에 대한 정치개혁이 아니라 경제부문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체제전환이라기 보다는 체제내 개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개혁의 내용을 중심으로 볼 때 계획경제와 시장경제간의 병존 실험을 도모하고 있는 시장화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개혁·개방 유형은 넓은 의미에서 점진적인 시장화속에서 단일전환을 모색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과 같은 동아시아 유형으로 볼 수 있다. 향후 북한의 개혁·개방은 점진적 시장화속에서 제한적인 사유화의 도입과 경제특구를 통한 대외개방의 확대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form & openness in North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ocialist system change perspective. The North Korea has been many changes in the early years of the 21th century. Namely, North Korea accomplish drastic reforms and openness in the economic system in 2002. They are the `7·1 measure` and the foreign openness of special economic zone like `Sinuiju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the Mount Geumgang Tour`, `Gaesong Industrial Park` established in July-November 2002. The North Korea`s reform and openness aims at stimulating the national economy by introducing capitalist methods. It is the reform within the system, not the post-socialist system transition. It also supports active marketization and decentralization reform in North Korea. It was rushed into the liberalization of trade with foreign nations and expansion of privately-owned right and extension of the capitalistic marke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orth Korea has much prospect for the gradual path of economic system change. As internal reform is to go on with external openness, it is expected to give priority to marketization.

      • KCI등재후보

        국제사회의 인권개입과 북한의 대응전략

        김일기 ( Il Gi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1 동북아연구 Vol.26 No.2

        본 논문은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개입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제사회의 효과적인 북한인권 개입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개입은 유엔, 미국·유럽연합·일본 등 개별국가, 그리고 국제인권단체들을 중심으로 북한인권결의안, 북한인권법, 북한인권보고서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인권개입에 대해 우리식 인권을 주장하면서 체제안보의 관점에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국제사회에 소극적으로 협력하거나 내부적으로 법률을 재정비하는 등 변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북한인권 문제는 북한 당국 스스로 개선노력을 보이지 않는 이상 더 이상 진전되기는 어렵다.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개입이 그동안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나 성공을 거두지 못한 이유는 북한의 자발적 동의를 이끌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국제사회의 효과적인 북한인권 개입은 북한당국이 인권개입을 수용하는 것이 북한에게 이익이 된다는 인식변화가 수반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북한 스스로의 인권개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어렵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인권 개입 역시 북한주민의 인권보호와 증진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International society is concerned about human rights issues about DPRK.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naturally concluded to intervene in human rights issues against North Korea. Therefore, on this study,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countermeasures of North Korea against the interv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search the effective intervening strategies on improvement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There are many kinds of intervention in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s, such as UN Resolution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PRK, North Korean human Right Act of 2004, and 2009 Human Rights Repor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onducted by individual nations-e.g., US, EU, Japan- as well as organizations for human rights. For North Korea, it is hard to improve the matter of human rights without making efforts to reform itself voluntarily. Despite a lot interventions in human rights from international society, the failure of North Korea is caused by the absence of informed consent. Considering this, therefore, to be successful in effective intervening in human rights issues about North Korea, it should be headed to broad the possibility to make real benefits for North Korean authorities by itself. Moreover, it is essential to keep endeavoring for improv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of North Korea.

      • KCI등재

        제7차 당대회를 통해 본 북한의 통일정책

        김일기 ( Kim Il-gi ),형수 ( Kim Hyeong-soo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4 No.4

        북한은 1980년 제6차 당대회 이후 36년만인 2016년 5월 제7차 당대회를 개최하였다. 당대회는 북한의 대내외 주요 노선과 정책들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자리이다. 이 글은 제7차 당대회를 북한의 통일정책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으며, 당대회 이후 남북관계에 대한 전망과 우리의 대북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북한의 통일정책과 관련되어 관심을 모았던 분야는 김정은 시대의 새로운 통일방안 제시, 대남전략 변화 그리고 남북대화 제시 등 세 분야로 볼 수 있다. 북한은 통일방안과 관련하여 새로운 통일방안을 제시하는 대신 기존의 `조국통일 3대헌장`과 `연방제`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대남전략은 `민족해방민주주의혁명`을 통한 한반도의 공산화 전략을 고수하는 데 그쳤다. 나아가 남북대화는 `군사회담`을 제안하였으나 핵개발과 대남 군사도발 위협을 지속하는 등 상호 모순된 행동을 보였다. 이번 제7차 당대회에서 나타난 북한의 통일정책은 기존의 내용과 입장들을 반복하고 있을 뿐 새로운 변화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김정은의 부정적 대남관과 통일관을 반영하고 있어 향후 남북관계는 현상유지에서 비관적 시나리오로 나아갈 가능성이 높다. North Korea held the 7th Party Convention in May 2016 in 36 years after the 6th Party Convention in 1980. The Labor Party Convention is a meeting to discuss and determine the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lines and policies of North Korea. This paper focused on and analyzed North Korea`s unification policies discussed in the 7th Party Convention. Based on the analysis, it produced the outlook on the inter-Korea relations after the 7th Party Convention and implications on the South Korean policies toward North Korea. The interested parts regarding the unification policies of North Korea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opics of suggestion of the new unification plans, changes in the strategies toward South Korea and suggestion of inter-Korean talks under the regime of Kim Jong-un. North Korea emphasized the existing `top three charter of national unification` and the `federal system` rather than suggesting the new unification plans. The North Korea`s strategy toward South Korea stuck to the one aimed to communize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national liberation democratic revolution.` North Korea suggested `military talks` for inter-Korean talks. However, it can be interpreted as mutual contradiction to mention talks and negotiations while continuing to develop nuclear and threaten the military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North Korea`s unification policies discussed in the 7th Part Convention only repeated the existing policies and positions and are hard to find the new changes. This reflects Kim Jong-un`s negative view against South Korea and the negative unification view, which leads to expect the future inter-Korean relations to be in a negative scenario.

      • KCI등재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와 지각된 콘텐츠 속성 따른 비교효과 연구

        기민(Kim Ki-Min),일기(Shin Il-GI) 한국OOH광고학회 2017 OOH광고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 생산 그룹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와와 그들이 생산하고 있는 콘텐츠의 유형과 그에 따른 광고효과에 주목하였으며, 콘텐츠의 영상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속성이 실제 콘텐츠의 고유 속성에 따라 수용자들의 인식과 태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상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요소, 제품태도, 콘텐츠태도에 따른 차이를 실제로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영상 간에 크리에이티브 요소 중 ‘제품정보’ 요소, 소비자 선호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요소, 제품태도, 콘텐츠태도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통해 같은 제품이 노출되는 영상의 경우에도 다르게 지각한 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크리에이티브 요인과 소비자 선호 반응, 소비자의 지각된 콘텐츠 속성, 제품과 콘텐츠 태도가 콘텐츠 유형에 따라 그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며, 새로운 콘텐츠인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선호 반응 그리고 소비자의 지각된 콘텐츠 속성과 제품과 콘텐츠 태도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새로운 광고유형에 대한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reative effect of the creative content creator and the content that they produce. The research problem to be tried is the image creative element, consumer preference response element, perceived content attribut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images that are judged to have different intrinsic properties of the actual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 of all research measur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imaging types. However, in the case of visual creative elements, image expression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consumers actually perceive the differences in the creative factors, consumer response factors, perceived content factors, product attitudes, and content attitudes that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it is presumed that the images of the same product ar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duct information’ element, the consumer preference response element, the perceived content element, the product attitude, and the content attitude And that these factors can be important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at creative factors, consumer preference reaction, perceived content attributes of consumers, product and content attitud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content types, and new contents such as creative factors, consumer preference responses, and consumer perceived content attribute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new ad type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nd content attitudes.

      • KCI등재

        육종성 변화를 동반한 간내담관암: 증례 보고

        태은,장호,병영,일기,Kim, Tae-Eun,Kim, Jang-Ho,Kim, Byeong-Yeong,Lee, Il-Gi 대한영상의학회 200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0 No.3

        담관암은 여러가지의 병리적 형태를 가질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육종성 변화를 동반한 담관 암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2 개월간의 열감을 주소로 방문한 71세 남자 환자에 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주변부에 저에코와 내부의 고에코를 가지는 큰 비균질한 종괴를 발 견하였다. 이후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에서는 내부에 지연기까지 지속적으로 조영증강을 보이는 비균질한 종괴로 나타났으며, 자기공명영상에서는, T1WI상 대부분 저신호강도로 T2WI상에서는 주변부는 고신호, 중심부는 등신호강도를 보이는 육종성 변화를 동반한 간내 담관암을 경험하였으며,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Cholangiocarcinomas have several histologic types, but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with sarcomatous change is rare. A 71-year-old ma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because of fever which had lasted two months. Ultrasonography (US) of the upper abdomen demonstrated a huge hepatic mass with central solid and peripheral cystic portions, and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a heterogeneous hepatic mass with a central area in which enhancedment was delay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isclosed a huge mass of predominantly low signal intensity at T1WI, and peripheral portions of high signal intensity and a central portion of intermediate signal intensity at T2WI. The pathologic diagnosis was cholangiocarcinoma with sarcomatous change.

      • KCI등재

        중동 시민혁명이 북한 민주화에 주는 시사점: 민주화 지원과 정보기술 효과를 중심으로

        고경민 ( Kyung Min Ko ),김일기 ( Il Gi Kim ) 북한연구학회 2011 北韓硏究學會報 Vol.15 No.1

        2010년 12월 튀니지에서 시작된 재스민 혁명은 이집트, 리비아, 바레인, 예멘을 넘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중동 시민혁명은 전 세계적인 관심의 집중과 함께 다른 독재국가들로의 확산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이 글은 중동 시민혁명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 민주화 촉진을 위한 조건을 제시하고 전망하였다. 연구의 분석틀은 민주화 촉진의 내외부적 동인에 주목하여 구조적 요인(structural factor), 촉진요인(catalytic factor), 촉발요인(trigger factor)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세 요인들 중 북한 민주화와 관련하여 촉진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대외적 요인인 민주화 지원 전략과 대내적 요인인 정보기술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북한의 민주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북한 인권법을 포함한 민주화 지원전략을 고민해야 한다. 북한 민주화는 개혁·개방을 통한 점진적 개선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지만, 또 다른 방안으로 북한 주민이 현재 처해 있는 생존과 인권 문제에 직접적 개입할 수 있는 방안도 구체적으로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다. 북한 민주화를 위한 정보기술의 접근은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 같은 첨단 정보기술의 확산과 활용뿐만 아니라 단파 라디오나 유선전화 같은 미드테크 정보기술들까지도 복합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첨단 정보기술과 미드테크 정보기술의 동시적 활용이 북한의 정보화 환경과 더 친화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민주화 운동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Jasmine revolution in Tunisia, which began in December 2010, has rapidly spread to othe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cluding Egypt, Libya, Bahrain, and Yemen. The civil revolution for democracy in the Middle East has lead to the interest in the whole world and resulted in a heated debate on whether such event would be occurred in other autocratic states. This paper analyze whether civil revolution for democracy can occur in North Korea as Middle East. The factor of the movement for democracy in the Middle East is composed of trigger factor, structural factor and catalytic factor. First, the trigger factor is the attempt for suicide of Mohamed Bouazizi as young man. Second, structural factors are political dictatorship and economic crisis. Third, catalytic factors are support for democratization and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this paper emphasize catalytic factor for North Korea`s democratization by focused on the support strategy for democratization and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First, In order to promote North Korea`s democratization is needed to support strategy for democracy such as North Korea Human Right Act. Second, the civil revolution for democracy in North Korea need to utilize mid-technology such as micro-wave radio, as well as high-technology such as Internet, smart phone, and SNS.

      • 북한의 변화와 한반도 평화

        김일기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11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10 No.2

        북한은 최근 김정은으로의 권력세습과 2012년 강성대국 달성을 위해 총력전을 전개하고 있다. 북한이 권력세습 과정에서 선택하게 될 정책방향은 북한 내부를 넘어 한반도와 동북아 질서에 커다란 파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최근 북한의 변화를 권력세습과 경제상황을 통해 살펴보고, 나아가 한반도 평화는 북핵문제와 남북관계의 분석과 전망을 통해 조망하고자 한다. 북한은 제3차 당대표자회를 통해 김정은을 후계자로 등장시켰으며, 후계체제의 안정적인 조기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나아가 ‘그럭저럭 버티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 경제의 회복을 위해 내부자원의 총동원과 북․중 경제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북핵문제와 6자회담은 남북 비핵화 회담과 미북 고위급 대화를 통해 다시 협상국면으로 접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남북관계는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로 인해 아직까지 경색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북한의 향후 정책변화는 우리의 대북정책 과 남북관계 추진에 많은 도전을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도전에 능동적․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북한 내부의 변화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함께 세밀하고 치밀한 대응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North Korea recently has been accelerating for political leadership succession and fling open the gate of thriving nation (Kangsong Daekook) in 2012. The policy choice of North Korea during political leadership succession will have a huge impact on peace not only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Northeast Asia.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change of North Korea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former includes political leadership succession and economic condition in North Korea, the latter includes inter-Korean relations and six-party talks for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Kim Jong-un, the third son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will succeed his father as leader of the North Korea after the conference of the Workers' Party of North Korea which was held on September 28, 2010. Furthermore, North Korea has been trying to achieve economic recovery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and total mobilization of internal resources. The six-party talks has entered a phase of negotiations after bilateral meetings between the two Koreas and separately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Nevertheless the present stat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worsening due to the sinking of the Cheonan and the shelling of Yeonpyeong Island. Policy changes in North Korea will bring many challenges on South Korea's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order to cope with these challenges,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response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