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소비자인식

        김인혜 ( Kim Inhye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6

        빅데이터 활용 기술이 발전하면서 온라인에서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생산하거나, 기록되는 개인과 관련된 정보들이 사업자에 의해 수집·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소비자가 개인정보로 인식하는 수준을 알아보고, 사업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소비자의 동의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10대에서 5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패널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개된 정보와 이용내역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소비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라고 높게 인식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여성이, 50대가 아닌 연령대가, 개인정보 보호 행동 점수가 높고, 개인정보 유출 경험이 있거나 유출된 적이 없음을 확신하지 못하는 소비자가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정보를 자신의 개인정보라고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공개된 정보보다 이용내역정보를 개인정보로 더 높게 인식하였다. 소비자는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한다는 사실을 인지하더라도 사업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전반적으로 동의하지 않았다. 또한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일부 혜택을 제공할 때에도 소비자의 동의정도가 낮았다. 단, 사업자가 개인정보 활용에 대해 고지하거나 동의를 받는 등 적극적 조치를 취하는 경우 소극적 조치를 취할 때보다 소비자의 동의정도가 높았다. 또한 개인정보가 활용되는 과정과 범위에 자신의 의사가 반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일수록 사업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하는 정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와 개인정보 활용에 대해 정보주체인 소비자의 입장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활용할 때 정보주체인 소비자의 동의를 얻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정보 활용의 과정과 범위에 대한 사실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개인정보를 활용할 때 소비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등 정보주체인 소비자를 존중하며 빅데이터 산업의 활성화를 달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한다.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established Big data Guideline which allows operators to use consumer information. Korean society calls for amending the guideline a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vasion of privacy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operators’ using such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which information consumers perceive as their own personal information and how they think about the usage of information by operators in big data environment. This study reveals the consumers’ perception on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usage in big data environment. In this study, an online panel survey was conducted with 574 consumers in their teens to 50s. The main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highly perceive as their personal information all the information produced in big data environmen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which they make public and online behavior information. This resul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we need to expand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in related studies. Second, most consumers do not give consent to the operators’ usage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consumers do not accept the usage when operators do not inform on it well, they consent a little more when operators inform on it and get consumers’ consent directly. This result reveals that us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 big data environment should be careful. Lastly, consumers give their consent to operators’ us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y perceive that their opinion is reflected throughout the process of information usage. That is why we need to hear the voice of consumers when amending Big data Guideline in Korea.

      • KCI등재

        캥거루족 부모와 비캥거루족 부모의 생활만족도 비교 연구

        김인혜 ( Kim Inhye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캥거루족인 자녀가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생활만족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캥거루족 부모와 비캥거루족 부모의 생활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캥거루족인 자녀와의 동거가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생활만족도에 응답하지 않은 부모를 제외한 758명의 캥거루족 부모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비교대상이 되는 비캥거루족 부모는 캥거루족 부모의 연령대와 성별의 분포에 맞추어 758명을 선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캥거루족 부모와 비캥거루족 부모의 생활만족도는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가족관계에 가장 만족하였으며, 다음으로 사회적 친분관계, 주거 환경, 전반적 생활, 직업, 여가생활, 건강에 만족하는 정도가 높았다. 반면 가족의 수입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에 대한 만족이 다차원적으로 구성됨을 보여주며, 캥거루족 가구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만족도를 고려하는 확장된 시각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캥거루족 부모와 비캥거루족 부모의 생활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대체로 부모 간 생활만족의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유형에서 캥거루족 유무가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캥거루족 부모는 비캥거루족 부모에 비해 가족관계에 더 만족하나 전반적인 생활과 가족의 수입에 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캥거루족을 부모세대의 부채로 지각하고 캥거루족 가구의 생활만족도를 저해하는 대상으로 속단하는 것을 지양하고, 새로운 소비 경제주체로서 캥거루족 가구를 중립적으로 파악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캥거루족 부모와 비캥거루족 부모의 생활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캥거루족 유무나 경제적 요인보다 심리적 건강과 가족관계 요인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건강이나 가족의 수입에 대한 만족도에는 만족도의 특성에 부합하는 신체적 건강상태나 가처분 소득이 큰 영향을 미쳤으나 여전히 심리적 건강과 가족관계 요인의 영향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캥거루족 가구와 비캥거루족 가구 모두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가계의 경제적, 심리적, 관계적 요인을 고려한 균형 잡힌 정책이 중요함을 제안한다. Using data from the 2018 Korea Welfare Panel Stud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o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effects parents’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re were 758 parents living with their adult children. Other 758 parents not living with their grown children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With a total of 1,516 parent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on parents’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mensions of parents’ life satisfaction. Both parents with coresident adult children and other parents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cluding family relationship, social relationship, housing environment, overall life, job, leisure and health satisfaction except for household income satisfaction. This result confirms that life satisfaction consists of multiple dimensions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dimensions of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enhance overall household welfare. Second, the effects of co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are different among dimensions of life satisfaction, particularly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household income and overall life. While negative on their satisfaction with household income and overall life, the effects of co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were positive on parents’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This result provides implications that neutral point of view is required for further research on coresidence with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Lastly,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and family relationship factors showed relatively strong effects on multiple dimensions of parents’ life satisfaction than co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or economic factors did.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for both parents living with their adult children and other parents, a more balanced policy needs to be developed considering psychological health, family relationship and financial health of household.

      • KCI등재
      • KCI등재

        정보이용자의 식품영양정보 이용 실태와 만족도

        김인혜(Inhye Kim),박민서(Min-Seo Park),배현주(Hyun-Joo Bae)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4

        PC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정보 검색비율이 높은 20–3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품영양정보 이용 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맞춤형 식품영양정보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자 총 570명 중 남자가 45.4%, 여자가 54.6%였고, 20대가 66.3%, 30대가 33.7%였으며, 직장인이 52.3%, 학생이 41.6%, 무직이 6.1%였고, 기혼이 16.1%, 미혼이 83.9%였으며, 1인 가구가 전체의 41.4%, 가족과 함께 동거하는 경우가 58.6%였다. 매체별로 하루 평균 3시간이상 이용하는 경우는 TV가 14.2%, PC가 26.0%, 스마트폰이 63.7%였다. 식품영양정보의 검색빈도는 일주일 1회 이상이 30.9%, 일주일 1회 미만이 36.8%, 검색하지 않는 경우가 32.3%였다. 정보를 실생활에 적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체의 70.0%였고, 정보를 타인과 공유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54.7%였으며 공유방법 (복수응답)은 구두 전달이 69.6%, SNS 이용이 64.4%였다. 정보검색 비율은 맛집 정보 (64.8%), 다이어트 (57.5%), 음식조리법 (55.7%), 식품성분 및 효능 (35.2%), 건강기능식품 (31.1%) 순으로 높았다.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평균 3.33점/5점이었고 전체적인 만족도는 ‘내용 설명이 충분하고 이해하기 쉬움’ (3.43점), ‘제목과 내용이 일치’ (3.35점), ‘참신하고 새로운 정보 제공’(3.22점)순으로 평가점수가 높았고, ‘수요자와의 의사소통 가능’ (2,73점) 항목이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다. 정보이용 만족도 평가점수는 정보검색을 하는 그룹 (p < 0.001), 검색한 정보를 실생활에 이용하는 그룹 (p < 0.001)과 정보를 타인에게 전달하는 그룹 (p < 0.001)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정보이용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정보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상별 정보 요구도 조사와 만족도 평가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utilization practices of adults aged between 20 and 30 year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customized content. Method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ver. 24.0) for the χ2-tes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sults: Of the 570 subjects surveyed, 45.4% were men, 54.6% were women, 66.3% were in their 20s, 33.7% were in their 30s, 41.4%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58.6% lived with their families. On average, 14.2% of televisions (TVs), 26.0% of personal computers (PCs), and 63.7% of smartphones were used for more than three hours per day. 30.9% of respondents searched f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more than once a week. 70.0% of the respondents had then applied the information in real life and 54.7%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oul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Information retrieval rate was in the order of ‘restaurant (64.8%)’, ‘diet (57.5%)’, and ‘food recipes (55.7%)’. Overall satisfaction with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veraged 3.33 on a five-point scale. Satisfaction score was in the order of ‘enough description and easy to understand (3.43)’, ‘matching title and content (3.35)’, and ‘providing new and novel information (3.22)’. Satisfac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hat searched for information (p < 0.001), the group that used the retrieved information in real life (p < 0.001), and the group that conveyed this information to others (p < 0.001). Conclusion: To improve information use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user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nduct surveys and satisfaction evaluations for each target group.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관련된 다면적 건강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

        안현서(Hyunseo An),김인혜(Inhye Kim),윤소현(Sohyeon Yun),박혜연(Hae Yea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2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다면적 건강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을 모두 평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데이터베이스 RISS, NDSL, PubMed, Embase를 사용하여 2013년부터 2023년 1월까지 발표된 국내외 학술논문을 검색하였고, 최종 16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평가에는 전반적으로 표준화되지 않은 도구들이 사용되었고, 다양한 버전의 Lubben 사회관계망 척도(LSNS)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16편의 연구에서 도출된 사회적 관계망 관련요인 28개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주관적 건강의 네 가지 건강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영역별로 신체적 허약, 우울, 사회적 역할 장애, 삶의 질 등의 요인들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관계망을 보다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활용하여 노인의 다면적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및 콘텐츠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We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social networks on the multifaceted health domains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tudies that evaluated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hrough databases RISS, NDSL, PubMed, and Embase, articles from 2013 to 2023 were searched, and the final 16 studies were selected. Overall, non-standardized tools were used for evaluation, and various version of Lubben Social Network Scales were most commonly used. 28 factors derived from 16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health domains: physical, mental, social, and subjective health. Factors such as physical frailty, depression, social role disability, quality of life were studied by domain. This study highlights the influence of the social networks on the multifaceted health of the elderly, and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multifaceted health intervention contents by utilizing social network in the future.

      • KCI등재

        개별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작업치료사의 역할 중심으로

        윤소현(Sohyeon Yun),김인혜(Inhye Kim),안현서(Hyunseo An),박혜연(Hae Yean Park)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의 개별화교육 수립 운영에 관한 인식과 각 학급에서의 대처하기 어려운 도전적 행동에 대한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통해 팀 협력적 접근 속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3년 5월 8일부터 2023년 5월 21일까지 전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원감, 부장교사, 일반교사(1정 정교사, 2정 정교사), 특수교사, 수석⋅보직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SNS (카카오톡)로 발송하고 회수한 20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각 학급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70.9%가 장애유아(53.9%)뿐 아니라 비장애유아(46.1%) 또한 도전적 행동을 보인다고 응답하였고, 타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필요로 하였다. 개별화교육을 알고 있다고 답하였지만 개별화교육의 수립 및 시행 방법 및 방향성에 관한 자세한 사항에 대한 세미나⋅보수⋅연수⋅직무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치료의 직무를 잘 모르지만 개별화교육에 작업치료사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응답률은 높게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들은 학급에서 도전적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지도할 때 타 영역 전문가와의 협력을 원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개별화교육 협력적 팀 접근 중재를 적용하는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하여 작업치료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관한 관련 세미나⋅보수⋅연수⋅직무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IEPs) and identify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in the classroom.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as professionals using a team approach. Methods: A nationwi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8, 2023 to May 21, 2023. Participants included principals, teachers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and staff from kindergartens and nurseries across the country. A total of 203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Overall, 70.9% of respondents, responsible for their respective schools, reported that not only children with disabilities (53.9%) but also those without disabilities (46.1%) exhibited challenging behaviors. Although they were aware of IEPs, the respondents indicated the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regarding the specifics of IEP expansion and implementation. Conclusion: Preschool teachers desire collaborations with other specialists when handling children who show challenging behaviors in their classroom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more research focused on applying a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 individualized education. This also highlights the need for professional seminars and training related to the importance and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 가정 환경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최진한(Jinhan Choi),권가진(Gahgene Gweon),김인혜(Inhye Kim),서봉원(Bongwon Suh)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은 우리사회의 심각한 문제이다. 특히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은 성인에 비해 약 2.3 배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어 중독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1 학년 학생 768 명을 대상으로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설문 조사 결과를 다변량회귀분석으로 분석하여 청소년의 가정 환경의 요인이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에 각각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가정 환경의 요인이 인터넷만 중독인 사용자군과 스마트폰만 중독인 사용자군에 어떻게 차별적으로 적용되는지 확인하였다. 다변량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지나친 간섭, 부모의 권위적인 양육태도, 형제자매간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관여가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에서 모두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좋은 형제자매간의 관계는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에서 공통적으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부모의 권위적인 양육태도는 스마트폰 중독에서만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정 결과, 인터넷만 중독인 사용자군과 스마트폰만 중독인 사용자군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요인은 부모님과의 대화시간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