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아의 결핵

        김이경,나송이,박진영,최은화,이환종,Kim, Ee-Kyung,Nah, Song-Yi,Park, Jin-Young,Choi, Eun-Hwa,Lee, Hoan-Jong 대한소아감염학회 199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5 No.1

        목 적 : 1세 미만 영아들은 결핵에 이환될 경우 뇌막염이나 속립성 결핵 등의 심한 질환으로 진행할 위험이 다른 연령군에 비하여 높으므로 이들에서 결핵의 조기 진단에 의한 신속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1세 미만 영아 결핵 환아들의 임상적인 특징을 관찰하여 향후 진단,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 7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 입원했던 1세 미만의 결핵 환아 29명의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핵의 진단은 각종 가검물에서 M. tuberculosis가 분리되거나(13례) 병리학적으로 결핵과 부합하는 소견을 보이는 경우(1례)를 포함하였으며, 미생물학적 병리학적 증거를 얻지 못한 예들에서는 성인결핵 환자에의 노출력, 임상 양상, 흉부 방사선 소견, 5 투베르쿨린 단위로 시행한 망토우 반응 결과 및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종합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 질환의 형태는 단독 폐결핵으로 나타난 경우가 12례로 가장 많았고, 뇌막염이 동반된 폐결핵 5례, 폐결핵과 림프절염 3례, 뇌막염 3례 및 속립 결핵 6례 등이었다. 환아들의 평균 나이는 7개월이었다. 감염원을 찾을 수 있었던 경우가 19례였으며, 이 중 환아에서 결핵이 의심되어 주변 어른을 검사한 결과 결핵이 발견된 경우가 7례였다. 처음 방문시 증상이 있었던 경우가 27례였으며 주소는 호흡기 증상이 12례, 중추신경계 증상이 10례였다. 호흡기 증상은 기침, 가래 외에도 빈호흡, 천명 등의 호흡 곤란 증상이 7례에서 있었다. 폐 청진상 수포음이 6례, 천명이 7례, 호흡음의 감소가 9례에서 있었고, 간비종대가 흔하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상 이상이 26례에서 있었고 이 중 폐문부 림프절을 동반한 폐실질의 병변을 보였던 경우가 18례로 가장 많았다. 국소적 또는 전반적인 기종성 변화가 7례에서 있었다. 결 론 : 영아들은 결핵 진단시 증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폐결핵의 발병시 천명, 기종성 변화, 호흡음 감소 등의 기관지 폐쇄의 징후가 흔하며 호흡 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진단 및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성인 결핵 환자 발생시 노출된 영아에 대한 예방 요법을 철저히 시행하여야 하며, 영아에서 결핵이 의심될 때 감염원을 찾음으로써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하였다. Purpose : The risk of severe tuberculous disease such as meningitis or miliary tuberculosis increases as younger is the child at the time of infection. Therefore, the early diagnosis and prompt treatment is mandatory for infants with tuberculosi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scribe the epidemiology, clinical and radiographic manifestations, and response to therapy in infants with tuberculous disease. Methods : Medical records of 29 infants with tuberculosis diagnos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July, 1985, to April, 199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 case of tuberculosis was confirmed if M. tuberculosis was isolated from any body site or if there was histologic proof of tuberculosis. Otherwise, the diagnoses were individualized considering history of contact with contagious adult case, clinical manifestations, chest X-ray findings, result of a Mantoux test reaction with 5 tuberculin unit of PPD, and the response to therapy. Results :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7.00{\pm}2.65$ months (range, 3 to 12 months). Twelve cases had isolated pulmonary diseases, and the rest had pulmonary disease and meningitis, 5 cases; pulmonary disease and cervical lymphadenitis, 3; isolated meningitis, 3; and miliary tuberculosis, 6. Source case was identified in 19 cases, 7 of which were detected with retrograde manner. Twenty seven of 29 were symptomatic at their initial visit.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mainly respiratory or neurologic, and respiratory difficulty was accompanied in 7 cases.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wheezing in 7 cases and decreased breath sounds in 9. Hepatomegaly or hepatosplenomegaly were frequent. Chest radiographs showed lung parenchymal disease with hilar lymphadenopathy in 18 cases, and focal or generalized emphysematous change in 7 cases. Conclusion : Most of the infants with tuberculosis are symptomatic at diagnosis, and many of infants with intrathoracic tuberculosis presented with symptoms of bronchial obstruction. When tuberculosis is suspected in an infant, the adult source case should be vigorously investigated to aid in diagnosis and for the prevention of further transmission of tuberculous disease. Almost half of infant tuberculosis are preventable if prophylaxis were given when adult cases were diagnosed.

      • KCI등재

        학교 안전에 대한 학생의 인지, 정서, 행동 분석 및 시사점

        김이경 ( Kim Ee-gyeong ),김경회 ( Kim Kyung-hwoi ),류성창 ( Ryoo Sung-chang ),김숙이 ( Kim Sook-yi ),안지윤 ( Ahn Ji-yoon ),민수빈 ( Min Soo-b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학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와 시도의 정책적 노력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에서, 학교 안전의 직접적 대상자인 학생들의 학교 안전에 대한 인지, 정서, 행동을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6년 안전교육 연구학교 38개교와 비례 표집된 비연구학교 38개교, 총 76개 초·중등학교 학생 7,495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 안전에 대한 학생의 인지, 정서, 행동 수준은 모두 대체적으로 높았으나 인지와 행동에 비해 정서 영역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개인의 특성인 성별에 따라서는 학교 안전의 인지 영역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간 높았고, 정서와 행동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교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 안전의 인지, 정서, 행동 모든 영역에서 안전교육 연구학교 재학생이 비연구학교 재학생보다, 그리고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인식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안전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대응이 학교 수준의 노력 여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이를 토대로 학교 안전 수준을 제고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students` cognitive capacities, attitude, and behavioral skills of school safety to know if schools are safe in reality as school safety policies implement.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data from online survey of 7,495 students, we draw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tudents tend to positively perceive their cognitive capacities, attitude, and behavioral skills of school safety, but the level of attitude are lower than cognitive capacities and behavioral skills. Second, the perception of students shows statistica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the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pilot operation of safety education and school level. The perception of students from the pilot school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s higher than that from non-pilot schools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we draw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safety education to establish school safety.

      • KCI등재

        산전 자궁 내 중장 염전 진단 받은 미숙아 1례

        우혜경 ( Hae Kyung Woo ),이해연 ( Hae Yun Lee ),김세연 ( Sae Yun Kim ),정영화 ( Young Hwa Jung ),신승한 ( Seung Han Shin ),김현영 ( Hyun Young Kim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전종관 ( Jong Kwan Jun ),최중환 ( 대한주산의학회 2015 Perinatology Vol.26 No.2

        자궁 내 태아의 중장 염전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장의 허혈, 패혈증, 복막염 등을 유발하여 태아 생존에 위협이 되기도 하므로, 조기 진단과 즉각적인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다. 본 증례에서는 재태주수 30주의 태아에서 태변성 복막염이 동반된 자궁 내 중장 염전이 발생하여 제왕절개 분만 후에 즉각적으로 수술을 시행한 후 좋은 예후를 보였던 미숙아를 보고하였다. 자궁 내 장 염전이 발생할 경우 적절한 분만 시점의 결정과 분만 후 치료가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미숙아 분만이 예상될 경우 산과의, 신생아 진료의, 소아외과의의 즉각적인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태아의 중장 염전으로 인한 이환과 사망률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Intrauterine midgut volvulus is a rare and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ngenital disease that can lead to intestinal ischemia, sepsis and peritonitis caused by bowel perforation and meconium obstruction. Early detection and immediate treatment is crucial to improve the outcome. Herein, we report a preterm infant of 30 weeks of gestation with intrauterine midgut volvulus associated with meconium peritonitis who survived after cesarean delivery and immediate postnatal surgical intervention. The outcome of in-utero intestinal volvulus depends on optimal delivery timing and adequate postnatal treatment. Therefore, prompt multidisciplinary consultation and planning with obstetricians, neonatologists and pediatric surgeons is necessary to reduce the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fetal midgut volvulus, especially in the preterm period.

      •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SMOFlipid의 투여가 미숙아 질환 예방에 미치는 영향: Cholestasis 예방 중심으로

        김문진 ( Moon Jin Kim ),배혜정 ( Hye Jung Bae ),조윤숙 ( Yoon Sook Cho ),김귀숙 ( Kwi Suk Kim ),김향숙 ( Hyang Suk Kim ),이혜숙 ( Hye Suk Lee ),이주영 ( Ju Young Lee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3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지 Vol.5 No.2

        Purpose: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 are found to have a higher incidence of cholestasis due to long-term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on relationships between omega-3 fatty acids and reduced incidence of cholestasis, the advantages that the fatty acids provide for premature infant diseases have not yet been fully understoo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dvantages of SMOFlipid, a lipid emulsion product that contains omega-3 over other lipid emulsion products that do not.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82 newborn (127 boys and 55 girl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between April 2010 and August 2012. These infants were born with a birth weight of <1,500 g and administered either of lipid emulsions (Intra MCT 20% or SMOFlipid) from birth to a full-feeding condition at ou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holestasis is defined as serum direct bilirubin (DB) >1.0 mg/dL when total bilirubin (TB) is <5 mg/dL or DB/TB ratio is >20% when TB >5 mg/dL. Results: The incidence of cholestasis was found to be lower in the SMOFlipid group than in the medium-chain triglyceride/long chain triglyceride (MCT/LCT) group (7.3% [4/55] versus 18.9% [24/127], P=0.046). At the start of lipid emulsion administration (day 0), the baseline bilirubin leve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maximum value of DB on days 7∼ 14 was lower in the SMOFlipid group than in the MCT/ LCT group (0.8 [0.3∼2.2] versus 1.1 [0.3∼2.8] mg/dL, P= 0.030). The DB/TB ratio was also lower in the SMOFlipid group than in the MCT/LCT group (10.2% [4.9%∼40.0%] versus 24.1% [5.1%∼62.5%], P=0.002).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SMOFlipid was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cholestasis in VLBWI. Therefore, omega-3-containing lipid emulsion can be highly recommended in premature babies, especially in VLBWI who require TPN support. (JKSPEN 2013;5(2):67-75)

      • KCI등재

        미숙아에서 모세 혈관종의 임상양상

        김선녀 ( Seon Nyo Kim ),이주영 ( Juyoung Lee ),신승한 ( Seung Han Shin ),최창원 ( Chang Won Choi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김병일 ( Beyong Il Kim ),최중환 ( Jung Hwa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15 Perinatology Vol.26 No.3

        Purpose: Capillary hemangiomas occur more frequently in preterm infants. We aimed to describe the clinical course of capillary hemangiomas in preterm infants. Methods: The records of preterm infants with a gestational age (GA) of <35 weeks who were admitted to two tertiary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3 and had capillary hemangioma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ubgroup analysis of between infants of GA <30 weeks and GA 30-34+6 weeks were done and ad hoc analysis comparing study population and matched preterm infants without hemangioma for investigation of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Results: Of the 2,772 preterm infants, 112 (4%) infants developed capillary hemangiomas. The majority (91.9 %) of them had a solitary hemangiomas with the trunk was the most commonly involved site (43%). Three quarters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opical corticosteroid, propranolol or laser treatment. When we divided this population as who were born before or after GA 30 weeks, there was no difference at postmenstrual age (PMA) of onset of capillary hemangiomas (median [IQR], 36+4 [30+5-40+5] vs. 36+2 [33+6-41+1] weeks, P= 0.275). The age at involution of capillary hemangiomas was also not differ between two groups (median [IQR], 7.75 [3.75-12.25] vs. 7.5 [4-13.75] months, P=0.425).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reterm infants with capillary hemangiomas and their age, weight and sex matched control preterm infants without hemangiomas in the neonatal and maternal factors.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capillary hemangiomas occurred at approximately 36 to 37weeks of PMA regardless of prematurity in preterm infants. Capillary hemangiomas of preterm infants resolved spontaneously and disappear completely by around 7 months of corrected age.

      • KCI등재

        임상 ; 식이부전으로 소장 조영술을 시행 받은 조산아 46례의 임상적 고찰

        손세형 ( Se Hyung Son ),김윤주 ( Yoon Joo Kim ),이주영 ( Ju Young Lee ),이은희 ( Eun Hee Lee ),손진아 ( Jin A Sohn ),김은선 ( Eun Sun Kim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김병일 ( Beyong Il Kim ),최중환 ( Jung Hwan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2

        목적: 조산아에서 식이 진행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조산아에서 소장조영술의 안정성과 유효성 평가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소장조영술의 최근 경험을 조사하여 조산아에서 식이진행이 되지 않을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46명의 조산아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재태기간과 평균출생체중은 각각 30(+1)±3(+5)주(24-36주), 1,435±623g (460-2,810g)이었다.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평균 수태후 연령은 37(+2)±4(+2)주(중간값 36(+2)주, 27(+2)-45(+4)주)였고 이는 생후 46.8±27.3일(5-126일)에 시행되었다.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결과에서 기계적 장폐색이 없었던 경우는 29명(63%)이었고 이들 중 22명(47.8%)은 위장관 이행 시간이 연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결국 완전 장관 영양에 도달하였고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11.2일이었다(중간값 6일).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신생아들을 출생체중에 따라 1.5kg 미만 군과 1.5kg 이상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각각 27명, 19명이었다. 1.5 kg 이상 군에서는 검사를 더 일찍 시행하였다(P=0.027). 1.5kg 미만 군에서는 27명 중 15명(55.6%)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거나 인큐베이터 내에서 치료 중으로 침상 옆에서 검사를 시행하였다. 1.5kg 미만 군에서는 신생아괴사성장염, 태변연관 장폐색 및 위장관 수술 과거력이 1.5kg 이상 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44). 소장조영술 시행 시 사용한 조영제는 바륨, 텔레브릭스, 가스트로그라핀이었고 조영제 사용 후 관련된 합병증으로 구토 및 조영제 정체가 있었으나 대부분 호전되었고 흡인이나 패혈증 등의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식이 부전이 있는 조산아에서 적극적인 소장조영술 검사는 식이부전의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므로 식이를 진행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Small bowel series (SBS) may be a useful test in identifying the causes of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Unfortunat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SBS in preterm infants. By scrutinizing our recent experiences in performing SBS in preterm infants, we aim to provide basic data concerning the use of SBS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Methods: Between January 2005 and October 2008, SBS was done in 46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se preterm infants. Results: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of the 46 infants were, 30(+1)±3(+5) weeks, 1,435±623 g, respectively. The mean postconceptional age when SBS was done, was 37(+2)±4(+2) weeks, 46.8±27.3days. SBS proved that 29 infants did not have mechanical obstructions and 22 of these infants had delayed bowel transit time. Eventually, 35 infants attained full feeding except those who underwent operation. SBS was done at their bedside in 15 out of 27 infants in the group less than 1.5kg. History of NEC, meconium related ileus, and gastrointestinal operation were more frequent in the group less than 1.5kg. The adverse effects of SBS in preterm infants included vomiting, delayed transit of the contrast media, all of which resolved in the end and there were no reports of aspiration or sepsis. Conclusion: Actively performing SBS test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ill promote feeding advancement by discovering the cause of feeding intolerance and subsequent management of the specific problem.

      • SCOPUSKCI등재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최근 치료 성적 - CRIB(clinical risk index for babies) II 점수를 이용한 생존율 분석 -

        김도현,심소연,김재리,신승한,김은선,정경은,김상덕,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Kim, Do-Hyeon,Shim, So-Yeon,Kim, Jae-Ri,Shin, Seung-Han,Kim, Eun Sun,Joung, Kyoung-Eun,Kim, Sang Duk,Lee, Jin A,Choi, Chang Won,Kim, Ee-Kyung,Kim, H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9 No.9

        목 적 : 최근 들어 출생체중 1,000 g 미만으로 태어난 ELBWI의 생존율은 주산의학 및 신생아학의 발달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 6년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태어난 ELBWI의 생존율 변화를 분석하여 신생아 집중 치료술의 향상여부를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 포함된 99명의 ELBWI은 출생 년도에 따라 세 시기(I기 : 2000-2001년, II기 : 2002-2003년, III기 : 2004-2005년)로 나누어졌다. 세 시기의 임상적 중증도를 보정하기 위해 CRIB II 점수 체계를 이용하여 ELBWI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 과 : ELBWI의 전체 생존율은 74.7%였고, 세 시기에 걸쳐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I기 : 60.7%, II기 : 73.3%, III기 : 85.3%). 최소한 50% 이상이 생존하는 것으로 정의된 생존한계는 출생체중 600 g대, 재태기간 25주였다. 출생체중 750 g 미만인 경우에는 세 시기에 걸쳐 생존율이 전체 생존율에 비해서 매우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I기 : 10%, II기 : 46.2%, III기 : 70.6%). ELBWI의 세 시기에 걸친 지속적인 생존율 향상은 CRIB II 점수로 보정한 후에는 더 뚜렷해졌다. 결 론 : 본 기관에서 최근 6년간에 걸친 ELBWI의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출생체중 750 g 이하에서 두드러졌다. 이러한 생존율 향상은 ELBWI의 임상적 중증도 개선과는 상관없이 이루어졌다. Purpose : The survival rate of infants weighing less than 1,000 g at birth(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 has increased due to recent advances in perinatal and neonatal intensive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s of ELBWI bor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last six years. Methods : A total of 99 inf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period I: 2000 to 2001, period II: 2002 to 2003, period III : 2004 to 2005) based on date of birth. We compared the survival rate of ELBWI over the three periods, using CRIB II score for adjustment for clinical severity. Results : Overall survival rate of ELBWI was 74.7 percent. The survival rate of ELBWI increased over the three periods(period I: 60.7 percent, period II : 73.3 percent, period III : 85.3 percent). The threshold of viability(defined as survival of at least 50 percent of infants) was 25 weeks of gestation and 600 g at birth. The birth weight-specific survival rates increased considerably over the three periods for infants <750 g at birth(period I: 10 percent, period II: 46.2 percent, period III : 70.6 percent). The survival rates of ELBWI over the three periods increased much remarkably after adjustment for clinical severity by CRIB II score. Conclusion : In our institution, survival rates of ELBWI during the last six years continued to improve, particularly for infants weighing <750 g at birth. This increase in survival rates was not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severity of ELBWI.

      • KCI등재

        학교문화가 학생들의 학교폭력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이경(Kim Ee-gyeong),한유경(Han You-Kyung),민수빈(Min, Soo-B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보다 근본적 예방과 대처를 위해서는 피해자와 가해자 중심적 접근 에서 벗어나 이를 방관하거나 동조하는 대다수 학생의 대응행동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는 문제인식에서 학교문화가 학생들의 학교폭력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학생들의 학교문화와 학교폭력 대응행동에 대한 인식과 배경변인별 차이, 두 변 수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 586개 초·중등학교의 학생 5,536명의 온라인 설문 조사 응답 자료에 대하여 기술통계, t검증,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 과, 첫째, 학생들은 학교문화에 대해서 자신들의 생활태도를 제외하고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학교급과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긍정 정도가 조 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을 목격한 학생들의 대응행동을 보면, 학교폭 력을 멈추기 위해 피해학생을 돕고 노력하는 학생은 절반 정도에 그쳤으며, 나머지 학생들은 공감만 하거나 외면하고 심지어 구경하고 함께 괴롭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 초 등학교 6학년생, 중학교 2학년생의 부정적 대응행동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학생들 의 학교폭력 대응행동은 학교의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를 토대로 학생들의 학교폭력 대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가 학교문화임을 확인하고 학교문화 개선, 학생 집단별 맞춤형 프로그램 등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의 접근 관점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effects of school culture on the students’coping response toward school violence.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students’ perception on of school culture and students’ coping response toward school violenc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ulture and students’coping response toward school violence. The on-line survey data of 5,536 students in 586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Korean students are relatively positive about the school culture. However, the level of their perception tends to decrease as the school level and grade go up. Second, only one half of the students among those who come across school violence try to help victims to stop school violence. Especially, such groups as male students, elementary school six graders and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appear to respond negatively. Finall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ulture and the students’coping response toward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chool culture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and draw a few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group-specific customized programs.

      • KCI등재

        초ㆍ중등 교원의 중ㆍ장기 수급 전망

        김현철(Kim Hyun-chul),김이경(Kim Ee-gyeong),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2

          이 연구는 교원 증원 요인과 감축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초ㆍ중등 교원 수요 및 공급 규모를 예측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원 수요 예측의 기본이 되는 학령인구 외에도 중ㆍ장기 교원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변인, 즉 정부의 학급당 학생수 및 수업시수 감축 정책, 토요 휴무제로 인한 수업일수 등을 반영한 시나리오 분석법을 활용하여 2020년까지의 교원 수요를 예측하였다. 예측 결과, 저출산이 교원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커서 정부가 학급당 학생수와 수업시수를 대폭 줄이는 경우에도 학령인구의 감소분을 만회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은 2012년, 중ㆍ고는 각각 2016년, 2019년에 소요 교원수가 최소가 되고, 연평균 신규 수요는 초등 2,400, 중등 1,750명 내외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규모로 초ㆍ중등 교원이 양성된다면 수년 내에 대규모 공급 과잉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것이므로 초등의 경우 정원 감축이, 중등의 경우 일부 축소가 아닌 근본적인 양성체제의 개편이 요청된다.   The demand and supply of teachers are heavily influenced by the size of student population as well as policy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ject the demand and supply of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until 2020 utilizing scenario analysis method. Multiple factors are reflected in projection such as declining student population, class size, instructional hours, number of school days. The result shows that the influence of low birth rate on the future demand of teachers is so serious that policy variables requiring increase the number of teachers cannot offset the impact caused by decreasing student population. Teachers, especially secondary teachers, are oversupplied compared with required number of teachers. If this situation continues, there will be serious mismatch between supply and demand. Elementary teacher quota needs to be readjusted, while fundamental restructuring of secondary teacher preparation system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 KCI등재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 및 진행과 체중증가율과의 연관성에 관한 분석

        김고은,김정훈,김이경,김한석,최중환,유영석.Ko Eun Kim. MD. Jeong Hun Kim. MD.. Ee-Kyung Kim. MD. Han-Suk Kim. MD. Jung-Hwan Choi. MD. Young Suk Yu. MD. 대한안과학회 2011 대한안과학회지 Vol.52 No.9

        Purpos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ccurrence and severity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and postnatal weight gai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and mean rate of postnatal weekly weight gain measurements for 275 premature infa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ccording to fundus examination findings, 275 infan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ROP: Group I; infants with no ROP, Group II; infants with mild ROP (stage 1 or stage 2 with no additional disease or spontaneous regression), and Group III; infants with moderate to severe ROP (stage 3, threshold or Type I ROP according to ET-ROP). The mean rates of postnatal weekly weight gain in each group were compared and other risk factors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as a tendency of decrement in the mean rate of postnatal weekly weight gain in association with the severity of the disease (Group I: 13.54 ± 11.87%; Group II: 12.38 ± 1.33%; Group III: 11.41 ± 1.70%)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dditional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out ROP and the group with ROP. Significant risk factors related to ROP were low birth weight, low gestational age, low Apgar score, long duration of oxygen therapy, high incid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bronchopulmonary dysplasia. Conclusions: The change in postnatal weight gain has limited usage as a main prognostic factor in predicting the progression of ROP.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9):1071-107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