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질식 분만 도중 발생한 80 mm 치골 결합 분리의

        이백 ( Paek Lee ),김의혁 ( Euy Hyuk Kim ),윤한국 ( Han Kook Y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2

        Separation of the symphysis pubis during the vaginal delivery is rare, but a serious complication. Treatment is generally conservative with rest and appropriately fitted pelvic binder. But surgery may be necessary when symphyseal separation is more than 40 mm. A case of 80 mm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developed after vaginal delivery is presented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임상; 단일 기관에서의 임신성 당뇨 검사에 따른 태아 및 산과적 예후 비교

        윤성현 ( Sung Hyun Yun ),한상원 ( Sang Won Han ),이산희 ( San Hui Lee ),정용욱 ( Yong Wook Jung ),김의혁 ( Euy Hyuk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3

        본 연구는 한국 산모에서 경구 당 부하검사(glucose challenge test, GCT) 결과에 따른 산과 및 주산기의 예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서 2007년 1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 산전검사를 받고 분만한 산모 중 임신 중반기에 임신성 당뇨 검사로써 50 g GCT를 시행받은 1,006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이 되는 1,006명의 산모를 총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50 g 경구 GTC가 140 mg/dL 미만인 정상군(NGT, n=826), 50 g GTC가 140 mg/dL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나 임신성 당뇨 확진 검사상 음성인 임신성 내당 불내성군(GIGT, n=128), 임신성 당뇨 확진군(GDM, n=52). 임신 전 진단받은 산모의 당뇨와 고혈압, 다태임신 산모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들 세 군의 산모의 특성과 산과적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산모의 나이, 임신력, 임신전의 체질량 지수는 GDM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기분만,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 또한 NGT군에서 GIGT군, GDM군의 순서로 유병률의 증가를 보였다(13.9% vs. 18.8% vs. 25.0%, P<0.01; 1.9% vs.5.5%vs. 13.5%, P<0.01). 과출생 체중아와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실률 또한 NGT군에서 GIGT군, GDM군의 순서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6.2% vs. 15.6% vs. 15.4%, P<0.01; 12.3% vs. 24.2% vs. 38.5%, P<0.01). 하지만 태변흡입 증후군이나 신생아 가사 등 집중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합병증의 빈도는 세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임신성 당뇨는 제왕절개, 조기 분만,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의 위험인자이다. 임신성 당뇨가 아닌 내당 불내성군에서도 정상군에 비해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 조기진통, 제왕절개 비율, 과출생 체중아의 증가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 뿐만 아니라 내당 불내성군에 관한 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glucose challenge test (GCT) in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 One thousand six women, who were underwent antepartu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screening by a GCT in mid-pregnancy and delivered at National Health Service between January 1, 2007 and July 31, 2012,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50 g oral GTC and 100 g oral GTC;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n=826), less than 140 mg/dL; gestational impaired glucose tolerance (GIGT, n=128), more than 140 mg/dL but non-GDM ;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n=52). Pre-existed maternal DM or hypertension and twin pregnancy were excluded.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Result : Maternal age, parity, and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were higher in the GDM. The preterm delivery and gestational hypertension increased across the groups from NGT to GIGT to GDM (13.9% vs. 18.8% vs. 25.0%, P <0.01, and 1.9% vs.5.5% vs. 13.5%, P <0.01, respectively).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rate were higher in order in NGT, GIGT, and GDM (6.2% vs. 15.6% vs. 15.4%, P <0.01, and 12.3% vs. 24.2% vs. 38.5%, P <0.01), but other complications requiring intensive car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cluding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and birth asphyxia. Conclusion : GDM was a risk factor of cesarean section, preterm delivery, and gestational hypertension. In addition, GIG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stational hypertension, preterm labor, cesarean section rate, and LG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guideline for Korean pregnant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GIGT.

      • KCI등재

        단일 기관에서의 질식분만과 제왕분만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

        류지원 ( Ji Won Ryu ),노영호 ( Young Ho Rho ),한상원 ( Sang Won Han ),하현용 ( Hyun Yong Ha ),김의혁 ( Euy Hyuk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6

        목적: 분만방법에 따라 분만 후 산모와 태아에 대한 영향과 부작용에 대해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본원에서 2007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36주 이후에 단태아를 분만한 총 528명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들 중 질식분만을 한 군을 그룹 A군, 계획된 제왕절개술을 한 군을 그룹 B군, 그리고 응급 제왕절개술을 받은 군을 그룹 C군으로 나누었다. 우리는 분만 전과 분만 후에 혈색소 수치를 비교하였고 내외과적 소파술 여부와 항생제 추가 사용에 대해 평가하였다. 태아 결과 평가를 위해서는 1분 5분 아프가 점수,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여부와 태변 흡입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분만 후 혈색소 감소치와 분만 후 입원 기간은 각 그룹 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차이가 있었다(1.28 g/dL vs. 1.88 g/dL vs. 2.58 g/dL, 3.5일 vs. 5.9일 vs. 6.6일; P<0.001). 외래 방문수는 그룹 C군에서 그리고 외래에서의 항생제 사용은 그룹 A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가장 많았다. 신생아의 관점에서 볼 때 1분 5분 아프가 점수가 그룹 B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율과 태변흡입증후군 비율 역시 그룹 B군에서 가장 낮았다(8.0% vs. 3.2% vs. 16.3%, P=0.002; 4.5% vs. 0% vs. 7.5%, P=0.001). 결론: 질식분만은 출혈량, 재원기간 그리고 퇴원 후 외래 내원 횟수 면에서 좋은 결과를 가진다. 계획된 제왕절개술은 다른 분만 방법에 비해 산모의 심각한 부작용이 적고 태아의 좋은 결과를 가진다. Objective: To compare the postpartum maternal and neonatal effects and complications according to delivery modes. Methods: Five hundred twenty eight singleton pregnant women, who delivered after 36 gestational weeks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between July 2007 and July 2009,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y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group A, vaginal delivery; group B, elective cesarean delivery; and group C, emergent cesarean delivery. We evaluated the difference in hemoglobin decrement and postpartum hospital stays, medico-surgical curettage, and antibiotics usage. From the view point of neonates, 1 and 5 minute Apgar scores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dmission rates and meconium aspiration rates were evaluated. Results: Postpartum hemoglobin decrement and postpartum hospital day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which results were 1.28 vs. 1.88 vs. 2.68 g/dL and 3.5 vs. 5.9 vs. 6.6 days, respectively (P<0.001). Number of out-patient-department follow-up was highest in group C and additional antibiotics usage was highest in group A with statistical signifi cance. The Apgar score was highest in group B (8.0% vs. 3.2% vs. 16.3%, P=0.002). NICU admission rate and meconium aspiration were also lowest in group B (4.5% vs. 0% vs. 7.5%, P=0.001). Conclusion: Although vaginal delivery showed advantage over blood loss related to procedure, hospital days and number of follow up, elective cesarean delivery has advantage carrying less severe complication of mother and better outcome for the baby than other delivery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